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에 대한 공간의 차별적 대응양상 : 제주도 북제주군 납읍초등학교를 사례로

        오영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에 대한 공간의 차별적 대응양상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납읍초등학교를 사례로 정부의 일방적인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에 대하여 지역 공간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난 지역 주민의 대응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현지답사를 병행하였으며, 1991년 분교장 격하 예정이었던 납읍초등학교와 그 지역사회 주민들을 통하여 10년동안 이루어진 학교살리기 운동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학교 통.폐합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농어촌 인구감소와 그로 인한 농어촌학교의 소규모화에서 비롯된다. 교육부는 1982년부터 교육과정의 정상적 운영과 교육재정의 효율적 사용을 목적으로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교육부 운영지침을 토대로 제주도 교육청이 수립한 통.폐합 실행계획에 따라 제주도에서는 모두 47개교가 분교장으로 개편되거나 폐교되었다. 둘째, 전국적으로 실행된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에 대해 납읍리 주민들은 ‘학교살리기 운동’이라는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양상을 보여 주었다. 마을 주민들은 위기를 인식하고 먼저 운동주체인 대책위원회를 구성한 후 학교살리기운동에 주민 전체가 동참하도록 호소하였다. 이어 대책위원회와 납읍초등학교총동창회는 타지역에 거주하는 동문들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전입을 장려하여 학생 수를 확보함으로써 통.폐합을 막아보려 하였으나 성과는 미약하였다. 이들은 다시 마을의 빈집을 수리하고 무상으로 임대해 주어 타지역의 취학 아동을 전입시키면서 학생 수가 일시적으로 늘어나 학교는 통·폐합을 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마을 주민들은 보다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함을 절감하고 6년여 동안 10억 원이 넘는 기금을 조성하여 전입자용 공동주택 3동을 건립, 무상 임대해 줌으로써 지역공동체운동을 성공으로 이끌게 된 것이다. 학교살리기운동은 단순히 납읍초등학교의 통·폐합을 막아냈다는 의미를 넘어서 주민들에게 마을의 긍지와 자존심을 지킬 수 있게 되었다는 자긍심과 함께 미약해져가던 지역공동체 의식을 다시 한번 강화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셋째, 납읍초등학교살리기 운동의 성공요인으로는 반촌의식에 기초한 사회 문화적 환경, 자생단체의 강한 조직력과 리더들의 적극적 역할, 주민들의 강한 의지와 민주적 의사 결정과정, 지원 가능한 인적 요소와 경제적 기반, 제주시와의 인접성, 행정기관과 언론기관의 우호적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요인들은 납읍리만이 가지고 있는 ‘공간성’(spatiality)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에 대한 납읍리 주민들의 차별적 대응이라는 가시적인 양상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통·폐합 기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 수만을 고려한 단일 기준안을 획일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대상 학교의 역사성과 지역사회 속에서 학교의 역할과 의미, 학교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와 애착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지역의 특성에 적절하고 유연한 기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통·폐합 정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도 지역 주민들의 참여권과 선택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교육부가 일방적, 하향적으로 통·폐합을 집행하려 할 것이 아니라, 최소한 공청회나 각종 토론회 등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주민들의 공감을 확산시키는 공론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론화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은 단순한 방청객이나 설득 대상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의견과 입장을 개진하는 중요한 주체로 인정되어야 하며, 최종적인 선택권 역시 지역 주민들에게 주어져야 한다. 셋째, 정부 부처간 유기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수립이 요구된다. ’90년대 이후 농림부는 ‘돌아오는 농어촌 만들기’ 사업에 42조원이라는 막대한 국가 예산을 투입하여 농촌인구부양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반면, 교육부는 농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정책을 강행하여 농촌인구유출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정부 부처간 상호 모순된 지역정책은 엄청난 국가 예산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정책의 신뢰도를 추락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끝으로, 장기적 안목으로 볼 때 농촌 지역의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특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농어촌과 농어촌 학교를 위한 재정적 지원과 법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농어촌교육특별법’이나 ‘농어촌 소규모 학교 지원법’ 등을 제정하여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농어촌 학교교육의 활성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농어촌 마을 지키기와 학교 지키기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 농어촌 지역주민들에게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교육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 제시되길 바라며,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 대한 우선적인 지원과 육성 방안을 마련하여 파행으로 치닫는 교육현실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는데 본 연구가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problems arising from the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concerning the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while examining locally different responses to the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as a case study. It includes a critical review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o suggest some future implications based on document study and field study, keeping track of a ten year campaign by local residents to preserve Nab-Eup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ewol-eup, Bukjeju-gun, Jejudo. The school was supposed to be downgraded in 1991 to a branch schoo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of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derive from population decrease and reduction of school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Since 1982,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romoted the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for the purpose of adequate management of its curriculums and efficient operation of educational budget. There have been 47 elementary schools either abolished or downgraded to branch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Jeju Education Office's policy of abolition and amalgama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s administrative guides. 2. In their response to the policies on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Nabeup-ri residents' campaign to preserve their local elementary school started with leadership organization and promoting and creating public opinions. They recognized the crisis and appealed to the whole residential community to join the campaign in order to preserve the school while forming an emergency commission. At first, the commission and the general alumni association encouraged the graduates to move back in with their children in vain. The next step they took was to repair vacant houses and offer free rent to attract children from other residential communities. With new occupants moving in,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d temporarily and the school could avoid abolition and amalgamation. Local residents, however, identified the need for more stable long-term plans and took initiatives. For over six years, after all, they made a sucess case of a local community campaign by raising 1 billion won and building town houses with free rent. They successfully attracted households with elementary schoolers and eventually preserved their school and kept their pride. 3. The success factors of the campaign can be attributed to the social-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local residents' traditional class identity as gentlemanship, strong organization power of voluntary groups, leaders' active roles, residents' strong will and democratic process of decision-making, human resources for support and economic base, adjacent location to the City of Jeju, and favorable support from the local administrations and mass media. These factors can be accounted for as special localities, and led to their different response to policies on small school abolition and amalgamation which are being applied uniformly across local areas. According to the above findings, this thesis suggests future implications for the policies on small school abolition and amalgamation as follows: (1) provision of a variety of abolition and amalgamation plans reflecting local specifics, (2) guarantee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election, (3) making consistent policies agreed by administrative authorities concerned and (4) consider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of communities and principles of equity. Still, it is hard to deny the need for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mall schools. But it is necessary to have practical discussions and reviews to prevent procedural problems arising from hasty enforcement of administrative policies and to be equipped with appropriate diagnosis of and alternatives to reduce their adverse effect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e case study conducted for this dissertation. First, Nab-Eup Elementary School's preservation is largely indebted to special locality Nab-Eup residents possess, and thus their school district is maintained as a kind of administrative divisions accordingly. Second, what is in need for resident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re not the policies of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schools, but those of support and assistance for small schools. Third, from a long-term view, rural areas should be considered with a special system for education. That is to say, to guarantee financial and legal support for farming villages and their schools, required are legislation of ‘special education law for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supportive law for small school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Lastly, this thesis concludes that new alternatives are presented to provide stable education for residents in rural areas which tend to suffer the double burden of preservation of their own towns and their school. Hopefully, this study opens a new page for the reality of education in small schools in crippled operation which is in need of prior support and long-term aid plans.

      • 종업원 소속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종업원 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왕, 영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566

        급속한 사회적 발전에 따라 현대인들의 인생관과 가치관이 발전되어 직장생활에서 현대인들이 기성세대보다 훨씬 더 많은 지식과 자신감, 높은 자율성과 참여 의도를 보이며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서 자신의 장점이나 역량을 들어내어 스스로 고차원적인 요구를 만족시키려고 한다. 하지만 실제 대부분 기업들은 이러한 발전에 따라가지 못 해 참여적인 관리구조가 아직 상당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다양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우울증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소속감은 우울증을 예측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지표로 검증되었고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높은 직무만족이 높은 조직성과로 이어지는 것과 높은 소속감이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등 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전제하에서 높은 수준의소속감은 높은 참여와 직무만족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조직성과와 종업원 정신적인 건강을 높인다는 것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종업원의 소속감이 어떻게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참여가 종업원 소속감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본연구의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립 변수인 소속감이 매개변수인 참여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에 모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는 소속감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으로 또는 실무적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지고 제안할 수 있다. 첫째, 실무적 차원에서는 높은 직무만족이 높은 조직성과로 이어지는 것과 높은 소속감이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등 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전제하에 높은 수준의 소속감이 높은 참여와 직무만족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조직성과와 종업원 정신적인 건강을 높인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종업원들에게 소속감과 참여를 높일 수 있는 관리차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종업원이 스스로 귀속감과 직무만족을 갖도록 나름대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참여적 시스템이 직무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과 팀워크와 정보공유는 참여적 시스템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하고 있는 것을 도출함으로써 현대 사람들이 예전 사람보다 훨씬 더 자심감이 강하고 자신의 장점을 들어내고 싶은 욕망과 이를 만족시키지 못 하고 있는 경영관리 간의 갭을 메우는 데에서도 실무적인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셋째, 중국 현재 직장중견인 80,90후들의 성격과 직무에 대한 태도 및 중국기업의 현황과 문제점, 또한 뉴미디어 시대의 경영참여가 직면하는 도전과 기회에 대한 고찰에 바탕하여 중국에서 기업성장을 꿈꾸고 있는 외자 기업들에게 인적자원 관리하는 데 이론적인 근거와 건설적인 조언을 제시하였다. 넷째, 학문적 차원에서는 종업원의 정신적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소속감과 조직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참여와 직무만족을 서로 연결시키는 데에 시사점이 있다. 조직성과에만 집중하는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 종업원의 정신적 건강과 조직성과를 같이 높이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윈윈의 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이 있다. 개인적 정신건강과 조직성과를 연결시켜 연구하는 것은 새로운 연구시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몽학교재 『삼자경』분석을 통한 현대 중국 유아교육적 의미 탐색

        송, 영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566

        본 연구는 중국 전통사회에서 어린 아이의 교육을 위하여 애용되었던 몽학교재 『삼자경』을 중심으로 하여 『삼자경』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속에 담고 있는 교육관을 분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삼자경』은 현대 중국 유아교육적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몽학교재 『삼자경』의 내용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몽학교재 『삼자경』에 나타난 교육관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선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ree-character- classics』 for children’s schooling, which has been used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in Chinese traditional society, and analyze its educational view so that the meaning of 『Three-character-classic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be found in the modern Chinese infant education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are the basic content components of 『Three-character-classics』? 2. What is the educational view that appears in the 『Three-character-classics』? This study proceeds with literature research method. First, we review the contents of 『Three-character-classics』. As 『Three-character-classics』 has been published in several versions, I review and analyze 『Three-character- classics』 that published by Li Ming and Li Hing (1992). Specifically, I repeatedly read the original texts and afterwards extract the topics and articles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 Then, we analyze and organize the supplement part which is base on the 『Three-character-classics』 individually written by Li Ming and Li Hing, Han SangDuk, and Liu Zaiyong. I read carefully the resulting data for th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by components on the criteria of analysis. Finally, the classified contents are interpreted. The results of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divide 『Three-character-classics』 into five parts in order to explore the contents of 『Three-character-classics』: humanity education, common knowledge about specialty, scripture introduction and reading system, history education and case study. Second, I examine its four parts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 view in 『Three-character-classics』: perspective on children, educational purpose, attitude of learning, roles of parent and teach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conclude 『Three-character-classics』 and children's schooling has timeless educational view and thus I tried to develop the modern education by analyzing it in the modern sense and understa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ree-character-classics』. Therefore, 『Three-character-classics』 must be meaningful in the humanistic education. Also, it helps to make infants have interest in history culture, which infants can’t experience directly, and develop into the formation of his/her identity In addition, 『Three-character-classics』 contributes to building the historical thinking and judgement as well as attaining the desired historical view and attitude. The final implication of 『Three-character-classics』 is that 『Three-character-classics』 has the modern meaning of parent’s role in the infant education. While emphasizing the parents leading to educating their infant, 『Three-character-classics』 stresses and specifies the roles and results of parent. According to 『Three-character-classics』, it has modern meanings in the infant education; therefore, the family is the social environment infants experience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and thus parents must be the first factor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character, behavior, lear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human relation perspective and values of their infants.

      • 대심도 지하역사 화재안전성 향상을 위한 환기설비 최적 운영 방안 연구

        영매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327

        지하 철도의 노선이 증가함에 따라 지하역사의 심도(深度)가 더욱 깊어지고, 이로 인해 화재 시 피난자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므로 인명피해가 더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역사에서 열차 화재 시 화재안정성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환기설비의 운전모드를 조합하여 전산유체해석(CFD)을 통해 제연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화재 시나리오 3개와 제연 시나리오 25개가 조합된 총 75개 시나리오를 전산유체해석(CFD)을 통해 온도, 매연(Soot) 농도, CO 농도에 따른 인명피해 기준을 고려하여 허용안전피난시간(ASET)을 계산하였고 화재안전성 향상을 위한 환기설비의 최적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석결과를 토대로 지하역사 열차 화재 시 굴뚝 효과(Stack effect)가 발생하였다. 정거장 운전모드(Mode_Station)의 제연풍량이 크기 때문에 터널 운전모드(Mode_Tunnel)보다 제연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거장에서 급기가압하여 화재 연기가 승강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터널 환기설비를 이용하여 제연하는 방식이 기존의 방식보다 화재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재 차량 위치에 따라 끝단 차량 화재의 경우 터널에 있는 환기구 팬(TVF)을 이용하여 화재 차량과 가까운 환기구에서 배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제연효과로 나타났고, 중앙 차량 화재의 경우 터널의 환기구 팬(TVF)을 이용하는 것보다 정거장 공조설비(SVR)를 이용하여 전체 급기하거나 또는, 승강장에서 배기, 대합실에서 급기하는 조합이 제연에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underground railway lines, the depth of underground station is getting deeper and deeper. In the event of a fire, more casualties are expected to occur as the route of evacuation is extended. In this study, the operation modes of various ventilation facilities are combined to improve the fire stability in the event of a train-fired in underground station. The 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 of a total of 75 scenarios combined with 3 fire scenarios and 25 smoke-control scenarios was calculated considering the criteria for human casualties according to temperature, Soot concentration, and CO concentration through the CFD. The smoke-control effects of 75 scenario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esent the optimal operation plan of ventilation facilities for fire safety improve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stack effect occurred during the train-fired in the underground station. Due to the larger amount of ventilation of Mode_Station, it has been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smoke-control effect than the Mode_Tunnel. The method of preventing fire smoke flow into the platform by supplying air from the station and smoke-control using tunnel ventilation system can improve the fire safety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ire vehicle, the most efficient smoke-control effect was to use the Tunnel Ventilation Fan (TVF) to exhausted air where the fan was closed to the fire vehicle. In the case of a central vehicle fi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supplied air using the Station Ventilation of Registers (SVR) or exhausted air in platform and supplied air in waiting room was more efficient on the smoke-control effect than using the Tunnel Ventilation Fan (TVF).

      • 양파추출물의 첨가가 감자의 효소적 갈변에 미치는 영향

        영매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311

        천연식품으로부터 새로운 감자의 효소적 갈변의 방지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양파추출물의 감자 polyphenol oxidase(PPO, o-diphenol: O2 oxidoreductase, EC 1.10.3.1)의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양파추출물을 첨가한 감자는 갈변이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저하되었다. 그리고 신선한 양파추출물의 갈변저해 효과보다 열처리한 양파추출물의 갈변저해 효과가 현저하였다. 온도를 달리하여 열처리한 양파추출물의 갈변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처리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감자의 갈변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이는 열처리된 양파추출물이 감자의 PPO 활성을 저하시킴에 기인하였다. 투석한 양파추출물의 갈변저해효과는 투석전의 양파추출물의 갈변저해효과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이는 양파추출물에 존재하는 항갈변효소가 저분자물질로 추정되었다. pH가 높아짐에 따라 감자 PPO에 대한 저해효과는 저하되었다. 그리고 양파추출물의 사용한 기질에 관계없이 열처리한 양파추출물의 감자 PPO에 대한 저해효과가 높았다. 열처리한 양파추출물이 감자의 갈변저해효과가 큰 양상은 여전히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양파추출물은 감자 PPO에 대하여 비경쟁저해를 나타내었다. K_(m)치는 1.25 ㎎/㎖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inhibition of polyphenol oxidase from potato by onion. Potato was added 0.2M catechol as substrate, then dipping water, fresh onion extract. In result, dipping fresh onion extract effects of anti-browning higher than dipping water. The effect of various chemicals, fresh onion extract and heated onion extract on anti-browning from potato PPO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Dipping in potassium sorbate, citric acid, ascorbic acid have small anti-browning effect, but dipping in sodium pyrosulfate have large anti-browning effect. And the anti-browning effect of heated onion extract is superior to fresh onion extract. The effect of various on temperature onion on anti-browning from potato PPO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high temperature, the anti-browning effect is distinguished. It means potato's browning is inhibited that much. Reacted by heated onion extract crudely is inhibited PPO's activities, with a witness. But according to dilution, inhibition degree is week. The inhibitory activity of onion extract was decreased after dialysis. The effects of buffer solution's pH on the browning of PPO extracted from potato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alkalinize, the inhibitory activity of onion extract was decreased. The effects of substrate as catechol, 4-methylcatechol, resocinol, chlorogenic acid on the browning of PPO extracted from potato were investigated. It assume an aspect of the anti-browning effect of heated onion extract is superior to fresh onion extract. The effects of substrate concentration on the browning of PPO extracted from potato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at non-competition inhibitory by scheme Lineweaver-Burk plot. And the value of K_(m) is 1.25.

      • 한국영화광고에 나타난 조형요소 표현에 관한 연구 :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영매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311

        영화는 인간의 시각적인 면에 초점을 맞춘 혁신적인 발명이었으며 영상을 통한 예술적인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주었다. 영화의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대중들에게 보여주고 동시에 관심을 끄는 것이기 때문에 대중에게 접근할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영화는 관람 상영기간이 짧기 때문에 광고 또한 비교적 단기에 집중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를 홍보하는 데 있어 광고에서 보여지는 요소들은 관객으로 하여금 그 영화를 볼 것인가 아닌가를 결정토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고에서 표현되어지는 여러 가지 조형 요소들이 소비자들에게 강한 호기심과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각 매체의 광고 표현에 있어서 문제점을 파악해 보고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본 논문에서 각 매체의 조형요소를 레이아웃, 그림·사진, 색채, 문자로 분류하여 그 경향을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각 매체의 레이아웃 분석 결과 카피가 중앙상단에, 메인타이틀이 중앙하단에 위치한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고정된 틀 안에서의 표현보다는 다양한 각도의 시도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여백의 활용에 있어서 화면의 어딘가를 늘 무엇인가로 채워야 한다는 생각때문에 공간미를 살리지 못해 주목성이 떨어지는 작품들이 많이 나타났다. 영화광고에서 비주얼의 표현유형은 사진중심이며, 영화의 표현 내용으로는 영화의 컨셉보다는 BIG STAR중심으로 초점이 맞춰져 차별성이 없어 대중들의 시션을 끌어내는 작품이 부족하다. 인물 중심의 상업적인 면에 치우치기보다는 영화가 가지는 예술적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전달함에 있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영화타이틀명의 색상에 있어서는 검정색과 흰색에 너무 편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색상 선택에 있어 영화의 분위기에 맞게 선택해야 할 것이다. 문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활자체의 사용보다는 장식체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다른 조형요소에 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장식체의 경우 영화의 이미지를 표현하기에는 효과적이지만 가독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영화광고는 영화홍보와 관객동원을 위해서 상당히 중요한 요소이다. 영화 흥행의 성패는 몇 주만에 판가름이 나기 때문에 광고의 신선한 이미지와 아이디어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 영화 광고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위해 조형 요소의 다양하고 독창적인 표현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Movies were the innovative invention focused on the visual aspect of human being, and opened a new age of artistic communication through images. As the ultimate aim of movies is to be shown to the mass public and at the same time to attract their attentions, it is necessary for movies to publicly inform so as to approach the mass public. As the showing period of movie is short, its advertisement is also short-termed and intensive. Therefore, the factors which can be seen in public information of movi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for movie audiences whether to watch the movie or not. Thus, I think it is necessary for various formative factors represented on advertisement to grasp the problem in the advertisement presentation of each media and try variously in order to induce a strong curiosity and interest.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having analyzed the trend by classifying the formative factors of each media into picture&photo, color, letter, is to suggest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the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each media layout, there were the most cases that copy is located at central upper part, and main title is located at central lower part. I think the trial of various angle is necessary rather than the presentation in fixed from. As for the utilization of blank space, there were many works which do not have a spatial beauty and are not attentive owing to the thought that the blank should be filled with something. As the presentation type of visual in movie advertising is oriented to a picture and the presentation content of the movie is focused on a big star rather than on the concept of the movie thus it is lack of distinctiveness, so there are not many works attracting public gaze. I think many efforts are necessary in visually transmitting the artistic image movie has rather than to be biased on the commercial aspect of character-oriented. As for the color of the movie title, it can be shown that black and white are too frequently used. The color of title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movie. As for the letter, the utilization degree of decoration style was higher than that of printing style. it means that more various trial was made than any other formative factors. Though the decoration style is effective in representing the image of movie, it is not legible. The movie advertisement is a much important factor for the movie public information and the audience mobilization. As the success or failure of movie is determined with a few week, the refresh image and idea of advertisement is required. Thus, various and original presentation of formative factor should be tried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Korean movie advertisement design.

      • 湯顯祖 <<牧丹亭>> 硏究

        영매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1311

        本稿는 明代湯顯祖(1550∼1616)의 四夢중에서 가장 대표 작품인 《牡丹亭》을 희곡의 일반적인 특성들과 관련하여 분석하고 작품성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탕현조는 중국희곡, 특히 明傳奇 작가 중에서 가장 걸출한 작가로 그의 영향력은 명청대의 애정극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四夢'으로 불려지는 《紫記》《牡丹亭》《南柯記》《邯鄲記》는 서로 다른 주제를 갖고 있지만 그 구성은 모두 '꿈'으로 되어 있다. 앞의 두 작품이 愛情劇이라면, 뒤의 두 작품은 작가 자신도 '二夢'이라 분별하여 부르고 있는 것처럼 佛敎와 道敎적인 색채가 농후한 작품이다. 이런 작품의 경향에서도 알 수 있듯이 탕현조는 어느 한 종교나 사상에 얽매이지 않고 비교적 자유로웠으며 그의 交友또한 광범위하였다. 湯顯祖는 희곡작품을 학문과 문학의 연장선상에서 詩文을 창작하는 태도로 창작하였으며, 희곡을 시문과 동등한 위치에 두고 있다. 또한 '정 때문에 꿈이 생기고, 꿈 때문에 戱劇이 생긴다(因情成夢, 因夢成戱)'라는 말로 그의 희곡관이 대표되는데, 그의 모든 문학의 출발점은 바로 '情'에서 시작된다. 그의 이러한 '至情'이 가장 잘 표현된 것이 《牡丹亭》이라 할 수 있다. 《牡丹亭》은 탕현조의 '四夢'이 모두 그렇듯이 순수창작물은 아니고, 話本소설인 《杜麗娘慕色還魂》을 藍本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작가는 '還魂'의 모티브에, 독특한 언어의 기교로 자신의 사상과 풍부한 상상력을 동원하여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는 문학성높은 장편희곡을 창작해 내었다. 일반적으로 희곡의 3요소를 構成·人物·言語라고 한다. 우리가 희곡작품을 피륙으로 비유해 볼 때 構成인 날줄과 登場人物인 씨줄, 그리고 이 구성과 인물을 아름답게 짜주는 재료인 실을 言語라고 볼 수 있다. 이 중 어느 한가지라도 부족해서는 안된다. 그런데 《牡丹亭》은 세 가지의 요구조건을 當時는 물론이고 현재의 잣대로 볼 때도 손색없이 충족시켜주는 희곡작품이라 할 수 있다. 構成에 있어서는 주제인 '至情'을 표현하기 위해서, 줄거리가 되는 縱으로는 '虛'와 '實'의 두 선상에서 劇情을 전개시켜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虛와 實의 기법은 情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현실에서 불가능한 것을 虛인 꿈·죽음·冥界·靈魂을 빌려 해결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하고 있다. 희곡에서의 虛實의 중요성은 희곡이론가인 王驥德은 물론이고 謝肇, 胡應麟도 힘주어 말한 바 있다. 또한 일본의 죠루리(淨瑠璃)작가 치카마쓰 몬자에몽(近松門左衛門) 역시 "虛實皮膜論"에서 연극에서의 허실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있다. 또한 《牡丹亭》에 사용된 合唱은 형태에 있어서는 서양의 코러스와 다르지만 그 성격에서는 유사한 점이 많다. 즉 연극이 등장 인물의 대화를 통해서만 사건의 전개 진행을 표출할 수 있다고 하는 제한된 발표기능을 보충해 주는 '소설의 地文'과 같은 역할을 해주는 것으로, 특히 합창은 연극을 한층 예술성으로 접근시키고, 문학으로서의 다양성, 즉 종합예술의 면모를 浮刻시키는 장식성이 강한 형태다. 이런 합창의 사용은 탕현조의 작품이 읽기위한 작품만이 아니고, 탕현조가 무대지향성을 위해 노력한 흔적을 볼 수 있는 증거가 된다. 이와 같은 특성은 서양의 전통희곡의 예와도 비교연구될 수 있는 부분이다. 등장인물에 있어서는 '理'와 '情' 두 線上에서 전개되고 있다. '情'을 실현하기 위해선 주인공 杜麗娘이 있고, 그 선상에는 春香과 石道姑가 있으며, 이들은 杜麗娘의 '至情'을 위해 많은 도움을 준다. 이 '情'을 억압하고 압박하는 '理'를 대표하는 인물로는 杜寶와 陳最良이 있다. 이들과의 충돌과 갈등은 곧 '理'와 '情'의 갈등이며, 전통과 반전통의 대립이다. 등장 인물 중 가장 특이한 石道姑는 전 작품 구성상 빼놓을 수 없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 情의 실현을 위해 반전통으로 일관된 인물이다. 言語에 있어서 《牡丹亭》은 曲文·詩文·臺詞로 구성되어 있다. 曲文의 세련되고 정련된 아름다움은 情景交融과 雲雨之情을 가장 잘 묘사하고 있다. 적재적소에 사용된 풍부한 詩文상식과 下場詩에서의 集唐의 사용은 각 마다 그 □의 요점을 잘 말해주고 있다. 특히 《千字文》의 Parody에서 탕현조의 해박한 지식과 언어유희를 찾아볼 수 있다. 諧音·諧謔·猥褻로 대표되는 대사는 精練된 曲文과는 전혀 다른 느낌으로 《牡丹亭》에 雅와 俗의 다양성이 함께 공존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牡丹亭》의 작품성은 희곡의 3요소를 잘 운용하여 작가가 추구하는 '至情'을 표출해내고 있으며 희곡문학의 진수를 보여준다. 明代湯顯祖(1550∼1616)的'四夢'當中最具代表性的《牡丹亭》是戱曲史上一奇□. 本論文的目的是在《牡丹亭》中出戱曲的一般規律和特征, 幷進行全盤性的分析, 也想窺視湯顯祖和《牡丹亭》的特殊風貌. 湯顯祖在中國戱曲史上占有極高的地位, 尤其在明傳奇作家中是最傑出的一位. 他對明淸代的愛情劇有一定的影響被稱之爲'四夢'的《紫□記》, 《牡丹亭》, 《南柯記》, 《邯鄲記》都有着不同的主題, 但此'四夢'都是由'夢'的結構構成的前兩部作品是才子佳人的愛情劇, 而后兩者是佛敎和道敎色彩濃厚的作品, 故湯顯祖自己又分稱爲'二夢'. 從這些作品的內容我們可以看到, 湯顯祖不拘束特定的宗敎和思潮, 他的思想比一般人較自由, 他的交流也廣泛. 湯顯祖的戱曲創作態度不是'以文爲戱', 而是在詩文創作的延長線上做的. 換句話說, 湯顯祖把戱曲和詩文放在同等的地位上. 他的"因情成夢, 因夢成戱", "意趣神色"代表了他的戱曲觀, 也是他的創作理念. 他所有的文學作品發點就是'情', 而他的'至情'表現得最突出的正是《牡丹亭》. 湯顯祖的'四夢'都有藍本. 《牡丹亭》也不例外, □不是純粹的創作物, 其藍本是話本《杜麗娘慕色還魂》. 而作家在'還魂'的動機(motive)上, 使用了他獨特的語言技巧, 又以自己富的思想和想像力來反映出當時的社會衆相, 描寫出靑春男女超越生死的愛情, 創作出了文學性極高的長篇戱曲. 衆所周知, 戱曲的三大要素爲結構, 人物和語言. 如果把一部戱曲作品比作是一件織物品, 那□貫通縱的經線就是結構, 穿越橫的緯線就是各人物的思想, 結構和人物交織的絲線就是語言用這樣的觀點來看《牡丹亭》, 不僅只是明代, 就是用現在的標准來衡量, 也毫不遜色地滿足了此三大要素的條件. 在結構方面, 爲了表現出主題'至情',, 作家在縱線上, 以'虛'和'實'兩條線來展開劇情. 他之所以運用'虛和實'的技巧, 是因爲追求'眞情'在現實上是不可能的事, 于是作家借夢,死亡,冥界,靈魂的虛來解決矛盾--情和理的問題. 關于在戱曲里虛實的重要性, 戱曲理論家王驥德早就提出過. 此外謝肇胡, 應麟也大力提倡戱曲的虛實論. 同時日本著名的淨瑠璃作家近松門左衛門的"虛實皮膜論"更値得注意. 《牡丹亭》里使用的'合唱'形態, 雖然與西方的合唱(chorus)不同, 但們在性質上又有類似點一般來說, 戱劇的情節只通過登場人物的對話展開. 但有合唱的揷入, 突破了這個限制, 在補充劇情展開方面, 這合唱好比'小說的地文'的作用. 合唱的使用把戱曲更拉近到綜合藝術作品中, 更强調綜合藝術的面貌. 從合唱的使用可知湯顯祖的作品不只是前人所說的'案頭之品', 還可看出湯顯祖爲了舞台上的演出是費盡了心血的. 人物的描寫方面, 從'理'和'情'兩條線上展開. '理'這條線上有杜寶,陳最良,' 情'這條線上有爲實現'情'而不顧一切的杜麗娘, 有幇助杜麗娘的春香和石道姑. 這三個女性追求的'至情'一直被代表理'的杜寶限制,壓迫. 所以與杜寶的矛盾和衝突, 可以說是'理'和'情'的矛, 盾傳統和反傳統的對立. 角色當中最獨特的人物要算石道姑了, 是作品結構上不可缺少的角色. □扮演着始終爲了實現'情'的反傳統人物. 在言語方面, 《牡丹亭》以曲文詩文,臺詞構成. 曲文細致,精煉美麗, 長于情景交融和雲雨之情的描寫. 使用適當的富的詩文常識以及下場詩里運用的集唐, 不僅符合各戱的內容, 而且摘要出各的要點尤其是《千字文》的諷刺詩文(Parody), 體現了湯顯祖語言知識廣博, 組織語言游刃有余. 以諧音,諧謔,猥褻爲代表的臺詞和精練細致的曲文逈然不同. 使我們眞正體會到王驥德所說的《牡丹亭》里共存着淺深,濃淡,雅俗共賞的多樣性的風貌. 《牡丹亭》巧妙運用了戱曲三大要素,表現出作家追究的'至情', 讓后代人觀賞到了戱曲文學的眞髓, 不愧爲一部不朽的傑出作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