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전두엽 뉴로피드백 훈련이 중학생의 공격성과 도덕성 및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
오지영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prefrontal neurofeedback training on the decrease of aggression and the increase of moralit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ving in southern part of U metropolitan area to determine their difference of Brain Function Quotient, the ability of Moral Judgment and Aggression. It was separated by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of 29 students, a total of 58 students who were tested by Brain Function and two scales for Moral Judgment (DIT: Defining Issue Test) and Aggression (BDHI: Buss Kurkee Hostility Inventory) before and after neurofeedback training. An Experimental group was taken neurofeedback training from June to October 2013 total 30 times, twice a week, in 40 minute sessions. The neuro frequency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the methods of linear and power spectral analyses that utilize FFT (Fast Fourier Transform). The data were then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21.0. The results of change from the neurofeedback training for each group were analyzed through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urofeedback training had an effect on the Brain Function. Especially 5 Quotients of Brain Function, 4 Quotients (Attention Quotient, Attention percentage, Emotion Quotient, Brain Quotient)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This suggests the decrease of slow-wave which reduces the power of Attention and increase of Emotional steadiness through the increase of alpha wave in right brain. Secondly, neurofeedback training had an effect on the decrease aggression and morality. After neurofeedback training, the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 to control group. Concerned to morality, the ability of moral judgment of experiment group was increase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mean that by being decreased the percentage of theta wave in Attention Quotient and Attention Percentage, the attitudes of life was improved and ability of moral judgment was increased by recognizing objectively the moral situations through the increase Attention. The increase of Emotion Quotient mad emotion more stable by controlling immanent anger through the alpha wave training and by relieving anxiety which effects the ability of moral judg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rrelation of Brain Function and ability of moral judgment and Agg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means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Brain Function through neurofeedback training, to increase the ability of Moral Judgment and to decrease the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전전두엽 뉴로피드백 훈련이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와 도덕성 증가 및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U 광역시 남부지역에 살고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뇌기능 지수의 차이와 공격성 및 도덕판단력을 파악하였다. 58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29명씩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뉴로피드백 훈련 전과 후에 뇌기능과 공격성 및 도덕판단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2013년 6월부터 10월까지 주2회, 1회 40분씩 전체 30회 뉴로피드백 훈련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뇌파데이터는 선형분석법을 사용하여 고속 푸리에 변화(PPT: Past Fourier Transform)을 통한 주파수 계열(Frequency Series) 파워스펙스럼 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SPSS V.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뉴로피드백 훈련 전과 훈련 후의 집단 간 변화차이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뉴로피드백 훈련은 뇌기능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뇌기능의 다섯 지수 중에서 네 가지 지수(주의지수, 주의비율, 정서지수, 뇌지수)가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력을 감소시키는 서파의 감소를 나타내며, 우뇌의 알파(α)파의 증가로 인한 정서적 안정이 증가되었음을 나타낸다. 둘째, 뉴로피드백 훈련은 공격성과 도덕성에 영향을 미쳤다. 뉴로피드백 훈련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신체적 공격성과 분노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도덕성과 관련하여, 실험군의 도덕판단력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주의지수와 주의비율에서의 세타(θ)파의 비율이 감소됨으로써 삶의 태도가 향상되었고, 도덕판단력은 주의 증가를 통해 도덕적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증가되었음을 나타낸다. 정서지수는 알파(α)파 훈련을 통하여 내재된 분노를 조절함으로써 그리고 도덕판단력에 영향을 주는 불안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서를 보다 안정되게 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중요한 도덕판단력과 공격성을 뇌기능과 연관시켜 그것의 상관관계를 증명하고자 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도덕판단력을 향상시키고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뉴로피드백 훈련을 통한 뇌기능을 발달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오지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중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내 중학교 3개교에서 2학년 남, 여 학생 201명(남 90명, 여 111명)을 대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3차에 걸친 반복측정을 실시하고, 측정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반복측정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흐름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의 점수 변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지만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적 유능성 점수 변화에는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적 유능성의 점수는 점차 증가하였고, 여학생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 점수의 변화에는 일정한 방향성이 없었다. 둘째, 또래애착 수준은 사회적 유능성의 변화에 영향(F(2,198)=32.47, p<.001)을 주었으며 또래애착 수준이 높은 학생은 다른 학생들보다 가장 높은 사회적 유능성의 점수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적 유능성 점수의 증가를 보였고, 또래애착 수준이 낮은 학생은 다른 학생들보다 가장 낮은 사회적 유능성의 점수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의 점수도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성별과 또래애착 수준, 사회적 유능성 점수 변화에 대한 삼원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4,390)=2.75, p<.05)가 있었다. 셋째,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은 학생의 사회적 유능성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F(3,196)=4.81, p<.01). 담임교사가 수용촉구형 의사소통 유형을 지녔을 때 학생은 가장 높은 사회적 유능성을 보고하였고, 비수용명령형 의사소통 유형을 지녔을 때 학생은 가장 낮은 사회적 유능성을 보고하였다. 또한 성별과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사회적 유능성의 삼원상호작용도 유의한 경향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또래와의 안정적인 애착이 학생의 사회적 유능성을 형성하고 발달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며, 또래애착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못한 이 시기의 학생들에게는 적절한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은 수용촉구형일 때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이 향상될 수 있고, 성별에 따라 의사소통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peer attachment and homeroom teacher's communication type on social compet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targeting 201 students (90 boys, 111 girls) at 2nd grade of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Jeollabukdo, the repeate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three time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with the measurement data, we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 of variance by using a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a difference by gender. For boys, the social competence increas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but for girls, there was no constant directional property in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Second, peer attachment affected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F(2,198)=32.47, p<.001). For high attachment group among peer attachment types, it showed the highest social competence and the increase in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while for low attachment group, it showed the lowest social competence and the unchanged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In addition, the three-way interaction for gender, peer attachment level and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4,390)=2.75, p<.05). Third, the communication types of homeroom teacher affected the change of social competence of students (F(3,196)=4.81, p<.01). When homeroom teacher has acceptance-urging communication typ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ocial competence while when homeroom teacher has nonacceptance-order communication type, students showed the lowest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hree-way interaction for gender, communication type of homeroom teacher and social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tendency. In conclusion, the stable attachment with peers is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and developing the social competence of students and it was found that for the students whose peer attachment was not formed stably in this period, the proper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eded. In addition, when homeroom teach has acceptance-urging communication type, the social competence of students can be improved, and thus,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gender and apply this to education field actively.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 :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의 매개효과
오지영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attentional impulsiveness, non-planning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NS procrastination motives on these association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0 college students(196 female and 54 male)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SNS Procrastination Motives Scale. First, SNS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entional impulsiveness and non-planning impulsiveness. Second,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ct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and pass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ttentional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Third,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ct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and passive SNS procrastination motive complete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non-planning impulsiveness and SNS addiction. The study suggested that SNS addiction treatment aimed at individuals high in attentional impulsiveness and non-planning impulsiveness should be tailored to individuals' SNS procrastination motives. Key words: attentional impulsiveness, non-planning impulsiveness, SNS addiction, SNS procrastination motives 본 연구는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0명(여성 196명, 남성 54명)에게 Barratt 충동성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충동성과 계획부족 충동성은 SNS 과의존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인지적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에서 능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와 수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부분 매개한다. 셋째, 계획부족 충동성과 SNS 과의존과의 관계를 수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와 능동적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가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 과의존의 치료 개입 전략에 대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담기관이나 심리치료 기관에서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 수준이 높은 내담자의 SNS 과의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내담자가 지닌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개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주요어: 인지적 충동성, 계획부족 충동성, 과제 미루기성 SNS 사용동기, SNS 과의존
정간보를 활용한 국악 가창 지도 방법 연구 : 11학년을 중심으로
오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정간보는 시가와 음높이를 모두 표시할 수 있는 기보법이며, 우리의 문화유산이지만 오선보에 비해 그 가치와 중요성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또한 현재 정간보와 관련된 연구도 가곡이나 기악곡을 위해 보조적으로 다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심도 있는 음악 학습이 가능한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국악 가창 지도에 대한 뚜렷한 연구가 없는 상황이므로, 본 연구는 정간보 자체에 초점을 맞춰 그 활용 가능성을 짚어보고, 이를 활용한 가창 지도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고는 먼저 11학년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정간보가 실제 학생들의 관심에 비해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가악은 쉽지 않은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기초과정 없이 제재곡만 제시되어 학습하기에 불충분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기초 학습 내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지도안은 대표적인 음악교육학자인 고든의 학습이론과 통합적 음악학습이론을 배경으로 위계?패턴학습, 신체표현과 이해학습의 통합적 음악학습 및 모델링을 통한 모방학습을 주 내용으로 하며, 인지주의와 행동주의의 절충을 통해 이론적 이해와 학습의 효과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부교재를 활용하여 들은 음악을 선으로 나타내기, 소리내며 활동하기, 율명?구음?시김새 및 정간보 읽기 연습을 통해 평시조 ‘동창이’를 구음으로 연습한 후, 시김새를 넣어 가사로 가창하는 학습으로 구성하였다. 패턴연습으로 학습효과를 높이며, 정간보 읽는 훈련을 통해 혼자서도 노래할 수 있도록 하여 가악에 수월하게 접근하도록 하였으며 시김새를 듣고 모델링하는 과정을 통해 듣기 및 표현 능력도 기를 수 있다. 지도안을 수업에 적용해보고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 많은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임하였으며, 대부분의 설문 결과도 긍정적이었다. 학생들이 장점으로 답한 내용에는 대중음악과 전통 선율이 어우러진 음악을 통한 접근으로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낸 점 등을 꼽았으며, 학습 후 우리 것의 소중함을 알고 정간보를 사용하며 보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등의 관심을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 국악교육이 필요하며, 그것은 음악 교육자들의 몫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국악 가창이라도 정간보를 활용하여 우리만의 스타일을 살려 노래할 수 있도록 정간보 활용 방안을 연구하여 수업에 적용하려는 열의를 통해 정간보와 국악은 발전해갈 수 있으며, 국악교육 또한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정간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키우고, 우리만의 음악적 색깔을 살려 가창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적극 활용되어 문화의 세기에 대비하는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 Jeongganbo is a musical notation which can indicate both poem songs and pitches. Although it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of Korea, its value and importance have not much been recognized so far, compared with Osunbo.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es about Jeongganbo have examined it secondarily for songs or instrumental pieces, while few preced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methods of teaching the traditional music singing for higher graders who can learn about music in-depth.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focused on Jeongganbo to examine its uses and review the ways to teach singing by using it.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music textbooks for 11th graders only to confirm that Jeongganbo did satisfy students' interest in the traditional music. In addition, despite the traditional songs and music contained in the textbooks are not easy to learn, only the subject pieces are presented with no basic course for learning. Hence, the researcher felt necessary for some basic learning course and thereby, examined the ways to teach our traditional music to our students. The teaching guide suggested by this study consists of hierarchical pattern learning, physical expressions and comprehension learning integrated and modelling-centered imitating learning, all based on Gorden's learning theory and integrated music learning theory, while compromising between cognitism and behaviorism to tangibly confirm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effects.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signed an auxiliary teaching material personally and used it to encourage students to express in lines what they had listened to, engage in singing activities, practice the pyongsijo 'Dongchangi' verbally through reading of yulm-yong, gu-um, sigimsae and Jeongganbo and then, sing the music with sigimsae. The pattern practice served to improve learning effects, and the practice of reading Jeongganbo was helpful to students to sing the music alone, hav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ongs and music. Moreover, students could enhance their listening and expressing ability through modelling after listening to sigimsa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teach guide to the music classrooms and assessing students' responses to it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it was found that many students had participated in the music classroom actively, while responding to the guide positively. Many students pointed out that the guide aroused their interest in music because it combined popular music and traditional melodies, and some students even sugges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find the ways to keep our valuable traditional music heritage by using and preserving Jeongganbo.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our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uld be redesigned to encourage students to invest more time and efforts in learning it and that our music educators should be responsible for such educational reform. When Jeongganbo should be even used only for traditional music singing to enliven our own singing style, while it should be applied by music teachers to their music classrooms, Jeongganbo and our traditional music would develop and our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ould be on a correct track.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for some basic data conducive to enhancement of students' ability to use Jeongganbo and sing the songs with our own musical tones and thereby, facilitation of preparation for the century of culture
독립 PD의 노동경험과 직업 정체성에 대한 탐구 : 교양 프로그램 독립 PD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오지영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4 국내석사
이 연구는 외주 제작 프로그램을 생산하는 ‘독립 PD’ 직군에 대한 탐구이다. 독립 PD는 외주 정책의 도입이후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방송 산업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학문적, 사회적 관심은 드물게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독립 PD들이 어떠한 노동경험을 하고 있고,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또 이를 통해 직업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을 심도 있게 탐구하였다. 그 과정에서 독립 PD의 노동과 삶을 입체적으로 그리고 구체화함으로써 독립 PD 직군을 새로이 조명할 뿐만 아니라, 방송노동의 현실을 드러내고 구조적 문제들을 함께 고찰하는 계기를 만들고자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양물을 제작하는 독립 PD 20명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미시적 관점에서의 생산자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객관적 노동의 현실과 주관적 인식을 함께 살펴보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직업 정체성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연구의 분석틀로 삼아 네 가지 주제로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주제에서는 노동조건의 변화에 따른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2000년 전후를 기점으로 진행된 유연화의 흐름에 따라 직장 없는 직업 활동을 지속하고, 도제관계의 붕괴와 더불어 인간관계를 약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이들에게 정규직과 프리랜서 등의 고용형태가 갖는 의미가 사라지면서, 이들은 오히려 프리랜서 노동을 자발적으로 선택하고 이를 생존의 전략이라고 인식하며, 이를 통해 심리적 만족감을 얻고 있었다. 그 결과 이들이 변화된 경제체제를 받아들이고 이를 내면화함으로써 독립된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주제에서는 직업 가치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이들이 경제적 보상이 충족되지 않는 상황 속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내재적 가치로 직업 가치를 이동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을 기점으로 수입이 하락하면서 충분한 경제적 보상이 더욱 어려워지는 상황 속에서 이를 개선할 방편으로 대안적 경로들을 모색하면서, 경제적 보상과 내재적 가치간의 직업 가치를 조율하고 있었다. 또한 그 조율의 과정에서 직업 유지의 갈등을 겪기도 하며,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결국 고숙련이 될수록 경제적 보상의 제가 심화되며, 구조적 문제의 책임이 개인의 가치추구에 따른 생존능력에 전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주제에서는 중요한 타자의 인정이 갖는 의미와 가치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가족, 프로그램의 출연자, 시청자의 반응 등의 중요한 타자의 평가와 인정을 통해 자신의 직업 정체성을 강화하는 계기들을 마련하고 있었으며, 시청자 반응의 통계적 지표로 나타나는 시청률에 대해서는 오히려 그것이 느슨한 고용관계를 빌미로 이들의 생존문제를 좌우한다는 점에서 이를 부정적 지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결국 연구 참여자들에게 타자의 인정은 제작주체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지점에서 보다 의미 있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주제에서는 노동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경험과 이에 대한 인식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기획의 경험 혹은 프로그램 내적으로 창의성을 투여함으로써 자신을 창작의 주체로 인식하지만, 계속해서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되는 갈등을 마주함에 따라 창작의 주체뿐만 아니라 제작의 주체로서의 정체성까지 약화되는 경험을 지속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이들이 스스로를 소외된 노동을 지속하는 부품으로 인식하게 되고, 결국 이것이 제작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차단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질적 성장을 방해하는 모순적인 결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자신의 노동을 둘러싼 구조적, 개인적 문제들에 대응하고 생존해나가는 전략을 취함으로써 ‘자력-의존적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을 진정한 ‘제작의 주체’로서 인식하고 직업 정체성을 강화해나가려는 노력을 지속하면서 정체성의 변이를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변이가 독립 PD의 주체성뿐만 아니라 제작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상실하게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갈등의 경험을 통해 이를 전복시킬 저항에 대한 의식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결국 주체성의 회복은 주체의 자각과 높은 수준의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집단적 연대의식을 통해 능동적인 저항의 주체로 거듭날 때 가능해짐을 주장하였다. 이 연구는 독립 PD의 노동 경험을 세밀하고 입체적으로 그려냄으로써 이들의 삶과 노동을 구체적으로 조명할 뿐만 아니라, 그동안 미디어 노동을 둘러싼 담론들과 문화 산업 노동자에 관한 논의들에서 나타나는 경향, 특히 이들을 창조적 노동자, 유연한 경제체제에 부합하는 주체로 귀결시키는 논의에서 벗어나려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착취적 노동 과정에만 천착하는 논의가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있어 가지는 실효성에 대해서도 반문해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직업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독립 PD의 노동 경험을 미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독립 PD가 제작의 주체, 창작의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주체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방송환경으로 나아갈 수 있는 논의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오지영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ultimate attitude for people to live in their life?” The answer origins Sartre’s existence. Sartre’s existence will have appeared through a lot of changes. The existence is not only an activity but also a totality of force. The Ultimate Attitude appeares from a lot of changes. An Existence that is a experienced is altered from the another days before. Because some activities make them should seek different knowledge and order. But, these experiences are close to pain rather than positive things. Although it depends on a situation but a learning for development is not comfortable. Therefore, To explain the purpose of the thesis we have to refer Lacan’s theory. Everyone has an individual paradigm. According to Lacan, if people want to find the time for themselves, they will be destroyed their paradigm. It has a history of its own. However, our paradigm sometimes doesn’t give a correct answer. For history to be born, some cases need someone’s sacrifice. And It proves people to need to overset their paradigm . According to Julia Kristeva, She refers the rebellion. The Rebellion includes some sorf of moving and time and space. Makes society better to people live in, it needs an activity like Rebellion for their times and spaces that they can announce individual opinions,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Sartre told us from “Being and Nothingness”. When people experiencing their suffering, they should carry on the pulse to face with another fact that is avoided. Then the efforts of the time makes us be better and stronger than before.
오지영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전업직장인이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 겪은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현상의 본질이 무엇인지 밝혀 기술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하위 연구 문제는 첫째, 전업직장인이 상담대학원 진학을 선택한 이유, 둘째, 전업직장인은 상담대학원 과정에서의 경험, 셋째, 상담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전업직장인에게 주는 의의에 관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장생활 10년 차 이상으로 대학원 3학차 이상에서 졸업 1년 이내인 전업 직장인 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에 따라 9개의 상위주제, 21개의 하위주제, 85개의 구성된 의미로 최종 분석되었다. 분석으로 도출된 참여자들의 경험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업직장인이 상담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동기는 ‘현 직장에서의 불안감이 상담 직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짐’, ‘상담 경험이 상담공부로 이끔’, ‘다양한 루트를 통해 상담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게 됨’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낯설고 힘들지만 수업을 통해 ‘나’를 찾아감’, ‘직장생활과 학업의 병행은 서로에게 시너지가 됨’, ‘다중역할을 감당하며 한계와 현실의 벽을 마주함’, ‘관계의 Good & Bad를 경험하며 대상의 다양성을 체득함’, ‘지금의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가족과 동료와의 관계에 선한 변화가 생김’이었다. 셋째, 상담대학원에서의 경험이 전업직장인에게 주는 의의는 ‘직업으로서의 상담 현실을 인정하고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함’, ‘미래의 직업으로서 상담사를 꿈꾸며 준비해 나감’에 있다. 결론적으로 직장인으로 10년 이상 근무하며 안정적인 진로를 영위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새로운 분야인 상담학에 진학하게 되며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는 한마디로 ‘상담학을 통한 성장으로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하며 전문상담사를 준비함’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기업과 직장을 이해하는 전업직장인의 상담학전공 석사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 밝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평생직업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대사회에서 중년의 전업직장인이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를 이해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셋째, 중년 직장인들이 상담 경험과 상담대학원 진학을 통해 자신을 수용하고 통합해가는 과정을 겪으며 자아실현과 성숙을 이루어 나가는 경험을 드러내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전업직장인, 상담학전공, 석사과정, 질적연구, van Man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one han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people who are full-time employees and enrolled students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in counseling, and on the other hand, to reveal their meaning phenomenologically. To fulfill the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followering subtopics: first, the reason why full-time employees’ chos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second, their experiences in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nd third,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ences in counseling graduate school. Participants in the study selected seven full-time employe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work and less than one year of graduation from three or more graduate schools as study subjects.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October 2021 to January 2022. And the collected data were finally analyzed with nine top topics, 21 subtopics, and 85 meanings according to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method.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full-time employees to enter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re "facing anxiety about their current job leads to interest in counseling jobs," “getting counseling experience leads to study counseling," and "considering the entrance of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hrough various routes." Second,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full-time employees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major are "finding meanings through classes despite of facing unfamiliar and difficult situations," "combining work and study life creates synergy with each other," "facing limitations and walls of reality while playing multiple roles," "learning diversity of objects by experiencing Good & Bad of relationships", "accepting me as I am now" and "building good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colleagues." Third,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o full-time employees lies in "recognizing the reality of counseling as a job and upgrading expertise at the current job" and "preparing for a counselor as a future job." In conclusion, participants who have worked as full-time employees for more than 10 years and have a stable career will go to counseling, a new field, and the world of experience can be summarized as "growth through counseling studies upgrades professionalism in the current workplace and leads to preparation as a professional counsel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irst, it is meaningful to reveal how full-time employees who understand companies and jobs experienced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Second, an example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experience experienced by middle-aged full-time employees in the process of seeking a new career path in moder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lifelong jobs is emerging, was presented. Third,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study achieving self-realization and maturity of an individual through the process of middle-aged employees accepting and integrating themselves through counseling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entrance. Keywords: full-time employee, counseling studies, master's degree, qualitative research, van Man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