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정원 해설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및 해설사의 인식 분석 및 개선방안 : 태화강대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장정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istory and environment of the Taehwa Riv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commentary service,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description service through the recognition analysis of the users and commentators. In order to improve the description service of the Taehwa River gard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r 264 users of the commentary service and 18 environmental commentators, and the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user age group and the natural environment commentator was meaningful. The survey showed that teenagers had the largest number of duplicate visits, and that the types of accompanying students varied from friends to family to schools. However, the other age groups had the most visitors in the first inning and the largest number of visits focused on social gatherings. Many visitors visit the Taehwa River garden nationwide, but if you look at visitors from other cities except local residents, you will find that the number of visitors to Bu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re far too many. According to the age range by location,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in their 50s or older from all except teenagers living in Ulsan visited the Taehwa River garden. More respondents said they did not collect information in advance for teens to 40s, while more people in their 50s and 60s said they collected information in advance. The higher the age group, the more information it collects and visits Taehwa Grand Park. Only those in their 60s or older had the highest promotional materials, while the rest of the age group had the mos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While there were many responses about the Taehwa River garden, which was provided by Internet or promotional materials, the most answered that the information on the commentary service was provided by acquaintances. Many more said that they did not know if the service was free and that they hoped for other courses and experience. The most appropriate explanation time was 30 minutes to less than one hour, while the two respondents said they were willing to pay for the material. However, the survey showed that only teenagers and those aged 60 or older did not want to pay for the materials, and more people in their 20s and 50s said they were willing to pay for the materials. According to the analysis, participation of activities that have a burden on materials costs is related to economic power of each age group. Experience, play or operate activities are presented in the order of natural object crafts, eating distance, rafting experience, and bird watching. However, the respondents chose to eat food at different age groups, most likely to be teenagers, to have a raft experience in their 20s, to observe (migratory birds and plants), and to produce natural objects in their 40s and 60s. Teenagers in their teens and 30s with lower age groups prefer diverse and active experiences, while those with higher age groups prefer static ones. The most expensive respondents were no different from the age group by less than 5,000 won. Teenagers experienced the most experience in other types of service. The most memorable explanations were description of ecological resources (plant ecology), description of history culture, explanation of environment protection, and explanation of design.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ankings that environmental commentators think are most important and focused on. Other extern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found that people in their 30s felt less uncomfortable than other age group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ommentary course varied depending on the average number of commentary runs per month. An average of one to two times a month was 6.33 points, and an average of more than 10 times a month was 9.33 points. This is a 3.0 point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for commentators. The higher the number of sessions per month, the more the commentators are satisfied with the course, a survey found. When looking at the overall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average number of events conducted by environmental commentators, Commentators, who give one or two explanations a month, ha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commentators, who averaged more than 10 times a month,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This is because commentators who participate in the commentary 10 times or more a month are better informed of the latest changes in the ecology and environment of the Taehwa Grand Park. This is believed to have increased satisfaction by applying external inconvenience factors or changes in the environment in advance to the description. Furthermore, the more times the commentators perform, the more their ability to explain and cope with crises, the more impact they have on their satisfac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action plants to improve the explanation service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commentary courses, including various gardens created by the Taehwa River Garden Fair along with the existing luxury a bamboo grov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ecological description programs that are differentiated by ag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ecological description services effectively. Fourth,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number of explanation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mmentators. 이 연구는 태화강의 역사와 환경을 고찰하고, 해설서비스 현황을 분석하며, 해설서비스 이용자 및 해설사의 인식 분석을 통하여 해설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태화강대공원의 해설서비스 개선을 위해 해설서비스 이용자 264명과 자연환경 해설사 18명을 대상으로, 이용자 연령대와 자연환경해설사의 월평균 해설횟수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10대 학생들의 중복 방문횟수가 가장 많았으며, 동반자 유형도 친구, 가족, 학교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타 연령층은 1회 방문자가 가장 많았으며 친목회 중심의 방문이 가장 많았다. 전국적으로 태화강대공원을 찾는 방문객들이 많지만, 지역주민을 제외한 타 시도의 방문객을 살펴보면 지리적으로 가까운 부산/경남과 대구/경북의 방문객 수가 월등히 많다. 거주지별로 연령대를 살펴보면 울산 거주 10대를 제외하면 모든 거주지에서 50대 이상이 태화강대공원을 가장 많이 찾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태화강대공원 정보수집 유무는 10∼40대는 사전에 정보를 수집하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더 많았고, 50∼60대 이상은 사전에 정보를 수집했다는 응답자가 더 많았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태화강대공원에 대해 정보를 수집하고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수집경로는 60대 이상에서만 홍보물이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연령층은 인터넷을 활용한 정보 수집이 가장 많았다. 태화강대공원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이나 홍보물에 의해 제공받았다는 응답이 많은 반면, 해설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지인으로부터 제공받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해설서비스가 무료인지 알지 못했다는 응답과 다른 코스와 체험활동 경험을 희망하는 응답이 더 많이 나왔다. 적정하다고 생각되는 해설소요시간은 30분∼1시간 미만의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재료비 부담 의사는 ‘있다’와 ‘없다’가 비슷하게 나왔다. 그러나 연령대를 살펴보면 10대와 60대 이상 응답자만 재료비 부담의사가 없음이 더 많이 나왔고, 20∼50대 연령층에서는 재료비 부담의사가 있다는 응답자가 더 많이 나온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재료비 부담이 있는 활동의 참여는 연령대별 경제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체험·놀이 또는 공작활동은 자연물공예 > 먹거리 체험 > 뗏목타기 체험 > 철새 관찰 > 기타 순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연령대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10대는 먹거리 체험, 20대는 뗏목체험, 30대는 관찰(철새·식물), 40대∼60대 이상은 자연물공예를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연령대가 비교적 낮은 10대∼30대는 다양하고 활동적인 체험을 선호하는 반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정적인 체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당한 체험비용은 연령대와 차이가 없이 5천원 이하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다른 형태 해설서비스 경험은 10대가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기억에 남는 해설내용은 생태자원해설(동·식물 생태) > 역사문화해설 > 환경보호해설(생태복원 스토리) > 디자인 해설(시설물, 공법, 디자인)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연환경해설사가 가장 중점적으로 해설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순위와 일치한다. 기타 외부요인의 불편한 정도는 타 연령대에 비해 30대에서 불편한 정도를 덜 느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연환경해설사의 월 평균 해설진행횟수에 따른 해설코스 만족도를 살펴보면, 1∼2회 진행하는 해설사는 평균 6.33인 것에 비해 월 평균 10회 이상의 해설사는 만족도가 9.33으로 평균 3.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생태해설 진행 횟수가 많아질수록 해설사들의 해설코스 만족도가 점점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연환경해설사의 월평균 해설진행횟수에 따른 여러 변수들의 차이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월 1∼2회 해설을 진행하는 해설사들의 해설소요시간, 해설코스, 해설내용, 해설 위주의 운영 등 만족도가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반면 해설진행횟수가 월평균 10회 이상인 해설사들의 전체적인 만족도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 해설서비스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기존의 십리대숲 위주의 생태해설과 함께 태화강정원박람회를 계기로 조성된 다양한 정원들을 포함하여 타 관광지의 해설서비스와 차별화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계절별, 연령대 별로 다양한 해설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해설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홍보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연환경해설사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해설진행횟수의 조정이 필요하다.

      • 대학 캠퍼스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적 분석 : 영남대학교 캠퍼스를 중심으로

        김흥곤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Feng-shui is based on the orderly natural law that happens in earth and sky. It is also a science related to the earth, the ground of all the creatures living on the globe. Its purpose is right choice and management of residential space, the indispensable element for preservation of life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t is admittable that there is a critical viewpoint that Feng-shui is unscientifical. Nevertheless, it is undeniable that the Feng-shui is a wise philosophy of life of our ancestors and a traditional science systematized with an empirical theory. In dictionary, the university is defined as 'an academic community that develops human intelligence based on the freedom of science and that takes the role of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cultural heritage accumulated by humankind through creative activity of inquiring the truth, and at the same time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cultivates intellectuals equipped with the quality of leadership'. In short, 'the university is a place where sciences a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of sciences are educated'. However, the environment the universities are in is becoming worse in and out of school. Universities will get in the crisis even the survival is not guaranteed if they insist on their proper fun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location and space of the campus of Yeungnam University using the empirical system of logics in Feng-shui. A precise analysis was also been carried out on the personnel elements like professors, staff and students and the campus, the space in which they have to spend most of their time for the education and research.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device that makes the campus not insufficient for a space to cultivate the future men of ability as well as helps forming a pleasant and efficient environment. Analysis of Yeungnam University in terms of Feng-shui showed that the Juryongmaek, that is one of Biseul Branches Jusan stretches from the BaekduDaegan and comes through Mt. Samseong and Mt. Baekja, is connected to the right backside of the main building of Yeungnam University at the end of the Juryongmaek. Centering around the Chenmaro, colleg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re located to the left side fit for the spirit of challenging, strong and mannish Cheongyong and colleg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the left side fit for the spirit of quiet, relaxed and feminine Baekho. Then the Cheonma Arts Center is located in front, being agreed well with the concept of Sasinsa. Looking around the topography of nearby mountains and streams, the location of Gyeongsan campus is known to choose the rear-mountain-front-water and front-low-rear-high land, the land ideal and basic in Feng-shui, at Sanjincheo where the Naeryong ends. In case of Daemyeong-dong campus, the medical center and college of medicine are located at where Mt. Apsan and Mt. Bipa of Biseul Branches come out and form a peak after gradually rising up, and also at the place where 4 branches of E-W-S-N including Ipsu NaeryongMaek are stable. The result of analysis suggests that Yeungnam University is in no way inferior to the site of academic research, making th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that is growing as the best private school. It is a site very proper to the condition of house site that puts the vital power away in good order as it has a stable soil layer on low and wide ground, if some lacking part is supplemented in terms of Feng-shui. The perfect propitious site, in Feng-shui, is not many and if any, it is hard to find. Therefore if a place equips somewhat adequacy and rationality as a location, it is enough to live while supplementing something lacking. For Yeungnam University to grow and develop to become a global brand name college in world stage in the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of course important, bu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oster a high quality mental culture. It seems only natural that Feng-shui may play an important role here. In addition, only domestic Feng-shui should be expanded to Feng-shui for cosmopolitan and become the best practical science in the future, taking the role of supporter of human life and mind. 풍수지리는 하늘과 땅에서 일어나는 질서정연한 자연법칙을 근본으로 삼고 있다. 또한 지구에서 생존하는 모든 생명의 터전인 대지와 관련된 학문이며, 그 목적은 생명의 보존과 삶의 질의 개선을 위하여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주거공간의 올바른 선택과 관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풍수가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적 시각이 엄연히 존재함을 인정하지만, 현대 풍수가 우리 조상들의 지혜로운 삶의 철학이자, 실증적인 이론으로 체계화된 전통과학임은 절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오늘날에 있어 대학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학문의 자유를 바탕으로 인간의 지성을 개발하고, 진리 탐구의 창조적 활동을 통하여 인류가 쌓은 높은 문화유산을 계승,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학문 공동체이자, 지도자로서 자질을 갖춘 지성인을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이고, 한마디로 말하면 ‘대학은 학문을 하고, 학문의 결과를 교육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이 처한 환경은 대내외적으로 갈수록 열악해지면서 대학이 본연의 기능만을 고집하다가는 발전은 고사하고 생존까지 위협받을 위기에 처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풍수지리의 경험과학적 논리체계를 이용하여 영남대학교 캠퍼스의 입지와 공간분석을 해 봄으로써 대학의 주요 구성요소인 교수, 직원, 학생 등 인적요소와 더불어 그들이 교육과 연구를 위하여 대부분의 시간을 지내야 할 공간인 캠퍼스를 정밀 분석해 봄으로써 캠퍼스가 미래의 동량을 양성하는 공간으로 부족함이 없도록 할 뿐 아니라 쾌적하고 효율적인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영남대학교를 풍수지리적으로 분석하여 보면, 주산이 백두대간에서 뻗어 나온 비슬지맥의 한 지맥으로 삼성산과 백자산을 거쳐 온 주룡맥은 영남대학교 본관 바로 뒤로 이어져 주룡맥의 끝자락에 본부본관이 배치되고, 천마로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도전적이며 강건하고 남성적인 청룡의 기운에 맞게 이공계열 대학을, 우측에는 차분하며 느긋하고 여성적인 백호의 기운에 맞게 인문·사회계열 대학을 배치하였고, 그리고 앞쪽에 천마아트센터가 놓임으로써 사신사의 개념과 일치하도록 잘 배치되었다. 또한 경산 캠퍼스의 입지는 주변 산천의 지세를 살펴보아 내룡이 끝나는 산진처(山盡處)에, 풍수에서 이상적이고 기본적인 배산임수와 전저후고의 땅을 선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대명동 캠퍼스 역시 비슬지맥의 앞산과 비파산에서 내룡하여 오다가 서서히 기룡하여 봉우리를 형성한 곳에 의료원과 의과대학이 위치하고 있으며, 입수 내룡맥을 포함한 동서남북 4지맥이 모두 안정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영남대학교는 사학의 최고봉으로 성장하고 있는 대학의 특성을 잘 살려서 학문연구의 터전으로 손색이 없으며 낮고 넓은 대지에 안정된 토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풍수적으로 일부 부족한 부분을 비보하여 보완한다면 양기를 갈무리하는 양택 조건에 아주 합당한 곳이라 할 수 있다. 풍수에서 완벽한 명당은 많지 않고, 또 있다 해도 찾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입지적인 타당성과 합리성을 갖춘 장소라면 부족한 점을 보완하면서 살아가면 충분할 것이다. 영남대학교가 21세기 세계무대에서 글로벌 명문대학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발전도 중요하지만 수준 높은 정신문화의 육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여기에 풍수지리학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이와 더불어 우리만의 풍수지리에서 나아가 세계인의 풍수지리로 자리매김함으로써, 미래에 최고의 실학(實學)이 되어 인류의 생활과 정신의 지주역할이 가능하기를 기대해본다.

      • 택지개발지구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 고찰 : 대구지역 택지개발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정화윤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풍수사상의 구조체계는 산, 수, 방위, 사람 등 네 가지 요소가 조합하여 성립된다. 이 요소들은 광역 환경에서 신비스러운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살아있는 기능체로 간주된다. 또한 좋은 입지를 찾고 불완전한 입지는 비보염승(裨補厭勝) 한다는 점에서 생태적 가치를 지니는 전통과학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리 선조들의 삶터인 마을의 자리 잡기에는 산기슭의 경사면 양지바른 곳에 남향을 이루면서 뒤로는 병풍처럼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앞쪽으로는 물이 흘러 오래 머물러 살 수 있는 터를 정하는 복거관(卜居觀)이 작용되었다. 이러한 복거관이 작용된 정주공간에서 경제, 사회, 문화가 설득력 있게 접속된 건전한 환경을 구축하였다. 즉, 풍수적 의미로 배산임수(背山臨水)와 장풍득수(藏風得水) 형국이 갖추어진 곳을 말한다. 우리의 선인들은 마을을 경영함에 있어 지역 특유의 풍토와 자연정취를 이용함은 물론 자연을 이해하려는 관념 하에 양명한 기운을 받을 수 있는 좋은 자리를 찾고자 하는 풍수지리와 같은 사고체계를 밑그림으로 투영시켜 자연과 인공이 유기적으로 융합되고 동화되는 지속가능한 환경체계를 만들고자 하였다. 풍수지리 관점으로 본 전통마을의 환경설계 원칙은 배산임수와 장풍득수의 환경조건을 갖추고 배후지, 정주지, 경작지로 전개되는 공간구조를 설정하였다. 생물 다양성 차원에서 의미가 큰 배후지는 마을 후면의 산이 되고, 방풍림과 풍치림의 역할은 물론 조상의 묘 자리와 토속신앙영역이 되며 생활재료와 물을 공급받는 실용공간이 된다. 주거지는 안전성이 보장된 완경사지에 자리하여 사생활 보호를 고려함과 동시에 절대 향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연 지세와 시계(視界)를 고려한 좌향(坐向)으로 양호한 일조환경을 만들어 양명한 정주환경을 구축하였다. 경작지는 하천을 끼고 문전옥답(門前沃畓)과 바깥들로 이루어졌다, 문전옥답에는 부식용 작물이 재배되고 바깥들에는 풍부한 수량과 너른 들에 벼가 재배되었다. 마을길은 물길과 깊은 관계를 맺으며 살림집들의 연결망이 되는데 지형이 갖는 완만한 상승감과 위계에 따라 바깥길, 어귀길, 안길, 샛길 등으로 구성되어 커다란 나뭇가지를 연상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설계원칙에 따라 우리의 선조들은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마음을 안정시켜 주는 주위환경과 산의 흐름, 안정된 물길을 갖추면서 단조롭지 않은 산수진경(山水眞景)한 길처(吉處)에 환경자원을 중시하는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정주공간을 구축하여 오래 머물러 편안하게 살 수 있는 터를 잡은 곳이 살기 좋은 마을로 꼽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 마을의 자리 잡기와 공간 구성에 대한 환경설계 원칙이 현대 도시 주거지인 택지개발지구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적용가능한 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구지역 금호강 수계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조성된 4곳의 택지개발지구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곳의 입지환경에 대해 산세, 수세, 좌향, 공간구성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지의 입지에 대한 산세를 분석한 결과, 4곳 모두의 내룡맥이 백두대간에 이어진 낙동정맥에서 분맥한 비슬지맥과 팔공지맥의 훌륭한 지기를 품고 있는 진산에 의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위하는 사신사가 잘 갖추어져 장풍국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4곳 모두 풍수적으로 복록을 제공하는 지기(地氣)를 받고 있는 산세를 갖고 있다. 둘째, 사례지의 수세를 분석한 결과, 지산·범물지구는 범어천이 복개되어 생기를 받지 못하고 있다. 시지노변지구는 매호천과 욱수천의 생태하천과 곳곳에 저수지와 실개천이 흐르고 있어 득수국에 의한 생기를 받고 있다. 동서변지구는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동화천이 동에서 서로 흐르는 금호강에 합류하고 있어 득수국을 형성한다. 또한 동화천과 신천이 금호강에 합류함으로 인해 금호강의 유속이 느리고 수면이 잔잔하여 많은 생기를 받고 있다. 죽곡지구는 금호강이 환포하고 있어 득수국을 형성하고 있으며, 낙동강과 합류하는 합수처에 달성습지가 조성되어 있어 느린 유속과 잔잔한 수면으로 생기가 오랫동안 보존 되고 있다. 택지개발지구를 감싸고 흐르는 수계의 규모가 클수록 암환자 발생률이 낮게 나타나 생태하천이 건강한 주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례지의 좌향을 분석한 결과, 전통마을 주거의 좌향은 지형조건과 안길 그리고 물길 등 산수의 방향성과 연계되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택지개발지구는 채광위주로 좌향을 정하였다. 즉, 주거용 건물 중 공동주택은 채광을 위하여 남향, 동남향, 서남향, 동향의 좌향을 갖고 있으며, 단독(다가구)주택은 도로를 중심으로 한 좌향을 갖고 있었다. 금호강 북쪽에 위치한 동서변과 죽곡지구는 배산임수와 전저후고의 지세 흐름을 따라 햇볕과 생기를 모두 취하여 풍수지리 이론에 부합하였고, 금호강 남쪽에 위치한 지산범물과 시지노변지구는 지세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남향위주의 좌향을 정하여 .햇볕보다 생기(生氣)를 우선하는 풍수지리 이론에 부합하지 않았다. 넷째, 사례지의 공간구성을 분석한 결과 전통마을의 중심공간은 종가주택인데 반해 택지개발지구의 중심공간은 경제공간인 상업·업무시설지구이다. 전통마을은 종가주택을 중심으로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중심에서 주변으로 정주공간이 확산되는 방사상 구도 속에 마을 바깥쪽에 경제공간인 경작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공간이동의 동정(動靜)의 관점에서 보면 음의 공간에서 양의 공간으로 이동을 의미한다. 반면에 택지개발지구는 사람들이 모이고 흩어지는 일련의 활동이 경제공간인 상업·업무시설지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공간이동의 동정(動靜)의 관점에서 보면 경제공간에서 정주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즉, 양의 공간에서 음의 공간으로 이동을 의미한다. 전통마을과 택지개발지구의 중심공간이 음의 공간에서 양의 공간으로 변화된 것은 전통마을이 지리를 우선했다면 현대도시는 생리(먹고사는 방도)를 우선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대구지역 택지개발지구 4곳의 정주공간을 풍수지리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명당조건을 갖춘 입지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남향 주택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 지역적 특성으로 인하여 지세의 흐름과 상반되는 주택배치와 생태하천의 유무가 건강한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전통마을의 정주지 환경은 비록 지형조건이 부적합하더라도 옛 선조들은 지혜를 발휘하여 자연조건을 보완하는 인위적인 노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삶터가 되는 생태마을을 경영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풍수지리학이 향후 친수(親水) 공간 조성을 동반한 도시환경을 계획하거나 도시재생을 위한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연구결과에 대한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향후 타 지역의 택지개발지와 비교분석해야 할 연구 과제를 안고 있으므로 연구의 지속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The structure of Feng-shui theory is established by combination of mountains, water, direction and people. These factors are considered as living functions capable of exerting mysterious power in the broad environment. Also, it can be understood as the traditional science with ecological values in a sense that it seeks for good locations and modify unstable locations. When locating the right place for a village, the home to our ancestors, the location with southern exposure, full of sunshine on the foot of the mountain, was selected where surrounded by the mountains like a folding screen and water flows in the front. In these locations of settlement space, sound environment is established by cohesive connection of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at is,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 theory, those are the locations of Bae-san-im-su(背山臨水) and Jang-pung-deuk-su(藏風得水). In running a village, our ancestors used not only the natural characteristics and atmosphere of the area but also reflected the concept of Feng-shui theor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nature, in order to receive healthy spirit from the nature. They aimed to create sustainable environmental system where the nature and human beings are organically combined and assimilated with one another.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 theory, th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design in a traditional village include location of Bae-san-im-su(背山臨水) and Jang-pung-deuk-su(藏風得水) and space composition with hinterland, settlement space, and farmland. The hinterland, which is meaningful from the aspect of biodiversity, is the mountain in the back of the village and it performs the role of not only the windbreak, ornamental plantation, and place of graves and folk religion but it is also practical by providing living materials and water. The settlement space is located on a safe and gentle slope for privacy protection, with favorable sunshine environment considering the natural topography and visibility. The farmland is located along the river, composed of rice paddles and outdoor yard. Edible plants are cultivated in the rice paddle, and rice is cultivated in the outdoor yard where abundant water and wide space are ensured. The village road is deeply related to the waterway and acts as the connection network between the private homes. It reminds of a large branch of a tree, by being composed of outer road, approaching road, inner road, side road, etc., based on the elevation and hierarchy within the topography. By following these environmental design principles, our ancestors established sound and sustainable settlement space in the location with warm and calm surrounding environment, composed of mountain flow, stable waterway and non-monotonous yet beautiful nature, where they can stay comfortably for a long time. In this context, four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were selected around Geumho River in Daegu area to examine whether traditional village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methods can be applied to modern-day residential areas or no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y analyzing the loc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geographical features of mountains, water, exposure and space compositio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mountains, all four locations have guardian mountains with great spirit of Biseul-jimaek and Palgong-jimaek ramified from Nakdong-jeongmaek connected to Baekdu-daegan. Also, Jangpung-guk is formed by surrounding mountains. Therefore, all four locations have geographical features of mountains, where spirits are provided by the mountai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water, Jisan·Beommul district are not receiving vitality since Beomeocheon is covered. Sijinobyeon district is receiving vitality in according with Deuksuguk since ecological streams such as Maehocheon and Wooksucheon are flowing as well as reservoir and steramlets flowing in places. Dongseobyeon district forms Deuksuguk since Donghwacheon flowing from north to south is joining Geumho river flowing from east to west. In addition, it is receiving abundant vitality due to slow flow velocity and gentle water surface achieved by Donghwacheon and Shincheon joining Geumho river. Jukgok district forms Deuksuguk by Geumho river surrounding the district and Dalseong wetland is created where Nakdong river and Geumho river join each other, enabling long preservation of vitality with slow flow velocity and gentle water surface. Larger size of water system surrounding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is correlated with lower cancer incidence, which indicates that ecological streams impact healthy residential environm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osure, the exposure of traditional villages tends to be related with the topographic conditions and directions of the landscape such as inner road and waterway, while the exposure of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is selected based on lighting. That is, among the residential buildings, apartment houses are facing south, southeast, southwest, and east for lighting and detached(multi-household) houses have exposure by considering the road. Dongseobyeon and Jukgok district located at the north of Geumho river are in accordance with Pungsu theory by taking both sunlight and vitality based on topography of Baesanimsu and Jeonjeohugo. Jisanbeommul and Sijinobyeon district located at the south of Geumho river are facing south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opographical flow and are not in accordance with Pungsu theory, which prioritizes vitality over sunligh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ace composition, the central space of a traditional village is the house of the head family, while the central space of a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 is economic space such as commercial·business facility. In a traditional village, the house of the head family is located at the center, and residential areas are expanded from the hillside to lowland, and from the center to the surroundings, forming a radical shape while the economic space, the farmland, is located at the outer side of the village.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movement, it indicates the movement from space of Yin to Yang. On the contrary, the series of activities of people are focused on the commercial·business districts, which is the movement from economic space to residential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movement. That is, it indicates the movement from space of Yang to Yin. The central space of a traditional village and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 is changed from the space of Yin to Yang since traditional villages prioritized geography while modern cities put livelihood before geography. As such, the analysis of four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in Daegu areas by applying Feng-shui theory proves that all four locations have ideal conditions. However, due to local tendencies to prefer houses facing south, houses in certain districts ar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opographical flow. Also, it is proven that ecological streams impact healthy lives. Our ancestors aimed to operate sustainable and ecological villages even when the environment of settlements in traditional villages is not favorable, by artificially supplementing the natural conditio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can contribute as the method that can be applied for city environment planning and urban rest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 theory.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e research results since it only covers limited areas. The future researches should be continued to analyze and compare with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s in other areas.

      • 전원주택의 입지유형과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 연구 : 대구 주변지역 전원주택을 중심으로

        김순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M.S. Thesis A Research on Feng-shui Theory Regarding Location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uburban Houses -Focusing on Suburban Houses in the Vicinity of Daegu- Kim Soon-Jin Major in Feng-shu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Jae-Rak and Park Chan-Yong) Abstract In the past and modern housing culture, the primary purpose is to use residential life styles. 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income level and the five-day-workweek, modern people began to prefer well-being and healing perspective of their lives, which brought lots of attention to housing culture of suburban houses. Going along with the trends, suburban housing complex started to be developed and sold in the locations not far from the downtown area, gaining attention of the public.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development of suburban houses is driven by profitability of individual developers or construction companies without thought for the environment. In order to prevent these problems from happening, not only legal regulations but also environment-friendly location of suburban houses is very important so that the nature and human beings live in harmony by human beings adapting to the nature. Therefore, we could seek for wisdom of our ancestors by adopting Feng-shui theory to modern architecture, which will lead to coexistence of the human beings and nature, without destroying the Mother Nature. Also, considering the benefits provided by the nature, the nature should never be destroyed and when developing suburban houses, the convenience and profitability should not be given the highest priorities but one must find the ways to let the nature and human beings live in harmony. If we recognize the value of the nature,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future of nature is the future of human kind thus we must pass on the valuable nature soundly to our descendants. According to the Feng-shui theory, not only suburban houses but also general architectures are ideal to be located in areas with Sands of Four Spirits(四神砂) where the spirits of mountains are well inherited. In Feng-shui theory, these locations are deemed as ideal spots that contain the wind and obtain the water(藏風得水). The present research studies suburban houses located within one-hour distance from northern and eastern directions of Daegu city, and five complexes are selected including ① Hwasung Greenville Suburban Houses ② Palgong Jeonwon Village ③ Yuchang Jeonwon Village ④ Yangji Meogu Village ⑤ Biseul Oak Valley, in order to apply important theories of Feng-shui theory such as Yongse(龍勢), Jise(地勢), Suse(水勢), Jwahyangron(坐向論) and Bibo Feng-shui(裨補風水). Also,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3 Principles of Yangtaeg(陽宅三大看法) including Baesanimsu(背山臨水), Jeonjeohugo(前低後高), and Jeonchakhugwan(前窄後寬). Among the theories of Yangtaeg Feng-shui(陽宅風水) that can be applied to suburban houses, Dong·Seo Sataegron is selected among the contents of Yangtaeg Samyo(陽宅三要). However, among the theories of Feng-shui, Hyeolron(穴論) is argued by many scholars from academic perspectives thus it is excluded in this research when analyzing suburban houses. If suburban houses are located in areas with favorable natural locations and space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recommended by Feng-shui theory, it would be like a highly valuable home where people can enjoy their healthy and happy lives. The present research intends to study the impact of suburban houses on residential lives from the standpoint of Feng-shui theory, which is a traditional discipline of natural science. Improvement in income level and standard of living has brought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and recognition towards housing cultures such as expansion of leisure time and increased attention to health, driving many people to leave overcrowded houses in the city and go to suburban houses. Those people desire to escape from the environmental, noise, smoke and water pollution in the downtown and prefer to enjoy healthy and high-quality lives in suburban areas. In addition, the present research intends to propose methodological directions to be applied to location selection and house building while protecting the nature, which could be used for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suburban hou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uburban houses and apply Feng-shui theory in terms of location, landscaping, site plan, street structures within the complex to study location selection and space composition, in order to propos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uburban hous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city. 국문초록 전원주택의 입지류형과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 연구 -대구 주변지역 전원주택을 중심으로- 김 순 진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설계학과 풍수지리전공 지도교수 박재락·박찬용 요 약 과거의 주거문화와 현대의 주거문화에서 첫 번째 목적은 주거생활의 활용이다. 하지만 소득수준의 향상과 주 5일 근무제로 웰빙과 힐링을 선호하면서 현대인들이 전원주택 주거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도심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은 위치에 자리한 전원주택 단지가 활발하게 개발 분양되면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문제점은 도시외곽 지역의 전원주택 개발은 개인업자 또는 건설업체에서 수익만 앞세워 여러 형태의 종류로 개발되면서 온 산천이 무분별한 난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법적인 규제도 필요하지만,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살기위해서는 인간이 자연에 순응하면서 조화로운 삶의 공간에 전원주택이 친환경적으로 입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개발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선현들의 지혜를 살펴서 전통 자연과학인 풍수지리를 현대건축에 접목시켜 전원주택을 개발한다면, 아름다운 대자연을 훼손 없이 함께 조화를 이루면서 인간과 자연이 공존 공생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이로움을 생각한다면 자연을 함부로 훼손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며, 전원주택 택지개발에 있어서도 편리성과 수익성만을 앞세워 개발 할 것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살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자연의 소중함을 인식한다면 자연의 미래가 우리의 미래이듯 소중한 국토를 잘 활용하여 온전하게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것이다. 풍수지리에서 전원주택은 물론이고 일반 건축물도 산(山)의 좋은 정기를 받아 사신사(四神砂)가 잘 갖추어진 곳에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건물이 배치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입지조건이라 할 수 있다. 풍수지리에서 이런 곳이 곧 장풍득수(藏風得水)가 잘 된 곳이라 하여 명당이라 칭한다. 본 연구 논문은 대구시를 중심으로 북, 동쪽에 위치한 1시간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전원주택을 선정하였으며, 대상지로는 ① 화성그린빌 전원주택 ② 팔공전원마을 ③ 유창전원마을 ④ 양지머구마을 ⑤ 비슬오크밸리 이상 전원주택 5곳을 선정하여 풍수지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론적 체계를 합리적으로 적용하여 주거지의 입지선정에 필요한 용세(龍勢), 지세(地勢), 수세(水勢), 좌향론(坐向論)인 건물의 배치와 구조, 비보풍수(裨補風水) 이론을 대입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양택3대간법(陽宅三大看法)인 배산임수(背山臨水), 전저후고(前低後高), 전착후관(前窄後寬)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양택풍수(陽宅風水)에서 전원주택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 가운데 양택삼요( 陽宅三要) 내용중 동·서사택론을 적용하여 자세하게 연구하였다. 그러나 풍수지리 이론 중 혈론(穴論)은 학술적으로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으므로, 본 연구 논문 주제인 전원주택 분석에서는 혈론(穴論)은 배제 하였다. 풍수지리 요건을 갖춘 전원주택이 자연환경 입지조건과 공간구성이 잘 갖추어진 곳에 위치한다면 건강과 행복을 누리고 살 수 있는 보물 같은 보금자리가 될 것이다. 전통 자연과학 학문인 풍수지리학이 현대인들이 살아가는 주거양식 형태중 하나인 전원주택이 주거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현대생활에서 소득수준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여가시간 활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사회구조와 주거문화의 인식변화를 가져옴으로써 건강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짐에 따라 도심지 내의 과밀화된 주택보다는 전원주택을 선호하는 탈도시화 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도심지 내의 환경오염과 소음공해 차량의 매연 및 수질오염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건강하고 질 좋고 여유로운 생활을 영위하고자 한다. 또한 전원주택 개발과 건축공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어 자연을 보호하면서 터 잡기와 집짓기에 실용적(實用的)으로 활용 될 수 있는 방법론(方法論)을 제시하고자 연구하였으며, 전원주택 단지의 특징을 현대 부동산 풍수를 적용하여 공간구조로 주택의 배치, 주택의 가상, 주택의 조경, 대지의 평면, 단지 내 도로의 구조를 전통풍수지리를 적용하여 입지선정과 공간구성을 연구함으로써 합리적인 전원주택 단지 개발과 도시의 주거환경에 연구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간호조무사의 기대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김명숙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취업 전 기대 근무환경과 현재 근무환경의 일치 여부에 따른 근무환경만족도,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일개 광역시 소재 42개 의료기관의 취업 1년 이내 신규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2020년 7월 1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24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취업 전 기대 근무환경 대비 현재 직장의 근무환경만족도는 평균 3.55점(5점 만점)이었으며 근무형태와 근무부서 항목은 각각 3.84점, 3.73점으로 점수가 높았고, 자유로운 휴가사용, 미사용 휴가 처리방식에 대해서는 각각 3.19점, 3.10점으로 점수가 낮았다. 직무만족도는 평균 3.61점(5점 만점)이었으며 ‘나는 앞으로 내가 할 수 있는 한 이 일을 계속 할 생각이다’가 3.97점으로 높았고 ‘나는 이직을 생각해 본적이 있다’는 3.09점으로 점수가 낮았다. 근무환경 특성의 대부분 항목에 따라 근무환경만족도와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 전 기대 근무환경과 현재 근무환경의 일치율은 근무형태 77.4%, 고용형태 75.8%, 월 급여 72.6% 순이었다. 기대 근무환경과 현재 근무환경이 일치한 대상자들의 근무환경만족도와 직무만족도가 높았고, 기대 근무환경과 불일치한 대상자들의 근무환경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직무만족도 또한 낮았다. 연구 결과 신규 간호조무사의 복지 측면의 근무환경만족도는 다소 낮았다. 기대 근무환경과 현재 근무환경의 일치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근무환경을 개선 시킬 여러 가지 방법들을 모색하여 안정적인 직업활동으로 이직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공동주택 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계의 경향성연구 : 대구시 달서구 s아파트 환경조형물 설계를 중심으로

        손병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공동주택 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계의 경향성 연구 대구시 달서구 S아파트 조형물 설계를 중심으로 손 병 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설계학과 도시 및 조경설계 전공 지도교수 박 찬 용 건축은 단지 현실적 공간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정서적인 부분이 통합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임을 말한다. 환경조형물은 공간, 건축물, 심리적 요소 속에서 공간의 질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환경조형예술품은 분리되어 건축의 형태를 단순히 장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라 건축과 통합하여 공간의 창출내지는 기능의 완성을 이루는 것이다. 환경조형물은 건축의 의미로 뿐만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도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공간의 의미와 역할을 바꾸고, 공간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공동주택의 개인성에 대한 문제는 공동주택이 시작된 이래로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외부공동공간의 설계는 공동주택의 교류단절 이라는 단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이다. 그 대안은 단지 그 자리에 있는 조형물이라거나 공간을 장식하기 위한 조형물이 아니라 공간의 성질을 대표하고 만들어가며 공간의 의미를 주민들에게 전달하고 그들의 일상을 변화 시키는 역할을 하는 조형물을 만듦으로서 조형의 형식적 물리적 의미뿐 아니라 예술적 인간적 심리적인 가치에 접근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주민들의 삶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조형물의 설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대상지로 대구시 달서구 공동주택을 선정하여 주거단지 내 환경조형물의 일반적 현황과 조형물 유형 주변 환경과의 조화, 조형물의 형태, 재료, 색채, 규모 등을 분석한 뒤 이러한 조형물의 기본적 의미를 고려하여 커뮤니티와 사회 심리적 의미로 공간의 특징에 맞게 작품을 설계 하였다. 사례 대상지에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맞는 환경조형물을 설계함으로써 공동주택에 적합한 환경조형물의 성격, 설치방향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환경조형물의 역사, 기능, 법안 등을 연구하였고 대안 설계 대상지를 선정하기 위해 대구시 환경조형물의 경향을 사례 조사 하였다. 조사결과는 법안상의 문제, 행정상의 문제, 건설사 위주의 작품 선정, 의무 비용과 법안에 맞추기 위한 억지공사, 예술가의 자질 등의 문제가 있었다. 사례 조사는 2003년 이후 건설된 대구광역시 공동주택의 환경조형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로 달서구의 S아파트를 선정하였다. 연구조사 후 나타난 문제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정된 대상지의 현황과 배치도, 공간 분석에 따른 조형물의 재료, 색상, 형태, 규모를 제시하고 조형물의 컨셉과 테마, 조형물의 전통적 의미와 유래를 반영한 시공방법과 도면을 여러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설계방식에 비해 심리적인 소통의 의미를 계획함으로써 보다 더 적극적인 의미의 조형물과 공간을 만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 설치에 급급한 현 조형물들의 상황을 앞서 주도할 수 있는 조형물을 설계하였으며 이로서 공동주택의 단점을 보완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를 윤택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다시 현 시대는 환경 친화적이며 공동체적인 삶으로 가고 있다. 그에 따라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요구하며 삶의 질에 관한 문제가 공동의 과제가 되었다. 주거환경에 있어서도 아름다움, 미관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름다운 미관의 조성은 삶의 질을 향상 시킬 뿐 아니라 공간의 매력을 향상시켜 그 공간을 즐기게 함으로써 생활을 활성화 시키는 힘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기념비적, 상징적인 소극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간, 문화 창출이라는 적극적인 의미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제도 개선 역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공동의 공간을 만드는 일은 결국 삶을 디자인 하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시의 2003년 이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지는 달서구의 S 아파트 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환경조형물의 영향에 적용 시키는 데에는 일반화에 따른 문제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작품 위주의 실 사례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공공의 미술에 대한 광의의 연구가 아닌 실제 공동 주거공간의 한 사례만을 대상으로 언급하였다. 단지 주거단지 안에서 공유되는 조형물로서 만이 아니라 담장 허물기 사업과 같이 지역주민들과 단지 내 조형물을 공유할 수 있는 범위로 확대된 연구를 제안한다. MS. Thesis A Study on Tendency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Design in Multi-Housing Complex -Centering Environmental Shape Object in S Apartment, DalSeo-gu, DaeGu- Son, Byung-Ki Majoring in Urban Landscape Desig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Health, Yo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Chan-Yong) (Abstract) The architecture is not just existence of real space but is creation of new space tha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art is interactively reflected.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raising the quality of space in space, structure, and psychological part. The environmental plastic art product is not just for ornamenting shape of structure separately but is for creating new space or completing the function in integrative way.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affects people not only in structural meaning but also psychological aspects, and it can change meaning and role of the space and create a new meaning for it. The problem about individuality of multi-housing has been thought as controversial since the start of multi-housing. The group-space is one of the result that came out through the effort to overcome disconnection between residents. The alternative can be suggested when structure can give meaning of space to residents and take a role as changing people's life so that it can provide artistic, humane, and psychologic effect on people. Then it will actively lead residents' life. This research chose multi-housing complex in DalSeo-gu, DaeGu, and analyzed general status, shape, material, color, scale etc.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in the complex. Then based on these basic meaning of the structure, I design the product to be appropriate for features of community and social-psychological meaning. I intended to suggest features, installation guide, etc. that are decent for multi-housing complex by designing structure that harmonizes with goal and method of this research. For this, I researched history, function, bill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and case-studied the trend of structures in DaeGu to select the alternative designing area. Through the research, I found some problems in bill, administration, construction investor oriented structure, forced construction to fit cost and bill, ability of architect. The object of study is environmental shape object that is constructed after 2003 and as a result S apartment in DalSeo-gu has been selected. To minimize the problem that can appear as result of the research, I suggested status, layout drawing of the area and material, color, shape, scale of the structure. Also,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ketch that reflects traditional meaning and origin is provided. The result we got from this research is that we could make more active meaning of structure and space through planning more psychological connection than existing designing method. I design the structure that can lead existing structures so that weak point of multi-housing complex can be overcome and quality of life can be raise. Eventually, local community will prosper. The present age is wanting environmental friendly and communal life. Therefore, it demands spiritual richness, and the quality of life has became a problem of all. Beauty takes important role in residential environment. Making beautiful sights makes better quality of life and has a force to vitalize life by have people enjoy charming space. So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should not stay in its monumental, symbolistic, passive meaning but reborn as active meaning of creation of new space and culture.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has to be carried out. To make common space is to design life. This research might have problem to be generalized because it is only related to multi-housing complex that has constructed after 2003 and the case object was S apartment in DalSeo-gu. So the more case study is needed in the future. Also, this research is just about one actual multi-housing complex, not broad sense of public art. I suggest that we should not limited to structure that is shared in complex but broaden our research to structure that can be shared with local residents such as 'breaking down the fence' project.

      • 풍수지리 인증제도를 위한 풍수지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양택 중심으로

        임선화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Modern eco-friendly houses include the selection of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for indoor air quality, smart facilities that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reen space in residential complex. These architectural plans can not be understood to comply with the order of natural landscape. The architectural plan only pursues convenience while protecting the environment. It is different from the lifestyle that maintains personality formation, healthy growth and health necessary for human being. The problem of modern eco-friendly architecture is that it can not become a space where people can stay for a long time because of lacking analysis of lot for location selection and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energy. In order to meet the genuine order of nature, location selection and architectural planning, which were planned with Feng Shui elements, should be conducted. Feng Shui is the fundamental element that is required the most in the residential space planning, and modern Yangtaek Feng Shui indicator is indispensable for the spread of the right environmental-friendly housing. In order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traditional Feng Shui systematically, it might be possible to institutionalize it by establish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in search of the origin. Therefore, it has an important value to develop the Feng Shui indicator of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for Feng Shui to become a social institution. The development of the indicator for the Feng Shui certification system is intended to induce the construction of the right nature-friendly structure and the improve the modern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 and to establish a new type of architectural plan in which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modern architecture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So the research is necessary to bridge, practicalize and institutionalize the modern and the traditional. According to the first records, Feng Shui has existed as the term 'Sangtaek' since the ancient times, and has continued until the present times while being equipped with an academic system of theory as concepts and methods were established under the empirical experience. Therefore, based on the original text of Feng Shui, the Feng Shui Index and its elements are drawn as common items through the formal logics of Feng Shui, the review of classical literature on inhabitable place, and the preliminary research of the application of it to modern residence. It is divided into the environmental plan such as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by the theory of vitality, the theory of situation, the theory of geomantic aspect, and Bibo theory of the Feng Shui, and the architectural plan such as the analysis of the lot by waterway and geomagnetic field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n the virtual, arrangement, orientation, indoor environment and landscape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evaluation items are presented as a bas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eng Shui Indicator for Feng Shui Certification System. This study differs from the existing Feng Shui indicator in that it includes the eco-friendly element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modern ecological architecture and the ecological elements of social certification system in terms of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modern housing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also significant to require the necessity of lot analysis by the theory of vitality and actively introduce the scientific method. It is a prerequisite and necessary to introduce rather than present the clear Feng Shui indicator of the Feng Shui certification system.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limitations as the planning indicator by constant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the Feng Shui indicator, and to tune main issues so that they could be established as a social system. 현대의 친환경 주택은 실내공기질을 위한 친환경 건축 재료의 선택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스마트한 설비, 주거단지 내의 녹지공간을 포함한다. 이러한 건축계획이 자연경관의 질서를 이해하고 부합된다고 볼 수는 없다. 환경을 보호하면서 편리성을 추구하는 건축 계획일 뿐, 본질적으로 인간에게 필요한 인격 형성과 건강한 성장 그리고 건강함을 유지해 나가는 생활과는 다르다. 현대 친환경 건축의 문제는 입지선정을 위한 대지분석과 기(氣)의 흐름에 의한 공간 구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오랫동안 머무르며 살 수 있는 공간이 되지 못한 경우이다. 진정한 자연의 질서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풍수지리적 요소들로 계획된 입지 선정과 건축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풍수지리는 주거공간 계획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기반 요소이며, 올바른 친환경 주택의 확산을 위해 현대적인 양택 풍수지표가 반드시 필요하다. 전통 풍수지리의 원리가 체계적인 형태로 갖추기 위해서는 그 근원을 찾아 주거 공간 해석을 정립한다면 제도화도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풍수지리가 사회제도화 되기 위한 구체적인 평가기준의 풍수지표 개발은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풍수지리 인증제도를 위한 지표개발은 올바른 자연친화적인 건축물의 건축 유도와 현대 친환경 주거단지의 개선을 위한 것이며, 전통건축과 현대건축이 서로 부합되는 새로운 방식의 건축 계획으로서 확립되고자 한다. 그래서 현대와 전통의 가교 및 실용화와 제도화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이다. 최초의 기록에 따르면 풍수지리학은 ‘상택(相宅)’이라는 용어로 고대 국가 때부터 존재하며, 실증적 경험 하에 개념과 방법이 정립되면서, 학문적 이론의 체계를 갖추고 현재까지 이어져 온 학문이다. 그러므로 풍수지리학 원전(原典)을 기본으로 풍수지리의 형식 논리와 전통 가거지에 대한 고전문헌 고찰 및 현대 주거지로의 적용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공통된 항목으로 풍수지표와 해당 요소를 도출한다. 풍수지리의 생기론, 형세론, 좌향론, 비보론에 의한 입지분석의 환경 계획과 수맥 및 지자기장에 의한 대지분석, 건물의 가상과 배치, 방위, 실내환경, 조경에 관한 공간 구성의 건축계획으로 구분하여 풍수지리 인증제도를 위한 풍수지표 개발의 기초 연구로서 평가항목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기존 풍수지리 지표와 비교시 현대 주거환경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대해 전통건축과 현대 생태건축의 친환경적 요소 및 사회인증제도의 생태학적 요소를 포함하는데 차이를 둔다. 또한 생기론에 의한 대지분석의 필요성과 과학적인 방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부분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풍수지리 인증제도의 명확한 풍수지표를 제시하는 것보다는 도입의 필요성과 선결과제에 해당하는 것이며, 앞으로 지속적인 풍수지표 개발과 통합에 의해 계획지표로서의 한계점을 개선해 나가며 사회제도로서 확립되도록 주요 쟁점들을 조율함이 필요할 것이다.

      • 廢鑛地域의 親環境的인 開發에 關한 硏究 : 聞慶市 廢鑛振興地區 開發事例를 中心으로

        崔錫弘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find the sustainable and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method of abandoned mines, case of the Mungyeong abandoned mine promotion zone. First of all,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related on the development of the abandoned mines, and studied the summary and main policy of the abandoned mine promotion zone in Mungyeong city. Then we analyzed some development cases such as the recovery project of natural environment damaged by the development of mines. We presented the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of abandoned mines based on this analysis. As the development of abandoned mines has been initiated to develop the alternative industry and th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areas, we have to consider not only the development of the area, but also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our research. 1. In choosing the area to be developed, we should choose the area, which has already been damaged by the previous development, so that we can recover the damaged natural environment and achieve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2. By using the site of abandoned area such as the closed school, old road, or riverside area, we should consider the efficient and fine usage the environment. 3. We should focus on the preservation to preserve and increase the opportunity of the next generation. It is the time for the environment-friendly and natural tour. 4. The development always comes with the damage in the environment. We should change our mind of the development from preserving to the creation of the environment. 5. In developing the abandoned mines; we should aim the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by the small-scale development using the natural resources. 6. The tourist trend has been changed from seeing and enjoying to experience. If there is an idea, we should develop the cultural tour event.

      • 中小企業의 環境經營시스템(EMS) 導入 活性化 方案 :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 관계 중심으로

        서권환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 active plan and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import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EMS) for the small-medium sized companies are to cope with the periodical exchanges and needs in business management. This research also theoretically and systematically presents its periodical exchanges and necessity, and present the needs of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all-medium sized companies as a device of introduction of the EMS. This study us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build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and the case study on the domestic and foreign volumes and articles relating to the environmental and business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veal the lack of knowledge, the problem of certification costs and the lack of qualified manpower as the obstacles of import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the small-medium sized company level. This research suggests to followings to activate the importing of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the small-medium sized company level. 1. Small-medium sized companies can be guided to introduce EMS by large companies' activity from enhancement of management towards environment friendly co-companies to policies of manufactur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purchasing policy. 2. Various supports for large companies from the government are required such as engineering fund and tax exemptions. 3. To reduce the times and education expenses which small-medium sized companies are requiring to educate new manpower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it is needed to introduce the education programme in provincial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4. As a institutional leading policy, provision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development of softwares, and publicity activities about the support policy are needed to be enhanced. For the progress of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large and small-medium seized companies, the positive participation and supports are essential. Of course, small-medium companies should meet the demands of the large companies. The activation of EMS among small-medium sized companies will be diffused and developed when they do their bests as the partner for technical enhancement and strategic alli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