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사이버문화와 학습태도, 대인관계 및소비행동과의 관계 연구

        오영희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21st century is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with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hat enables rapid and organized transmission of vast information in the sea of increa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Systematic and well-planned education is essential for successful survival in this information society. As various types of multimedia content on new channels of communication feed our youths with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and programs, the hope for democratic enjoyment of culture is essentially falling apart. Instead, concerns are raised in regards to Internet addiction, lack of interpersonal skills, social isolation, passive consumer culture, and widened generation gap due to Internet culture among the youths who are closely knitted to Internet culture. Thus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cyber culture and youths‘ learning attit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nsumer behaviors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youth culture today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to help their school and social life. For achieving the study objectives, surveys were conducted o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Yeoju and Icheon areas.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majority of the students were very familiar with the Internet as they have started using the Internet since 3 years ago or earlier. The most number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use the Internet between 1 to 4 hours a week on average, and the students were found to use the Internet the most especially in the hours between 9 p.m. and midnight. Almost all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use the Internet at home. Second, the students used the Internet mainly for network games, followed by downloading MP3 files, browsing entertainment and sports information, and browsing educational information. They were also found to be actively involved in e-Commerce, chats, and online communities. The most frequent Internet activities included Cyworld, blogs, and cafes. Third, involvement in cyber culture was found to affect learning interest the most, followed by learning confidence, and usefulness. Decreasing involvement in cyber culture would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the learning attitude of the students. Fourth, involvement in cyber culture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xpressions, soci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roles. In other words, involvement in cyber culture is likely to cultivate hostile and rebellious social culture instead of independent and responsi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are friendly and social in nature. It is possible for such adverse youth culture to develop into negative expressions in many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fth, involvement in cyber culture was found to have adverse effects on pursuing practicality,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pursuit of brands, pursuit of individuality, and pursuit of latest fashion. This shows that development of cyber culture serves as a platform f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ashion and brands in the context of domestic consumer culture. Sixth, involvement in cyber culture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for students whose parents rebuke them when they use the Internet beyond certain length of time. This implies that simply reprimanding the youths based on usage of the Internet would not be effective. Instea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indset of the youths and use appropriate methods to control their involvement in cyber culture.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involvement in cyber culture has adverse effects on learning attitude and practical consumer behaviors, and encourages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a certain extent.

      •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오영희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학교 현장에서 쉽게 볼 수 있는 ADHD 아동들은 교사의 끊임없는 주의와 배려를 필요로 하며 충동적이고 돌발적인 행동은 수업활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고, 친구들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하여 소외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ADHD 아동들의 문제를 예방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일반학교 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며, 문제행동(공격성)의 감소를 위한 중재와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 전략의 모색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 연구는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비디오 자기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중재를 통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친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고양시에 있는 ○○초등학교의 일반학급에 재학중인 ADHD 아동으로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통한 중재를 한 후 교사가 직접 관찰한 표적행동 빈도와 학부모의 평정지, 급우들의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통하여 효과를 측정해 보았다. 이 연구는 기초선(1~3회기), 중재(4~21회기), 유지(22~28회기)의 절차로 진행하였고, 중재는 비디오 자기 모델링과 함께 놀이 시간과 재량 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우리 놀이 지도와 함께 교과 활동과 관련된 주제 탐구 학습과 그리기 및 꾸미기 활동을 연구대상 아동과 급우들에게 함께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마다 행동관찰 10분, 중재 20분이 소요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는 ADHD 아동의 언어적 적대행동(욕설, 놀리기, 고함치기)을 감소시켰다. 둘째,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는 ADHD 아동의 신체적 폭력행동(때리기, 차거나 밀기, 물건 던지기, 마음에 들지 않으면 아무 때나 구토하는 행위)을 감소시켰다. 셋째,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의 효과는 가정과 학교생활에 전이되어 가정에서의 공격적인 행동이 감소되고 급우관계가 개선되었다. 넷째,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는 중재가 종결된 4주 후에도 그 효과가 지속되었다.

      • 자기성장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오영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의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자기성장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개념을 높일 것이다. 가설2. 자기성장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의 하위요인별 자아개념을 높일 것이다. 본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S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집단상담 참여를 희망하는 아동을 공개 모집하여 8명을 실험집단, 8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투입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은 경상북도교육과학연구원(2001)에서 발간한 아름다운 삶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근간으로 하고 이형득(1998)의 자기성장을 위한 학습프로그램과, 이장호, 김정희 (1992)의 '성장집단 훈련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만 1회기부터 10회기까지 1주일에 2회씩 각 60분씩 투입하였으며 실험투입기간은 5주가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 투입된 자기성장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송인섭이 만든 자아개념 진단검사이다.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동질적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사전검사 점수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실험집단에만 자기성장 집단상담프로그램을 투입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자아개념 진단검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사전 사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이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t검증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SPSS 패키지를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모든 가설은 .05수준에서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통제집단 간의 사전 검사에서는 전체학생의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학생의 비중이 높아 여학생과 남학생의 동질성을 분리해서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아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투입한 실험집단과 투입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사후검사에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체자아개념점수가 증가하여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성장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의 하위요인별 자아개념인 일반자아, 학급자아, 가족자아, 사회적 자아, 능력자아, 학업성취자아, 정서적 자아, 신체적 자아에서 사전점수와 사후점수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아동의 자아개념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 자아개념이 싹트는 시기인 초등학교시절에 보다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고 건전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집단상담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부정적인 자아개념의 형성을 막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모든 아동이 집단상담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아동들에게 맞는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자아개념 검사지의 개발 보급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concept by applying a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rmulated hypotheses as below. Hypothesis 1. A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improv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concept. Hypothesis 1. A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improve the sub-fact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concept (general self-concept, class self-concept, academic performance self-concept, abilit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home self-concept, emotional self-concept and physical self-concept). To verify the hypotheses, children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 were openly invited from two fifth-year classes in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the present researcher was working, and a test group with 8 members and a control group with 8 members were formed. The contents of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adopted in the study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by taking as the bas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Beautiful Life' published by the Education & Science Research Institute of Gyeongsangbuk-do (2001) and referring to Lee Hyeong-deuk's (1998) 'Learning Program for self-growth' and Lee Jang-ho & Kim Jeong-hee's (1992) 'Group Training Program for Growth'.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program was applied to the test group twice a week for five weeks, so a total of ten times, and 60 minutes per time. The test tool used in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self-growth program is Song In-seop's Self-Concept Diagnosis Test. The effects of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of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test was carried out using theresults of the preliminary test. Secon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pplied only to the test group, and the self-concept diagnosis test was performed on both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calculated. To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test was carried out using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and posterior tests. SPSS was used in statistical processing and all hypotheses were verified at a significant level of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eliminary test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cause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was larger, the homogeneity of female and that of male studentswere examined separately, and they were proved homogeneous 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osterior test of the test group, to which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pplied,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it was not, showed that the overall self-concept score of the tes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o the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concept. Thir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appeared to result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 of the preliminary test and that of the posterior test in the sub-fact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concept, which are general self-concept, class self-concept, academic performance self-concept, abilit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home self-concept, emotional self-concept and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results as presented above,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progr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ange of children's self-concep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are in their age when their self-concept is sprouting,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programs to foster conditions for developing positive self-concept and living sound life and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negative self-concep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it for children, and to develop and distribute self-concept test sheets.

      •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지도성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비교 연구

        오영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혁신학교의 바람직하고 교육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혁신학교 학교장의 변혁적지도성과 교사효능감 수준이 일반학교와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 또한 두 변수가 교사의 인적구성 특징과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교육의 효과가 단기간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실효성 있는 교육정책으로 평가될 수 있는지를 혁신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를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단위학교가 혁신학교의 정책 방향에 맞추어 바람직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향후 이 정책이 지속적이고 발전적으로 추진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중학교 중 표본으로 7개시에 소재한 혁신학교 9개교와 일반학교 10개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혁신학교 209부, 일반학교 232부 총 441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오혜정(2007)과 김아영?김미진(2004)이 사용한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기술통계 분석, 학교장의 변혁적지도성과 교사효능감의 각 하위변수에 따른 교사의 성별, 교직경력, 직위, 재직학교 구분, 혁신학교 근무기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변혁적지도성에 대한 연구문제의 결과를 요약하면 재직학교 구분에 따라 혁신학교에서 재직하는 교사가 일반학교 교사보다 학교장의 변혁적지도성의 하위변인인 비전제시, 선도적추진성에서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선도적추진성, 개인적 배려, 성과기대에서 학교장의 변혁적지도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경력이 많을수록 비전제시, 개인적 배려에서 학교장의 변혁적지도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와 혁신학교 근무기간에 따른 학교장의 변혁적지도성 지각 수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문제의 결과를 요약하면 재직학교 구분에 따라 교사 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인 과제난이도 선호 요인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경력이 많을수록 자기조절 효능감 요인에서 교사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직위에 따라서는 보직교사가 평교사보다 과제난이도 선호 요인에서 교사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학교 근무기간에 따라서는 교사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고등학교 특수학급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오영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화․세계화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도 국가 간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더욱더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세계 공용어인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이 요구되며, 그에 따른 영어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더욱이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영어교육은 영어라는 언어체계로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독립적인 인격체로 성장하고, 자아존중감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하겠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의 통합교육이 보편화되고 있다. 통합교육이란 장애학생과 비 장애학생이 환경적, 교수적, 사회적 통합을 이루는 것을 의미하는데, 국립 특수교육원(2010)의 특수교육 실태에 따르면,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 수는 79,711명의 특수교육대상자 중 55,767명으로 전체의 70.0%에 이른다. 교사와 학생 모두가 학교에서의 많은 시간을 교과 교육에 투자하고, 또 노력을 다하고 있지만, 영어교과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수업을 받는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영어교과에 대한 실태를 더욱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고등학교에서 특수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고등학교 특수학급 영어교과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고등학교 특수학급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효과적인 영어교과 교육의 개선방안을 살펴보는 데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교과교육 실태조사에서 특수교육대상자의 절반은 영어교과 수업을 받고 있었으며, 대부분이 영어교과를 (부)전공하지 않은 특수교사가 담당하고 있었다. 영어교육을 받는 목적은 교육기회 균등과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위해서라고 답변하였으며, 영어교과가 없는 이유에 대해서는 직업교과와 도구교과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평가는 통합학급과 동일한 평가를 받으며, 영어점수는 학생들의 원점수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교과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영어교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다수로 나타났지만, 모르겠다와 기타의 의견도 상당수 있었다. 일부는 교수학습 시 학생들의 사고수준과 인지능력 부족으로 수업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개선방안으로 수업은 45분 이하로 진행하며, 통합교육이 가능한 내용과 단원은 통합학급에서, 교수적 수정이 필요한 경우는 특수학급으로 나누어 실시해야 하였다. 교재는 학생의 수준에 따른 교과서를 사용하고, 소재는 학생들의 흥미, 인지수준을 고려하여 영어로 된 노래와 게임, 컴퓨터를 활용한 FLASH를 영어 학습 프로그램으로 구성해야 하였다. 더불어 개별수업과 일제수업 방식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며,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는 특수학급 교사 중에 영어를 전공하거나 특수교육을 전공한 파견된 영어교사가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인 영어교과 교육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병원 사이트 컨텐츠와 사이트 체류시간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영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급속하게 양적, 질적 발전을 이루고 있는 인터넷은 이제 우리 생활에서 매우 보편된 물리적 환경일 뿐만 아니라 학업, 직장업무 등 일상생활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는 매체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폭발적인 인터넷 발전은 의료산업에도 큰 영향을 끼쳐 의료소비자가 의료 정보를 인터넷를 통해 얻고 병원을 선택하는 인터넷 의료 서비스 시대를 열었다. 또한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달은 온라인 의료 서비스 질의 향상을 가져왔다. 의료 소비자가 인터넷을 통해 의료 정보를 취득하는 범위가 넓어지고 예전보다 병원 선택에 있어 능동적인 자세를 취하게 되자 병원들은 인터넷 시대의 생존 경쟁에 살아남기 위해 인터넷 마케팅에 뛰어들게 되었다. 그리하여 현재 많은 병원들은 자체적인 병원 사이트를 개설하여 적극적인 인터넷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 사이트의 역할과 병원 사이트에 기재된 컨텐츠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병원 사이트 컨텐츠가 소비자의 구매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파악하는 것이 연구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병원 사이트, 병원 사이트 컨텐츠, 의료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후 이론적 배경의 결과를 토대로 병원 사이트에서 컨텐츠와 소비자의 체류시간이 소비자 구매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 사이트 컨텐츠 특징인 다양성, 유용성, 표현성, 편리성이 체류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서비스 이용형태와 병원 사이트 컨텐츠에 따라 체류시간이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의 검증결과, 전문병원과 일반병원으로 구분되는 의료서비스 제공기관의 형태에 따라 체류시간 차이를 보였다. 의료서비스 이용목적이나 의료서비스의 보험 적용 여부에 따라서는 체류시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사이트 체류시간과 소비자 구매의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를 보면 사이트 체류시간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설문 대상자들의 인터넷 의료정보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병원 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온라인 상담(44.5%)이였고, 병원 사이트 컨텐츠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진료정보 및 효과(35.5%)이었다. In these days, Internet is not only common ommunication service but also giving big information to people in study, office working, and everyday life. Like this, explosive internet evolution gives effect to medical industry. Nowadays customer can get medical informationand pick and choose a hospital by internet. The trend has been giving medical industry developments. Internet gives extending medical information to customers. Therefore, the customersare having active position to choose hospital. Hospital thus is to having its website for internet marketing. This study is to find the influence of hospital website contents on customer’s purchase recognition, while the important of hospital website role is rising. The data of this study has character of medical service and the website contents, purchase acting of medical costumer, and the relations between contents, duration time and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Customer’s duration time depends on variety, availability, expressivity, convenience of contents in hospital website. The second, The result of relation between customer’s type of using medical service and hospital website contentsshows that duration time in website depends on largeness of hospital like clinic and general hospital. It doesn’t depend on purpose of use on hospital and medical insurance. The third, The result of relation between duration time in website and purchase intention shows that duration time gives positive effect to purchase intention The fourth, people who participates in questionnaire survey have using online healthcare consulting (44.5%) at the first in the website service section. And they focus on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and the effect (35.5%) at the first in website contents

      • 기초지반강성을 고려한 철골 건축구조물의 비선형 지진해석

        오영희 목포대학교 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성능에 기초한 내진설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지진 발생시 구조물에 큰 변형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구조물은 비탄성 거동을 하게 된다는 사실을 Loma Prieta(1989), Northridge(1994), Gobe(1995) 지진사례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성능에 기초한 내진설계에서 건축구조물의 비선형 지진응답을 산정하고 내진성능을 평가하는데서 많이 적용하고 있는 해석방법이 비선형 정적해석법이다. 비선형 정적해석법으로 Pushover 해석을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 Pushover 해석은 구조물이 항복한 이후의 동적거동과 하중의 재분배를 고려하여 시스템의 안정한계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인 해석방법이다. Pushover 해석 시 사용되는 정적 횡하중의 분배방법으로는 UBC, ATC 3-06, FEMA-273 등 설계기준에서 제시된 방법들과 1차 모드특성을 고려한 ATC-40의 방법이 있는데 본 연구는 UBC-97에 의한 횡하중 분배방법을 이용하였다. 비탄성 정적해석에는 구조물의 힌지를 한점에 집중시키는 소성힌지법과 영역으로 확장하여 해석하는 소성영역해석법, 구조물의 좌굴 등을 고려하는 고차해석법 등이 있는데 재료의 인성과 구조물의 부정정성을 해석에 반영하여 구조물의 비탄성 거동을 해석하는 소성힌지법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선형 정적해석법인 Pushover 해석법을 이용하여 작용하중의 계속적인 증가로 인해 형성되는 소성힌지와 구조물의 하중-변위 곡선을 비교 검토하였다. 기초지반조건은 암반과 UBC-97의 지반분류에 따른 S_(D)지반에 해당하는 연약지반을 고려하여 지반특성에 따른 구조물의 주기변화와 내진설계기준에서 제시한 반응수정계수의 적정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기초지반강성을 고려한 3, 5, 7층 철골조 건물에 대한 1994년 Northridge E-W 지진기록에 의한 탄성 시간이력지진해석과 Pushover 비탄성 정적해석을 수행하였는데, 지진해석 시 구조물의 철골보 만을 고려하면 구조물의 전체 강성이 과소평가되어 고유주기가 길어지기 때문에 지진해석 시 건물의 바닥 슬래브의 강성을 고려한 합성 철골보에 대한 등가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건물에 대한 시간이력지진해석과 Pushover 비선형 정적해석 결과, 최대지반가속도가 0.11g처럼 중약진이어서 지진해석에 의한 설계밑면전단력이 구조물의 탄성한계밑면전단력 보다 작을 때에는 구조물을 최대 반응수정계수(R)를 사용하여 소성해석하는 것 보다는 탄성해석(R=1)을 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 기초지반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구조물-지반 체계의 고유주기가 길어져 구조물의 변위가 증가하고 설계밑면전단력이 커지기 때문에 기초지반의 비선형성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Seismic responses of a building are affected due to the site soil conditions. In this study, linear time history seismic analysis and nonlinear pushover static seismic analysi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base shear forces of the 3, 5 and 7-story steel structure buildings considering the rigid and soft soil conditions. Foundation soil stiffness based on the Equivalent static stiffness formula is used to the damper, one of the Link element. Base shear forces of steel structure buildings estimated by the time-history analysis using the gener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 of SAP2000 were compared with those calculated by domestic seismic design code, UBC-97 design response spectrum and pushover static nonlinear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steel structure buildings designed for the gravity and wind loads showed the elastic responses with the moderate earthquake of 0.11g, and the elastic soft soil layer increased the displacement and the base shear force of a building due to the soil-structure interaction and the Soil amplification . Therefore it is more resonable to perform an elastic seismic analysis of a building structure with the weak or moderate earthquak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ft soil lay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