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역·다시마의 동결종묘와 원종묘를 이용한 재배학적 연구

        송명섭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901

        The pre- and post-cryopreservations of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 and Laminaria japonica were cultivated at the Sangman test aquafarm located in Imhoe-myeon Jindo-gun. The blade shape, proximate components and amino acids of pre- and post-cryopreservation were compared. The water temperature, DO and salinity of the aquafarm from Nov. 2004 to May 2005 was 7.6~17.9℃, 6.2~8.84 ㎎/L and 31.9~35.1‰, respectively. The monthly growth rate of blade length, blade width and stipe length of pre- and post-cryopreservations of U. pinnatifida and L. japonica was similar and there were not shown si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Levene's test and t-test.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ash and crude fat of pre- and post-cryopreservations of U. pinnatifida and L. japonica were similar. The results of free amino acids analysis of pre- and post- cryopreservations of U. pinnatifida showed that the contents of alanine, taurine, glutamic acid and ammonia were higher than the other amino acid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alanine of pre- and post-cryopreservations of U. pinnatifida was 204.7 ㎎/100g and 186.3 ㎎/100g, respectively, and the content of taurine was 200.9 ㎎/100g and 194.3 ㎎/100g,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of pre- and post-cryopreservations of U. pinnatifida. The results of total amino acids analysis of pre- and post- cryopreservations of U. pinnatifida showed that the contents of ammonia, alanine, arginine and lycine were higher than the other amino acid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ammonia of pre- and post-cryopreservations of U. pinnatifida was 1644.3 ㎎/100g and 1687.1 ㎎/100g, respectively, and the content of alanine was 1383.2 ㎎/100g and 1442.7 ㎎/100g,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cryopreservations of U. pinnatifida. The results of free amino acids analysis of pre- and post- cryopreservations of L. japonica showed that the contents of alanine, taurine, gultamic acid and ammonia were higher than the other amino acids, an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content of alanine of pre- and post-cryopreservations of L. japonica was 193.6 ㎎/100g and 193.5 ㎎/100g, respectively, and the content of taurine was 190.6 ㎎/100g and 190.4 ㎎/100g, respectively, 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of pre- and post- cryopreservations of L. japonica. The results of total amino acids analysis of L. japonica showed that most amino acids contents of the post-cryopreservations of L. japonica were higher than pre-cryopreservations of L. japonica,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nts of glutamic acid, alanine and lysine of pre-and post-cryopreservations of L. japonica. The contents of glutamic acid of pre- and post-cryopreservations of L. japonica was 2326.4 ㎎/100g and 2510.5 ㎎/100g, respectively, and the content of alanine of pre-and post-cryopreservations of L. japonica was 2569.7 ㎎/100g and 2333.7 ㎎/100g, respectively. 갈조류 다시마목의 미역(Undaria pinnatifida)과 다시마(Laminaria japonica)의 동결보존 전의 원종묘와 동결보존 후 해동시킨 동결종묘를 사용하여 2004년 1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 실험어장에서 양성하면서 조체의 형태, 일반성분과 아미노산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양성기간 동안의 수온은 7.6~17.9℃, 용존산소는 6.2~8.84mg/ℓ, 염분은 31.9~35.1‰이었다. 미역과 다시마의 형질 전장, 엽폭, 줄기길이의 월별 성장도가 거의 비슷하였으며, 등분산 검정과 t-검정 결과는 유의차(P>0.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역과 다시마의 수분, 조단백질, 조회분과 조지방 함량은 원종묘와 동결종묘에서 거의 같았다. 미역의 유리아미노산함량은, 원종묘와 동결종묘에서 alanine, taurine, glutamic acid, ammonia 순으로 다른 성분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원종묘와 동결종묘의 alanine은 204.7 ㎎/100g과 186.3 ㎎/100g, taurine은 200.9 ㎎/100g과 194.3 ㎎/100g 으로, alanine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미역의 구성아미노산함량은 원종묘와 동결종묘에서 ammonia, alanine, arginine, lycine 순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원종묘와 동결종묘의 ammonia와 alanine은 1644.3 ㎎/100g과 1687.1 ㎎/100g, 1383.2 ㎎/100g과 1442.7 ㎎/100g 으로 거의 같았다. 다시마의 유리아미노산함량은, 원종묘와 동결종묘에서 alanine, taurine, glutamic acid, ammonia 순으로 다른 성분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원종묘와 동결종묘의 alanine은 193.6 ㎎/100g과 193.5 ㎎/100g, taurine은 190.6 ㎎/100g 과 190.4 ㎎/100g 으로 거의 같았다. 다시마의 구성아미노산함량은 원종묘와 동결종묘에서 glutamic acid, alanine, lysine 순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원종묘와 동결종묘의 glutamic acid와 alanine은 각각 2326.4 ㎎/100g과 2510.5 ㎎/100g, 2569.7 ㎎/100g과 2333.7 ㎎/100g 으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 고불소계 용제를 사용하여 공정 진행이 가능한 photoresist 및 바인더의 개발과 이를 사용한 OLED 소자 제작

        원종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 우리는 365 nm 파장의 UV에 대하여 반응성이 크며, 화학적 침해성이 적고 친환경적인 고불소계 용제를 사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 가능한 고불소계 photoresist를 개발하였다. UV에 의하여 화학적 구조가 변하는 Diazonaphthoquinone(DNQ) 단위를 결정성이 낮으며 Tg가 높은 물질인 α,α,α'-Tris(4-hydroxyphenyl)-1-ethyl-4-isopropylbenzene에 결합시키고, 여기에 고불소계 용제에 대해 우수한 용해도를 가지게 하기 위하여 Perfluoroether chain을 결합하여 고불소화 DNQ photoresist인 T-LPF-D를 개발하였다. 또한 photoresist와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시 필름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패턴의 tone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인더로 고분자 바인더 및 단분자 바인더를 개발하였다. 고분자 바인더는 HDFDMA와 IBOMA를 단량체로 사용하고 RAFT agent를 이용하여 공중합한 고불소화 고분자 바인더인 PFI를 개발하였으며, 단분자 바인더는 Isophorone diisocyanate를 core로 사용하여 amine 작용기가 존재하는 형태의 고불소계 단분자 바인더인 RF-IPDI-NH2를 개발하였다. 합성한 photoresist와 바인더를 사용하여 Si wafer 상에서 고해상도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였으며, 바인더의 사용 여부에 따라 negative tone, positive tone의 패턴을 모두 만들 수 있는 dual tone system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합성한 photoresist와 바인더를 사용하여 HTL 상부에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진행하였을 때 균일한 패턴이 형성되었으며, 7um 크기의 패턴까지 잘 형성되었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제조한 OLED 소자의 성능을 측정해본 결과, reference 소자의 성능과 거의 동일하게 나왔다. 이를 통해 고불소계 물질과 고불소계 용제가 유기물층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포토리소그래피를 통한 OLED 소자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1930年代 女流小說 硏究 : 特히 女性의 現實問題를 中心으로

        원종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8 국내석사

        RANK : 1855

        1930 년대에 들어오면서 女流文學은 많은 발전을 보인다. 1930년대 女流文學의 발전의 원인이 많은 女性誌들의 창간과 당시 女流作家에게 거는 評者들의 기대에 있었다는 것에서 착안한 本考는 植民地의 극한 상황 속에서 女流作家가 다루었던 女性의 現實問題를 살펴봄으로써 女流作家들은 그들 문제를 어떻게 作品化하여 인식했으며 당시의 社會的 문제로 대두된 女性의 現實問題는 무엇이었나를 알고자함에 있었다. 구체적인 作品 分析 結果 1930년대의 女性의 現實問題는 당시 社會的 特徵이라 할 窮乏과 男性優位의 社會의 두 가지 축을 中心으로 확산된다. 이를 細分하여 보면 窮乏과 女性의 現實問題는 ‘性의 商品化, 早婚의 悲劇, 勞動現實과 母性愛 ’로 男性優位의 社會와 女性의 現實問題는 ‘敎育不在에서 오는 피해, 新女性의 言動과 그 한계점’ 으로 나누어진다. 性의 商品化는 植民地 收奪로 인해 극도로 窮乏했던 당시, 가난을 타개하는 하나의 方法으로 나타난다. 性의 商品化는 夫婦間의, 父母와 자식의 기본적인 애정, 윤리의 파탄을 초래한다. 즉 人間性 상실의 비극적 현실이 형상화되고 있다. 早婚의 悲劇도 주된 원인은 貧窮에 있지만, 당시의 因習도 그 원인이 되고 있다. 허기를 메우기 위한 한 方法으로 早婚한 어린 소녀들은 性的인 고통과 倫理 사이에서 번민하다가 집에 불을 지르거나 남편을 독살한다. 역시 인간관계의 파멸을 그리고 있다. 勞動現實과 母性愛는 日帝治下 가족과 자식을 위해 희생하는 노동 현장의 女性을 통해 性의 商品化와 早婚의 悲劇으로 떨어졌던 人間性을 회복시키려는 의지로도 볼 수 있으며, 日帝下의 우리나라 女性이 民族差別과 性差別의 二重苦에 시달렸음을 보이고 있다. 敎育不在에서 오는 피해에서는 당시 여성들이 남성의 횡포와 법률에 보호받을 길 없는 희생양이었다는 것을 작품화시켜 당대 여성들의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新女性의 言動과 그 한계에서, 교육을 받은 소수의 新女性들은 植民地 現實과 女性의 現實에 대해 올바른 思考는 하고 있으나 능동적인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데 이것은 오랜동안 男性優位에 있었던 여성의 現實을 말해주며, 또한 여성에 대한 교육이 內房敎育의 延長이었다는 모순을 지적해 주고 있다. 以上을 종합하면 1930년대의 女性들은 窮乏과 因習에 언제나 희생양이었고 이것은 日帝治下의 植民地 收奪로 고통이 가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窮乏과 女性의 現實問題를 형상화한 작품들은 거의 모든 결말이 비극적으로 여류작가들이 그러한 현실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고, 新女性의 言動과 敎育不在의 현실은 타개되어야 할 현실로 인식하고 있지만, 구체적 해결방법 내지 행동의 실천방법이 제시되지 않는 것이 그 한계점으로 드러나며, 이것은 당시 지식여성의 한계이며 또한 여류작가들의 한계점이었음을 지적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probelems of women, dealt with by female writers in the extreme situation of Japanese occupation during the 1930s, and to know what women's status was in that society and how female writers understood those women's actual problems. A concrete analysis of literary works finds women's problems in the 1930s divided broadly into two categories. One is con corned with poverty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times. The other is about a male-dominated society under a feudal patriarchal system. The ramifications of poverty-related women's problems would be: the commercialization of sex, the tragedy of early marriage, poor labor conditions and maternal affections. Those problems concerned with a male-dominated society would be the victimization of women due to a lack of education and the attitudes of modern women. The Commercialization of Sex Exploited by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husbands and parents committed the flagrant act of selling their wives and offsprings in an attempt to break away from poverty. Here, it was always women that were the objects of sexual commercialization. This commercialization of sex led to the destruction of fundamental love relationships, ethics, and human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a tragic reality appeared; humanity was lost. The Tragedy of Early Marriages The tragedy of getting married young was ascribed to the tradition of allowing early marriage, though it basically resulted from destitution. The tragedy started when young girls got married just to alleviate hunger without knowing what marriage meant to them. Therefore young girls in the literary works set houses ablaze and poisoned their husbands. This too bears out the bankruptcy of human relationships. Labor Conditions and Maternal Affections Women who were distressed from labor showed a strong will to survive, and strong maternal love provided a firm base to surmount poor labor conditions in the days of colonial rule. Women laborers, who sacrificed themselves for their families and offsprings, are seen to have a strong volition to revive the depraved humanity caused by the commercialization of sex and early marriages. Victimization from Lack of Education Literary works, written by female writers, portray women of that time as scapegoats, victimized by male oppression and unable to get protection under the law. This seems to be the reason female writers were motivated to write about the desperate plight of these women. The Attitudes of Modern Women Even a few modern educated women, bounded by conventional wisdom that men have the upper hand, show passivity to follow men without reservation. This goes to show that women had so long oppressively framed in the male-dominated patriarchal system, and that only when modern women actively face up to reality can they expect to have a bright future. Putting together the five problems above, women in the 1930s were always scapegoats plagued by poor society and evil social custom. In addition, their agony was intensified as Japanese exploitation progressed. Female writers seem to portray the women's situation as negative, because the ends of their works were tragic. Even thought they believed that they had to break through the limitations of being women and lacking an education, they didn't provide any useful way or modus vendi. These are the limitations in which the female intellectuals as well as female writers of that time were situated. All in all, female writers certainly deserve praise for materializing women's problems, with a penetrating eye and in a fine style absent in the writings of men.

      • 기업 고령인력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원종인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요약> 우리나라는 2009년 현재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약 520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10.7%를 차지할 정도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 했다. 고령화 사회의 원인은 평균수명의 연장과 출산율 저하이다. 평균수명의 증가는 공공의학과 공중위생의 발달로 사망률이 급격히 감소되었고 출산율이 낮은 이유는 개인가치관의변화와 양육부담의 증가 때문이다. 이러한 고령화로 인한 고령사회의 문제는 노인부양비 증가, 노인의료비 증가,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세대간의갈등 등 사회전반에 걸쳐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업에 있어서는 고령화로 인한 노동인구 감소 및 생산성 저하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고령화사회가 인력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고령인구가 경제활동을 계속해야하는 이유를 제시하고 고령사회에 대비한 고령인력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고령화 사회에서 기업의 고령인력 활용은 미흡한 편이다. 활용이 미흡한 문제로는 고령자에게 적합한 일자리가 없고 정년 등 인사규정상 고령자 채용이 곤란하고 재정형편상 고령자를 잘 고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고령근로자는 지속적인 임금인상으로 고비용 근로자로 인식이 되고 기술혁신 등 변화에 대한 적응능력 및 생산성 저하로 능력관리와 활용 어렵다고 생각한다. 이런 이유로 기업의 고령인력 활용이 쉽지 않고 퇴직을 강요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재배치를 통해 고령인력의 잠재력 발굴 및 직무능력 향상으로 전체조직을 최적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둘째, 지속적인 교육을 위한 평생 학습시스템을 구축하여 고령인력의 지식과 능력을 개발한다. 셋째, 기업의 인건비 부담 및 인사 적체를 해소하고 개인의 고용에 대한 안정감을 돕는 임금피크제 등의 단계적 퇴직 제도를 도입한다. 넷째, 퇴직이나 정리해고 후 재취업을 돕는 아웃플레이스먼트 (out-placement)서비스를 실시하여 퇴직으로 인한 심리적 충격 완화 및 새로운 진로를 개척 지원하고 기업의 원활한 구조조정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책임감 있는 기업 이미지를 제고한다. 다섯째, 재고용제도를 실행한다. 이는 숙련된 노동력부족에 대처가 가능하게 하고 직원들의 애사심고취 및 기업의 인재투자 비용 회수시기를 연장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은 일할 능력이 있는 고령인력을 전략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기업들은 이들의 잠재력을 이끌어 내어 생산성을 향상 시킨다면 지속적인 기업성장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중동 사막 기후에서의 응축기 파울링(Fouling)이 벽걸이 에어컨 성능에 미치는 영향

        원종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중동 사막 기후에서의 응축기 파울링이 벽걸이 에어컨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제 사우디 리야드 및 UAE 두바이 지역에서 운전 중인 실외기 응축기 시료의 모래 먼지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우디 리야드 지역 사막 주변의 모래 먼지를 채취하여 먼지 쌓임 가속 실험을 진행하였다. 80여일 간의 가속 실험을 통해 모래 먼지에 의한 응축기 최대 차폐 율이 어느 수준인지를 파악하였고, Tape 차폐 법과 비교하여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먼지 막힘 가속 실험 결과에 따른 응축기 파울링에 의한 최대 차폐 율은 약 28.3% 가 되며 , 열교환기 Tape 차폐 별 능력 시험과 비교하면 응축기의 30% 차폐 율에서는 냉방 능력이 능력이 약 3%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 실제 중동 지역에서는 모래 먼지로 인한 응축기 파울링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에어컨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비록 사우디 리야드 주변 모래는 차폐 율이 30% 미만으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되나, UAE 두바이의 경우 차폐 율이 30% 이상 진행될 경우 냉방 성능 저하로 나타날 수 있다. 향후 추가 연구를 진행한다면 열교환기의 핀 형상, 표면처리, FPI 등을 에어컨 설계 단계부터 고려하는데, 도움이 될 것 이다.

      • 河川流域의 設計洪水量 推定을 위한 地域化 回歸模型 開發

        원종인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인위적인 수위조절올 받지 않는 자연하천유역에서의 수위관 측점들을 대상으로 홍수빈도해석올 실시하여 하천유역의 설계홍수량 추정을 위한 지역화 회귀모형을 개발한 것이다. 관측점에 대한 홍수빈도해석은 국내 주요 5대 하천유역인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및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연최대치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관측점별 홍수량의 크기 및 빈도를 추정하였고 홍수빈도예측을 위한 적정 확률분포형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지역 홍수빈도해석은 연최대치계열 방법에 의한 관측점별 홍수추정량과 홍수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학적 유역 특성인자들간의 단순 및 다증회 귀분석법을 실시하고 최적 지역화 회귀모형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미계측지점의 수공구조물 계획 및 설계홍수량과 하천정비와 같은 치수 방재 측면에서의 설계수문량 설정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to develop the regionalized regression model which relates annual maximum flood peak flows to basin characteristics, and to estimate the magnitude and the frequency of river floods at the stage gaging stations selected by considering whether the flow is natural condition. The representative watersheds selected for the study are the Han, the Geum, the Yeong san, the Som jin and the Nak tong River basin, and are selected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each station floods in the river basins are estimated by annual maximum series method, and are compared with sampling variances to calibrate the suitability of the flood estimates. The regionalized regression model in regional frequency analysis which relates annual maximum flood peak flows to basin characteristics at gaging stations is developed by using the generalized regression analysis method and also is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various hydrologic information for the planning and the design of the hydraulic structur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river projects.

      • 서사적 규방가사 연구

        원종인 숙명여자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1855

        In late Choson dynasty, narrative tendency of Gasa(verse) increase and even Gasa which were very similar to novels are created as narrative literatures flourished. Gyu-bang Gasa(boudoir verse) is one branch of the Gasa which is mentioned in the angle of narrative tendency. Recently, study about narrative literature is relatively active, and many papers about the narrative literatures are actually analyzing Gyu-bang Gasas. However, they are missing Gyu-bang Gasas' own particular characteristics because they focus on narrative aspect only. Therefore, this article started from other papers which only looked at narrative side of Gyu-bang Gasas and did not catch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prior studies, I studied about the Gyu-bang Gasas and characteristics of genre of the Gasa. Gasa are lyrical, narrative, dramatic and didactic. Earlier Gasas are more lyrical and the later Gasas are more narrative. Women are the readers of Narrative Gyu-bang Gasas, and the Gyu-bang Gasas are poems with plot of narrators, characters and events. Chapter 3 deals with the structures of Narrative Gyu-bang Gasas. There are three main structures, and their main ideas depend on Confucianism and women's consciousness. Trouble-Overcome-Success is mainly about women's faithfulness, housekeeping and marriage and this is related to women’s codes, faithfulness ideology. The main characters take active actions to follow women’s codes and faithfulness, and they face happy ending as a result. Trouble-Overcome-Failure is mainly about life and housekeeping and they are related to androcentric society. Narrative Gyu-bang Gasas in this structure lack causality and character-centered and the problem is in the lack of morality of the characters. Therefore, the main character fails to overcome the difficulty and the story ends with death or downfall. Trouble-Overcome-Give Up talks about marriage and women’s consciousness. The Narrative Gyu-bang Gasas in this structure either emphasize connections among people and either criticize wrong marriage intuition or follow the ideology at that time. However, the characters do not get over their difficulty and just give up. Chapter 4 deals with the techniques in Narrative Gyu-bang Gasas. Those techniques are character, narrative figure and expression techniques. First, there are positive character and negative character. Positive characters act on patriarchy under any difficulties. This is because authors who became aware of patriarchal ideology want the readers to follow those lives. Descriptions about negative characters are character-centered rather than causality of events, because the authors want to teach moral from the case of negative character. Secondly, narrative figures are monologue and dialogue. Monologues can be called stories told by the characters themselves, and this is because self narration is settled in Narrative Gyu-bang Gasas for a long time. Dialogues are expressed to support androcentric ideology and also are methods to deliver the idea to women. Also, dialogues give realistic plots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Narrative Gyu-bang Gasa use listing, gradation, humor and exaggeration to express the main theme clearly and highlight characters. Chapter 5, I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s of narrative Gyu-bang Gasas. Narrative Gyu-bang Gasas appeared because of changes of the society, increasing number of Gasa and women readers to show reality of women's life and to teach their educational themes. Women who suffer from patriarchal system are described in Gyu-bang Gasas, and they show slight challenges to the system. However, most of the Narrative Gyu-bang Gasas support the patriarchal system. Therefore, Narrative Gyu-bang Gasas with narrative characteristics give various feelings and lessons. And those were the reasons for creation and tradition of Gyu-bang Gasas. Narrative Gyu-bang Gasas are a branch of literature which teaches lessons and also delivers stories in narrative way. They have great meaning in the literature because they are one of the advanced kinds of the Gasa in late Choson dynasty. Also, they show women's story,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story and Confucianism ideology which are basis of many novels dealing with suffering of women even until modern times. 조선후기에는 서사문학의 융성과 함께 가사의 서사적 경향이 극대화되고 나아가 소설과 거의 차이가 없는 가사 작품들이 창작, 전승되기에 이른다. 규방가사는 조선 후기 가사의 전개에 있어 담당층의 확대와 서사적 경향의 관점에서 언급되어지는 가사의 한 갈래이다. 최근 서사성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서사성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작품의 대부분은 규방가사이다. 그런데 서사가사 속에 서사적 규방가사를 함께 논의하다보니 서사적 규방가사만이 지닌 내밀한 의미를 놓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사적 규방가사를 서사가사라는 범주에 함께 묶어 고찰함으로써 서사적 규방가사만이 가지는 특성을 포착해내지 못하는 데서 시작하였다. 우선 연구의 전단계로 Ⅱ장에서는 가사의 장르성격과 서사적 규방가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사는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서정성에 서사성, 희곡성, 교술성 등이 복합되어 있는 가운데 전기가사는 서정성이, 후기가사는 서사성이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서사적 규방가사는 여성을 향유자로 하는 4&#8228;4조의 연속체 율문으로서 서술자와 인물, 사건의 요소가 함께 빚어내는 이야기로 정의할 수 있다. Ⅲ장에서는 서사적 규방가사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구조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구조에 따른 중심내용은 당대의 유교 이념 혹은 여성의식과 관련이 있다. ‘고난-극복-성공형’은 정절, 치산, 혼인이 중심 내용이며 이것은 女範&#8228;정절 이데올로기와 관련이 있다. 주인공들은 여범과 정절의 실행을 위해 적극적인 행동을 하며 그 결과 고난 극복에 성공하여 행복한 결말을 맞이한다. ‘고난-극복-실패형’은 경제문제, 치산이 중심내용이며 남성 중심적&#8228;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관련이 있다. 이 구조에 속하는 작품들은 사건의 인과성이 부족하며 인물지향적이고 고난을 겪는 원인이 인물의 부도덕함에 있다. 따라서 고난 극복에 실패하며 죽음과 파멸로 끝을 맺는다. ‘고난-극복-체념형’은 혼인문제와 여성의식과 관련이 있다. 여기에 속하는 작품의 인물들은 잘못된 혼인제도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인간 중심의 결연을 강조하거나 당대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순종하는 두 가지 차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들은 고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도피하거나 체념하며 고난을 운명으로 받아들인다. Ⅳ장에서는 서사적 규방가사에 나타나는 기술을 분석해 보았다. 이는 크게 인물유형, 서술양상, 표현기법의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인물유형은 긍정적 인물과 부정적 인물을 형상화하고 있는데, 긍정적 인물은 여성에게 내려진 고난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적 이념을 잘 실행한다. 이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의식화되었다고 할 수밖에 없는 작가가 긍정적 인물의 형상화를 통해 독자에게 그러한 삶을 선택하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 부정적 인물의 형상화는 여성독자들에게 반면교사의 교훈을 주려는 작자의 의도로 인해 부정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서술양상으로는 독백체와 대화체가 많이 나타난다. 독백체는 체험적 자기 서사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규방가사의 오랜 규범으로 정착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서술양상이다. 서사적 규방가사에는 유독 대화체 진술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남성중심적 이데올로기 옹호에 적극적 의지를 표출하는 동시에 인물과 사건에 생동감을 주고 서사성을 확보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서사적 규방가사는 주제를 선명히 하고 인물유형을 드러내기 위한 방법으로 열거와 점층, 해학과 과장을 표현 기법으로 한다. 특히 여성취향의 소재로써 여성독자를 의식한 표현에서 열거가 많이 쓰이고, 점층은 열거와 함께 인물묘사와 행동묘사에 많이 쓰인다. 해학과 과장은 인물을 일정한 거리를 가지면서 객관적으로 바라다 볼 수 있게 한다. 해학과 과장은 독자에게 건강한 웃음을 선사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표현기법으로 이것은 서사적 규방가사를 소설로 인식할 만큼 서사성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Ⅴ장에서는 서사적 규방가사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을 살펴보았다. 서사적 규방가사는 조선후기의 사회적 변화와 가사문학의 이야기성 확대, 여성독자층의 증가로 인해 읽을거리에 대한 갈증으로, 여성의 현실을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로, 본래 가지고 있던 교술적 주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출현하였다. 서사적 규방가사에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로 인해 고통 받는 여성의 현실이 그려지고 있으며, 미미하나마 그러한 현실에 대한 도전의식이 나타난다. 그러나 서사적 규방가사의 대부분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고 있는데 이는 작가층의 이중성 때문이다. 규방가사에 서사적 요소를 부가함으로써 재미와 감동을 주고, 교술적 효과를 더 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는데 이것이 서사적 규방가사의 창작과 전승을 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서사적 규방가사는 교술성과 서사성을 동시에 구현하고 있는 문학양식으로, 조선후기 가사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나타난 문학적으로 발전된 이야기양식의 가사유형이라는데 문학사적 의의가 있으며, 여성의 이야기, 특히 전형성을 가진 인물, 여성의 기구한 운명을 모티프로 하는 사건, 권선징악이라는 주제의 전승,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배경 등이 당대의 소설뿐만 아니라 후에 나타나는 신소설, 또 근대소설에 이르기까지 여성 수난을 다룬 많은 소설들의 창작 토양이 된 가사유형이라는데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