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및 경기지역 고등학생의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이 식습관 및 식이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오민환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식 콘텐츠는 음식과 관련된 내용이 미디어에 담긴 것으로 음식과 콘텐츠의 합성어이다. 음식 콘텐츠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을 만큼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스마트폰 이용이 보편화된 현대에 더욱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음식 콘텐츠는 식욕을 자극하는 푸드 포르노적(Food Porn) 특성을 띠고 있으며, 고지방∙고칼로리 음식 이미지를 제공하여 부정적인 식습관 형성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학업 및 생활환경으로 인해 시간적 여유가 없는 청소년들은 최근 여가생활의 일부로써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음식 콘텐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청소년의 식생활 행동은 대중매체의 광고나 프로그램 내용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최근 인기 있는 음식 콘텐츠의 이용 증가가 청소년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청소년기는 신체적∙정신적∙성적 발달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로, 이 시기에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원활한 성장과 발달뿐 아니라 추후 발생 가능한 성인기의 식생활 유래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평생 건강을 지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식이자기효능감은 식사와 관련된 상황에서 식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신념, 자신감을 판단한 것으로 많은 선행연구에서 아동 및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습관 및 식생활 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영양지식 또한 식습관뿐 아니라 식이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영양지식의 형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체를 활용하여 영양지식을 보급하되 설득력 있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음식 콘텐츠와 관련하여 사회학적으로 해석한 연구는 다소 이루어졌지만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의 고등학생 381명을 대상으로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과 식습관 및 식이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식이자기효능감의 매개작용을 분석해 봄으로써 청소년의 올바른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고등학생의 음식 콘텐츠 종류 별 이용 수준을 조사하여 평균 점수에 따라 세 군으로 집단을 구분하여(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이 낮은 집단, 중간인 집단, 높은 집단) 비교 분석 하였다.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에 따른 성별 및 학년과 일일 외식 및 간식 비용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그리고 2학년이 1학년보다 음식 콘텐츠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이 높을수록 일일 외식 및 간식 비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에 따른 체질량지수(BMI)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에 따른 식습관은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이 높은 집단일 수록 편의점 식품이나 인스턴트 식품으로 식사를 대신 하는 경우가 많고, 야식을 자주 먹으며, 스트레스를 받을 때 충동적으로 음식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식습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문항도 있었는데,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이 높을수록 가공식품 구입 시 식품•영양표시를 더 자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이 높을수록 식이자기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식이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주위 환경 자극 조절 효능감, 정서적 요인 조절 효능감에 해당하는 문항이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이 높을수록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 식습관, 식이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은 식습관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식이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주위 환경 자극 조절 효능감, 정서적 요인 조절 효능감과도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위 환경 자극 조절 효능감과 정서적 요인 조절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주위 환경 자극 조절 효능감과 정서적 요인 조절 효능감이 모두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음식 콘텐츠를 많이 이용하는 것은 식습관 및 식이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음식 콘텐츠 이용 수준과 식습관의 관계에서 식이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올바른 식생활 확립을 위해 식이자기효능감을 관리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음식 콘텐츠가 범람하고 있는 현재, 청소년의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 식이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청소년은 대중매체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므로 음식 콘텐츠가 주는 시각적 자극을 영양교육의 목적으로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청소년의 영양에 대한 관심 증가와 식습관 개선을 위한 동기부여에 보다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use of food-related content (FRC), dietary behaviors, and dietary self-efficacy to demonstrate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to help adolescents build healthy eating habit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Methods: Three hundred and eighty-on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participated in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low, medium, and high)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use of FRC an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behaviors, and dietary self-efficacy were analyzed. W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RC usage, dietary behaviors, and dietary self-efficacy, and estim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dietary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use of FRC and dietary behaviors. Results: The higher level of FRC usage wa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daily cost of eating out and snacking;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BMI range. The subjects in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FRC usage ate convenience store or instant foods instead of homemade meals (p=.033), had a late-night meal or snack (p=.024), and turned to emotional eating under stress (p<.001) than those in a low level group. Whereas they checked the nutrition facts label more carefully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s (p=.016) and exercised at least 30 minutes daily, not conside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p=.057). The higher level of the use of FRC, the lower the dietary self-efficacy, whereby the subscales ‘environmental stimulus control efficacy’ and ‘affective factor control efficacy’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s. Conclusion: Given FRC has been recently increased, adolescents are in need of support to help them control and enhance their dietary self-efficacy and develop healthy dietary behaviors through prop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 미군 군용 장비 통행을 고려한 포장공법 및 두께 설계에 관한 연구

        오민환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군 중하중 전투 장비인 Abrams Main Battle Tank에 대하여 국내의 지리적특성 및 환경특성을 고려한 아스팔트 포장 재료선정 및 아스팔트 포장 단면설계를 동상을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아스팔트 포장 공법은 미군 중하중 전투 장비의 하중에 의한 소성변형의 저항성 확보를 목적으로 미군용 설계 매뉴얼을 분석하여 지리적 특성검토, 기상자료 조사 및 포장온도의 결정, 신뢰도의 결정, 예상 교통량 및 저속구간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구간의 포장설계온도를 계산하여 아스팔트 등급인 PG 등급을 70-16으로 선정하여 고온에서의 소성변형의 저항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종류의 아스팔트별 특성을 공학적 특성과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공학적 특성에서 가장 안정한 결과를 보이며 경제적 측면에서도 일반아스팔트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SBS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공법을 선정하였다. 아스팔트 포장 설계는 Unified Facilities Criteria 설계기준을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단면 설계와 PCASE 프로그램 해석을 통하여 일반 아스팔트를 사용한 경우와 SBS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를 사용한 경우, 동상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와 동상을 고려한 경우로 나누어 총 12 가지의 포장 단면 두께를 선정한 후 KENLAYER 구조 해석 프로그램을 통한 공용성 수명평가를 실시하여 미군 중하중 전투 장비의 통행을 고려하고 소성변형 저항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최종 단면을 선정하였다. Asphalt pavement material selection and the design of asphalt cross section with Abrams Main Battle Tank which is U.S Army military equipment are conducted in this study, taking into account two cases that include seasonal forced area or not. Method of the asphalt construction is to get a good resistance of the permanent deformation. Geographical feature and weather information investiga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pavement temperature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the low speed section are made in this study. Performance grade is set at 70-16 by calc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pavement, so the resistance of the pavement under high temperature was confirmed. SBS polymer modified asphalt was decided after analyses with five different asphalt because SBS polymer modified asphalt has a good mechanical feature and cost effective when it was compared with the dense grade asphalt. The design of the asphalt pavement was made with Unified Facilities Criteria and PCASE program analysises. The depth of the asphalt cross section is devided into 12 cases with using normal asphalt, SBS polymer modified asphalt, seasonal forced area or not. Final cross section with good resistance to permanent deformation was decided by taking into the passes of the U.S military equipment heavy after the analysis with the KENLAYER program fot the performance life value.

      • 축산악취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의 개발과 현장 활용에 관한 연구

        오민환 수원대학교 공학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malodor components in pig house are ammonia, volatile fatty acids, sulfur compounds. Many of these gases, individually or combination, produce objectionable odors. In addition to smelling bed, emission gases can also affect the health of the animals and workers when they reach high concentrations in pig house. Thus, odorous compounds reduc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of microbial agent and test of microbial agent to reduce odorous compounds from pig house. The microorganism removes odor gas was purified from colonies enriched in vial where oil cakes were contained. In order to measure sulfides reduction ratio of the isolates, hydrogen sulfide reduction activity test was performed. Hydrogen sulfide removal efficiency of greater than 90 % of isolate was identified as Brevundimonas diminuta by themorphological,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The microbial agent was made by Brevundimonas diminuta, mineral, actical, plant extract, bamboo smoke distillates, glycerin and NaCl solution. The hydrogen sulfide removal efficiency of microbial agent was 95 % or greater in vial test. In this study, microbial ag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odorous compounds. In the pig house of not only lab scale but also field scale, the reduction ratio of the odorous compounds such as ammonia, sulfides, volatile fatty acids, and complex are studied.

      • MEMS 기술을 이용한 수소이온 감지 센서 제작 및 특성

        오민환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has seen increasing use of micromaching processes in fabrication of miniature physical and chemical sensors. There are many sensors with potential application to biosensor development, clinical diagnosis. so we present a micromachined pH sensor that measures H^+ activity in a aqueous solution. Micromachined pH sensor was comprised of basic element of pH glass electrode in 3-dimensional Si structure and it was processed with bulk micromachining technology, such as with Si anisotropic etching, metal evaporation and bonding. Reference electrode was formed thin film Ag/AgCl electrode with anodizing and KCrO_3Cl solution reaction after Ag thin film was evaporated on Si anisotropic etched surface. Indicator electrode was bonded under etched structure after polished Soda-lime glass that contains over 20% Na^+ with 100㎛ thickness. Liquid junction was formed by boding liquid junction which inserted vagetable gelatin on the other anisotropic etching structure. Reponse property of MEMS type pH sensor showed the linear slope of 90mV/pH using pH buffer solutions about two types of reference electrode(anodizing and KCrO_3Cl formed Ag/AgCl electrode). It is confirmed that the pH sensor with reference electrode formed as KCrO_3Cl solution is superior to stable potential in the long term test.

      • PCL과 유전자 알고리듬을 이용한 무인기의 날개 주구조물 형상 최적 설계

        오민환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a considerab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unmanned aerial vehicle because of its potential ultimate mission-capability. To meet the requirement for high performance, UAV(Unmanned Aerial Vehicle) needs to be designed optimally. Due to the reason, an optimal design procedure is newly constructed and applied to optimal design of UAV wing structure in this study. To provide preliminary configuration of UAV wing structure, traditional design method is utilized. In optimization of preliminary design, genetic algorithm is utilized, and both of arrangement and thickness of spar and rib, which compose the torsion box of primary wing, are considered as design variables. Total weight, maximum yield stress, and wing-tip deflection are selected as objective functions, and each case is optimized. Also a multi-objective function is constructed by combining three cases in order to increase the design flexibility according to its mission and intention of design engineer, and its optimization is carried out. To update the arrangement of spar and rib in optimizing process, remodeling and remeshing are essential, which may lead to human labor intensive work. In the newly constructed optimal design procedure, the remodeling and remeshing steps are automated by using Patran Command Language in order to exclude expensive human labor. From the results of study, it is identified that the newly constructed design procedure is nearly automatic, and it can be applied to practical design of UAV structures.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무인기의 특성상 고성능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적화된 설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 무인기의 날개 구조물을 설계하고, 날개의 주구조물 중에서 비틀림 박스(Torsion box)를 구성하는 스파와 립의 배치 및 두께에 대한 최적 설계를 유전자 알고리듬과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MSC.Nastran/Patran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재료의 물성치를 제외한 설계 변수가 바뀜에 따라 형상이 계속 변화하게 되고, 이는 모델링 및 격자 생성의 반복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구조체의 최적 설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에 구속이 있어 왔다. 단순히 재료의 물성치만을 변화시켜 최적 설계를 수행하는 한계에서 벗어나 다양한 설계 변수를 통해 구조물의 형상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설계 변수에 따라 자동적으로 모델링과 격자 생성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 내에서 제공하는 Language를 통해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MSC.Patran의 Patran Command Language(PCL)과 ABAQUS의 Python Scripting Language(PSL)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 변수로 스파와 립의 위치, 그리고 각 구조물들의 두께를 선정하고 무게, 항복 응력, 처짐을 최소화 시키는 최적 설계를 수행하고, 각각의 최적해를 이용하여 세 가지 목적함수를 모두 고려하는 다목적함수를 구성하여 구조물 설계시 설계자의 의도 또는 구조물의 용도 및 특성에 따라 최적화가 수행 되도록 하였다.

      • 샘플 재사용이 가능한 메타모델 기반의 최적화 기법 개발과 응용에 관한 연구

        오민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메타모델 기반의 최적화(meta-model based design optimization : MBDO)는 지난 20여 년간 복잡한 공학 최적설계의 주요 관심분야 중 하나이다. 고충실도를 갖는 모델 대신 메타모델이 널리 사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거대하고 복잡한 모델에 대한 고충실도를 갖는 모델을 얻기 위해서는 계산비용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컴퓨터 하드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20년 전에 비해 산술연산당 계산비용은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컴퓨팅 하드웨어의 발전과 함께 더욱 신뢰성 있고 정밀한 설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공학 설계분야에서 모델에 대한 충실도의 증가도 동시에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항공기나 자동차 등과 같이 매우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고충실도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메타모델 기반의 최적화 기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 메타모델 기반의 최적화의 맥락에서 몇 가지 최적화 기법이 제안되었다. 이 가운데 계산 효율성과 국부 최적해에 수렴을 보장하는 장점으로 공학설계 분야에서 순차적 근사 최적화(sequential approximate optimization : SAO) 기법이 큰 주목을 받았다. 순차적 근사 최적화 기법에서, 각 순차단계에서 비록 이전 단계(previous steps)에서의 샘플점이 실제 시스템 응답에 대한 가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현재 단계에서(current steps)의 새로운 샘플점에 의해서만 메타모델이 구성된다. 샘플점을 얻기 위해 많은 계산 비용은 순차적 근사 최적화에 필요한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기존의 샘플점을 재사용하여 메타모델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은 최적설계 계산비용을 절약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 된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샘플 재사용이 가능한 메타모델 기반의 새로운 순차적 근사 최적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샘플 재사용 메타모델을 구성하기 위해, 샘플의 재사용이 용이한 이동최소자승법(moving least squares method)이 기존의 다항회귀 메타모델을 대신하여 사용되었다. 수치예제에서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Haupt 함수, Hosaki 함수 그리고 Branin 함수의 최적화 문제가 사용되었으며, 기존의 기법인 2차 다항회귀 메타모델을 이용한 순차적 근사 최적화 기법과 이동최소자승 메타모델을 이용한 순차적 근사 최적화 기법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제안된 샘플 재사용이 가능한 메타모델 기반의 순차적 근사 최적화 기법이 추가적인 샘플링 비용 없이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주며, 시작점 위치에 덜 구애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뢰영역 알고리듬(trust region algorithm)의 영향에 대한 연구로, 제안된 샘플 재사용 순차적 근사 최적화 기법에서 수렴성이 향상된 개선된 신뢰영역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샘플 재사용이 가능한 메타모델 기반의 순차적 근사 최적화 기법의 실제 공학문제 예제로는 복합 회전익기의 예비설계 최적설계와 달착륙선의 2단 알루미늄 충격흡수 시스템에 대한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최적화 예제의 결과로, 제안된 샘플 재사용 최적화 기법이 다른 기법에 비해 좋은 결과를 주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실제 공학문제에서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建設産業用 高强度·高流動 콘크리트의 施工性能 및 工學的 特性에 미치는 骨材要因에 關한 實驗的 硏究

        오민환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건축산업용 고품질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의 개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의 각종 구성재료 중에서 고성능감수제에 대한 측면을 고려하여 각종 고유동 특성 및 공학적 특성에 대한 검토와 아울러 각종 공학적 장기거동특성 및 내구특성에 대한 일련의 실험·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경제적이고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련의 연구진행계획에 따른 각종 실험요인과 수준을 설정하여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의 굳지않은 성상으로서 공기량, 단위용적중량, 비빔온도 및 응결성상을 평가한 후, 고유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슬럼프, 슬럼프-플로우, L형 플로우 시험을 행하고, 간극통과성 및 재료분리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V로트, L형 간극통과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충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과밀배근 충전성 시험을 행하였고, 경시에 따른 컨시스턴시 및 워커빌리티의 변화도 각종 측정방법에 의하여 평가함으로써 고유동특성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 및 검토를 행하였다. 또한 경화콘크리트의 각종 공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압축강도의 발현성상, 동탄성계수, 초음파속도, 슈미트해머에 의한 반발도 등을 측정함으로써 압축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하고 검토하는 등 일련의 연구 진행 및 프로세스를 통하여 건설산업용 고품질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를 개발하고 그 실용화를 도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편, 금후의 건축구조물이 대형화, 초고층화, 다기능화 등의 요구 성능이 증가됨에 따라 다짐불요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와 같은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의 필요성이 시대적인 요구로 되어가고 있으며, 현재 건축생산현장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규모화, 고층화 및 고밀도 철근 배근의 구조물 증가, 건축현장의 노무자의 고령화에 따른 기능공 및 숙련공의 절대 부족, 콘크리트 공사의 기계화 추진에 따른 콘크리트의 대량 타설화, 콘크리트 펌프공법의 보급에 따른 타설 작업자와 다짐작업자의 분화와 연계의 부족, 다짐작업에서의 인력 및 에너지 절약, 콘크리트의 이용 범위 확대, 낮은 물시멘트비의 고강도, 초고강도콘크리트의 사용 등과 같은 사항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축현장에서 콘크리트의 충분한 타설 및 다짐이 요구되어지는 시점에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와 시공방법에 좌우되지 않는 고품질 및 고내구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도록 건설산업용 고품질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의 성능 및 품질을 장기적으로 개발하고 그 실용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11),12)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산업용 고품질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의 개발을 통하여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시공연도를 크게 개선함과 동시에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의 각종 고유동특성의 향상 및 경시변화에 따른 슬럼프 손실 방지 및 작업성·시공성을 확보하고, 경화콘크리트의 조기강도화 및 고강도화를 기하고, 각종 장기거동특성 및 내구성을 검토함으로써 콘크리트 공사의 시공성 향상 및 공학적 특성의 향상을 기하여 사회간접시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콘크리트 공사에서 건축생산성을 높이고 품질향상을 기하여 막대한 건축경제적 절감효과와 건축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한 것으로서 건축산업용 고품질 고강도·고유동콘크리트가 건축생산 현장에서 제조 및 생산 시스템을 정비하고 확립하여 실제 건축생산현장에서 실용화함으로써 건축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Recently, the opening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results in advance of developed countries and competitive construction companies. Also the reality of our labor intensive industry makes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hard. Moreover it is imperative for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that the quality and the ability of construction concrete should be developed because of the followings. ① Aging of construction field workers as well as shortage of experts ② An increase of buildings consisted of high density bar placement because structure is changing more largely and highly. ③ The needs of the high quality of concrete according to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of concrete placement. ④ The high quality and durability of concrete ⑤ Demanding for the expansion of concrete appli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of developing a high performance concrete that is fitted domestic construction for the economic advance and utilization of the high quality, intensity and flow concrete. This paper consists of as follows. In chapter 1, It is suggested that the contents and range of this research is to know about quality and statistics of concrete product an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for economical development and practical utilizing of the concrete high strength and self-compacting in the construction field. In chapter 2, It is considered that choice the different base properties to study experimental the fluctuating properties of the concrete High strength and Self-Compacting of fly ash placement with a kind of fine aggregate and apply the fly ash placement of each the case about self-compacting, gap passage, separate resistance. In chapter 3, It is practically scrutinized the concrete high strength and self-compacting can be used structural material in the point of material view by operating practical study about engineering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ature of the concrete high strength and self-compacting according to the coarse aggregate size and ratio of fine aggregate. In chapter 4, the overall conclusion of this study is mention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luctuating properties of concrete high strength and flowing according to kind of fine aggregate with ratio of fly ash (1) It is considered that mix design is appliance of fly ash replacement to right with fine aggregate that fineness modulus is presented that flowing contain time is river sand, crushed sand and sea sand so to ensure flowing contain time of high strength and flowing concrete that increased the ratio of fly ash with flowing contain time. (2) In case of crushed sand and sea sand, if it have area of high-flow, it appears frequently in bad area of separate passing ability. And if only high-strength·flowing concrete have high-slump flow, it appears that it have bad chance of separate passing ability and packing ability, in case of high-fineness modulus and rough aggregate when V-rot fall down, because of collision and friction-action with each other aggregate. So possession of separate passing ability and packing ability on lines of particle shape of aggregate and fineness·fine grain degree will be careful. (3) If fly-ash have low substitution rate, weight-ratio of coarse aggregate have a high-difference. Specially in case of crushed sand, when fly-ash substitution rate is 15% and 30%, weight-ratio of coarse aggregate have a over 8% difference so chance of aggregate-separation relatively will be high. (4) Every kind of flowability about high-strength·flowing concrete, packing ability and material-separation resistance have a good state in using of river sand, it have a low-fineness ratio, better than crushed sand and sea sand that has a high-fineness ratio and flat particle shape. (5) In case of crushed sand and sea sand that has a bad grading and particle shape, it is a good choice that make a increase about content of dust on lines of kind of fine aggregate and ability of fine aggregate, you must consider every condition and test-mixing before you decide. ◎ Fluctuating characteristic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 of concrete high strength and flowing according to the coarse aggregate size and ratio of fine aggregate (1) It is considered that variety of air contents and unit volume weight coarse according to aggregate size and fine aggregate ratio, 2.5~ 4.5% of air content is generally satisfied with 3~4.5% of air content that is regulated in JASS 5. The difference of air content below 1% is presented similar level when the size of coarse aggregate is 20mm~25mm. The fine aggregate ratio increase, air content is rise, too. Unit volume weight is presented more highly when the size of coarse aggregate is 25mm. Unit volume weight is decreased when fine aggregate ratio is raised. (2) Final slump-flow value increases as the size of coarse aggregate increases. In case of fine aggregate ratio, it is contrary. This result is presented by the increase of viscosity according to increase of fine aggregate's volume. (3) Generally, L-type gap of slump value in 20mm is presented more higher than in 25mm. The concrete that use coarse aggregate of 20mm size is more excellent than others in workability. According to increase of fine aggregate, L-type slump value decrease, so the more fine aggregate increase, the more viscosity of concrete increase. Also, in case of the large size of coarse aggregate, when fresh concrete passes in L-type gap, L-type gap of slump value is presented low because of interference, friction and engagement of aggregate with each aggregates. relatively, so the workability is considered poorly. (4) According to the size of coarse aggregate and fine aggregate ratio, when in 20mm compressive strength per age of concrete changes, each compressive strength in age of concrete decrease generally as fine aggregate increase. But, there is not extra ordinary tendency in 25mm of coarse aggregate according to fine aggregate ratio. By in the large, the compressive strength per the size of coarse aggregate is similar to within 20mm and 25mm. Also, the changes of each non-destructive test are similar to compressive strength. (5) It is result of study that level of high strength and flowing is revealed in compressive strength of high strength as fine aggregate ratio with coarse aggregate maximum size 20mm, 25mm is revealed 24∼29MPa(1week/4weeks≒55%) a week, 45∼53MPa(4weeks/4weeks=100%) four weeks , 55∼65MPa(8weeks/4weeks≒125%) eight weeks, therefore It is showed that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high-quality·strength·flowing and appliance of constructio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