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수업에서의 학습동기 영향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양정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무용수업에서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Dornyei(1994, 1998, 2000)의 학습상황차원에 따른 동기요인 이론과 김은주(2004)의 영어학습동기의 영향 요인을 근거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경험적 타당도를 확보하고 5점 척도화된 48문항으로 무용전공 중학생 106명, 고등학생 113명, 대학생 87명, 총 306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무용학습동기의 영향 요인을 강화요인, 저하요인, 지속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하위 범주로 학습자, 학습내용, 수업방식, 교수자, 학습그룹, 학습분위기로 나누었다. 무용학습동기의 영향요인과 각각의 요인들이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은 t 검증(t-test)을 실시하였고, 소속, 장르, 경력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무용학습동기의 강화요인은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로 나타났다. 성에 따른 차이에서 남학생은 학습내용 문항인 내용의 흥미도, 여학생은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로 나타났다. 소속에 따른 차이에서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모두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로 나타났다. 장르에 따른 차이에서 한국무용과 발레는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 현대무용은 교수자 문항인 교수자의 태도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차이에서 1년 이상~ 3년 미만, 3년 이상~6년 미만, 6년 이상~9년 미만, 9년 이상 모두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로 나타났다. 무용학습동기의 저하요인은 학습내용 문항인 흥미도로 나타났다. 성에 따른 차이에서 남학생은 교수자 문항인 교수자와의 친밀도, 여학생은 학습내용 문항인 흥미도로 나타났다. 소속에 따른 차이에서 중학생은 교수자 문항인 교수자의 태도, 고등학생은 학습내용 문항인 흥미도, 대학생은 교수자 문항인 교수자와의 친밀도로 나타났다. 장르에 따른 차이에서 한국무용은 학습내용 문항인 흥미도, 발레는 교수자 문항인 교수자와의 친밀도, 현대무용은 수업방식 문항인 일방적 수업방식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차이에서 1년 이상~ 3년 미만과 3년 이상~6년 미만은 교수자 문항인 교수자와의 친밀도, 6년 이상~9년 미만과 9년 이상은 학습내용 문항인 흥미도로 나타났다. 무용학습동기의 지속요인은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로 나타났다. 성에 따른 차이에서 남학생은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와 학습내용 문항인 흥미도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남학생과 마찬가지로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로 나타났다. 소속에 따른 차이는 모두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로 나타났다. 장르에 따른 차이에서 한국무용, 발레는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 현대무용은 학습자 문항인 학습성과와 교수자 문항인 교수자와의 친밀도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차이에서 1년 이상~ 3년 미만은 교수자 문항인 교수자와의 친밀도, 3년 이상~6년 미만, 6년 이상~9년 미만과 9년 이상은 학습내용 문항인 흥미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용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무용학습동기의 요인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여 학생들의 학습행동에 대한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이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무용수업 상황에서 학습동기의 어떠한 요인들이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강화, 저하, 지속 시키는지 파악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응용적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무용학습동기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학습동기 영향요인에 따른 교수방법 구축과 무용교육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실제적인 무용프로그램 개발 연구 등을 후속 연구로 제안한다.

      • 국내와 미극동공병단의 위험성 평가에 대한 차이점 분석

        양정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미극동공병단 건설공사에서 실시하는 사전 위험성평가와 국내 건설공사에서 실시하는 사전 위험성평가를 소개하고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보건관리시스템, 품질관리시스템을 통하여 추가적인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최근 국내 및 해외현장에서 중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불안전한 근로자 행동뿐만 아니라 불안전한 시설물 상태로 인하여 추락 및 낙하, 전기재해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전 위험성평가가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공정위험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사전 위험성평가 기법을 소개하고, 간호사, 응급차가 운영되고 있는 보건관리시스템 및 품질관리시스템 등의 세 가지 정성적인 자료를 근거로 하여 국내현장과 비교하여 FED만의 독특한 위험성평가 방법을 분석하였다.

      • 무용예술의 기업 사회 공헌 사례 연구

        양정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무용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무용예술의 기업 사회공헌활동 사례분석을 통해 무용예술의 사회공헌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공헌적 예술인 양성을 위한 교육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무용예술 기업 연계 콘텐츠 개발의 자료를 제시하는 이론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무용예술과 기업의 연계를 통해 무용예술의 활동영역을 넓히고 전략적으로 확장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기업 측면에서는 사회공헌활동의 콘텐츠를 다양화 할 수 있는 응용적 가치를 지닌다. 무용예술의 기업 사회공헌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2009년부터 활동하고 있는 아츠커뮤니케이션21의 기업 연계 프로젝트와 국민대학교 종합예술연구소의 문화예술 교육기부 컨설팅단 프로그램, 중소·중견기업의 문화예술지원 활성화 ‘예술지원 매칭펀드’, 예술인 파견 지원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의 기준은 함성애(2015)의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 유형 분류를 기반으로 기업의 지원목적, 프로그램 유형 및 내용 등으로 세분화 하여 재구성 하였다. 무용예술의 기업 사회공헌활동은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측면과 문화소외 계층의 간극을 줄이는 복지측면의 지원이 있다. 또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마케팅 및 임직원들의 업무능력 향상과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기업경영으로 분석되었다. 무용예술의 기업 사회공헌활동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실행과 지속성을 위한 기업의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정부 차원의 지원 및 혜택, 마지막으로 예술가 및 예술교육자들의 인식개선 및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expansion of the social contribution of dance arts through a study of the cases of th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dance arts. This study has theoretical values that it provides pedagogical information for educating artists who contribute to society and presents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of the link of dance arts with enterprises. As its applicative values, it is noted that the link of dance arts with enterprises can broaden the scope of the activities of dance arts and strategically expand them, while enterprises can diversify the contents of thei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rograms of dance ar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ases, including Enterprise-linked Project by Arts Communication 21 in which this researcher has been active since 2009, Culture and Arts Education Donation Consulting Program by the Institute of Comprehensive Arts in Kookmin University, Art Support Matching Fund for the re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 suppor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Artist Dispatch Support Project. As a case analysis, the programs were restructured and summed up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the programs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Han (2015) and were subdivided by the purpose of support for enterprises, program type and contents. Th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dance arts have an aspect of education that they provide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various opportunities for cultural experience and an aspect of welfare that they reduce the gap in the culturally marginalized group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 analysis, the activities are used for marketing to build up a company’s brand image and business management to enhance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improve its organizational culture. As measure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dance arts, this study, first, proposed enterprises’ role for execution and sustainability; second, it proposed the government-level support and benefits; and lastly, it proposed the improvement of artists and art educators’ awareness and the directions in which they should proceed.

      • 최인훈과 김현 문학담론의 상호형성 연구 : 문학적 참여의 시간논리를 중심으로

        양정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최인훈과 김현의 문학담론의 상호형성을 시간논리의 관점에서 수사학적으로 재구축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본고는 최인훈과 김현의 문학담론의 형성과정에서 그 상호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작업과, 검토된 제 문학담론의 해석을 바탕으로 양자의 문학담론을 수사학적 체계로 재구축하는 작업으로 구성된다. 최인훈과 김현은 양자의 연배, 본격적으로 문학장에서 활동한 시기나 소속 세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긴밀한 문학적 연대관계를 지속해왔다. 최인훈의 「크리스마스 캐럴」 연작(1963-66)과 김현의 「풍속적 인간」(1966)은 양자의 문학담론 교섭과정의 연결성과 방향성을 보여준다. 이들은 한 사회의 문화사적 가치의 불안전성과 가치변동의 구조를 기술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경험-선험 테제’와 ‘문화의 고고학’을 각각 발전시켰다. 두 정식화는 당대 문학담론이 전개되면서 끊임없이 증명을 요구받았던 문학적 참여의 정당화 문제에 주효한 입각점을 구성한다.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에 이르는 시기에 집약적으로 형성된 이들의 담론적 교호 과정은 발견과 정립의 착종으로 표현될 수 있다. 양자가 고안한 문화사적ㆍ사회사적 인식의 틀은 문학담론 체계 내에서 상호 인식의 과정과, 개별적 정립의 과정을 거친 되먹임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문학담론의 상호형성의 측면에서 양자의 상호 인식과 개별적 정립은, 문학적 참여의 전제가 되는 세계인식의 측면에서 상이한 수사학적 원형질을 갖는다. 문학, 혹은 문명의 발생적 국면으로서 핵심적인 계기는 양자에게 일정한 분열로 인식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최인훈에게 이 기원적 서사는 제유의 범주유비로써 구성된다. 최인훈의 문명론의 근간을 이루는 ‘행위와 인식의 분열 모형’은 인간 현실의 구체적인 대상으로부터 문명 전체의 특성을 유비해낸다. 반면 김현에게 이 기원적 서사는 은유의 범주도약으로서 구성된다. 그의 비평은 인격에 근거한 만남이나 자아의 자기인식과 같은 신화적 상황으로부터 문학과 현실에 대한 인식을 비유적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이때 자아에게 세계의 문제는 의식에 포섭된 타자와의 거리의 문제에 직접적으로 동일시된다. 문학, 문명의 발생적 국면에 내재한 분열을 서사화하는 최인훈과 김현의 비유적 차이는 양자의 문학담론이 보다 구체화된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 그 추상적 구조가 지속된다. 프롤렙시스는 최인훈의 소설과 비평이 보여주는 현실 및 시간 인식을 기원적 서사와의 연속성 위에서 해명해주는 개념이다. 서사문학에서 본질적으로 불가능한 미래서술이 대체기술법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 최인훈 문학담론의 특징적 국면이다. 그것은 인식적, 서술적 차원에서의 한계지점을 기술함으로써 당대의 문학적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독특한 시간논리를 형성한다. 실렙시스는 김현의 비평이 보여주는 문학적 참여에 대한 논변을 가능하게 하는 비유이다. 당대의 문학적 참여에 대한 통약 불가능한 입장을 환기하는 김현의 비평적 논리는, 모순을 논의와 사고의 대상의 단위로서 전체화함으로써 현실의 상호모순적인 측면을 동질화할 수 있는 시간적 배치를 만들어낸다. 가정법의 수사학과 미래완료의 수사학은 그처럼 각각 프롤렙시스와 실렙시스로 요약될 수 있는 김현과 최인훈 문학담론의 시간성 재현 논리를 집약한 명명이다. 그것들은 서구와 한국의 시간적 격차를 환기하는 역사적ㆍ현실적 지평 내에서 문학의 참여의 논리를 정식화하기 위한 담론적 시도들을 보여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본고는 최인훈과 김현 문학담론의 관계가 작품과 비평의 상호순환적 발견이라는, 되먹임 구조를 보여주는 1960-70년대 문학장의 한 범례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들의 문학담론 상호형성의 과정은 양자의 변별적인 수사학적 논리에 그 경로가 의존적이며, 시간성의 수사학은 그 과정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적 시각이다. 프롤렙시스를 주요 비유법으로 하는 가정법의 수사학과, 실렙시스를 주요 비유법으로 하는 미래완료의 수사학이 최인훈과 김현 문학담론 각각의 구성원리이다. 문학적 참여의 가능조건인 이들의 시간논리는, 굴절된 동시대성을 사유하기 위한 한국문학의 인식틀을 보여주는 두 범례로 이해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mutual formation of literary discourse between Choi-inhun and Kim-hyun from the perspective of temporal logic. Accordingly, this study consists of a detailed examination o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Choi-inhun and Kim-hyun over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ir literary discourse and a reconstruction of their literary discourse on the system of rhetoric, based on the reconsidered interpretation. Despite the age and generation gap and the difference in the periods of intense activity as authors, Choi-inhun and Kim-hyun had maintained a close literary relationship. The <Christmas Carol> series(1963-1966) by Choi-inhun and <Customary human>(1966) by Kim-hyun display the connectivity and directivity of their interaction on the literary discourse of them. They each had developed the concepts of 'a posteriori-a priori thesis' and 'archaeology of culture', which depict the instability of the cultural value of a society and the structure of value change. The two formulations establish an effectual footing on the matter of justification of literary participation, which had constantly been demanded to be certified during their time, while the literary discourse had been conducted. Their discursive interaction which had been intensively formed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could be described as the complication of discovery and establishment.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cultural and social historical framework devised by them is a result of the feedback formed by the process of the mutual perception and separate establishment via their own path. The mutual perception and individual establishment of the two, in terms of mutual formation of the literary discourse, have rhetoric archetype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spect of recognition of the world, which is a premise of literary participation. Although they both recognize a certain division as the key factor of the condition of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or civilization, the primitive scenario is formed via a vertical transfer of synecdoche, to Choi-inhun. 'The division model of behavior and recognition', which is the basis of the civilization theory of Choi-inhun, transfers the characteristic of an entire civilization from a specific object of human reality. On the other hand, to Kim-hyun, the primitive scenario is formed via the horizontal transfer between categories of metaphor. His criticism metaphorically constitutes the perception of literature and reality out of the myth such as encounter based on personality or self-recognition like narcissistic narrative, and to the self, at this moment, the matter of the world is directly identified with the matter of distance to others embraced in consciousness. The abstract structure of the figural difference between Choi-inhun and Kim-hyun that narrates the division which inheres in the condition of the generation of Literature or civilization is maintained in late 1960's and early 1970s, when their literary discourse became concretized. Prolepsis is a concept that explains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time in the works of Choi-inhun, based on the continuity from the primitive scenario. The alternative description of a future description which is essentially impossible in an epic is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literary discourse of Choi-inhun. It develops a distinctive temporal logic that allows the literary participation to contemporary issue, by mentioning the limitation in the perspective and narrative dimension. Syllepsis is an figure that enables the argument over literary participation which appears in the criticism of Kim-hyun. The critical logic of Kim-hyun, which arouses the incommensurable position about literary participation of his time, builds the temporal arrangement that integrates the contradictory aspects of reality by generalizing the contradiction to the unit of the object of discussion and thoughts. 'The rhetoric of the subjunctive mood' and 'the rhetoric of the future perfect' are the names that integrate the logic of temporal representation contained in the literary discourse of Kim-hyun and Choi-inhun. They present the discursive attempts to formalize the logic of literary participation in a historical and realistic context that calls attention to the temporal gap between the West and Korea. As a consequence, this dissertation is intended to argu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ry discourses of Choi-inhun and Kim-hyun, is a model example that shows the feedback structure of 1960s-to1970s as a discovery of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literary text and criticism. The process of the mutual formation of their literary discourse is dependent on the distinctive rhetorical logic of the two, and the rhetoric of temporality is the methodical perspective that enables the distinguish of the process. The rhetoric of the subjunctive mood which takes prolepsis as the major way of analogy and the rhetoric of the future perfect which takes syllepsis as the major way of analogy are the principles of composition of the literary discourses of Choi-inhun and Kim-hyun each. Their temporal logic which is a prerequisite of literary participation has the capability to be considered as the two model examples that show the framework of Korean literature to think about the distorted contemporaneity.

      • 희곡을 활용한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 사회·문화 맥락 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양정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eaching method to improve advanced Korean learners' communication competence using Drama. After the CLT has widely used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re are many views and interpretation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t means that there is confusion surrounding what i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how improving Korean learners' communication competence. Therefore, this paper critically reviewed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from the viewpoin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also discussed which component should be improved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Advanced Korean learners have already reached a certain knowledge level of Korean language and learned certain skills to use Korean language. Therefore, they should improve socio-cultural context communication competence to succeed in various communication situation. Socio-cultural context communication competence is a competence to understand and use socio-cultural context in the communication situation to succeed in communicating with other people. Drama could be a good material to improve socio-cultural context competence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Drama offer authentic socio-cultural context, and give a chance to expand the scope of student's thinking. Furthermore, students could vividly experience socio-cultural context using drama.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way. In chapter Ⅱ, discussed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defined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reason why socio-cultural context communication competence needs to be improved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and the merits of using drama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ere also stated. In chapter Ⅲ, analyzed 4 Korean drama, 「I have to survive」by Cha Bum-Suk,「A Watchman」,「Chilsan-ri」 and 「In the field」by Lee Gang-Baek, based on historical/social situations, ideology and community's values/beliefs. The reason why choosing these 4 dramas was that the most important subject related to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is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various aspects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re well reflected in these 4 dramas. In chapter Ⅳ, suggested the contents of education, five distinct stages of teaching-learning model and application of the model using 「In the field」by Lee Gang-Baek. In chapter Ⅴ, summary of the study was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 importance of socio-cultural context communication competence to improve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communication competence. Finding out the way to use drama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s also one of the significance. However, it has a limitation in the point that it couldn't be actually adopted and verified in practical classes.

      • 주얼리제품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정현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주얼리 점포의 판매촉진 수단과 활동,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대해 연구하고 이러한 쇼핑성향이 충동구매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까지 분석하여 주얼리 매장 경영과 매출증대를 위해 유용한 정보제공을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서울 및 경기에 위치한 주얼리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주얼리 제품 소비자의 쇼핑성향이 충동구매, 구매 후 만족에 대한 각 변수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충동구매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해 충동구매의 측정 변수를 쾌락적 요인, 경제적 요인, 편의적 요인, 세 가지로 선정하였고, 매개변수로는 충동구매를 선정 하였고 종속변수로는 구매 후 만족을 선정하였다. 이후 선행연구를 토대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탐색할 수 있는 가설 및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실증분석과 연구의 진행을 위해 서울 및 경기에 위치한 주얼리 점포에서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2018년 10월 1일∼11월 30일 까지 약 2달 동안에 걸쳐 실시되었고 총 2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12부(92%)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거나 불성실한 답변을 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하여 총 192부의 유효한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셋째, 선행연구의 이론적인 연구를 통해서 채택된 쇼핑성향이 충동구매, 구매 후 만족의 변수요인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를 측정하였고 또한 변수들의 측정도구 적합성을 검정하고자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넷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쇼핑성향은 충동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부분 채택되었다. 쾌락적 쇼핑성향은 흥미와 재미, 스트레스 해소 또는 기분전환 등의 쇼핑목적이 높은 쾌락적 소비자의 특성이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지며, 경제적 쇼핑성향은 신중한 제품선택과 가격비교, 해택비교 후 제품을 구매하는 성향으로 충동구매에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고 또한 편의적 쇼핑성향은 인접한 매장에서 필요제품만 구매 외에 불필요한 시간활용을 꺼리는 성향으로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가설 2 충동구매는 구매 후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충동구매 행동은 사전에 계획 없이 갑자기 이루어진 비 계획구매의 한 형태이고 사전구매의 의도성 없이 마케팅 자극 또는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 급하게 이루어지는 구매행동이다. 그러나 충동구매를 비단 제품을 구매하는 행동이 아니고 주얼리 제품의 경우 다른 제품 보다 남들에게 보이는 자신의 모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고 뚜렷한 목적 없이 유행제품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구매를 위해 소비한 가격 보다 더 큰 가치를 느끼는 경우가 많고 자기 스스로 만족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확인 되었다. 가설 3 쇼핑성향은 구매 후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쾌락적 쇼핑성향, 경제적 쇼핑성향, 편의적 쇼핑성향의 순으로 구매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주얼리 점포의 매출증대를 위한 판매촉진을 하는데 있어서 평준화된 촉진전략을 세우기보다는 소비자의 쇼핑성향을 특성별로 분류하여 검토하고 유형화하여 성향에 따른 차별화된 촉진전략을 세워 구매고객을 확보하고 충동구매에서 지속구매로 연결 될 수 있는 마케팅 노력이 중요하다 하겠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means and activities of jewelry stores’ sale promotion, examine the shopping propensity of consumer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opping propensity and impulse buying. Moreove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nhancing the jewelry store management and increasing sal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hopping propensity on impulse buying and on post-purchase product satisfac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shopping propensity of jewelry product consumers, impulse buying, and post-purchase product satisfaction. This study targeted consumers who purchased jewelry at jewelry stor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selected a hedonic factor, an economic factor, and a convenience factor as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impulse buying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on impulse buying. Impulse buying was a parameter and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also developed hypotheses and a study model that can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eco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consumers who purchased jewelry products at jewelry store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and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Oct 1 to Nov 30, 2018. Two hundred thirt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12 copies (92%) were retrieved. Among them, 20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from the final analysis because they were inconsistent or untrustworthy. Therefore, 192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ird, this study measured how the shopping propensity, which was selected from the theoretical review of previous studies, affected the impulse buying and post-purchase product satisfaction. Moreove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itness of these variables as measurement tools. Fourth,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were as follows. This study accepted Hypothesis 1: “Shopping propensity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buying.” The results implied that, in terms of the hedonic shopping propensity, the characteristics of hedonic consumers, who shopping for interest, fun, stress relief, or mood change, significantly affected impulse buying. The economic shopping propensity means the tendency of purchasing goods after carefully selecting and comparing price and benefits. I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impulse buying. Additionally, the convenient shopping propensity tends not to spend unnecessary time and purchases only necessary products at a nearby store. I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impulse buying. This study accepted Hypothesis 2: “Impulse buying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ost-purchase product satisfaction.” Impulse buying is a type of unplanned purchase, indicating a purchase without planning ahead. It is a purchase behavior due to a marketing stimulus or a psychological factor without a plan to purchase a product. However, impulse buying is more than just purchasing a product. Especially, consumers of jewelry products often value their appearance appealing to others more than consumers of other products. They frequently purchased to cope with the fashion trend. Therefore, they often feel the value of the purchased products is higher than the price they pai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confirmed that consumers frequently were satisfied with the purchase. This study accepted Hypothesis 3: “Shopping propensity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ost-purchase product satisfaction.” The magnitude of impact on post-purchase product 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hedonic shopping propensity, economic shopping propensity, and convenient shopping propensity. The results of this suggested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classify, review, and stereotype of the shopping propensity of consumers for promoting sales and increasing the sales of jewelry stores, instead of implementing a standardized promotion strategy. It would be desirable to secure customers by establishing sales strategies customized for the tendencies of consumers and to lead impulse buying to sustainable purchase.

      • 문양을 통해 본 화예작품 연구

        양정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문양에 표현된 상징적 의미와 조형적 특징을 재해석하여 화예작품으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현대 화예의 문제점인 서구중심사고와 작가의 예술정신 부재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문양은 인간의 의식과 삶을 통한 문화 활동의 소산으로 역사 속에서 각 시대 대중들의 생활 풍습이나 정서를 반영하며 다양한 예술 분야 전반에 넓게 기능하고 있다. 그러므로 문양을 이해하고 이를 매개로 화예작품을 창작하는 것은 화예가 고유성과 정체성을 지닌 예술로 자리잡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문양에 관한 연구와 이를 통한 예술작품의 창작은 대부분 문양의 외형적인 측면을 중점으로 표현한 사례들이며 문양의 내면적 가치를 연구하여 화예 작품에 표현한 사례는 많지 않다. 따라서 연구자는 문양에 표현된 인간의 함축적 정신인 상징성의 해석과 조형적 특징의 이해를 바탕으로 화예작품을 표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양을 통한 화예작품 표현을 하기에 앞서 문양의 개념과 역사 및 상징성, 정신성, 장식성의 기능에 관해 고찰하였고, 문양의 종류와 유형에 관해서도 연구하였다. 또한 건축, 복식, 도자,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예술장르에서 표현된 문양의 모티프를 활용한 작품들을 통해 문양의 시대별, 장르별 표현 특징과 경향 등을 연구하였으며 더불어 현대 화예 작품에서 식물의 상징적 의미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도 알아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는 아래와 같이 총 5점의 화예작품을 표현하였다. 첫 번째 작품인‘환생’은 백제의 연화문전을 모티프로 하여 연꽃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인 재생과 환생을 화예작품으로 표현하였다. 두 번째 작품인‘담’은 경복궁 자경전의 꽃담 문양 중 하나인‘월매도’를 재해석하여 화예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세 번째 작품인‘어울림’은 조선시대 생활용품인 베갯모의 모습과 문양을 화예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네 번째 작품인‘생명의 나무’는 20세기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의 아르누보시대 작품인‘생명의 나무’를 문양으로 재해석하여 화예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다섯 번째 작품인‘빛으로 그리다’는 21세기에는 인간이 만들어내는 문양에 기술적 제한이 없고 다양한 방식과 영감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문양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빛과 식물을 통한 화예작품을 창작하였다. 화예(華藝)는 화훼와 예(藝)가 결합하여 예술의 한 양식으로 발전한 독자적인 장르로써 작가의 예술정신을 나타내는 시각적 예술임과 동시에 조형예술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화예작가가 문양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작가의 정신인‘사의(寫意)’를 담아 작품을 표현할 수 있을 때 현대예술작가들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서구 중심적인 화예 창작 태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며 한국의 화예 작품이 세계 속에서 한국적 고유성을 가진 우수한 작품으로 차별성을 갖게 될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자는 한국의 화예작가가 작가의 예술정신을 화예 작품에 표현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한국 화예가 서양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 플라워디자인과는 다른 정체성과 주체성을 지닌 예술장르로 발전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present floral art works by reinterpreting the symbolic meaning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patterns. Based on the study, it gives suggestions to improve some issues related to Western-centered thought considered as problems of modern floral art and a lack of art spirit for artists. Patterns regarded as the outcome of human consciousness and cultural activities in life refect the lifestyle customs or emotions of people at that time and influences all parts of arts. Under the circumstances, it might be helpful in establishing floral art as the art with uniqueness and identity to understand the patterns and create floral work. However, previous studies on the patterns and creation of art work focused on the outward appearance of the patterns and only in few cases, the internal values of the patterns were examined and applied to floral art works. Therefore, This researcher tried to express floral art works by interpreting the symbolism as an implicit spirit of human expressed in the pattern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history of the patterns and the functions of symbolism, spirituality, and decorative effect before expressing the patterns in floral art works and explored the sorts and types of the pattern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and trends of the patterns in specific eras and genres through the works applying motives expressed in the patterns at various art genres such as construction, dress and its ornaments, ceramics, household items and etc. were examined. Moreover,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symbolic meanings of plants in modern floral art works. According to the study, This researcher expressed the total of 5 floral art works shown below. ‘Revival’the first work of floral art expresses regeneration and revival which mean the symbolic meanings of lotus, motivated by ‘Younhwamoonjeon’in Backje Period. ‘Fence’the second work of floral art reinterprets ‘Walmaedo’, one of the patterns seen in floral fences in Jagyeongjun in Gyeongbokgung. ‘Harmony’the third work of floral art expresses the features and patterns of a sidepiece of a pillow, a household item in the Joseon Dynasty. ‘Tree of Life’the fourth work of floral art expresses the patterns by reinterpreting ‘Tree of Life’by Gustav Klimt in 20th century, art nouveau era. ‘Draw with Light’the fifth work of floral art tries to suggest that patterns that humans make has no technical limitation and can be created through a variety of methods and inspiration through light and plants. Floral art is a visual art representing artistic spirit and formative art as a unique genre that has developed as a style of art by combining a flowering plant and art. Therefore, Western-centered floral art trend considered an issue among modern artists can be improved and Korean floral art work can have distinctive characters and excellent works in the world when Korean floral artists express patterns with artistic spirit based on intensive studies on the patterns. This researcher hopes that Korean floral artists express artistic spirit in their works and Korean floral arts continue to develop and become a distinctive and independent art genre that differs form Western-centered floral art designs.

      • 포스트드라마 관점으로 본 이미지 연극 연출 연구 : 로버트 윌슨의 <해변 위의 아인슈타인>과 로베르 르빠주의 <바늘과 아편>을 중심으로

        양정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21세기 한국 연극계에서 활발히 창조되고 있는 포스트드라마 연극과 그 범주에 속하는 이미지 연극의 연출적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연극학계에서 다큐멘터리 연극, 댄스 시어터 등 몇몇의 장르만을 중심으로 협소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포스트드라마 연극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이미지 연극과 그 연출 방법을 심도 있게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대상은 레만의 포스트드라마 이론과 함께 이미지 연극인 로버트 윌슨의 <해변 위의 아인슈타인>과 로베르 르빠주의 <바늘과 아편>의 작품 분석과 연출적 특징을 연구대상으로 활용하여 이 작품들의 특징을 포스트드라마 이론으로 분석한다. 또한, 연구자의 작품을 케이스 스터디로 활용하여 포스트드라마 이론과 함께 윌슨과 르빠주의 작품 속에 연구자의 작품을 병렬하여 사례로 적용하며 이론과 실제의 차이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다. 본격적인 작품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우선적으로 본론의 첫 항목에서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역사적, 이론적 배경과 함께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하위 범주로 생각할 수 있는 이미지 연극의 역사적,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다. 위에서 살펴본 이론적 범주를 기반으로 로버트 윌슨의 <해변 위의 아인슈타인>과 로베르 르빠주의 <바늘과 아편>을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네 가지 특징을 적용하여 함께 연구한다. 윌슨의 <해변 위의 아인슈타인>에서는 ‘탈-텍스트성’과 ‘배우의 수행성’을, 르빠주의 <바늘과 아편>에서는 ‘그림 연극’과 ‘다매체 연극’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동시에 연구자의 작품을 사례로 활용함으로써 실제 적용사례와 한계점 등을 연구하며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좁혀 나간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미지 연극을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범주 안에서 고찰하고 21세기 이미지 연극의 대가인 윌슨과 르빠주의 연출을 분석하면서, 연구자의 작품을 사례연구로 활용하여 본 논문을 읽는 독자들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윤활유 같은 역할을 하며 독자들이 포스트드라마 연극과 이미지 연극의 이론과 실제를 원활히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최종적으로는 기존 드라마 중심의 연극에 익숙해져 있는 많은 사람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끼는 포스트드라마와 이미지 연극이라는 장르에 대해 진입장벽을 낮추는 브릿지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이미지 연극에 대한 관심을 두고 있는 독자 혹은 이미지 연극을 직접 창작하려고 하는 예술가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postdramatic theatre with focus on the theatre of images. While works of postdramatic theatre are vigorously created in 21 century Korea, studies of the genre are more or less limited to a couple of subgenres such as documentary theatre and dance theatre. This study intends to widen the scope of research on postdramatic theatre by conducting an in-depth study on theatre of images and its method of directing. Using Hans-Thies Lehmann's theory on postdramatic theatre, this thesis analyzes Robert Wilson's <Einstein on the Beach> and Robert Lepage's <Needles and Opium>. Then, it examines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by utilizing a work directed by the researcher himself as a case study. First of all, the historic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postdramatic theatre and theatre of images are examined. Then, this study applies the four characteristics of postdramatic theatre in its analysis of Robert Wilson's <Einstein on the Beach> and Robert Lepage's <Needls and Opium>. The analysis of <Einstein on the Beach> focuses on its post-textuality and the performativity of the actors. In the analysis of <Needles and Opium>, the focus is on the Bilder Theatre and multmedia theatre. Finally, a work of the researcher himself is used as a case study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such theories are applied to an actual theatre practice, including its limit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ore than anything, to enable the readers to easily underst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postdramatic theatre, and especially, the theatre of images. Many theatergoers today are still too used to drama-centered theatre and thus find the genre of postdramatic theatre difficult. Hopefully,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opularize postdramatc theatre and the theatre of images by increasing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genre.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practical help to the artists who intend to create theatre of im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