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고모델에 대한 선호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오영교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언론정보학과 광고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모델에 대한 선호도가 광고 반응의 차의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하이더의 균형이론을 바탕으로 이와 같은 심리적 불균형 상태가 발생할 소비자의 광고보델 태도 및 브랜드 태도에 어떤 변화가 발생할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소비자는 중국 소비자와 비교하여 광고모델에 대한 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대한 태도가 불확실성 회피 성향에 대한 변화가 없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광고모델에 대한 태도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두 국가간의 문화 차이에서 발생하지 않은 것을 파악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advertising preferences for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models. In this study, based on Heider 's equilibrium theory, we tried to find out what kind of changes might occur in consumer' s attitude and brand attitude of psychological unbal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ttitude toward the ad model and the attitudes toward the brand attitude did not change the tendency of avoiding uncertain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uld find a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Korean and Chinese advertising models, and we can see that these differences did not occur in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 잠재계층 분석방법을 적용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유형분석

        오영교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징과 유형별 구직활동의 차이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진로준비행동을 묻는 문항들에 대한 응답패턴에 따라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몇 개의 최적화된 유형(잠재계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나아가, 분류된 유형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 배경, 진로성숙도, 구직관련활동 등 관련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으며, 분류 유형에 따라 실제 구직활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진로준비행동을 진로도구 준비행동과 진로목표 달성노력으로 구분하고, 2014년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8차년도 대학(원)생 36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대학생의 진로도구 준비행동은 응답패턴에 따라 ‘추가형(well-equipped type)’, ‘기존형(half-equipped type)’, ‘미비형(ill-equipped type)’으로, 진로목표 달성노력은 ‘인적 관계망형(human network type)’, ‘독자 노력형(self-help effort type)’, 그리고 ‘무기력형(helpless type)’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 3-STEP방식을 이용하여 분류 유형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진로도구 준비행동에 따른 유형 분류에는 성별, 학교성적, 진로관심, 진로지도 및 상담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여자 대학생은 기본형이나 미비형 집단보다는 추가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미비형 집단보다는 추가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고, 진로관심이 높은 학생이 추가형 집단보다는 미비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고, 진로지도와 상담경험이 있는 학생은 기본형 집단보다는 추가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진로목표 달성노력에 따른 유형 분류에는 성별, 연령, 시험준비 경험, 진로지도 및 상담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이 인적 관계망형보다는 독자노력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인적 관계망형보다는 독자 노력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시험준비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은 무기력보다는 독자 노력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고, 인적 관계망형 집단보다는 독자 노력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지도와 상담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은 인적 관계망형 집단보다는 무기력형이나 독자노력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끝으로, 분류된 집단별로 실제 구직활동 여부를 비교한 결과, 진로도구 준비행동의 경우, 추가형이 미비형 집단보다 구직활동을 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진로목표 달성노력의 경우는 인적 관계망 집단과 독자 노력형 집단이 무기력형 집단보다 구직활동을 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여자 대학생은 남자 대학생보다 더 열심히 진로관련 도구를 준비하는 추가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고, 추가형 집단이 미비형보다 더 활발히 구직활동에 나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들이 진로목표 달성 과정에서 나이가 들어가고, 시험준비 경험이 있고, 진로지도와 상담 경험이 있으면 구직활동을 할 때 무기력하게 포기하는 무기력형 집단보다는 자기 스스로의 힘으로 취업준비를 하는 독자노력형 집단에 속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집단별 진로준비행동 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원 프로그램 및 정책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nd to test its relationship with job-seeking activities and individual backgrounds on determining latent class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s,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Youth Panel(YP) data.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latent class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uman network type’, ‘self-help effort type’, ‘helpless type’ for efforts to attain career goal. Nex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evance of the classification groups and related variables, the variables affecting group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areer goal attaining efforts were age and test preparation experience. Increasing age means higher likely belong to the self-help effort type rather than the human network type and college students with test preparation experience are likely to be in the self-help effort type, rather than helpless type and self-help effort type rather than the human network type, respectively. Finally, the results of comparing whether the actual job search activity differs by classified groups, human network and self-help types are more likely to do job search than helpless type. When these findings are taken together, it appear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are more preparing career-related tools than male college students and actually more active in looking for job. And colleg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achieve career goals in the process of increase of their age, experience of an exam preparation, and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preliminary materials for guiding career preparation of youth especially for college students. Given these results, three typ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suggested, and customized support programs and policies for each type were also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limitation of the study and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 A Multilevel SEM Analysis of the Impact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L2 Achievement

        오영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경기종단연구의 1차~3차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63개 중학교, 4,051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성취도의 변화 추세와 관련 영향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에 기반을 둔 종단연구 설계인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어성취도 변화 패턴을 살펴보고, 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 및 학교수준의 요인으로 분류한 후, 학생 수준요인으로는 인지적 면에서는 영어 자아효능감, 정의적 측면에서는 영어 교과흥미, 그리고 행동적 영역에서는 수업몰입을 중심으로 성별과 이전학업성취도, 가정배경 관련 변인들과 학교수준 요인들을 통제하며 분석하였다. 예측변인들을 학생 개인 수준의 특성 (성별, 이전 숙달도, 일반적 자아효능감과 영어 자아효능감, 영어 교과흥미)과 영어수업 몰입 관련 변인들 (교사능력, 수업소외, 학습태도, 수업이해도, 수업집중도)로 설정하고, 학습자의 사회경제적 지위로는 부모의 교육수준, 가구 월수입을 포함하였다. 또한, 상위수준인 학교 변인들로는 학교 사회경제적 지위, 수준별 영어수업, 영어교사 효능감을 영어 학업성취도 변화의 영향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3년 동안 학생들의 영어 학업성취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영어 성취도 초기값과 성장률 사이에서 부적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 1학년 때 성취도가 높은 학교의 3년 동안 성장률이 1학년 때 성취도가 낮았던 학교보다 낮은 것을 의미하며, 중학교 3년 동안 성장률 격차가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 수준변인에서는 성별이 영어 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즉, 여학생이 초기값이 13.4점 정도 높았고 성장율도 남학생보다 매년 5.6점 더 빠르게 증가하였다. 일반적 효능감과 영어 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영어 성취도 초기값은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 변화율에는 둘 다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들로, 수업소외가 영어성취도 초기값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영어 수업이해도는 초기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중학교 3년 동안 변화율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부모 배경으로 아버지와 어머니 교육수준과 월가구 수입이 모두 영어 성취도의 초기값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변화율에는 영향이 없었다. 주목할 만한 것은, 가구 월수입이 높으면 초기값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변화율에는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또한, 수업집중도도 초기값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집중도가 높은 학생이 1학년 때 영어 성취도 초기값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3년 동안 성장률이 더 가파르게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수준 변인으로는, 오직 학교 사회경제적 지위 요인인 교육복지우선 대상학교들이 초기값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변화율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영어 교육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이 함께 제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growth trend in second/foreign language (L2) achievement and factors affecting such growth with GEPS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 panel data including 4,051 Korean students from 63 middle schools. From a developmental-ecological modeling perspective, the study employed a multilevel latent growth curve model (MLGCM). The study primarily explored the trajectory of L2 achievement and the subsequent impact of student-level and school-level covariates on L2 achievement growth factors (intercept and slope) in an EFL setting. Categories of predictors were grouped into individual (student) and contextual (school) domains. At the student level, the specified factors were posited into the three subcategori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gender, prior L2 proficiency level, general/L2 self-efficacy, interest in L2), class engagement components (L2 teacher ability, class alienation, students’ L2 class attitude, the degree of comprehension and participation in the L2 class), and student SES (parent educational status and family monthly income). Predicting variables at the school level included school SES, level-based L2 class policy, and L2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L2 achievement followed a linear growth trajectory with a steadily increasing trend over the course of middle school years. In the student-level cas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itial status (first-year students’ average L2 achievement score); however, this was not so for the rate of change in L2 achievement scores among students. The initial score of L2 achievement test was 462.36 points, registering an annual increase of 21.8 points. At the student level, the initial average score in L2 achievement did not interrelate with the rate of growth. Alternately, at the school level, the covariance between the initial status and the rate of change was negatively associated; thus, schools with high scores in the first year experienced slower-increasing trajectories; however, schools with low achievement showed a rapidly-increasing growth trend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connoting a narrowed gap. As for factors predictive of L2 achievement growth, at the student level, gender positively influenced both the initial levels and the rates of change. Female learners specifically showed higher initial L2 achievement scores and a higher rate of growth. Students at a high proficiency level showed the strongest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scores; however, interestingly, a reverse effect was true for the growth rate. Students at high levels of general self-efficacy and L2 self-efficacy indicated high initial scores;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n the growth rate. Among the class-related engagement variables, L2 class comprehension indicated a similar strong magnitude of explanatory strength with the L2 proficiency level for the initial scores of L2 achievement, but there was no impact on the growth rate. Class alienation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level with no effect on the growth rate. Surprisingly,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L2 class was not associated with the initial scores; it still led to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rate in L2 achievement over three years.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lag effect or a cumulative effect in the long-term process of language learning. In lin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 on the initial level of L2 achievement were confirmed. Notably, a higher family monthly income showed higher scores at the initial level but had a decreasing pattern of change in L2 achievement. In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the learners with an overall higher degree of interest in L2, L2 teacher ability, and student’s L2 class attitud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L2 achievement. At the school level, schools receiving additional government funds indicated a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with no difference in the initial scores for L2 achievement outcome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have som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and design of interventions in language education to enhance students’ L2 achievement. This study will also contribute to the introduction of a comprehensive (multilevel) approach to study the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English language development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regarding the Korean EFL context.

      • 과학 고등학생의 성격유형이 영어 학습전략과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오영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of the major current trends in language teaching is its shift of focus from a teacher-oriented learning approach to a learner-centered learning approach. In this regard, learners' individual trait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personality is one of the factors that needs to be researched more in depth. According to this tre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ity types o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To carry out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personality types of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n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were then compared with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s. To this end, 58 juni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ere sampl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ir personality types on their learning strategies. Two instruments, MBTI(Myers Briggs Types Indicator) and the SILL(Strategy inventory language learning) Scales were used for the survey and the students' scores on the TEPS(Test of English Proficiency develop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measured. To better understand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English learning, this study ask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ill there be any differences i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ity types? 2. Will there be any differences in English proficiency level according to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ity types? 3. Will there be any differences in English proficiency level according to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uitabl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ANOVA,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I types and T-F types using compensation strategies. Extroversion and Feeling personality types are much more likely to guess intelligently and overcome their limitation in speaking and writing. Judging personality types who are well organized and logical people are willing to use memory,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iciency levels between personality types. 3. Using a language learning strateg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nglish proficiency. Cognitive, compensation, metacognitive, and social strategies show the relation to TEPS scores with .49, .398, .306, .315, .432 each. Among them, only cognitive strategies can predict TEPS scores by as much as 20%. When One unit of cognitive strategies improve, it can mean a 94 point raise in TEPS. According to the results, personality typ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trategy use and proficiency level.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which showed include subjects with various personalities and subjects from different areas since the subjects were only from one science high school in Korea. Thus, in order to learn effectively, our students seem to be obliged to choose learning strategies in reference to their personality types. It may be concluded that if teachers take their students' personality types into consideration, they would find more effective avenues to teach their students. Students also do their own jobs as self-oriented learners. By empowering students to be self-learners they will achieve a greater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A famous Korean proverb says "Give a man a fish and you will feed him for a day, but teach a man to fish and he will feed him for a lifetime." 본 연구는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영어 학습전략 선호가 영어 숙달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성격유형이 학습전략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하나라고 보고 학습전략 선호 역시 영어 숙달도를 예언하는 변인으로 보고 연구를 하였다. 학습자의 성격유형은 MBTI 검사 분류에 따라 E-I, S-N, T-F, J-P 4가지 지표로 분류하였고 선호하는 언어 학습전략 영역은 Oxford가 분류한 6가지 영어 학습전략인 기억전략, 인지전략, 보상전략, 초인지 전략, 정의적 전략, 사회적 전략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영어 숙달도로는 TEPS 성적 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유일한 특수 목적 고등학교인 광주과학고등학교 2학년 전체 3개 반 58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이 언어 학습전략 선호와 영어 숙달도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조사였다. 먼저 성격유형 4가지 지표에 따라 학습전략의 6개 하위영역 선호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고 학습전략의 선호와 영어 숙달도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학습자의 성격유형이 영어 숙달도에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향적인 학생들이 내향적인 학생들보다 보상전략을 더 잘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격이 외향적인 학생들이 실제 의사소통의 상황에서 나타나는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다양한 소통전략을 쓰기 때문이고, 감정형이 사고형보다 보상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객관적인 원리원칙에 따라 논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사고형보다는 감정형이 사람사이의 관계를 중시하기 때문에 다양한 소통전략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판단형이 인식형보다 기억전략, 인지전략, 그리고 초인지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 주도적이고 계획적이며 모든 일을 절차에 따라 계획적으로 해 나갈 때 성취도가 높은 판단형의 특성에 따른 당연한 결과라고 하겠다. 성격유형에 따라 영어 숙달도는 차이는 성격유형지표 중 어느 쌍도 영어 숙달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는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영어 숙달도는 서로 관계가 없는 변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 학습전략과 영어숙달도와 관계는 텝스 전체 점수가 인지전략, 보상전략, 초인지 전략, 사회적 전략, 그리고 전략평균과 각각 .490, .398, .306, .315, .432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 중에서 인지전략만이 회귀모형에 적합한 변인으로 나타나 회귀계수가 94.371로 인지전략 수치가 한 단위 올라갈 때 텝스 총점이 94점 상승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새롭게 배운 내용을 기존의 정보와 연관지어 학습하는 방법인 인지전략이 영어 숙달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개 학생들이 효율적인 언어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자신들이 우선 자신들의 성격유형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학습전략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자신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학습 방법을 달리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교사들도 학생들의 다양한 개인차를 변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해 본다면 학교 현장에서 보다 나은 교수-학습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