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러닝 서비스품질, 만족도, 재이용 의도의 관계 분석 : 4년제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여민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ow the quality of e-learning service influences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mong the university education services. The study has been selected five universities among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that provide a complete e-learning service and conducted a survey on 350 students with a previous experience of using e-learning service. The data has been analyzed using 'SPSS 15.0 for Windows' program and AMOS 7.0 statistical program.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quality of e-learning service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factors; factor of system quality, factor of content quality, and factor of management quality and twenty two variables. Eight variables of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have been introduced to implement an analysis for reliability and factors achieving validity and credibility. The results drawn from path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study model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quality of e-learning service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addition, a factor of management quality among sub-factors of e-learning service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However, it turned out that a factor of system quality and content qualit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Secondly, the satisfaction of using e-learning service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of it. It turned out that the more the satisfaction from e-learning service quality was, the higher repurchase intention was. Thirdly, the quality of e-learning service and satisfaction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of it. However, it was shown that an influence of e-learning service quality on repurchase intention the service was higher than the one of the satisfaction on repurchase intention of the service. Therefore, it implies that the satisfaction serves as a parameter as to the service qu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of the service. 본 연구는 대학 교육서비스 중 이러닝 서비스품질이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수도권 소재 4년제 일반대학 중 100% 이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5개교를 선정하여 이러닝 서비스 경험이 있는 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5.0 for Windows' 프로그램과 AMOS 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이러닝 서비스품질을 시스템 품질 요인, 콘텐츠 품질 요인, 운영 품질 요인 등 3개 하위 요인 22개 변수로 구분하였으며, 만족도와 재이용 의도의 8개 변수를 도입하여 신뢰성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모형에 따른 각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서비스품질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닝 서비스품질의 하위 요인 중 운영 품질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시스템 품질 요인과 콘텐츠 품질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닝 서비스 만족도는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되는 이러닝 서비스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이용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닝 서비스품질과 만족도는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닝 서비스품질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만족도가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닝 서비스품질과 재이용 의도 관계에 있어 만족도가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직류 자화 코일을 이용한 consequent pole changing vernier machine의 다중 모드 운전

        여민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탁기용 전동기의 경우 저속(세탁)모드와 고속(탈수)모드, 두 가지의 모드를 필요로 한다.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고속에서 고효율을 가지고 있지만 저속에서는 저효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로 탈수 모드를 진행하는 것은 바람직하나, 세탁모드를 진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반하여 버니어 머신의 경우 저속에서 고효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탁모드를 진행하기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전동기를 사용하는 효과를 갖는 하나의 전동기 개발 연구가 진행된다. 먼저 개발된 기존 단방향 가변 자속기기인 메모리 머신은 자속을 가변 시켜 극수를 변경할 수 있어 넓은 속도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후 추가적인 연구들이 진행되어 더 넓은 속도 영역을 가진 하이브리드 메모리 머신이 제안된다. 하이브리드 메모리 머신은 양방향의 가변자속 기기로 보자력이 낮은 LCF PM(Low Coercive Force Permanent Magnet)와 HCF PM(High Coercive Force Permanent Magnet) 사용한다. 이 기기는 극 변환 전류를 사용하여 LCF PM의 착자 방향을 바꾸어 극수를 바꿀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메모리머신보다 더 넓은 속도 영역을 가질 수 있으나 기존의 버니어 머신이나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에 비하여 특정한 속도 영역에서의 성능이 좋지 않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안하기 위해 본 연구실에서 최초로 제안한 모드변경이 가능한 PCVM(Pole Changing Vernier Machine)이 제안 된다. PCVM은 앞서 설명한 버니어 머신과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LCF PM의 착자 방향을 바꾸어 극수를 바꿀 뿐만 아니라 극수가 바뀜에 따라 두 가지의 다른 운전 모드, 버니어 머신 모드와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모드로 동작을 할 수 있다. PCVM의 극 변환 제어의 어려움에 대한 개선을 위해, CPCVM(Consequent Pole Changing Vernier Machine)이 제안되었다. CPCVM은 기존의 PCVM에 Consequent Pole을 적용시킨 모델이며 LCF PM과 HCF PM의 절반이 철심으로 대체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대체된 철심에 의해 극간의 간격이 멀어지며 극 변환 용이해 진다. 하지만 서로 다른 영구자석 사용으로 인한 의도치 않은 감자 문제를 해결해야하며 자석 사용량의 감소에 따른 토크의 성능 저하가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족한 토크를 보완하면서 더욱 넓은 속도 영역을 가지는 다중 모드를 위한 직류 자화 코일을 이용한 CPCVM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기존의 CPCVM에서 직류 자화 코일을 추가하여 설계했다. 직류 자화 코일을 이용한 착감자는 기존 CPCVM에서 순간 전류 펄스를 이용하여 착감자를 하는 방식보다 더욱 용이하다. 또한, 직류 자화 코일을 사용하여 버니어 머신 모드와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모드뿐만 아니라 Flux Enhancing과 Flux Weakening을 추가하여 부족한 토크를 보완하고 더욱 넓은 운전 속도 영역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보여주기 위해 LCF PM의 착감자 제어를 진행하여 각 모드의 특성해석을 진행하고 버니어 머신 모드에 Flux Enhancing을 적용하여 토크가 향상 되고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모드에 Flux Weakening을 적용하여 더 넓은 속도 영역을 가질 수 있음을 특성해석을 통해 증명한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모델이 세탁기용 전동기로서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용 세탁기 전동기와 성능 비교를 진행한다.

      • 바이오-케미컬 센서용 초소형 구조물의 해석

        여민구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Microcantilevers, microbridges and micromembranes are well-known MEMS structures for sensing bio-chemical molecular interactions.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MEMS sensor structures using CAE and have made an experiment in bio-chemical interactions. Firstly, it has been studied which of mass change and surface stress change has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onance frequency shift in the case of a microcantilever and a microbridge. We have studied also Q-factor and thermal noise using theoretical equations. Secondly, a novel thermally compensated micromembrane sensor for bio-chemical sensing applications has been analyzed. The self-thermal compensation design removes the need for the temperature control system. Finally, we detected the DNT molecules using QCM sensor based on resonance frequency shift during molecular interactions. 마이크로캔틸레버와 마이크로브리지, 마이크로멤브레인 구조물은 바이오-케미컬 센서용 초소형 구조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초소형 구조물에 대해서 CAE 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해석하였으며, 바이오-케미컬 분자 상호작용에 의한 공진점 변화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공진하는 초소형 구조물의 표면에 바이오-케미컬 분자가 흡착되었을 때, 주파수 변화의 원인이 초소형 구조물의 표면에 흡착되는 바이오-케미컬 분자의 질량 변화에 의한 영향인지, 표면 응력 변화에 의한 영향인지, 또는 두 가지 중 어떤 영향이 더 큰지는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번째로, 바이오-케미컬 센서의 이용할 때, 바이오-케미컬 분자의 반응에 의한 신호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에 의한 신호도 발생하여 방해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체 온도 보상 초소형 구조물의 설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진 기계 기반의 QCM 센서를 이용하여 폭발물(DNT) 검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 資産流動化制度에 관한 硏究 : 리츠제도를 중심으로

        呂旼九 全州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foreign crisis in the end of 1997, domestic real estate market in highly depressed state and banking organs with fluidity worsening make the restructuring delayed in a result so the government erected 'The law related to estate liquidating' on September, 1998 and 'The corporation law in liquidating house backed bonds' in 1999 in order to settle the problems in restructuring delay and real estate depression by introducing real estate securities and system as a policy alternative. In such a context, enforcing the system, 'Asset Backed Securities' made real estate liquidating possible and played a positive role in raising huge funds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stabilizing real estate market and activating economy in real estate. But price will continue to be lowered as real estate market goes to high depression. Real estate is weak in exchanging in its quality and deals in huge amount, so domestic companies and common people lack of liquidity couldn't invest on real estate even if profit from investment is promised. Korean real estate market still has undeveloped market structure as it was without adjusting power to outer environmental change begun in IMF foreign exchange crisis and inner environmental change like the widening in potential investing demand range. Therefore in order to complete the task in enhancing the rapid adjusting power to outer environment following lifting the effectiveness in real estate market, upgrading it to the developed countries' degree and outer environmental change following market opening with the social need's increasement to find out the ways of investing on more developed real estate and increasing value added and its only alternative is to introduce "REITs system". However, in current situation where REITs sytem is introduced, it stays tuned due to stock market activating. This study, in such a context, aims to firstly present the concept and basic structure in REITs take out implications through analyzing main foreign examples, and secondly look into the motions in introduction, and thirdly analyzing the effect of REITs introduction on real estate and banking industries, and thirdly search for the ways of meeting the policy task, and by companies, considering total situation.

      •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 매체 맥락정보성을 중심으로

        여민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언론정보학과 광고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으로 디지털 기술이 발전한 이래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설치장소의 다양화 및 시장의 규모의 확대로 주목받는 광고매체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지속적인 성장 전망에도 불구하고,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 매체의 실제 이용률은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연구들에서 이 문제의 원인을 디지털 사이니지가 제공자의 필요를 위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디지털 사이니지를 맥락적 매체로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에 본 연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소비자의 필요에 맞는 광고를 노출하는 프로그래매틱 광고를 디지털 사이니지에 적용시켜보고, 매체의 맥락정보성이 지속적 매체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소비자 가치 모델에 입각해 실증적으로 분석해보았다. 20대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연구를 진행한 결과, 프로그래매틱 광고를 적용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있어서 소비자의 맥락 관련 가치(상황적 가치, 인식적 가치)는 지속적 매체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콘텐츠 관련 가치(감정적 가치, 사회적 가치, 기능적 가치)와 몰입은 단계별로 맥락 관련 가치와 매체 이용의도 변인 사이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매체의 맥락정보성은 소비자가 맥락 관련 가치를 불러일으키고, 콘텐츠 관련 가치와 몰입을 거쳐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는 향후 디지털 사이니지의 매체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프로그래매틱 광고와 같이 매체의 맥락정보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Since digital technology was develop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signage has grown to be a notable advertising media. However, current utilization of digital signage does not meet the expectations of experts. Many researchers found that the cause of this problem was not considered as contextual media by consumers.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programmatic advertising which, the effects of media context informa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by using the consumer value model. In this study, a survey of 300 students was conducted to examine consumers' context-related value(Conditional value, Epistemic value)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in digital signage with programmatic advertising. This study assumes that consumers' content-related value(Emotional value, Social value, Functional value) has a mediate effect between consumers' context-related value and commitment.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commitment had a mediate effect between consumers' content-related valu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edia context information in order to increase media effect on digital signage in the future.

      • 초등과학 교과서의 기상 단원 내용 분석

        여민구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국정 교과서의 내용 중 기상 관련 내용과 탐구활동들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초등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반영될 기상 관련 내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이 제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변화함에 따라 국정 교과서에 나타난 기상 관련 내용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둘째,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이 제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변화함에 따라 국정 교과서에 나타난 기상 관련 탐구활동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국정 교과서를 수집하여 기상 관련 학습주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최성희, 권치순(2006)의 분석틀 및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을 수정·보완하여 내용 요소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상 관련 학습 내용 중 기단(공기 덩어리)과 일기도를 제외하고 기압(고기압·저기압), 대류현상과 바람, 지면·수면의 온도 변화, 습도, 구름·안개·이슬, 물의 순환, 강수, 일기예보, 기온 및 날씨 변화, 날씨 지수, 대기 오염, 기상재해, 우리나라의 계절별 날씨에 관한 내용들은 제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공통적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초등과학의 기상 관련 내용을 학습하는 시기가 계속 변화하였다. 기상현상의 대부분의 학습 내용인 기온, 습도, 구름, 강수, 기압, 바람에 관한 내용들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3, 5, 6학년,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3, 6학년,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5학년 2학기에 제시되었다. 셋째, 제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국정 교과서에서 제시된 기상 관련 탐구활동 중 습도 탐구활동을 제외하고 구름·이슬·안개, 기압, 지면·수면의 온도 변화, 대류현상과 바람 탐구활동은 동원되는 준비물, 탐구 방법, 탐구 장소, 탐구 주제 등에 다소 큰 변화가 있었다.

      • 모듈러 건축물의 세분모듈 치수에 관한 연구 :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여민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BTL사업의 주요 대상 시설물인 학교시설은 학생수의 증감에 따라 개․증축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날씨 등으로 인하여 정해진 공사기간에 완공되지 못해 대부분 가설 컨테이너 등이 사용되고 있다. 공사 중 소음에 따른 학교사용자들과 주무관청의 갈등이 심각하며, 학기 중에 공사가 이루어져 학교 사용자들은 소음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설계단계에서 임시교사 및 방음벽의 설치 등 각종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런 탓에 수익성도 떨어져 사업참여가 여의치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 학교시설의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는 공업화건축의 대표적 공법인 모듈러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최근 건설교통부에서는 건축물의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서 건축물의 용도별 설계도서 작성기준을 고시하고 이를 통해 모듈정합설계를 보급하고 있다. 그러나 모두가 12진법을 기초로 하여 아시아의 10진법 척도체계를 가진 국가들은 상세설계 등에서 세분모듈이 활용되지 못해 완전한 MC설계가 국내에서는 어려운 실정이며, 치수표준화의 기본수단이 되는 모듈격자 설계방식이나 모듈 부품치수 개념에 근거하지 않고 기존의 재래식 공법 중심의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표준화 및 규격화를 통한 양산체계구축에 기여치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모듈러 건축물의 세분모듈 치수를 도출하고 적용성을 검토함으로써 각 세분모듈의 적용시 나타나는 특성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한편 향후 이루어져야 할 세분모듈의 활용방법에 관한 참고자료를 만드는데 그 목적을 둔다. 상세설계 등의 세분모듈의 활용을 위하여 국내 BTL사업의 주요 대상 시설물인 학교시설을 대상으로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모듈러 시스템의 적용 가능한 세분모듈의 치수를 도출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나타난 결론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의 공업화를 위해서는 노동생산성과 시간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자재 및 부품의 치수, 성능, 접합부 등에 대한 규격의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둘째, 국내 학교 건축물의 새로운 Unit plan의 계획시 세분모듈 적용의 연계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학교건축물의 적용 세분모듈의 실질적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국내실정을 고려한 질적인 측면(모듈치수체계, 설계원칙, 기준 등)에서의 지속적 개발과 종합적인 활용체계 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세분모듈은 불필요한 손실을 막기 위해 규격모듈 및 이형모듈의 표준치(면적당, 비용당, 부재 사용양 등)에 대한 기준이 설정되어야 하며, 이 표준치는 정량적(定量的) 또는 정성적(定性的)인 방법으로 표현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각 세분모듈은 생산과 조립시 발생하는 치수 오차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됨은 물론 이형(異型)모듈과의 혼합사용을 고려해야 하며, 무리 없는 적용을 위해 세분모듈 상호간에 치수, 성능 등에 대한 이형모듈의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폐자재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목치수를 기준으로 진행된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공업화 건축을 기준으로 바라보는 MC설계 계획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볼 때 타 연구와 차별성 갖는 가치 있는 연구라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모듈러 시스템을 적용한 건축물의 세분모듈의 구체적인 활용방안 등의 연구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