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거세저항성전립선암에서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억제제와 Survivin 발현 억제제의 항암효과 및 병용 투여 효과

        양승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o improve the chemotherapeutic efficiency against castration resistant prostate cancer (CRPC), targeted cancer therapy against specific gene has been studied and applied. But current targeted therapies have applied to limited in CRPC patients. AZD8931 is a novel small-molecule equipotent inhibitor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pe 2 (HER2) and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pe 3 (HER3) signaling. Survivin, a member of the family of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IAPs), functions as a key regulator of mitosis and programmed cell death. YM155, a small molecule survivin suppressor, which is overexpressed in many tumor types. The aim of this study are evaluated the antitumor activity of AZD8931 and YM155 and whether combined therapy of AZD8931 and YM155 is more effective in CRPC. Materials and Methods: PC-3 cell line derived from metastasis to bone of a CRPC patient were used in this study. Cell growth and apoptotic cell death were examined in vitro. Also, some kinase expression profile of PC-3 cells treated with AZD8931 and YM155 was analyzed with western blot and real-time PCR. For the in vivo tumor growth studies, PC-3 cells were orthotopically transplanted into the mammary fat pads of immunodeficient mice. And then tumor size and mice body weight were measured every week, Ki-67 proliferation index was also calculated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AZD8931 group was more activated cytokine related apoptosis pathway through downregulation of ERK1, Akt1 and Bcl-2, and upregulation of JNK1, P38, Bax and caspase 3 than control on mRNA and protein expression. YM155 group was more activated cytokine related apoptosis pathway through downregulation of ERK1, Akt1 and Bcl-2, and upregulation of Bax than control on mRNA and protein expression. The combined group of AZD8931 and YM155 showed more significant effect than control group, but did not show more effective results than AZD8931 alone treatment in vitro study. We showed that AZD8931 monotherapy and YM155 monotherapy inhibited xenograft growth. The combination of AZD8931 + YM155 was not more effective than AZD8931 alone treatment at delaying tumor growth in vivo in orthotopic prostate cancer models. The Ki-67 proliferation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xenograft models treated with AZD8931 monotherapy and YM155 monotherapy. The combination of AZD8931 + YM155 was not more effective than AZD8931 alone treatment at reducing cell proliferation. Conclusions: AZD8931 inhibits EGFR and activates caspase through PI3K/AKT pathway and Ras-MEK-MAPK pathway, thereby inhibits growth and development of cancer cells and enhance apoptosis. It was thought that YM155 promotes apoptosis through DNA fragmentation by apoptosis inducible factor (AIF). The combination of AZD8931 and YM155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antitumor activity compared to monotherap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arget therapy for CRPC. Key words: targeted therapy; castration resistant prostate cancer

      • 교량파괴시 민간 가설공법을 적용한 복구방법 고찰

        양승우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research focuses on the considering difficulties of damage repair and the application of the latest method of construction as the result of advancement of civil technology upon bridge destruction which is a part of the ground LOC(Line of Communication) that ensures the maneuver and maintains the sustainment support of the war time task force. 1) As the considering difficulties of damage repair, a method of emergency bridge construction must be sought as the acquirement of the wartime emergency construction material is inevitable due to the faulty assumption of construction method of the Chung-Mu Plan. We have identified problems of the emergency reconstruction execution plan of the mobilized company due to the excessive assignment of bridges under reconstruction, perfunctory preparation, and the lack of interest of the associates. We have also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latest construction method of the current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in light of the significant advancement in the field. 2)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we have presented a method of ensuring emergency reconstruction applied with diverse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s that take the local conditions into account by complementing the civilian technology applied project guide of the Chung-Mu Plan. 3) We have presented a method to decrease the load of wartime mission an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emergency mobilization by evaluating and complementing the emergency reconstruction execution plan and by reexamining the reconstruction objective of the mobilized company to assign local construction companies, allowing balanced allocation and controlled operation and provided systemic condition precedent to organize a collective inspection group to provide technical assistance to concretize the execution plan preparation. 4) As a third method, we have inquired latest civil construction technology as well as latest foreign construction methods that are applicable. We have found four categories of damage where the six civil methods of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that are applicable to various objective bridges according to the plan corresponding to damaged bridge reconstruction, could be applied. Specifically, the four categories of damage, where the application of private temporary construction methods could be effective, are top-plate destruction only, massive destruction of the bridge, an instance where reconstruction must be carried out either in the river or on the original bridge, and an instance where Pile work and lower vent are available. 5) If we can complete the bridge damage repair plan through the application of civil technology based new construction method as stated above, we expect this to not only ensure the maneuver and sustainment support but als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by evenly distributing the civil construction companies. 본 연구에서는 전시 작전부대의 기동여건 보장 및 작전 지속지원 유지를 위한 육상병참선의 하나인 교량파괴시 피해복구 계획상의 문제점과 민간 기술의 발달에 따른 신공법의 적용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량파괴시 피해복구의 고려해야 할 문제점으로, 충무계획의 가정상의 복구방법의 문제점으로 인한 전시 긴급자재 동원이 불가피하고 복구시간이 지연되는 등 긴급 가교의 구축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고, 건설동원업체의 긴급복구 실시계획에서 동원업체의 복구교량 과다지정, 형식적인 작성과 관련 업무담당자들의 관심부족에 따른 문제점이 식별되었으며, 춘추전국시대를 맞이할 정도로 신기술이 눈부실 정도로 등장하고 있는 현 토목신기술의 신공법을 적용한 가설교량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2) 이에 따른 충무계획서상 민간 신기술을 적용한 설계지침을 보완하여 목표 교량별 현지 여건을 고려한 다양한 가교공법을 적용한 긴급복구가 이루어지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3) 두 번째 방안으로, 동원업체의 긴급복구 실시계획서를 점검 및 보완하여 동원업체의 복구목표에 대한 재검토하여 해당지역에 있는 건설업체가 할당되게 함으로써 목표별로 균등하게 배분 및 통제운용이 되도록 하여 전시 임무에 대한 부담감소와 긴급동원에 이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실시계획서 작성의 구체화를 위한 종합점검단 편성을 통한 기술적 조언과 이를 시행할 수 있는 제도적인 선행조건을 제시하였다. 4) 세 번째 방안으로, 민간 신기술 공법 중 적용 가능한 방안과 최신 외국의 공법 등을 고찰하였고, 교량피해복구에 대한 계획서상의 다양한 목표 교량별 적용 가능한 6개의 민간 가설공법은 크게 4가지 피해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량의 상판만 파괴된 경우, 교량의 대규모 피해시, 하천 또는 기존의 교량위에서 작업이 필요한 경우, 현장의 Pile 작업과 하부 벤트 작업이 가용한 경우 등이며 이러한 상황 하에서 6가지의 민간 가교공법을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5) 이와 같은 민간 기술을 적용한 신공법을 통해 교량피해복구 계획을 완성한다면 군의 기동여건 및 작전지속지원을 보장함과 동시에 나아가 민간 건설업체의 균형 있는 배분을 통해 지역 사회의 발전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 영적성숙을 위한 영성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 비고스키의 교육심리학을 적용한 영성지도의 가능성 모색

        양승우 성공회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주제는 "영적성숙을 위한 영성지도 방법"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영성이 무엇인지, 영적성숙은 무엇인지, 영성지도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지도해야할지 연구해보았다. 영성의 개념정리를 위해서 영성의 영성사적 연구하여 각 시대별 영성의 의미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성에 대해서 교회와 교단에 따라서 동방정교회의 헤지카즘 전통, 서방교회의 신비·수덕신학적 수도원 전통, 제도와 예전을 중요시하는 로마 가톨릭 영성, 종교개혁 이후에 일어난 개신교의 성경중심의 복음주의, 감정적 체험을 중요시하는 오순절 성령운동, 사회구원을 강조하는 해방신학적 영성 등 수많은 전통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각 교회의 전통에 따라서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성에 대하여 어느 한 가지 정의를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며, 자신의 영성전통만 옳다고 하나의 개념만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성숙한 기독교인의 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영성에 대한 다양한 개념들을 모두 다룰 수 없고, 모든 전통들을 포함시킬 수도 없기 때문에 신비·수덕신학적 영성을 다루었다. 한국 교회에 신비·수덕신학적 영성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이것은 영성에 대한 편견과 오해가 원인이다. 신비와 관상에 대한 편견은 서구 합리주의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이다. 합리적 사고에 익숙한 서방교회는 영성을 합리적으로 규명하려고 노력했으나, 결국 한계에 직면하게 되자 오히려 영성에 대한 연구를 등한시했다. 그 결과 비합리적이라 하여 신비주의를 배격하고 영성의 신비를 기피하게 된다. 이러한 영향으로 영성에 대해 편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편견은 동방교회의 부정의 길로 극복될 수 있다. 동방교회의 사상가들은 서구의 합리주의와 다른 방법으로 하느님에 관한 사고를 시작한다. 동방의 사상가들은 서방의 합리주의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한다. 동방교회는 신비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 한다. 물론 이들이 인간의 지식과 경험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이성을 거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동방교회에서는 이성의 잣대 위에서 스스로를 정당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서방교회의 주장은 불가피하게 '이성의 독재'로 이끌 것이고, 이성은 주인이 되어, 종교의 원인을 '그릇된 방식'에 두게 될 것이라는 우려로 합리주의를 바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긍정의 길과 부정의 길을 다루었으며, 이를 능동적·긍정의 단계와 수동적·부정적 단계로 나누워 설명하였다. 신비와 관상에 대한 오해는 신비체험과 신비체험이 아닌 것, 관상과 관상이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생기게 된다. 흔히 신비체험이라고 오해되는 예감, 직관적 지식, 통찰력, 예지, 초감각적 지각처럼 확실하지 않으면서 이상야릇한 체험들은 사실 신비체험이 아니다. 또한 한없는 기쁨이 넘치는 회심체험이나 강렬하고 뜨거운 방언체험, 그리고 열정적인 경건함과 같이 고양된 감정이나 망아적인 상태의 종교체험도 신비주의에서는 배제된다. 이런 체험들이 각 개인들에게는 아무리 종교적 가치가 있을지라도 신비체험과 구별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발생된 신비에 대한 오해와 편견, 거부감은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관상기도도 마찬가지이다. 탈혼, 환시, 외적 말씀, 상상으로 주시는 음성, 사람의 영안에 새겨주시는 말씀등과 같이 특별히 은총을 내려주는 것을 관상기도의 목적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아빌라의 테레사나 십자가의 성 요한의 가르침에 따르면 이와 같은 체험들은 신비 생활의 초기 단계에 나타나는 것이고 적극적으로 뛰어넘어야 한다. 긍정의 길이나 외향적 신비주의에서는 이러한 체험들이 유용할 수도 있고, 초심자들에게는 좋은 자극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게 할 수도 있으나, 진정으로 하느님을 만나기위해서는 이러한 것들을 버리고 내향적 신비주의나 부정의 길을 통한 영성수련을 해야 한다. 관상기도의 과정에서 여러 가지 체험이 일어날 수도 있지만, 그런 체험만을 중요시하고 체험만을 추구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영적 성숙에 방해가 된다. 방언, 황홀체험, 급격한 회심체험, 한없는 기쁨과 평안 등의 체험은 신앙생활을 보다 풍성하게 만드는 성령의 선물이지만, 그것만으로 충분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신앙체험들이 영적성숙의 좋은 계기가 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자체가 영적인 성숙인 것은 아니다. 성령의 각종 은사들은 하느님이 주시는 은총의 선물이다. 단순히 선물 자체만을 기뻐하는 기복적 신앙에서, 그 선물에 담긴 의미를 깨닫고 하느님과의 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하느님과 더 친밀해지고(신비),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것(수덕)이 영적성숙의 과정이다. 영성수련에서 체험이 꽃이라고 한다면 완덕은 열매이다.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낙화가 있어야 한다. 이런 낙화의 과정을 십자가의 성 요한은 "정화의 밤"이라고 하였다. 체험의 순간이 좋다고 거기에서만 머물러서는 안된다. 체험이 깨달음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삶에서 열매를 맺어야 한다. 영성수련을 단순히 심리치료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마음의 안정과 평안을 얻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전락시켜서는 안된다. 또한 참선이나 요가 등에 신자들을 빼앗기지 않거나, 또는 그런 부분에 관심이 있는 신자들을 모아서 교회성장의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이러한 모든 것은 영성수련의 과정에서 생기는 부수적인 효과일 뿐,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다. 영성수련의 목적은 "하나님과의 친밀"인 신비와 "그리스도의 품성을 닮아감"을 뜻한 수덕을 통해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라는 모든 성서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영적성숙의 과정이다. 영적 성숙에 각 단계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학문적으로 증명할 수는 없지만, 영적인 성숙을 단계별로 구분한 영성지도를 했던 영성사 전통을 따르기로 하였다. 그 성숙의 단계를 능동성과 수동성, 긍정의 길과 부정의 길의 관점으로 능동적·긍정적 단계, 정화의 단계, 수동적·부정적 단계로 나누었다. 그리고 영성지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바람직한 영성지도자의 조건을 생각해보았다. 그 결과 영성지도에서는 관념과 지식이 아니라 실제로 기도생활을 함으로써 얻어지는 경험과 깨달음이 중요하기 때문에, 영성 지도자는 경험이 많아야 하고, 다른 사람을 지도를 하기 전에 먼저 본인 스스로가 꾸준히 영성수련을 하는 수련가여야 한다. 또한 사람들은 흔히 성직자와 영성지도자를 동일시하지만, 성직자라고해서 모두가 영성지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국 기독교의 성직자 양성과정에서는 스콜라신학과 계몽주의의 연장선에 있는 이성중심의 신학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상반된 입장인 수도원적인 영성 신학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기 때문이다. 설사 영성신학을 학문적으로 공부했다고 해도, 영성생활은 지성의 수준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신앙은 지식이 아니라 생활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영성과 영성지도에 대한 개념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영성지도에 필요한 조건이기는 하지만 충분한 조건 아니다. 학문적인 교육과 정을 밟는 것만으로는 영성지도자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사제서품을 받거나 교회의 직책을 맡고 있다는 사실이 그 사람이 좋은 영성지도자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제서품을 통해 영성지도자로서의 필요한 재능이 자동적으로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오직 은총과 훈련을 통해서만 영성 지도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재능을 갖추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인 스스로가 끊임없이 영성수련을 해야 한며, 이것이 성직자 양성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영적 성숙을 위한 영성지도의 방법으로 비고스키의 교육심리학이론을 적용하도록 시도하였다. 비고스키의 교육심리학 이론의 핵심은 "학습은 발달을 주도한다."는 것이며, 그는 사회적인 상호작용 및 교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영성지도에 적용할 수 있는 주요 개념들은 근접발달영역과 비계설정, 타자주도적 학습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전환, 상상과 혼잣말을 사용한 자기조절, 상보적 교수와 교수적 대화이다. 즉, 근접발달영역에서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얻어지는 사회적인 지식은 개인적인지식이 되고, 개인적인 지식은 점차 증가되고 복잡해지며, 이것이 발달을 주도한다는 것이다. 비고스키의 이론은 인지발달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영성지도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 증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전통적인 영성지도 방법과 비교해 볼 때 많은 유사성이 있으며, 비고스키의 이론을 적용한 영성지도의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고스키의 이론을 영성지도에 적용하면 영성지도자가 영성지도를 통해서 수련자를 영적성숙의 과정으로 인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의 영성수련과 묵상프로그램 인도경험을 비고스키의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적용하였고, 실제로 피정프로그램을 구상해보았다. 그 결과상상과 혼잣말은 본인의 영적성숙을 위한 영성수련에 도움이 되고, 상보적 교수와 교수적 대화, 근접발달영역과 비계설정은 다른 사람의 영적성숙을 돕기 위한 영성지도에 모두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비고스키의 이론을 적용한 영성수련과 영성지도의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그러나 비고스키의 이론을 영성지도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비고스키의 이론은 "능동적·긍정적인 단계"인 묵상을 지도할 때는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정화의 밤"의 단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수동적·부정적 단계"는 인간의 의지로 도달하거다 영성지도를 통해 이끌어 줄 수 있는 단계가 아니므로, 비고스키의 이론은 영성수련의 초보자들을 대상으로 가장 기초적인 단계 "능동적·긍정적 단계"의 영성수련을 지도할 때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 직업선수로 경력전환 과정의 심리적 체험 : 단일사례연구

        양승우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선수가 직업선수로 경력전환 하는 과정에서 체험하는 심리적 요인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대학팀에서 실업팀으로 진출하는 운동선수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연구참여자가 직접 작성하는 일지를 통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총 10개월간 진행되었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가 체험하는 심리요인의 변화과정을 있는 그대로 도출하였다. 또한 심층면담과 일지를 통해 얻은 자료에서 연구참여자가 언급한 용어를 토대로 심리요인의 빈도를 분석하여 심리적 체험요인의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총 30가지의 심리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긍정적 심리요인과 부정적 심리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긍정적 심리요인으로는 기쁨, 긍지, 사랑 각각의 상위단계에서 해방감, 자신감, 책임감, 뿌듯함, 기대감, 든든함, 성취감, 설렘으로 8가지 하위단계를 구분하였다. 반면, 부정적 심리요인으로는 공포, 분노, 연민, 수치, 좌절, 슬픔의 상위단계에서 부담감, 두려움, 동기부여, 욕심, 짜증, 부러움, 불만, 예민함, 경쟁심, 불신, 반항심, 걱정, 아쉬움, 창피함, 혼란스러움, 긴장, 불안, 절실함, 나태함, 서러움, 속상함, 회의감으로 22가지 하위단계를 구분하였다. 또한 각각의 심리요인이 10개월간 어떻게 변화하는지 시계열적 경향성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가 프로운동선수라는 직업을 목표로 하는 아마추어 선수들에게 꿈을 이루기 위한 준비과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과 함께 강한 동기부여가 되기를 바란다. 더불어 대한민국의 체육계에도 모든 운동선수들이 종목에 따라 편애 받지 않는 환경으로 개선되기를 바란다.

      • 한국의 4개 주요항만(부산, 울산, 광양, 인천)에 분포하는 섬모충플랑크톤의 계절동태 특성

        양승우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주요항만에 분포하는 섬모충플랑크톤의 계절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수괴지표종인 유종섬모충을 이용하여 외래 생물종의 유입을 조사하였다. 외래 생물종의 유입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류의 영향으로 인한 유입과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를 통한 가능성을 두고 접근하였다. 시료의 정성 및 정량 채집은 우리나라 주요항만인 부산항, 울산항, 광양항, 인천항에서 2007년 2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유종섬모충플랑크톤은 총 15속 45종이다. 광양항에서 34종, 부산항에서 33종, 울산항에서 31종, 인천항에서 18종이 관찰되었고 무각섬모충 플랑크톤의 개체수의 범위는 566~65,151 cells·L^(-1)이며 유종섬모충 플랑크톤의 개체수의 범위는 10~5,973 cells·L^(-1)이다. 전체 섬모충 플랑크톤의 개체수의 범위는 642~65,182 cells·L^(-1)로 개체수의 변화는 조사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우점종으로는 부산항에서 Tintinnopsis beroidea, 울산항에서 Helicostomella subulata와 Tintinnopsis nana, 인천항에서 Tintinnidium balechi, 광양항에서 Ascampbelilla acuta, Tintinnidium balechi, Tintinnopsis beroidea, T. tocantinensis, T. baltica, T. nana, T. nordqvisti, T. rapa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미국의 오레곤 Coos Bay의 항만에서 선박평형수의 벡터생물로 보고가 되어 있는 유종섬모충플랑크톤을 한국의 4개 주요항만(부산, 울산, 광양, 인천)에서 조사를 한 결과로 Eutintinnus lusus-undae, Eutintinnus tubulosus, Favella ehrenbergii, Favella taraikaensis, Helicostomella subulata, Stenosemella nivalis, Tintinnopsis ampla, Tintinnopsis beroidea, Tintinnopsis cylindrica, Tintinnopsis directa, Tintinnopsis lohmanni, Tintinnopsis radix, Tintinnopsis rapa로 한국의 4개 주요항만인 부산항에서 10종류, 울산항에서 11종류, 광양항에서 13종류, 인천항에서 6종류가 기록되었다. 부산항과 울산항에서 하계와 추계에 난류지표종인 Ascampbeliella urceolata, Dadayiella ganymedes, Eutintinnus stramentus, Protorhabdonella curta, Codonellopsis morchella, Codonellopsis ostenfeldi가 8월과 11월에 출현하였다. 인천항과 광양항에서는 전 계절을 통해 연안종이 출현하였고 특히 저수온기와 고수온기에 연안 지표종의 출현이 뚜렷하였다. 광양항에서는 2007년 5월에 국내미기록종이며 난류종인 Tintinnopsis ampla의 출현과 2008년 11월에 Codonellopsis ostenfeldi가 출현을 보였지만 인천항에서는 난류지표종의 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유종섬모충의 출현분포의 특성은 연안종이 주로 출현하였으며 쿠로시오 난류의 지류인 쓰시마 난류의 영향이 큰 부산과 울산항에 8월과 11월에만 난류 지표종이 중점적으로 출현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 미기록종 및 난류종의 영향은 기후변화와 쓰시마 난류에 의해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Plankton ciliates play an important role in food web of marine ecosystem as well as bio-indicator for invade species from foreign country or from changing flow of currents due to ciliate chang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an evidence for introduction of invade species. We surveyed the seasonal species composition of planktonic ciliate in order to find out evidences for invade species at Busan, Ulsan, Gwangyang and Incheon as major ports of Korea from February 2007 to November 2008. A total of 45 species of ciliates, belonging to 15 genera,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udy period. In each port, 34 species occurred at Gwangyang, 33 at Busan, 31 at Ulsan, 18 at Incheon, respectively. The abundance of naked ciliates ranged from 566 to 65,151 cells·L^(-1) and that of tintinnids 10 to 5,973 cells·L^(-1). Dominant species is Tintinnopsis beroidea at Busan Port, Helicostomella subulata, Tintinnopsis nana at Ulsan port, Ascampbelilla acuta, Tintinnidium balechi, Tintinnopsis beroidea, Tintinnopsis tocantinensis, Tintinnopsis baltica, Tintinnopsis nana, Tintinnopsis nordqvisti, Tintinnopsis rapa at Gwangyang port, Tintinnidium balechi at Incheon port. Finding on investigation of American's Oregon Coos Bay Port has been reported tintinnid as vector living which are follows, Eutintinnus lusus-undae, Eutintinnus tubulosus, Favella ehrenbergii, Favella taraikaensis, Helicostomella subulata, Stenosemella nivalis, Tintinnopsis ampla, Tintinnopsis beroidea, Tintinnopsis cylindrica, Tintinnopsis directa, Tintinnopsis lohmanni, Tintinnopsis radix, Tintinnopsis rapa. In each ports, 10 species occurred in Busan ports, 11 in Ulsan ports, 13 in Gwangyang ports, 6 in Incheon port, respectively. Ascampbeliella urceolata, Dadayiella ganymedes, Eutintinnus stramentus, Protorhabdonella curta, Codonellopsis morchella, Codonellopsis ostenfenfeldi of the warm water species occurred in August and November at Busan and Ulsan ports. the neritic species occurred in Incheon and Gwangyang ports through all season, and especially the neritic species occurred precisely in low and high water temperature. Tintinnopsis ampla of the warm current species and newly recorded species in Korea occurred at May 2007 and Codonellopsis ostenfeldi at November 2008. But appearance of the warm water species is not observed in Incheon Port. The tintinnids occurred throughout the survey are marine neritic species, while the warm water species occurred only in short period at Busan and Ulsan Ports that might be affected seasonally by Tsushima Warm Current. It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the warm water species might be affected is by influx of Tsushima Warm Current.

      • 한국 무교와 신사도 운동의 비교 연구 : 상호 선교의 가능성 모색

        양승우 가톨릭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논문개요(초록) 지금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한국의 모든 종교들은 한국인들의 마음에 위로와 평화를 주고 한국 사회의 통합과 안정을 위해 기여하는 등 종교 본연의 기능에 더욱 충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종교적 심성과 종교사적인 특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국인은 한국인만의 고유한 종교적 심성을 가지고 있으며, 외래 종교가 한국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과 상호작용하면서 이 땅에 정착하여 서로를 변화시켜 왔다. 한국인들의 종교 경험에서 공통적인 것은 이기적인 삶보다는 이타적인 삶, 분열과 대립의 삶보다는 조화와 일치를 통한 공동체적인 삶을 지향한다는 점이다. 이것이 바로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의 핵심이다. 이러한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종교는 무교(巫敎, 샤머니즘)이며,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종교도 무교이다. 한국인들의 무교적인 성향은 한국의 각 종교들의 수용과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그리스도교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에서 카리스마적 성령 운동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배경에는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 안에 있는 무교적인 심성의 영향이 크다. 교리적인 부분에서는 구별할 수 있지만, 체험적인 요소는 유사성이 많으며, 무교에 익숙한 한국인 종교적 심성은 이미 성령 운동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성령 운동의 추진은 지금의 한국 종교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좋은 대안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현대 성령 운동의 흐름을 ‘제1의 물결’, ‘제2의 물결’, ‘제3의 물결’ 순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2000년대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성장하며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신사도 운동은 ‘제3의 물결’에 해당된다. 신사도 운동은 카리스마적 리더십으로 교단 체제의 개혁을 주장하며, 새로운 예배 및 기도회를 시도하고 있는데, 신사도 운동에서는 ‘직통 계시’와 ‘예언’, ‘각종 성령의 은사’, ‘임파테이션’ 등과 같은 강력한 종교 체험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영적 전쟁과 중보기도를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신사도 운동이 기존 그리스도교 전통과 구별되는 특징은 바로 ‘사도’를 바라보는 관점에 있다. 따라서 신사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서 먼저 사도에 대한 개념정리가 필요하다. 전통적인 교회에서 말하는 사도 계승은 무교의 세습무와 비슷한 성격을 보이는 반면, 신사도 운동에서 말하는 사도 계승은 강신무와 비슷한 성격을 보인다. 강신무와 세습무가 대립적이며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상호 보완적이고 협력관계를 맺는 것처럼, 전통 교단과 신사도 운동 역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맺을 필요가 있다. 신사도 운동이 현대 한국인들에게 설득력이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갤럽의 조사결과에 나타난 한국인들의 종교의식과 신사도 운동의 세계관을 비교해보면, 신사도 운동의 세계관은 서구의 합리적인 세계관보다는 오히려 동양적인 세계관에 더 가까운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별히 신사도 운동에서 강조하고 있는 주요 특징들은 ‘초자연적이고 영적인 존재의 인정’, ‘중간계의 영들이 지상에 주는 영향’, ‘여러 가지 기적과 이사’ 인데, 여전히 많은 한국인들이 이러한 요소들을 강하게 믿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신사도 운동은 한국인의 종교적 정서 안으로 쉽게 수용될 수 있으며, 현대 한국인들의 종교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한국의 종교 문화를 풍성하게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무교와 상호 선교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신사도 운동과 한국의 무교는 체험적인 요소와 일부 세계관에서 공통점이 있으며, 서로가 서로에게 배울 점과 도움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이 있기 때문에 상호 선교의 가능성과 필요성은 충분하다. 그러나, 이는 주로 에토스와 파토스 측면에서 바라본 결론이기 때문에, 로고스의 영역에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 정서적인 요소에서는 공통점이 충분히 있지만, 교리와 신학의 영역에서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단지 이론적인 수준에서의 검토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교회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연구해 보려고 한다. 적용할 대상으로는 대한성공회를 선택하였다. 이 연구가 과연 대한성공회에도 적용될 수 있을지, 대한성공회에 적용가능하다면 대한성공회에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2012년 교구 진단 결과를 살펴보면, 대한성공회는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과 지금 신자들의 종교적 욕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한성공회에 한국인의 종교관 및 정서에 알맞은 신사도 운동을 비판적으로 적용하면, 성공회 신자들의 종교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이 시대의 흐름에 맞게 교회를 개혁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In today's situation, all the religions of Korea should provide comfort and peace to people's minds and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and stability, which are the original functions of relig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Korean people's traditional religious mi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n history. Korean people have their own religious minds, and while foreign religions were accepted to Korea, they interacted with Korean people's religious minds, settled in this country, and changed each other.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s religious experiences are they pursue altruistic life rather than selfish life, and communal living rather through harmony and accord rather than life of conflict and opposition. These are the core of Korean people's religious minds. The religion that reflects Korean people's religious minds best is Korean shamanism(巫敎), which also has the most influence on Korean people's religious minds. The inclination of shamanism affected the acceptance process of each religion in Korea, and Christianity is not the exception. The background that charismatic holy spirit movement was growing explosively is the shamanistic minds lying inside of Korean people's religious minds. It is distinctive in doctrines, but there are a lot of similarities in experiential elements. Korean people's religious minds that are used to shamanism were already ready to accept the holy spirit movement. Therefore, the new holy spirit movement can be one of good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crisis of today's Korean religions. The flow of modern holy spirit movement can be classified into 'the 1st wave', 'the 2nd wave' and 'the 3rd wave'.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that was started seriously in 2000s and now is rapidly growing in the world having a great influence is 'the 3rd movement'.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claims the reform of religious system with charismatic leadership and is trying new worship and prayer service. In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there are strong religious experiences such as 'direct divine revelation', 'prophecy', 'gifts of holy spirit' and 'impartation'. Based on these, there are active spiritual war and intercessory prayer.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from the existing Christian traditions is the perspective towards apostles. For explanation of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oncept of apostles first. The apostolic succession mentioned in the traditional church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hereditary shamans of shamanism. As hereditary shamans and apostolic succession are conflictual and maintain strained relations,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mutual complementary and cooperative, the traditional religious body and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also need to be mutual complementary. I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people's religious minds and the world view of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in the result of survey by Gallup Korea to find out whether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is persuasive, the world view of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is rather closer to oriental world view than to the Western rational world view. Major characteristics especially emphasized by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are 'acknowledgment of supernational and spiritual beings', 'the effects of middle earth spirits on earth' and 'various miracles and gifts', which many Korean people still strongly believe in. Therefore,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can be accepted easily to Korean people's religious minds, can satisfy their religious desires and can contribute to abundant religious culture of Korea. For this, mutual mission with shamanism will be helpful. Because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and Korean shamanism share common features in some experiential elements and some parts of world view, and they have elements that can be learned and helped by each other,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are enough. Nevertheless, this is the conclusion from the aspects of ethos and pathos, so additional research from the area of logos is needed. That's because there are enough common features in the emotional elements, but there is big difference in the doctrine and theology areas. Rather than limiting in theoretical review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how it can be specifically applied to actual church sites.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was selected as the subject for application. It was considered whether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and if so, how it can be helpful to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2012' parish diagnosis,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Korean people's religious minds and current believers' religious desires. If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suitable for Korean people's religious views and minds is critically applied, the religious desires of the Anglican Church believers will be satisfied, and the church can be reformed for the current of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