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캄보디아 다문화가족 부모의 자녀 언어교육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오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measure for supporting language education by parents to their children with verification on its effec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situations of language use by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and of their difficulties in the language education to their children. For achieving such purposes,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What are action plans for supporting language education by parents to their children in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1-1. What are action plans for identifying the language use and the difficulties in language education by parents to their children in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1-2. What are action plans for parents of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to educate language to their children? 2. What effects do action plans have for supporting the language education by parents to their children in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3 Cambodian female marriage immigrants, 3 Korean fathers and 4 children from 3 families that participated in 'Project for Supporting Cambodian Multicultural Children's Visit to Cambodian Relatives' and have difficulty in language education to their children in infanc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 2016 to May, 2018 under 3 action processes according to the model by Mills(2005). The 1st action was done with the interviews and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to identify the language use and the language education problems in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2nd and the 3rd actions were done with the planning and the execution of linguistic activities where the families and the researcher participated together. In the entire action processe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Findings of the action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for the action plan for supporting the language education by parents to their children in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 measure for identifying the language use and the difficulties in the language education by parents to their children, it investigated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in three families through the interviews and the observations by family. As the action plan for supporting language education to their children, the linguistic activities reflecting distinct demands of families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Secondly, as for the effects of the action plan for supporting language education by parents to their children in Cambodian multicultural families, there were the differences and the similarities among the families. The effects different from families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difficulties that families were suffering in the 1st action. The effects common in the families were those from the interviews with families in the early step of the research and support by the expert researcher for the language education by parents. The researcher could understand the strengths and the demands of each family and form the bond with families. Besides, through the support by the expert researcher for the language education by parents to their children, they could construct the trust in the exper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others were able to show their instructional abilities through the use of effective teaching aids and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hildren's Cambodian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the need of offering an opportunity of learning languages having less users like Cambodian and of conducting Korean education together with Cambodian for its effective education. Moreover, the researcher implemented a linguistic activity based on the familial demands so could derive the participation by the entire family members including fathers and the changes of mothers who wanted Cambodian education to their children but could not so. In addition, in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find out a potential for supporti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f one is specialized in the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ough one does not have a command of languag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 education, contributing to deriving ro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in supporting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의 목적은 캄보디아 다문화가족의 언어 사용 현황 및 가족별 자녀 언어교육 관련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캄보디아 다문화가족 부모의 자녀 언어교육 지원 방안을 개발해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캄보디아 다문화가족 부모의 자녀 언어교육 지원을 위한 실행방안은 무엇인가? 1-1. 캄보디아 다문화가족의 언어사용 및 자녀 언어교육의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한 실행방안은 무엇인가? 1-2. 캄보디아 다문화가족 부모가 자녀의 언어교육을 지도하게 하기 위한 실행방안은 무엇인가? 2. 캄보디아 다문화가족 부모의 자녀 언어교육 지원을 위한 실행방안의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캄보디아 다문화아동 외가방문 지원사업’에 참여한 가족 중 유아기 자녀의 언어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3가족으로, 캄보디아 결혼이민여성 3명, 한국인 아빠 3명, 자녀 4명이다. 본 연구는 2016년 8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실시했으며, Mills(2005)의 모형에 따라 3차 실행과정을 거쳤다. 1차 실행은 연구 참여 가족의 언어사용 및 자녀 언어교육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한 면담 및 참여관찰로, 2차 실행과 3차 실행은 가족과 연구자가 함께 하는 언어활동의 계획 및 실시로 이루어졌다. 실행의 전 과정에서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본 실행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캄보디아 다문화가족 부모의 자녀 언어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실행방안은 다문화가족의 언어사용 및 자녀 언어교육의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한 실행방안으로 각 가족별 면담 및 관찰을 실시해 세 가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했으며, 자녀의 언어교육을 지도하게 하기 위한 실행방안으로 세 가족의 요구를 반영한 언어활동을 계획 및 실시했고, 가족별로 다르게 나타난 요구를 반영해 각 가족별로 언어활동을 계획 및 실시했다. 둘째, 캄보디아 다문화가족 부모의 자녀 언어교육 지원을 위한 실행방안의 효과는 가족 간 차이점과 가족 간 공통점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가족별로 다르게 나타난 효과는 1차 실행에서 각 가족이 겪고 있었던 어려움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연구 참여가족 간 공통적으로 나타난 효과는 연구 초기 가족들과의 면담 실행에 따른 효과와 전문성을 지닌 연구자가 부모의 자녀 언어교육을 지원한 효과로 나타났다. 연구 초기 가족들과의 면담을 실행함으로써 각 가족의 강점과 요구를 이해하고 가족과 유대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전문성을 지닌 연구자가 부모의 자녀 언어교육을 지원함으로써 유아교육 전문가에 대한 신뢰감을 구축하고 효과적인 교구 사용으로 엄마의 교수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고 자녀의 캄보디아어 학습에 대한 엄마의 책임감을 생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어와 같이 국내 사용자 수가 적은 언어의 학습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을 제시하는 한편, 캄보디아어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을 병행해 지원할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자가 가족의 요구에 기반을 둔 언어활동을 직접 실시함으로써 아빠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 전체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녀에게 캄보디아어 교육을 원했지만 실시할 수 없었던 엄마들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족의 언어를 구사하지 못하더라도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충분히 갖추었다면 유아와 가족들을 지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유아 및 초등 교사들의 다문화이해교육과 부모교육에 활용되고, 다문화가족을 위한 언어교육 지원에 유아교육 전문가의 역할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 사교육현장에서의 역사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 분당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오지영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spite of government's policy to reduce private education, private education is growing steadily. In this regard,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status of private education, but they are mostly related to subjects of English and mathematics, and few papers deals with history subject.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ways to improve effective history lesson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history classes taking place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In order to deter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history lessons that take place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Bundang area, their parent, and private instructors with experience of teaching history class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ents and parents thought private education of history courses wa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grades. Students who have taken private education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effect of the private lessons. Second, most commonly students took private education in comprehensive Hakwons, but parents preferred specialized Hakwons to general Hakwons because they thought the former could offer more professional lessons. They preferred short-term history lessons provided during the exam periods or school breaks. Third, the majority of tutors teaching in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did not majored in history, and they thought insufficient class hours for the contents to teach is the greatest difficulty. Improvements found based on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history-dedicated Hakwons should be vitalized to offer customized history education by the student level, which cannot be provided by public education, through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grams. Second, to reduce economic burdens for private education, part-time history-maj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employed by Hakwons to save labor costs, and tutor-made textbooks should be used rather than commercially published textbooks to save material costs. Third, instructor verific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qualified history tutors by certification through regular verification procedures for non-majors, and by preferential treatment with the majors. 정부의 사교육 경감 정책에도 불구하고 사교육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연구가 많이 나오고 있으나 대부분이 영어, 수학과목과 관련된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고 역사과목과 관련해서는 거의 다루어 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사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수업의 실태를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역사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해 시작되었다. 사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분당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과 이들을 자녀로 둔 학부모, 사교육 현장에서 역사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대부분의 학생과 학부모들은 역사과목도 성적향상을 위해서 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하였고, 교육효과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을 하고 있었다. 둘째, 시험기간이나 방학기간을 이용해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역사수업을 선호하였다. 셋째, 강사들 가운데 비전공자가 더 많았으며, 가르쳐야 할 내용에 비해서 부족한 수업시간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 하였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찾아 볼 수가 있다. 첫째, 역사를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역사전문 학원을 활성화시키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역사를 전공한 대학생을 아르바이트로 고용하거나 강사들이 직접 만든 교재를 활용하여 교재비를 줄여야 한다. 셋째, 비전공자인 경우에는 일정한 검증 절차를 거치고 역사전공자를 우대하여 전문성과 실력을 갖춘 역사전문 강사를 길러야 한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학년 사회 교과서의 ‘가족’ 묘사 분석 : '가족’ 단원과 타 단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오지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사회는 최근 몇 년간 확대가족과 핵가족이라는 통념적인 가족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전형적인 가족 구성 형태라고 생각되었던 부모와 그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은 비중이 크게 감소되고 다문화 가족, 한부모 가족, 재혼가족, 조손가족, 무자녀 부부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가 등장하였다.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가족의 다양성을 강조하고 있다. 교과서에서 가족과 관련된 내용을 어떻게 다루는지에 따라 학생들이 현대사회에서 가족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가족에 대한 넓은 포용력을 갖게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가족’을 다루는 단원뿐만 아니라 그 밖의 교육내용에서도 가족의 다양성을 일관성있게 구현해내야 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가족’ 내용을 서술한 단원뿐만 아니라 그 밖의 교육 내용에서도 내용 서술 방식과 삽화나 사진 등을 통해 가족의 형태나 구성원의 역할에 대한 이미지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사회 교과서 내용 중 가족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가족’ 단원과 그렇지 않은 단원을 설정하여 가족을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해보았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담긴 가족의 다양성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다. 둘째, ‘가족’을 다루는 단원과 타 단원에 제시된 가족 삽화 자료를 가족 구성원의 수에 따라 분류하여 비교한다. 셋째, ‘가족’ 단원과 타 단원에 제시된 가족 삽화에서 가족 구성원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비교한다. 넷째, ‘가족’ 단원과 타 단원에 제시된 가족 삽화 자료에서 가족 내 구성원의 성역할을 가정활동과 경제활동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비교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구성원의 수 측면에서는 ‘가족’ 단원에 비해 타 단원이 4인 가족 비율이 높았다. ‘가족’ 단원과 타 단원 모두 4인 가족이 가장 많았지만 ‘가족’ 단원의 경우 4인 가족의 비율이 35.56%로 다른 구성원이 수 가족과 큰 차이가 없었다. 이에 반해 타 단원에서는 4인 가족이 61.53%를 차지하여 다른 가구원 수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둘째, 가족 구성원의 형태를 살펴보면 타 단원에 나타난 가족은 ‘가족’ 단원에 비해 ‘부모와 두 자녀’ 형태의 가족에 집중되어 있었다. 두 단원 모두 ‘부모와 두 자녀’ 형태가 가장 많았지만 ‘가족’ 단원의 경우 34.09%로 다른 형태의 가족과 큰 차이가 없었다. 이에 반해 타 단원의 경우 60%에 달했다. 또한 타 단원에서 등장하는 가족의 84%는 핵가족이었으며 다문화 가정, 재혼 가정, 입양가정 등 결합요인이 드러나는 가족은 등장하지 않았다. 부부가족, 한부모 가족, 조손가족은 그 수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셋째, 가족에서 성역할 양상을 살펴보면 두 단원 모두 남녀 공동으로 가정활동이나 경제활동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이 많이 등장하여 양성 간 큰 격차는 없었다. 그러나 가정활동에서 여성이 요리를 도맡아 하는 모습이나 경제활동에서 여성이 가계소비를 하는 모습에서 성역할의 고정관념이 드러나는 부분이 어느 정도 드러났다. 본 연구는 ‘가족의 다양성’ 관점에 비추어봤을 때 ‘가족’ 단원과 타 단원 사이의 비일관성이 나타나는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생들이 가족에 대해 고정관념이 생길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학생들은 ‘가족’ 단원뿐만 아니라 타 단원에서도 삽화를 통해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아 가족에 대한 정의를 내면화하므로 보다 다각적인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모든 단원에서 일관성 있게 해당 관점이 다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서 제작 시 고려해야할 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趙之謙(1829-1884)과 19世紀 中國의 海派畵壇

        오지영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세기 중후반에 활동한 趙之謙(1829-1884)의 회화와 19세기 중국 海派畵壇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조지겸은 淸 末期의 학자이자 예술가로, 그의 회화는 傳統主義的인 19세기의 심미관과 변혁의 추구라는 시대적인 요구를 동시에 반영한다. 변화를 모색하는 19세기 화단에는 金石學과 碑學을 기반으로 하는 金石畵風이 구현되었으며, 上海를 중심으로 상업적인 취향의 海上畵派가 화단을 풍미하였다. 조지겸은 그 안에서 해상화파의 시작을 열어 주었으며 근대화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조지겸은 이처럼 중요한 의의를 지닌 인물로, 뛰어난 기량을 가지고 창의적인 작품 활동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회화에 대한 분석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지겸의 學問觀과 藝術思想 및 花卉畵와 人物畵를 보다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대내외적인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19세기 해파화단에서 그 동안 간과되었던 조지겸의 회화사적 위치를 조망하고자 한다. 조지겸은 그의 학문관과 심미관을 바탕으로 회화를 창작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는 금석학과 비학을 바탕으로 전통주의적인 심미관을 가졌으며 書 ·畵 ·印의 밀접한 관계를 인식하였고 '拙'이라는 필묵의 최후의 경지를 추구하였다. 이는 19세기의 공통된 미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考證學과 今文經學에도 관심을 깊이 하여 사물에 대한 남다른 시각과 19세기를 살아가는 지식인으로서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 또한 갖게 되었다. 이러한 심미관과 시각은 조지겸의 회화에 반영되어 그가 독특하고 창의적인 작품을 창작하는 데 밑받침이 되었다. 또한 그는 北京과 抗州, 溫州 등지에서 書畵家들뿐만 아니라 주요한 學者들과 收藏家, 官僚들과 교유하여 文人畵家로서의 성장에 큰 도움을 받았다. 조지겸의 花卉畵는 전통의 화훼화풍과 민간의 화풍을 흡수한 전기의 화풍과 후기의 금석화풍으로 구분된다. 조지겸은 篆刻과 書藝를 연마하여 1863년 35세경 금석화풍으로 전환하였는데 北魏의 중후한 심미요소를 추구한 것이 그 특징이다. 그의 화훼화는 北魏 諧書의 용필을 사용한 필법과 전각의 章法을 이용한 구축적인 구도 외에도 제재에 있어서도 더욱 확대된 면모가 확인된다. 또한 대폭의 장중한 화면형식을 비롯하여 折枝 水墨花卉 형식 또한 창의적으로 발전시켜 화훼화에 있어서 큰 성과를 이루었다. 조지겸의 花卉博古圖는 그의 금석학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 것으로, 그가 본격적인 화훼화 장르로 확립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19세기 전반에 계발된 全拓기법을 이용하고 이에 古玩器物을 끌어들여 화훼화 장르로 발전시켰는데 이러한 화풍은 후대 해상화파의 직업화가들에게도 수용되어 유행하였으며 朝鮮末期 器皿折枝圖의 양식 형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조지겸의 독창적인 花卉·魚蟹圖卷은 사물에 대한 시각관념의 변화를 반영한다. 조지겸은 전통의 고증학적인 체재와 관념을 화훼화의 형식에 결합하였다. 이는 이전까지의 畵譜와 圖譜를 회화적인 측면에서 초월하면서 19세기의 地方植物畵에 고증학적인 사고를 도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지겸은 人物畵에 있어서도 개성적인 특징을 표출하였다. 그의 인물화는 심리 기탁의 매개체로서 비판적인 시각이 가장 잘 반영되어 있다. 당시 수요자의 요구에 의해 그린 鍾馗圖는 사회에 대한 불만과 자조를 담고 있다. 형식상에 있어서는 漫畵的 ·諧虐的인 면모가 나타나 20세기로의 발전양상이 확인된다. 이처럼 조지겸의 회화는 그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의 창의성뿐만 아니라 대내외적으로 후대에 미친 영향에 있어서도 중요성이 매우 크다. 20세기 近現代 화단에서는 전통 속에서 재발견을 부르짖는 움직임이 더욱 거세지면서 19세기의 금석화풍은 더욱 발전하였다. 吳昌碩(18441927)과 任伯年(1840-1896) 등에게 조지겸은 심미관념을 비롯하여 구도와 색채, 필법 등에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영향은 저변화되어 이들이 화풍을 집대성하고 해상화파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조지겸의 영향은 金城(1878-1926), 陳師曾(1876-1923)이 있는 북경화단에까지 미쳐 널리 흡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외적으로 조지겸의 회화는 朝鮮末期 ·韓國 近代期 회화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조선의 기명절지도는 조지겸과 해상화파의 화훼박고도와 양식적 친연성이 강한데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대한 구체적인 양식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지겸은 해파화단에서의 박고도의 유행에 큰 영향을 준 인물로, 그의 拓本 花卉博古圖는 해상화파 화가들을 거쳐 조선 기명절지도의 양식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구도와 경물배치방식, 표현기법의 측면에서 영향을 주었다. 上下 구도와 羅列形 구도는 상해화가의 화훼박고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器皿을 화면 모서리에 배치하여 세로로 절지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주었고, 표현기법에서 탁본을 이용한 것, 필묵미를 강조한 것 역시 해상화파의 영향임을 고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9세기 해파화단 속에서의 조지겸의 역할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조지겸은 당시 화단의 경향대로 세속의 취향에 맞는 상업적인 창작활동을 한 동시에 자신의 지적 호기심과 창작 의욕에 의해서도 작품활동을 하였다. 또한 그의 전통적이면서 동시에 개성적인 측면은 19세기의 복잡한 화단의 양상을 대표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19세기의 미술의 독특한 일면을 조망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discusses paintings of Zhao Zhiqian(1829-1884) and his artistic impact in the nineteenth-century Shanghai art scene. As a scholar artist in the end of the Qing period, Zhao Zhiqian's artistic career and his works of art explicitly reflect the enormous wave of archaeological and epigraphical studies, called Jinshi style(金石畵風, metal-and-stone style) of the nineteenth-century Chinese art. I believe that Zhao Zhiqian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he dazzling artistic and aesthetic innovation in the nineteenth-century Shanghai art scene. In spite of his artistic achievement and creativity, comprehensive and analytical researches on his paintings were not completely conducted in previous scholarships. Therefore, I would like to scrutinize the aesthetics of his works such as flower paintings and figure paintings in a great depth. Also, I will define his artistic status and impact through a close examination of his artistic interactions and influences in and outside the Chinese art scene. Zhao Zhiqian was one of the masters who applied the aesthetic of metal-and-stone style to pictorial languages. His profound interest in the Jinshi(metal and stone) and Stele studies(碑學) inspired Zhao Zhiqian to explore "Zhuo(拙),"one of the aesthetics of the scholar tradition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 close artistic relationship among calligraphy, painting, and seal engraving. His fascination with the Evidential Study(考證學) and the New Text Classic School(今文經學) enabled this nineteenth-century scholar artist to sharpen his concern toward society and to formulate his distinctive point of view about objects. In addition, Zhao Zhiqian was able to pursue the tradition of literati art through dynamic interactions with his contemporary painters, calligraphers, collectors and high-ranking officials in Beijing, Hangzhou, and Wenzhou(溫州). Zhao Zhiqian 's flower paintings may be divided into the early and later styles; the former is strongly influenced by traditional and folk style flower paintings, the latter is overshadowed by the Jinshi style. Zhao Zhiqian who became fascinated with for the Jinshi style, transformed his style to the metal-and-stone style in 1863 at the age of thirty-five. Particularly, he received his inspiration for the seal inscription and calligraphy, in which the characters are rectangular, evenly spaced design done with a stylus from the regular script of Northern Wei steles. Zhao Zhiqian marked several artistic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s. Zhao Zhiqian who derived his calligraphy style from the regular script of the Northern Wei and employed a distinctive seal composition, successfully managed to constitute an constructive composition in his picture plane. In addition, he is a highly significant painter in diversifying subject matters and broadening pictorial expressions in flower paintings. Finally, he initiated the use of an enormous picture plane and explored cut-off technique ink flower paintings in a highly creative manner. Zhao Zhiqian was the one who initiated bogu tu(花卉博古圖) and made it to be one of the independent pictorial genres. Zhao Zhiqian derived bogu from the Jinshi study and applied it to flower painting with ink rubbing technique. Such a style was accepted among later painters active in Shanghai and became popular even among Korean painters of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Zhao Zhiqian's paintings that depict flowers; fish and crab(《異魚圖卷 》,《甌中物産圖卷》), it is necessary to regard the changed point of view toward objects in Zhao Zhiqian's time. Zhao Zhiqian applied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Evidential study in the creating of his flower paintings. Free from relying on painting manuals, Zhao Zhiqian pioneered introduction of the evidential approach of the nineteenth-century botanical study in depicting his subjects. Zhao Zhiqian's figure paintings are as creative as his flower paintings. I believe that his figure paintings served as a medium to deliver his critical point of view and anxiety toward the society at that time. For instance, Zhongkui(鍾馗), a painting commissioned by one of his clients seem to conceive his sarcastic gaze toward society. His style full of sarcastic and satirical point of view seem to have been successfully inherited to twentieth century Chinese modern paintings. As discussed previously, Zhao Zhiqian's works of art are highly influential on later painters in their themes and styles in and out of the Chinese art scene. In fact, the nineteenth-century Jinshi style initiated by Zhao Zhiqian continued to be a substantial part of twentieth-century Chinese modern paintings. In particularly, his artistic impact is apparent in composition, colors and brushwork of the works of two important figures; Wu Changshuo (吳昌碩, 1844-1927) and Ren Bonian(任伯年, 1840-1895). Zhao Zhiqian's style continued to be further sharpened and sophisticated by his later followers. For instance, Zhao Zhiqian's art was adopted in the Beijing art scene by Jin Cheng(金城, 1878-1926) and Chen Shizheng(陳師曾, 1876-1923). More importantly, his paintings introduced to the late nineteenth-century and early twentieth-century Korean art scene became highly influential on Korean painters. In spite of a close artistic association between Zhao Zhiqian's flower and bogu painting and Joseon 's Vessel and Flower Paintings(器皿折枝圖), previous scholarships did not much deal with this issue. I believe that Zhao Zhiqian's flower and bogu painting was particularly influential on the manner of creating composition and arranging objects in Korean vessel and flower paintings. The emphasis on verticality and the way of arranging objects in a row that featured flower and bogu paintings of Shanghai school painters can be also seen in Joseon Vessel and Flower Paintings. To display vessels at the corner of the picture plane and to render them in a cut-off technique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pictorial expressions of paintings of Shanghai school. A pictorial expression get assimilate the ink rubbing technique and the emphasis on the play of brush and ink appreciated by Zhao Zhiqian and his later followers can also be seen in Joseon Vessel and Flower Paintings. This study shed a light on the artistic role of Zhao Zhiqian in the formation of the Shaghai school. Zhao Zhiqian was a great master who successfully managed his style to pursue the commercial feature of the Shanghai art scene and his own artistic passion of the tradition of literati art. Indeed, the traditionality and creativity that feature Zhao Zhiqian's paintings explicitly, reflect the diverse and dynamic nineteenth-century Shanghai art scene as well as reveal the distinctive quality of nineteenth-century Chinese art scene in general.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용 비전시스템의 광학계에 대한 연구

        오지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consists of a study on the optical system design of vision system using a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Among of the vision system, I study a Head Mounted Display(HMD) and Head Up Display(HUD). HMD is the display device that to show user only virtual image (Immersive or See-closed type) or virtual image and real view simultaneously(See-through type). It employs a complicated optical system to magnify microdisplay image and bring a image in front of user’s eye(s). And to show the image with wide field of view and high resolution, it uses a various optical system such as a combiner, freeform prism, holographic optical element(HOE), lightguide optical element(LOE). HUD is the display device that present driving information like current velocity, navigation without requiring users to look away from their usual viewpoints. It also uses the complex optical system to magnify a microdisplay image and present virtual image. This paper describes a how the optical system of HMD and MUD develops and from this research, I design a optical system of HMD using flat combiner and HUD using two mirror and mangin mirror. 본 논문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용 비전시스템의 광학계에 대한 연구로써 Head Mounted Display(HMD)와 Head Up Display(HUD)의 광학계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HMD 광학계와 HUD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HMD는 안경 또는 헬멧처럼 머리에 장착하여 눈앞에 가상 이미지만을 보여주거나 현실 세계 이미지에 가상 이미지를 입혀 동시에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PC 기능을 내장시키거나 영화, 게임 등과 같은 콘텐츠를 HMD을 통하여 봄으로써 사용자는 시공간을 넘어서는 직관적이고 실감나는 영상을 인지할 수 있으며 실제 영상 크기는 작지만 눈앞에 영상이 바로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대화면의 효과를 낼 수 있어 현재 여러 산업 분야에서 HMD 장치 및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HMD는 Image source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눈앞으로 끌어오기 위하여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 복잡한 광학계를 이용하게 된다. 머리에 장착하여 사람의 눈으로 보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부피와 무게가 제한되어 있으며 두 눈에 의한 시차 및 장시간 사용시 눈의 피로감을 줄여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이기 때문에 시야각 및 해상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부피, 시야각, 해상도, 양안시차와 같은 제한요소를 극복하기 위하여 HMD의 광학계는 Holographic optical element, Lightguide optical element, Free-form prism 등을 이용하여 설계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HMD 광학계의 특징들에 대하여 분석하여 서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HMD 광학계를 설계하여 분석하였다. HUD는 항공기 또는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주행 중에 실제 도로 상황과 현재 속도, 길안내 등 운전에 필요한 부가적인 정보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운전자의 전면에 Virtual image를 띄워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전에는 항공기용으로만 많이 적용이 되어 사용되어 왔지만 운전자가 정보를 신속하게 보고 판단할 수 있어 안전성이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어 근래에는 차량용으로 많이 개발이 되고 있다. Panel에서 나온 이미지를 확대시켜 운전자의 전면에 띄워주기 위하여 거울이나 렌즈, 홀로그램 등을 이용한 광학계가 사용되고 있으며 HMD와는 다르게 운전자가 머리를 움직임에 따라 눈의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광학계 설계를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HUD 광학계를 이루는 요소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여 서술하였으며 차량용 HUD를 설계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 및 분석 내용이 담겨있다.

      • 삼차신경통의 진단과 치료

        오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의 하나 이상의 분지로 제한되며, 무해한 자극에 의해서 유발되는 재발성의 발작성 통증으로 정의된다. 통증의 발생 및 종료가 갑작스러우며 짧고 전기 충격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 원인과 특징에 따라 크게 고전적 삼차신경통(Classical trigeminal neuralgia), 증후성 삼차신경통(Secondary trigeminal neuralgia), 특발성 삼차신경통(Idiopathic trigeminal neuralgia) 로 나눌 수 있다. 임상적 특징은 50~60대 이상의 여성에게서 호발하며, 편측성의 극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환자에 따라 통증을 전기 충격을 받는 거 같거나, 예리하거나, 찌르거나, 불타는 듯 하다고 묘사하며 통증은 수초에서 최대 2분까지 지속된다. 특징적인 발통대(trigger zone)과 불응기(refractory period)가 존재하며 진단은 이러한 임상적 특징과 병력을 바탕으로 하게 된다. 자기공명영상(MRI)와 같은 영상검사 등이 보조검사로 사용될 수 있다. 치료방법은 크게 약물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나뉜다. 카바마제핀에 의한 약물치료가 1차요법으로 권장되며, 그 외에도 옥스카바제핀, 바클로펜, 가바펜틴 등이 약물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약물치료에 의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외과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다. 외과적 치료로는 여러 방법들이 존재하나 대표적으로 미세혈관 감압술(Microvascular decompression), 경피적 고주파 열응고술(Percutaneous Radiofrequency Rhizotomy), 글리세롤 주입술(Glycerol gangliolysis), 경피적 풍선 압박술(Percutaneous Balloon Compression), 감마 나이프 수술(Gamma knife surgery) 등이 있다. 외과적 치료는 대체적으로 비슷한 성공률을 보이며 환자의 전신 상태나 삼차신경통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합병증이 존재한다. Trigeminal neuralgia(TN) is defined as a recurrent, paroxysmal pain triggered by innocuous sensory stimuli, and limited to one or multiple trigeminal divisions. It is characterized by brief, electric-shock like pain which is abrupt in its onset and termination. Depending on the cause and characteristics, it can be classified as classic trigeminal neuralgia, secondary trigeminal neuralgia, and idiopathic trigeminal neuralgia. Trigeminal neuralgia occurs predominantly among female patients, over 50 years old. Patients describe their symptoms as unilateral, repetitive electric shock-like or stabbing, burning pain or sensation lasting from several seconds to 2 minutes. The diagnosis of trigeminal neuralgia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rigger zone and refractory period, and is primarily based on a clinical history of pain attacks that fit accepted diagnostic criterias. The diagnosis is supplemented by physical exam findings and radiographic imaging tests such as MRI or CT. Drug therapy with carbamazepine is recommended as a first line therapy, and other drugs may also be prescribed, such as oxcabazepine, baclofen, gabapentin, and so on. Recommended treatment of trigeminal neuralgia for most patients is pharmacological therapy, while surgical approach is reserved for patients that are refractory to nonsurgical therapy. Surgical treatments include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microvascular decompression, percutaneous radiofrequency Rhizotomy, glycerol gangliolysis, percutaneous balloon compression, and gamma knife surgery. Surgical treatments generally have similar success rates but complica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or on the type of trigeminal neuralgia patients have.

      • 스트레스 측정에 의한 치유환경요소로서의 환경색채 연구

        오지영 仁濟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치유, 힐링, 치유환경 등과 같은 용어들이 처음 등장한 200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우리 주변에서 자주 접할 수 있으며, 이는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증가의 원인은 우리 사회가 그만큼 치유를 필요로 하는 사회임을 방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전 세계 239개국 중 12위로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반면, 국가별 행복지수는 57위로 낮은 행복지수를 나타내고 있다(UN, 2015). 이 뿐만 아니라,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25.6명(통계청, 2016)으로 OECD 국가 중 최고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노인빈곤율은 49.6%로 OECD국가 평균인 12.6%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통계청, 2017) 우리사회가 치유를 필요로 함을 알 수 있다. 다수의 환경심리학자들은 다양한 사회적 병폐를 안고 있는 현대사회에 보편적으로 필요한 환경이 치유환경이라고 언급하며, 이를 위하여 육체적, 심리적 안정상태로의 회복을 돕는 물리적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Ulrich, 1991). 치유환경을 구성하는 공간적 요소 중에서 환경색채는 가장 큰 시각강도를 가지며(Correy, 1983), 인간의 생리, 심리, 행동적 반응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이에 대한 중요성이 다수의 연구(Malkin(1992), Monz(2002), 최광석(2002), 박진규(2011) 등)에서 언급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색채와 관련된 색채치료, 색채심리, 색채학, 환경색채 분야의 이론을 고찰하여 치유환경요소로서의 환경색채의 기능 및 영향에 대하여 정리하고 이를 근거로 치유환경요소의 환경색채 조건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정량적 스트레스 분석이 가능한 심박변이도(HRV) 연구방법론을 도입하여 환경색채에서 스트레스를 측정하여 치유환경요소로서의 환경색채 조건을 파악하고 치유환경 연구에 대한 객관적 연구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이론연구와 실험연구로 구성된다. 이론연구에서는 치유적 기능을 갖는 환경색채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연구결과 정리 및 체계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실험연구의 내용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실험연구는 <예비실험>, <본 실험 1>, <본 실험 2>로 구성된다. 예비실험은 정신의학, 심리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심박변이도(HRV)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측정 방법을 환경색채 분야에 적용 가능하도록 연구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본 실험을 위한 보완점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예비실험은 피험자 20명(남자 10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실험자극물은 NCS색체계 기반으로 R, G계열의 pale, bright, vivid 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피험자가 실험자극물에 노출되는 동안 심박변이도(HRV) 측정을 통하여 주파수영역 분석방법으로 도출되는 지표 3가지(LF, HF, LF/HF)와 시간영역 분석방법으로 도출되는 지표 3가지(BPM, SDNN, RMSSD)를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이론연구 결과를 근거로 <본 실험 1>과 <본 실험 2>로 구성하였으며, <본 실험 1>은 치유에 부정적 환경색채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실험이며, <본 실험 2>는 치유에 긍정적 환경색채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실험이다. <본 실험 1>은 이론연구에서 스트레스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색상계열(R, Y)을 도출하고,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 측색데이터를 기반으로 명도, 채도범위를 선정하여 총 6가지 실험자극물을 도출하였다. 피험자 28명(남자 15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환경색채에서 심박변이도(HRV)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측정을 하였다. <본 실험 2>는 이론연구에서 스트레스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색상계열(G, B)을 도출하고,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 측색데이터를 기반으로 명도, 채도범위를 선정하여 총 6가지 실험자극물을 도출하였다. 피험자 24명(남자 9명, 여자 15명)이 참여하였고, 환경색채에서 심박변이도(HRV)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유환경의 개념을 고찰한 결과, 치유환경은 회복을 돕는 물리적 환경이며, 치유환경요소 중 환경색채는 물리적 환경에 포함되며, 심미성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시각적인 부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관련 선행연구를 통하여 그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색치료, 색채심리, 색채학, 환경색채와 관련된 이론을 종합한 결과, 빨강, 주황, 노랑의 난색계열의 색채가 근육반응, 전기피부반응, 심박수 증가 등 스트레스 생리반응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 뿐만 아니라, 분노상태 증가, 불안정서 자극 등 심리적 부분에도 스트레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초록, 파랑 등의 한색계열 색채는 근육반응 지연, 심박수 감소, 알파파 활성화 등 스트레스 이완과 관련된 생리반응과 관련이 있으며, 분노상태를 감소시키고 휴식 및 평안의 정서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본 실험의 가설설정 및 실험자극물 제작 근거로 활용하였다. 셋째, 스트레스 회복이론을 고찰한 결과, 회복환경은 시각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물리적 환경구성이 치유환경구성과 관련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심리학, 정신의학 분야에서 심박변이도(HRV)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환경색채에서의 스트레스 반응 측정이 가능함을 파악하였고, 이를 통하여 치유환경요소로서의 환경색채에 대한 객관적 연구방법론을 제안 가능함을 파악하였다. 넷째, 예비실험을 통하여 실험결과의 일부가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되는 점이 나타나고 실험자극물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연구방법론의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험 프로세스에서 보완점이 도출되어 이를 본 실험 설계에 반영하였고, 6가지 분석지표의 해석이 상충되어 지표를 종합하여 나타내는‘스트레스 지수(Stress Index)’를 중심으로 본 실험 결과를 분석해야 함을 파악하였다. 다섯째, <본 실험 1>에서 Y보다 R색채에서 스트레스 지수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가설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원색의 실험자극물이 아닌 환경색채 범위의 실험자극물로 실험한 결과인 것으로 사료되며, 환경색채 범위의 R색채는 오히려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R, Y계열의 중명도/고채도 범위에서 스트레스 지수가 공통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치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며, R계열은 고명도/고채도에서 Y계열은 고명도/저채도에서 스트레스 지수가 저하되어 고명도 범위의 색채가 치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여섯째, <본 실험 2>결과를 분석한 결과, G색상은 중명도/고채도, B색상은 중명도/중채도 범위에서 스트레스 지수가 증가하였고 공통적으로 중명도 범위 색채가 치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G색상은 중명도/저채도, B색상은 고명도/저채도에서 스트레스 지수가 저하됨으로서 저채도 범위에서 치유에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는 생리학적 관점의 새로운 시각으로 치유환경요소로서의 환경색채 연구를 수행하고 새로운 연구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향후 연구를 통하여 피험자 구성을 보완하고 지속적으로 연구 프로세스에 대한 교차검증을 수행함으로서 방법론의 효용성과 객관성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페퍼민트 오일의 모발 성장 및 항비듬 효과

        오지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생후 6주령 된 웅성 C57BL/6 마우스의 배부에 페퍼민트 오일(3%)을 1일 1회, 주 6회, 매 회 100㎕씩 4주 동안 경피 도포하였다. 실험동물을 정상군(saline), 용매대조군(jojoba oil), 양성대조군(minoxidil 3%), 실험군(pepper- mint oil 3%)으로 나누어 모발성장 촉진효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체중과 음수량 및 식이량은 매주 1회 측정하였고 육안적 모발성장 효과는 매주 1회 관찰하였다. 1, 2, 4주차에 3, 3, 5마리씩 처치하여 채취한 혈액으로 혈구분석을 하였고, 적출한 피부조직으로 조직학적 관찰과 alkaline phosphatase(ALP)와 γ-glutamyl transpeptidase(γ-GT) 효소활성도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 발현량과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한 SCF 반응양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균력 평가를 위해 Halo test와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test를 실시하였다. 육안적 관찰에서 실험군이 양성대조군보다 육안적으로 모발성장 촉진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실험군과 양성대조군 모두에서 다른 군에 비해 진피 두께, 모낭 수, 모낭 길이의 뚜렷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비만세포 수의 관찰에서 비만세포는 실험군과 양성대조군에서 모발의 성장과 함께 수가 감소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생화학적 효소 활성도 측정에서 실험군과 양성대조군은 정상군과 용매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ALP, γ-GT 활성을 나타내었다. 분자생물학적 발현량 관찰에서 IGF-1의 발현량은 실험군과 양성대조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발현되었다. 또한 SCF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관찰에서 실험군과 양성대조군은 bulge와 피지선에서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낸 반면 정상군과 용매대조군에서는 모유두, 피지선과 표피 기저층에서 중등도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비듬균에 대한 Halo test와 MIC test에서 실험군은 다른 군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안전성 확인을 위해 측정한 음수량, 식이량 및 체중에 있어서 양성대조군은 다른 군에 비해 전체적으로 조금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장기무게 비교에서 양성대조군의 비장의 절대 무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상대무게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액학적 분석에 있어서 혈소판은 양성대조군, 실험군, 용매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양성대조군은 호중구와 단핵구에 있어서 용매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백혈구, 림프구, 호산구, 호염구, 적혈구와 혈색소에 있어서 각 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C57BL/6 마우스에 3% 페퍼민트 오일을 4주간 배부에 도포하여 기존의 FDA 승인 경피 도포용 모발성장 촉진제인 3% 미녹시딜과 비교한 결과 육안적으로 뛰어난 모발성장을 관찰하였고, 비슷한 모낭 수와 모낭 길이 성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모낭 성장기 발현의 지표인 ALP, γ-GT의 활성과 IGF-1 발현량에서 비슷하게 높은 수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탈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비듬균에 대한 항균 평가에서 월등히 뛰어난 효과를 나타냈으며 안전성에 있어서도 보다 나은 결과를 보였기에 페퍼민트 오일은 모발성장 촉진 및 탈모예방제로 실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Peppermint is generally regarded as an excellent carminative and gastric stimulant, and is still widely employed in flatulence, nausea, and gastralgia. It is the menthol in peppermint that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is herb's beneficial effects. In vitro, peppermint has significant antimicrobial and antiviral activities, strong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ons, and some antiallergenic potential. Animal model studies demonstrate a relaxation effect on gastrointestinal tissue, analgesic and anesthetic effects in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immunomodulating actions and chemopreventive potential. Several clinical trials examining the effects of peppermint oil(PEO) on irritable bowel syndrome have been reported. However, experimental trials of PEO in hair growth are abs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O on hair growth in a shaving animal model of C57BL/6 mice. Five weeks old male mice were acclimated for one week under 22±1℃ room temperature, 50±5% relative humidity and 12 hours of a light/dark cycle before beginning experiment.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including normal group (saline), vehicle control group (JO), positive control group (3% MXD), and experimental group (3% PEO) and they were topically applied with an amount of 100 ㎕ once a day, 6 days a week, for 4 weeks. Hair regrowth was evaluated by photographical, histological observations, the activities of enzyme including ALP, γ-GT, the expression of IGF-1 and immunolocalization of SCF antigens in the skin of mice. Also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EO against P. ovale were measured by using the Halo and MIC test. Topical treatment of PEO for 4 weeks to dorsal skin accelerated hair regrowth faster than the other groups, as evaluated in photographical observation. E and PC groups promoted development and elongation of hair follicles in comparison with N or VC group. E and PC groups decreased the number of mast cells in the skin of mice. ALP and γ-G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C and E groups in comparison with N group. IGF-1 expression in the skin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PC and E groups in comparison with N group. Immunolocalization of SCF antigens was observed heavy stained density in bulge and sebaceous gland in E, PC group and mild stained density in dermal papilla, sebaceous gland and epidermis in N, VC group. In Halo and MIC test, the inhibition zone against P. ovale of E group was 34.0 mm, and MIC of PEO was 0.046%, therefore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EO were much more stronger than the other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and water intake and body weight among groups. Absolute weight of spleen was significantly heavy in PC group in comparison with N group, whereas relative weight of splee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values of platelets, and that of PC group was the lowest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3% PEO effectively stimulated hair growth in an animal model via several mechanisms and that it can be used practically for hair growth or prevention of hair loss in human beings.

      •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오지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중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내 중학교 3개교에서 2학년 남, 여 학생 201명(남 90명, 여 111명)을 대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3차에 걸친 반복측정을 실시하고, 측정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반복측정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흐름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의 점수 변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지만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적 유능성 점수 변화에는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적 유능성의 점수는 점차 증가하였고, 여학생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 점수의 변화에는 일정한 방향성이 없었다. 둘째, 또래애착 수준은 사회적 유능성의 변화에 영향(F(2,198)=32.47, p<.001)을 주었으며 또래애착 수준이 높은 학생은 다른 학생들보다 가장 높은 사회적 유능성의 점수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적 유능성 점수의 증가를 보였고, 또래애착 수준이 낮은 학생은 다른 학생들보다 가장 낮은 사회적 유능성의 점수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의 점수도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성별과 또래애착 수준, 사회적 유능성 점수 변화에 대한 삼원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4,390)=2.75, p<.05)가 있었다. 셋째,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은 학생의 사회적 유능성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F(3,196)=4.81, p<.01). 담임교사가 수용촉구형 의사소통 유형을 지녔을 때 학생은 가장 높은 사회적 유능성을 보고하였고, 비수용명령형 의사소통 유형을 지녔을 때 학생은 가장 낮은 사회적 유능성을 보고하였다. 또한 성별과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사회적 유능성의 삼원상호작용도 유의한 경향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또래와의 안정적인 애착이 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을 형성하고 발달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며, 또래애착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못한 이 시기의 학생들에게는 적절한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은 수용촉구형일 때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이 향상될 수 있고, 성별에 따라 의사소통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peer attachment and homeroom teacher's communication type on social compet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targeting 201 students (90 boys, 111 girls) at 2nd grade of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Jeollabukdo, the repeate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three time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with the measurement data, we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 of variance by using a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a difference by gender. For boys, the social competence increas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but for girls, there was no constant directional property in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Second, peer attachment affected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F(2,198)=32.47, p<.001). For high attachment group among peer attachment types, it showed the highest social competence and the increase in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while for low attachment group, it showed the lowest social competence and the unchanged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In addition, the three-way interaction for gender, peer attachment level and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4,390)=2.75, p<.05). Third, the communication types of homeroom teacher affected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of students (F(3,196)=4.81, p<.01). When homeroom teacher has acceptance-urging communication typ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ocial competence while when homeroom teacher has nonacceptance-order communication type, students showed the lowest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hree-way interaction for gender, communication type of homeroom teacher and social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tendency. In conclusion, the stable attachment with pe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and developing the social competence of students and it was found that for the students whose peer attachment was not formed stably in this period, the proper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eded. In addition, when homeroom teach has acceptance-urging communication type, the social competence of students can be improved, and thus,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gender and apply this to education field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