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안감의 형태화를 통해 스스로를 치유하는 과정 : 악몽 이미지 '호빵'을 중심으로

        양정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불안은 누구나 가지게 되는 보편적인 감정이다. 사람들은 각자의 불안을 해소하고자 다양한 방법을 탐구해 왔으며, 나 또한 오랜 시간 나를 괴롭혀온 불안감이 완화되길 바라왔다. 이 연구는 나의 불안을 치료하려는 방법의 하나로서, 창작 활동을 통해 나를 불안으로부터 구제하려는 시도를 담았다. 불안을 완화하는 하나의 치료법으로 미술치료가 있다. 창작 활동을 통해 내담자의 아픈 마음을 이미지로 표현해냄으로써 완화되고 창작품을 토대로 아픔을 상담자와 소통하며 치료하는 것이다. 최근 현대미술계에서는 이러한 치료적 특성에 집중하여 자기 고백미술이라는 개념이 부상하였다. 자기 고백미술은 예술가가 스스로 작품을 통해 아픔을 고백하며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며 일종의 미술치료의 효과를 경험하기도 한다. 자기 고백미술을 실행한 예술가들은 대부분 각자의 트라우마를 작품에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오랜 시간 불안에 사로잡힐 때면 나의 꿈속 이미지로 ‘눌린 호빵’이 등장했고, 머지않아 그 이미지의 등장만으로 두렵고 불쾌한 악몽이 되어버렸다. 나의 불안감과 늘 동반되는 꿈속 이미지인 ‘눌린 호빵’을 다양한 모습으로 창작하여 불안을 완화하고자 한다. ‘호빵’을 형태화하기 위해 다양한 제작기법으로 이미지화를 시도하고, 그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대면하기 위해 일상 속 오브제에서 가구로 점차 실용성과 익숙함을 부각했다. “Nerve” 시리즈는 오브제로서 ‘호빵’의 형태표현과 호빵을 누르는 사물이 함축하는 의미를 짚어보고 순수한 불안감을 강조했다. “Force” 시리즈는 ‘호빵’에 강제로 실용성을 첨가하였다. 가벼운 상판과 다리로 ‘호빵’을 물리적으로 압박해 억지로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함께할 수 있는 사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마지막 시리즈인 “Comfy Nightmare”은 ‘호빵’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방법을 모색하고, ‘눌린 호빵’ 형태의 긴장감은 간직한 채 오히려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자를 만들었다. 이러한 창작 활동을 통해 ‘호빵’에 대한 나의 인식 변화가 생긴 것은 물론, 이어지는 일상 속 불안감을 대처하는 태도도 바뀌었다. 반복적으로 ‘호빵’과 대치하며 불쾌함을 감수했던 초기에 반해, 이후에는 카타르시스를 느끼며 작품의 확대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을 만큼 ‘호빵’에 적대감이 완화되었다. 자기 고백미술을 통해 불안 완화에 도움이 되었다고 정리하며, 이 연구가 스스로 치유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도 큰 용기가 되기를 바란다. Anxiety is an ordinary emotion that everyone has. People have been exploring various ways to relieve their anxiety in human history, and I have also wanted to relieve my anxiety that has plagued me for a long time. This study includes my attempt for healing myself from long-time anxiety through creative activities. Art therapy is one of known treatment for alleviating anxiety or even further disease of the min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a counselee gets to express his/her painful mind with an image, and communicate it within the artworks. Recently, the concept of self-confessional art has emerged in the modern art world with its therapeutic properties. In self-confessional art, the artists confess their pain through their artworks and experience catharsis and analogous effects of art therapy. Whenever I am caught in anxiety, an image that looks like a “pressed hoppang(Korean steamed bun)” has appeared in my dream. I have tried to alleviate anxiety by repeatedly creating this “pressed hoppang”, an image in my nightmares that is always accompanied by my anxiety, in various forms. In order to shape “hoppang”, first I experienced various metalworking techniques, and gradually emphasized practicality by embracing anxiety in daily life by force, and finally created not only objects but also furniture pieces to become even more familiar with my “anxiety” in everyday life. The “Nerve” series focused on expressing pure anxiety by simply shaping “pressed hoppang” without any purpose of use. The second series, the “Force” was added practicality by adding tabletops on top of heavy anxiety, the aluminum mass. I have attempted to provide a positive memory of my nightmare image “hoppang” through creating the final series, “Comfy Nightmare.” Through these creative activities, not only my perception in “hoppang” changed, but also the attitude towards my anxiety in daily life changed. In the early phase, I was quite uncomfortable shaping “hoppang” repeatedly; however, very soon after, I started to endure inconvenience and experience catharsis. It is summarized that self-confessional art helped alleviate my long-time anxiety, and I hope this process report will encourage future researchers who wants to heal themselves with creative activities.

      •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의 대화방법 특성 : 차례지키기와 주제유지 방법을 중심으로

        양정연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compared a group of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o normal children accordant with linguistic ages and observed Turn-taking, keeping topic-sustenance, and methods for topic maintenance in conversation situations. Research targets were 10 adolescents with ADS who fall into the age 6 and 3 months for linguistic ages and age 6 and 6 months for social maturity test along with 10 general children who fall into age 6 and 3 month for linguistic age and age 6 and 6 months for social maturity test. For the research, conversation materials were collected by exchanging words with the researcher 1 on 1 in a structured situation(everyday circumstance cards) and a non-structured situation(clay pla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requenc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and type of turn-taking, there wer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the type of turn-taking. In addition, it compared and divided types of turn-taking into adjacent utterances, non-adjacent utterances and unclear utterances, an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wed more adjacent utterances and less non-adjacent utterances than general children. Also, two groups didn’t show unclear utterances.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requenc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and type of keeping topic sustenance, there wer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the type of keeping topic sustenance.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topic sustenance and the conversation frequencies unrelated to the topics of the ADS adolescents group and normal children, the conversation frequency of sustaining the topic was higher than the conversation frequency not sustaining the topic for both groups. Additionally, there was a higher conversation frequency for adolescents with ADS in not sustaining the topic than with normal children.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requenc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and the topic maintenance method, there wer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the topic maintenance method.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frequency of topic maintenance method utterances of the adolescent group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 that of normal children, it showe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ad more frequency of utterances using the method without addition of new information compared to normal children. Fourth, the results of dividing the observing turn-taking, topic sustenance, and methods for topic maintenance in conversation methods into structured and non-structured situations and studying it; there were no correlative action effects between the group and the structualization in all of the observing turn-taking, topic sustenance, and methods for topic maintenance.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out that adolescents with ADS show mainly passive reactions to words of others even though an exchange words is possible. Moreover, even though there are many conversations to sustain the topic, it was seen that they are good at it when simple answers are mostly required of them. Plus, it was found that they sustain the conversation with others by mainly using conversation methods such as yes/no, repetition of other’s words, and ecolalia in advertisements when having a conversation. Therefore, during a linguistic mediation for adolescents with ADS, on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word use of the conversation method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nd it is important to guide them so that they can improve their conversation methods while sustaining the topic properly. This research had difficulties in generalizing the result interpretation because the target number was small and in collecting conversations established under natural conditions for the targets.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 집단을 언어연령으로 일치시킨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대화방법 중 차례지키기, 주제유지 여부, 주제유지 방법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언어연령 6세 3개월, 사회성숙도 검사에서 6세 6개월에 해당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 10명과, 언어연령 6세 3개월, 사회성숙도 검사에서 6세 7개월에 해당되는 일반 아동 10명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구조화된 상황(일상생활 상황카드)과 비구조화된 상황(찰흙놀이)에서 연구자와 1:1로 말 주고받기를 하여 대화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과 차례지키기 유형에 따라 빈도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 집단과 차례지키기 유형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또한, 차례지키기 유형 중 인접발화, 비인접발화, 불명료발화로 나누어 비교하였는데,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이 일반 아동보다 인접발화 빈도수가 많았으며, 비인접발화 빈도수는 적었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불명료 발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과 주제유지 여부에 따라 빈도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 집단과 주제유지 여부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 집단과 일반 아동의 주제유지 여부 발화 빈도수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주제유지를 하는 발화 빈도수가 주제유지를 하지 않는 발화 빈도수보다 더 많았다. 그리고, 두 집단 간 주제를 유지하는 발화 빈도수는 차이가 없었지만, 주제유지를 하지 않는 발화 빈도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이 더 많았다. 셋째, 집단과 주제유지 방법에 따라 빈도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 집단과 주제유지 방법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 집단과 일반 아동의 주제유지 방법 발화 빈도수를 비교한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은 일반 아동보다 새로운 정보를 더하지 않는 방법을 사용하는 발화 빈도수가 더 많았다. 넷째, 대화방법에서 차례지키기, 주제유지 여부 그리고 주제유지 방법을 구조화된 상황과 비구조화된 상황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차례지키기, 주제유지 여부, 주제유지 방법 모두에서 집단과 구조화 유무 간 상호작용의 효과가 없었다. 또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들은 대화방법 중 차례지키기에서 주로 상대방의 말에 수동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주제유지를 하는 발화는 많으나, 대부분 간단한 대답을 요구받을 때 주제유지를 잘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화 시 주로 ‘예/아니오’나, 상대방의 말을 반복하는 발화, 광고문 등의 반향어와 같은 대화방법을 사용하여 상대방과의 대화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청소년에게 언어중재를 할 때, 대화방법의 언어사용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며, 대화를 할 때 적절하게 주제유지를 하면서 대화방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가 적어 결과 해석을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대상자들의 자연스런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를 수집하는 것에 어려움을 가졌다.

      • 상담자 내담자 애착 유형 조합에 따른 작업동맹과 역전이 행동

        양정연 광운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clinet, counselor attachment factors, working alliance and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exist in working alliance and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according to clinet and counselor attachment style matching. As the subjects, 75 counselors and 146 cline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clinets were limited to high school students or above and the counseling was limited to the one that was performed more than 3 times.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s and working allianc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clinets, and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s, working alliance questionnaires, and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counselors.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among clinet attachment factors, counselor attachment factors, working alliance, and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nd as the uneasiness and evasion factors for clinets and counselors, the clinet styles were classified into 3 styles ? stability, uneasiness, and evasion, and the counselor styles were also classified into 3 styles ? stability, uneasiness, and evasion. The clinet and counselor styles were categorized into 9 groups,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ere examined by the multiple analysis of ANOV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linet evasion attachment factor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goal scale among counselor positive countertransference and the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nets, and the uneasiness factors in the counselor attachment factor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nets and by counselors. Second, the positive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shown by counselor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the clinets an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goal and task agreement part in the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the counselor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mensions of tasks and goals in the working alliance were perceived more highly when the uneasiness style clinets were combined with the evasion style counselors than when they were combined with the stability style and uneasiness style counselors. And the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ly less than when combined with other styles. Fourth, it was found that when the evasion style clinets were combined with the stability style counselors, the levels of strong working alliance were shown. Fifth, it was found that the evasion style counselors were found to show more negative countertransference behaviors when they were combined with the evasion style clinets than when they were combined with other style clinets. Sixth, the stability style counselors perceived that they formed lower working alliance when they were combined with uneasiness style clinets than when they were combined with the evasion style clinets and stability style clinets.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uneasiness factors in the counselor attachment factors influenced the counseling relations more negatively than the clinet attachment factors, and the positive countertransference behaviors shown by the counselors were helpful to forming strong working alliance for the clinets but it can be predicted that it would be perceived to have negative effects for the counselors. In combinations of the counselors and clinets attachment styles, it was found that the uneasiness style clinets and the evasion style counselors formed strong working alliance levels, and that the stability style counselors had hard time forming working alliance with uneasiness style clinets, and the evasion style clinets formed high levels of working alliance with the stability style counselor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Unlike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have explained the counseling relations in the clinet attachment styles or the counselor attachment styles, this research explained the counseling relations when the clinet attachment styles interacted with the counselor attachment styles. Breaking away from presumption that when the clinet hold counsel with the stability style counselors, the stable counseling relations will be formed, it was found that the uneasiness style clinets showed higher working alliance levels with the evasion style counselors than with the stability style counselors, and that the stability style counselors showed low working alliance and more countertransference behaviors when they met the uneasiness style clinets. Through this, it is considered that this approach took a step forward to explaining the counseling relations from the existing approaches of explaining with only clinet attachment style or only counselor attachment style. Unlike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have focused mainl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nets, it was also confirmed through this research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unselors are more related to counseling relations than the characteristics of clinets. It also could be seen that in the researches on counseling processes and counseling relations, more researches on the counselor’s factors need to be made. 본 연구는 내담자, 상담자 애착유형 조합에 따른 작업동맹과 역전이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내담자, 상담자 애착요인, 작업동맹, 역전이 행동에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상담자 75명과 내담자 146명이 참여하였다. 고등학교 재학 이상의 내담자와 3회기 이상 진행한 상담으로만 제한을 하였다. 내담자는 성인애착질문지와 작업동맹을 질문지를 상담자는 성인애착질문지, 작업동맹, 역전이 행동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를 가지고 내담자 애착 요인, 상담자 애착 요인, 작업동맹, 역전이 행동 간의 상관을 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내담자, 상담자 불안, 회피 요인으로 이 단계 군집분석을 통해 내담자 유형을 3(안정, 불안, 회피)분류로 상담자 유형을 3(안정, 불안, 회피)분류로 나누었다. 상담자, 내담자 유형 조합은 9개의 집단으로 확인 되었으며 집단 간 차이를 다변량 분량 분석(MANOVA)으로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 회피 애착 요인은 상담자 긍정적 역전이와 내담자가 지각하는 작업동맹 중 목표척도와 부적상관을 상담자 애착 요인 중 불안요인은 내담자 지각, 상담자 지각 작업동맹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담자가 보이는 긍정적 역전이 행동은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에는 정적상관을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중 유대를 제외하고 목표, 과제합의 부분에서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불안형 내담자가 회피형 상담자와 조합이 되었을 때 안정형과 불안형 상담자와 조합이 되었을 때 보다 작업동맹 척도 중 과제와 목표 차원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역전이 행동 역시 유의미하게 다른 유형들과의 조합보다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회피형 내담자와는 안정형 상담자가 조합 되었을 때 강력한 작업동맹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회피형 상담자인 경우 다른 내담자에 비해 회피형 내담자를 만났을 때 더 많은 부정적 역전이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안정형 상담자는 회피형 내담자와 안정형 내담자에 비해 불안형 내담자와 낮은 작업동맹을 형성한다고 지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 하여 보자면 내담자 애착 요인보다는 상담자 애착 요인 중 불안요인이 상담관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상담자가 보이는 긍정적 역전이 행동은 내담자에게는 작업동맹을 강력하게 맺는데 도움이 되지만 상담자는 부정적인 영향이 될 것이라고 지각하는 것으로 예측 할 수 있다. 상담자, 내담자 애착 유형 조합은 불안형 내담자와 회피평상담자가 강력한 작업동맹 수준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안정형상담자는 불안형 내담자와 작업동맹을 형성하기 어려워하며 회피형 내담자는 안정형 상담자와는 높은 수준의 작업동맹 수준을 맺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내담자애착유형으로 혹은 상담자애착유형으로 상담관계를 설명하는 것에서 본 연구는 내담자애착유형, 상담자애착유형이 상호작용하였을 때 상담관계를 설명하였다. 안정형 상담자와 상담을 할 때 내담자들이 안정적인 상담관계를 형성할 것이라는 예측에서 벗어나 불안형 내담자는 안정형보다는 회피형 상담자와 높은 작업동맹 수준을 보이고 안정형 상담자는 불안형 내담자를 만났을 때 낮은 작업동맹과 더 많은 역전이 행동을 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내담자 애착 유형으로 혹은 상담자애착 유형 하나로만 상담관계를 보는 것보다 상담관계를 설명하는 데 조금 더 구체적인 자료가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는 상담관계에 있어서 내담자 특성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진행 되어왔었는데 본 연구를 통해 내담자 특성보다는 상담자의 특성이 상담관계에 더 많은 상관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담과정과 상담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상담자 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더 많이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대인관계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검증

        양정연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의 대인관계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서울 지역의 직장인 총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인관계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역량 변인 중, 신뢰감, 친근감, 개방성이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 역량 변인 중, 의사소통, 개방성, 이해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 중, 자아수용, 삶의 목적이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은 조직몰입에 대한 대인관계 역량의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구성원으로 개인의 삶과 직장에서의 생활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조직몰입을 경험하고 구성원이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mployees’ interpersonalcompet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mediatingro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wo variables was examined.The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by collecting data through an onlinesurvey of a total of 200 people workers in Seoul. For data analysis,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influence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yvariables, trust, affection, and openness have a significant positive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communication,openness, and comprehens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mong the sub - variables ofpsychological wellbeing, the purpose of self - acceptance and life had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psychological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compet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are meaningful to suggest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balance the individual 's life and work life as an organizationalmember, and suggest that members can improve psychologicalwellbeing through individual subjective experience.

      • 『菩提道燈』에 나타난 菩提心 연구

        양정연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aims at the understanding of the Awakened Mind(Bodhicitta) in Atisha's Lamp for the Path to Enlightenment(Byan˙chub lam gyi sgron ma) and his commentary, Annotation of Lamp for the Path to Enlightenment(Byan˙ chub lam gyi sgron mah.i dkah. h.grel shes bya ba). This text initiated the tradition in Tibetan Buddhism of didactic works devoted to delineating a graduated study of the 'Lamrim'. Lamrim literally means 'stages on the path.' The lineage was brought to Tibet in 1042 by Atisha. 'Three Levels of Spiritual Application' is the basic system in the text. The first path fulfills the first of these purposes-the temporary attainment of a samsaric status conducive to progress and joy. The second path fulfills the need of liberation from samsara: and the third fulfills the need for omniscient buddhahood. Although the practices of all three levels of spititual application are taught in the Lamrim tradition, this is done only because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the two lower perspectives of practice as branches leading to the third and highest perspective. In the Lamrim tradition one does not take up the practices of lower perspective merely to gain the samsaric comfort of higher rebirth, nor does one take up those of the intermediate level merely to benefit oneself by gaining nirvana, or liberation from cyclic existence. Both are done purely as preliminaries to the practices of highest perspective. Three Higher Trainings(三學) are emphasized by religious practices in the Paramitayana. The topic of seven types of individual liberation vow adequate for this practice is introduced and then clarified with the statement that, "The best of these is glorious pure conduct, Said to be the vow of a fully ordained person". Atisha emphasizes that higher perception is absolutely essential to the achievement of the all-important accumulations of merit and of wisdom and in nearly the same breath, declares that this can not be gained without achieving calm abiding. There then follows an extended section on skillful means and wisdom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ealization that all phenomena are not produced and are devoid of inherent existence. Thus the nature of all thing is established as emptiness. This section then transitions into the topic of non-conceptuality the achievement of which is identified as the highest state of nirvana. This summary treatment of the Bodhisattva path to Buddhahood is accomplished nicely in the first 59 quatrains whereupon the text makes an abrupt and somewhat inorganic transition into eight quatrains which touch only lightly on mantrayana and tantra-related issues. Half of these eight verses are firmly cautionary, insisting that explicit forms of tantra are forbidden to monastics. Anyone wishing to approach the Buddhist tantras must first refine and mature his or her mindstream through gaining experience in the Sutrayana(顯乘) methods. Atisha stressed the entering into the way of secret mantra, the Vajrayana. Atisha's treatises show that the teachings of the Sutrayana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Vajrayana and the various doctrines of Buddha are seen as non-contradictory. The practices of the Lamrim was embodied in Atisha's short treatise, A Lamp for the Path to Enlightenment. Atisha incorporated the instructions given by Buddha, including those of both the Sutrayana and Vajrayana. After he transmitted the Lamrim teachings to Tibetan people, the tradition has been passed on in an unbroken lineage from that time to the present day.

      • 집단상담 작업동맹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양정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상담의 과정과 성과를 예측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예비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과 전문가, 연구대상의 면담을 통해, 집단상담 작업동맹 개념을 정리하고, 집단상담 작업동맹 구성 개념을 탐색하였다. 문헌 고찰 과 면담을 통해 집단과의 관계, 리더와의 관계, 자발성, 참여 4개의 하위요인으로 가정한 후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5차례의 타당도 검증 후 3개의 요인(정서적 유대, 과제지향적 합의, 목표를 위한 참여)으로 수정하였다. 둘째, 예비 조사(N=203)에서는 문항변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3개의 요인을 중심으로 최종 문항분석을 실시하여,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다. 예비 연구를 통해 가정한 3개의 요인은 동일하나, 선별된 문항을 대표할 수 있도록 요인명은 정서적 유대, 목표에 대한 합의, 집단과정적 참여로 수정하였다. 셋째, 본 조사에서는 241명의 집단원을 대상으로 최종척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준거 변인과의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척도의 3요인 모형에 대한 양호한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타당화 검증을 위해 집단상담 응 집력 척도, 집단상담 치료적 요인 척도, 상담만족도 척도, 상담성과 척도를 통해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응집력 척도와 집단상담 치료적 요인 척도, 상담만족도 척도, 상담성과 척도 집단상담 작업동맹 척도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상담만족도와 상담성과를 집단상담 작업동맹이 잘 설명한다는 결과도 함께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집단상담 작업동맹 척도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높은 작업동맹, 낮은 작업동맹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질적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개발된 집단상담 작업동맹의 척도로 높은 작업동맹집단, 낮은 작업동맹집단을 선별하고 참여자 7명의 집단상담경험을 분석하였다. 낮은 작업동맹 집단에서는 ‘집단이 안전하지 않다고 느껴짐’.‘작업의 시기, 내용의 조율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음’. ‘집단 참여에서 물러남’ 3개의 주요범주가 도출되었다. 높은 작업 동맹 집단에서는 ‘지지적이면서 도전이 가능한 분위기’ ‘집단의 도움을 받아 과업인식 및 작업의지가 생김.’ ‘자신과 타인의 작업에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짐’ 이 최종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결과가 갖는 함의를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 designed to predict the process and performance of group counseling. To that end, four studies were carried out. First, the preliminary study examined literature and interviewed experts and research subjects so as to arrange the working alliance concept in group counseling and to explore the working alliance composition concept in group counseling.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and interviews, four sub-factors were assumed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group, the relationship with the leader, spontaneity, and participation,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made. Then, after five-time verification of validity, the factors were revised into three factors (emotional bond, task-oriented agreement, and participation for goal). Second, the preliminary survey (N=203) conducted the item discriminatio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o as to derive three sub-factors. Based on the three derived factors, a measure consisting of 21 questions was developed through the final analysis of questions. The three factors assumed as a result of preliminary study are the same, but to let them represent the selected questions, the factor names were revised into emotional bond, agreement for goal, and group process participation. Third, in this survey, the confirmatory analysis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final measure and the analysis of validity vs. the reference variable were conducted, targeting 241 members of the group. As a result, a good fitness was confirmed for the 3-factor model of the final measure. For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using the cohesion measure of group counseling, therapeutic factor measure of group counseling, counseling satisfaction measure, and counseling performance measure, the reference validity was confirme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hesion measure, therapeutic factor measure of group counseling, counseling satisfaction measure, counseling performance measure, and working alliance measure of group counseling.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counseling satisfaction measure and counseling performance measure are well explained by the working alliance measure of group counseling. The tool was confirmed as valid for measuring the working alliance of group counseling.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high working alliance and low working alliance levels was confirmed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Using the proposed working alliance measure of group counseling, high-level working alliance and low-level working alliance were distinguished, and seven participants' experience in group counseling was analyzed. In the low-level working alliance group, three major categories were derived, such as ‘not feeling the group is safe,' ‘work time and contents coordination are not properly conducted,' and ‘withdrawing from the group participation.' In the high-level working alliance group, the study finally confirmed ‘supportive and challenge-enabling mood,' ‘with the help of group, recognition of task and determination to do work are created,' and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one's and others' work happened.' Lastly, the meaning, findings an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proposal for follow-up studies was discussed.

      • 표현 요소에 따른 웨딩 메이크업·헤어스타일 경향 분석 및 선호도 조사 : 2011년~2015년 웨딩잡지 유행 경향을 중심으로

        양정연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최근(2011년∼2015년)의 웨딩 잡지 유행 경향을 중심으로 웨딩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의 경향을 표현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선호하는 신부 이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논문과 비교하여 최근의 웨딩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선호하는 신부 이미지를 조사하여 웨딩 업계 종사자들의 실무 서비스 향상과 결혼을 앞둔 예비 신부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조사는 2016년 9월 5일부터 9월 25일까지 대전·충청권 20대∼50대 성인 남녀 3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총 320부의 설문지 중 300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2011년∼2015년)의 웨딩 메이크업은 얇고 투명한 피부 표현에 기초를 두고, 밝아진 헤어 컬러의 영향으로 눈썹과 눈 화장은 화려한 색조를 최대한 자제하고, 블러셔와 립스틱으로 신부의 화사함을 표현 하는 경향이었다. 둘째, 최근(2011년∼2015년)의 웨딩 헤어스타일은 기존의 클래식하고 다소 무거웠던 업스타일 보다 좀 더 가볍고 자연스런 세미업스타일을 선호하는 경향이었다. 셋째, 최근(2011년∼2015년)의 토탈 웨딩 스타일 연출 시 선호하는 신부 이미지는 ‘단아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경향이었다. 본 연구는 최근(2011년∼2015년)의 웨딩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의 유행 경향을 분석하고 선호하는 신부 이미지를 조사함으로써 웨딩업계 종사자들과 예식을 앞둔 예비 신부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웨딩 업계의 실무 종사자들은 신부의 웨딩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 연출 시 신부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신부가 원하는 이미지 연출에 최대한 부합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