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목소리가 반영된 바깥놀이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양선희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유아의 목소리가 반영된 바깥놀이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양선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교육과학과 (지도교수 유영의) 주제어: 유아의 목소리, 바깥놀이, 협력적 실행연구

      •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효과 장치 분석

        양선희 충남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television reality shows systematically. Reality shows have been the unique and competent genre of modern television and tried to change its feature diversely on the change broadcasting circumstance, which can be seen as rapid increases of demand for a new program and as post-genre trend. The major reason of the success of reality shows, is the reality of the subject and the expression technique, which is based on the television attribute which is realistic. In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focuses on reality-effec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tackles som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 1. What kind of reality-effect mechanisms of television reality show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effect mechanisms and reality-effect of television reality shows? 3.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reality shows? For the answer of question, 7 reality shows are analyzed. Each of them has its own diversity in content and format. Here i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 1. Reality-effect mechanisms of television reality shows are subjects, actors, narration, music, properties, stage setting, modulation of screen or voice, technique of framing-work, lighting, sound effect. 2. There are two aspects reality-effect of television reality shows. One is dramatic-affective effect in the emotional level. The other is objective-cognitive effect in the rational level. 3. There are 4 type in television reality shows : rescue, criminal investigation, human documentary, entertainment. Reality shows is the combination of 3 elements : studio, dramatic reconstruction, reporting. A dramatic reconstruction is the core of reality shows, and selected by another element according to the types. Reality-effects of reality shows result from reality-effects mechanisms. One of the mechanisms is the dramatic-affective effect mechanisms, which is used for the emotional immersion. The other is objective-cognitive effect mechanisms, which is used for encouraging of objective truth. Dramatic-affective effect mechanisms is used for a rescue type or criminal investigation type, which is based on objective data on the rational level, because it can complement emotional reality. On the other hand, objective-cognitive effect mechanisms is used for a human-documentary type or entertainment type, which is based on the emotional level, because it can compensate for objective truth. It means that each type of reality shows used their own mechanism for complementing their weak part of reality. Keywords : reality shows, reality, reality-effect, dramatic-affective effect, objective-cognitive effect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Conferred in August 2000.

      •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특성

        양선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tha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For that purpos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type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2. What are the material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3. What are the function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4. What are the participation sphere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nalysis of works of public art made by 3, 4 and 5-years-old children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university in Seou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 works of public art children made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2011 to the first semester of 2013. Pictures and videos of public art, book on ESD projects and presentation data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Characteristic of public art that children experienc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standard on characteristic of public ar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between pure arts and applied arts. Children experienced more applied arts, expecially public design. Second, the material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between traditional and evolutionary art materials. Children experienced both of them but a few more evolutionary art materials than traditional one. Third, the function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among artistic, practical and participative functions. Children experienced most participative function followed by artistic and practical functions. Forth, the participation sphere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among the levels of individual, classroom, early childhood center, local community and international society. Children experienced from the level of classroom to that of international society. They participated most on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center followed by the level of local community, classroom and international society. 본 연구는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특성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유형은 어떠한가? 2.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재료는 어떠한가? 3.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기능은 어떠한가? 4.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참여 범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대학 부속 유아교육기관의 만 3, 4, 5세 학급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 수행 중 유아가 제작한 공공미술작품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2011년부터 2013년 1학기 까지 지속가능교육 프로젝트 실행 중 유아가 구성한 공공미술작품 총 55점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공공미술작품사진과 영상물, 프로젝트 정리 도서와 발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특성은 공공미술 특성 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유형을 순수 미술과 응용미술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공공미술의 유형은 응용미술의 경험이 우세하였으며 특히, 공공 디자인의 경험이 높았다. 둘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재료를 전통적인 미술재료와 진화하는 미술 재료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유아는 전통적인 미술재료와 진화하는 미술 재료 모두 경험하고 있었으나 진화하는 미술 재료의 경험이 조금 더 높았다. 셋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기능을 예술성, 실용성, 참여성으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유아는 참여성, 예술성, 실용성의 순서로 참여성을 가장 높게 경험하였다. 넷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참여 범위는 유아 개인, 학급, 유아교육기관, 지역사회, 국제사회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유아는 학급수준에서부터 국제사회에까지의 범위에서 참여를 경험하였다. 특히 유아교육기관 수준에서 참여를 경험한 것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지역사회, 학급, 국제사회 순으로 참여를 경험하였다.

      • 올리고당과 콩 또는 콩 이소플라본 첨가 아이스크림이 제2형 당뇨마우스의 혈당대사에 미치는 영향

        양선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행 연구에서 당뇨병 환자의 경우 섭취가 제한되는 일반 우유아이스크림 대신에 혈당 조절과 혈당지질 개선 등에 효과적인 올리고당첨가 콩아이스크림을 제조하여 동물실험을 통해 기능성을 규명하였으나, 품질 및 관능 평가에 있어 일반 우유아이스크림에 미치지 못하여, 본 연구에서는 품질 특성을 향상시킨 아이스크림을 제조하고 그 기능성을 시험하였다. 콩아이스크림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콩을 데치고 동결 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과즙을 첨가하고 혼합 유산균 종균을 배양시켜 대두분말 발효 베이스를 제조한 후 올리고당을 첨가하였다. 대두분말을 발효시킨 후 비교한 결과, 삶은 대두분말 발효 베이스 (FBBS)가 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FBPS)에 비해 pH는 높고 점도는 낮았으며 유산균 생육은 우세하였다. 아이스크림의 품질특성은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이 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에 비해 overrun과 melt-down이 증가하여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냉동에 의한 생균수도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이 높게 나타났다. 발효베이스의 관능 평가 결과 삶은 대두분말 발효 베이스 (FBBS)의 관능적인 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이스크림의 종합적인 기호도도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이 가장 양호하게 평가되었다. 건강한 2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아이스크림의 경구 혈당반응을 검사한 결과, 아이스크림 섭취 후 120분에 올리고당 첨가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 (BO)을 먹은 경우가 설탕 첨가 우유아이스크림 (MS)을 먹은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혈당을 나타내었다. 제조한 아이스크림의 건강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동결건조한 아이스크림을 AIN-93G 식이의 30%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식이를 조제하여, 5주령 된 C57BL/KsJ-db/db 수컷 쥐를 설탕 첨가 우유아이스크림 (MS)군, 올리고당 첨가 우유아이스크림 (MO)군, 올리고당 첨가 삶은 대두분말 발효베이스 아이스크림 (BO)군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자유롭게 섭취시킨 뒤, 희생된 쥐의 혈액과 장기를 취하여 각 실험식이가 혈중 포도당, 인슐린, HbA1c 및 렙틴 농도와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HbA1c 농도는 올리고당 첨가 우유아이스크림 (MO)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공복시 평균 혈중 포도당, 인슐린 및 렙틴, 그리고 간과 신장조직의 지질과산화물 농도는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C57BL/KsJ-db/db가 5주에서 9주 사이에 고혈당이 발생하여 심한 고혈당증세와 비만, 고인슐린혈증을 나타낸 점을 고려할 때 실험결과에 식이보다 모델에 따른 특징이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후속연구로 아이스크림에 콩 이소플라본을 첨가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당뇨증세가 완만하게 나타나는 제2형 당뇨모델을 선정하였다. 5주령 된 C57BL/6J-ob/ob 수컷 40마리를 환경에 적응시킨 후 대조군과 설탕 첨가 우유아이스크림 (MS)군, 콩 이소플라본 첨가 아이스크림 (SI-MS)군, 올리고당 및 콩 이소플라본 첨가 아이스크림 (SI-FOS-MS)군으로 나누었다. C57BL/6J-ob/ob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비만/당뇨가 유발되는 모델로써 대조군은 kg 식이 당 7%의 지방을, 아이스크림섭취군은 kg 식이 당 20% (39% fat energy)의 지방을 함유하도록 조제하였으며, 아이스크림섭취군은 AIN-93G 기본 식이에 아이스크림을 30% 첨가하여 실험식이로 하였다. 실험식이 급여 4주째에 14시간 절식 시킨 후 포도당 용액을 경구투여하여 혈당변화를 측정한 결과 90분대에서 올리고당 및 콩 이소플라본 첨가 아이스크림 (SI-FOS-MS)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치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콩 이소플라본 첨가 아이스크림 (SI-MS)군은 설탕 첨가 우유아이스크림 (MS)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12주간의 실험식이 후 측정한 혈장 포도당, 인슐린, C-peptide 및 렙틴 농도와 간과 신장조직의 TBARS 함량, 그리고 적혈구의 GSH-Px, CAT 및 SOD 활성변화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B-cell의 증식을 자극하는 LPS에 대해서는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그 중 SI-FOS-MS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T-cell의 증식을 자극하는 ConA에 대한 결과와 ConA를 첨가하여 3일 동안 배양한 비장세포에서 분리된 IL-6와 TNF-α 함량은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콩아이스크림의 관능적인 품질은 현저히 향상되었으나 동물실험을 통한 기능성 평가에서 올리고당 첨가 우유아이스크림이 HbA1c를 유의적으로 낮춘 것 외에는 콩과 콩 이소플라본 첨가에 따른 혈당 개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Soy ice cream, which was made with parched soybean powder supplemented with fructoologosaccharide, improved blood sugar and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injected type 1 diabetic rats in a previous study. However,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ice cream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milk ice cream with sugar. In this study we tried to improve quality characteristics soy ice cream and investigated its physio‘?logical effects on diabetic biomarkers in type 2 diabetic mice. To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ice cream supplemented with fructooligosaccharide (FOS), boiled soybean powder was compared to parched soybean powder and to milk, as an ingredient. The soybean powder base was prepared by incubating with FOS and apple juice, along with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 bulgaricus at 30-40℃ for 24 h. With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fishy smell of the soybean was removed and the taste improved. The overrun and melt-down values of boiled soybean ice crea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arched soybean ice cream, although the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milk ice cream.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oy ice cream prepared with the fermented base of boiled soybea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to those of the ice cream made using parched soybeans,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ilk ice cream. The blood glucose level at 120 min after ingestion of the ice cream prepared with FOS and the fermented base of boiled soybean powd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ccurring with the milk ice cream made with sugar. C57BL/KsJ-db/db male mice were given AIN93G-based diets which contained one of 3 different kinds of freeze-dried ice cream at the level of 30% for 4 weeks. Ice creams were MS (milk ice cream with sugar), MO (milk ice cream with FOS) and BO (ice cream prepared with FOS and fermented base using boiled soybean powder). Levels of plasma glucose and insuli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while blood HbA1c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MO group compared with MS and BO groups. Not only plasma leptin but liver and kidney concentrations of TBA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Since C57BL/KsJ-db/db mice develop hyperglycemia between 5 and 9 weeks of age and express extreme hyperglycemia, obesity and hyperinsulinemia, we conducted another experiment with mild diabetic animal model and tested whether any effect by soy is mediated with soy isoflavones in soy ice creams. Male C57BL/6J-ob/ob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group (basal diet, 7% fat), MS group (milk ice cream with sugar + 20% fat), SI-MS group (MS ice cream with 0.01% soy isoflavones + 20% fat) and SI-FOS-MS group (MS ice cream with 0.01% soy isoflavones and FOS + 20% fat). Freeze-dried ice cream was supplemented to AIN93G-based diets at 30%. C57BL/6J-ob/ob mice are the diet-induced obesity and diabetes model. Mice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or 12 weeks. The blood sugar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SI-FOS-MS group at 90 min of 4th week as compared to the MS group by oral glucose tolerance test. Levels of glucose, insulin, C-peptide, leptin of fasted plasma and blood HbA1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Liver and kidney concentrations of TBARS and activities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Stimulation index of splenocyte proliferation by lipopolysaccha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I-FOS-MS group as compared to the MS group. Splenocyte proliferation induced by concanavalin (ConA) Concentrations of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secreted from splenocytes induced by Con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groups. In conclusi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ice cream prepared with FOS was improved by preparing fermented base using boiled soybean powder. However, effects of soy ice cream on diabetic biomarkers in type 2 diabetic mice were minimal.

      • 간경변 환자의 자가 간호 행위와 퇴원교육요구도 분석

        양선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입원한 간경변 환자의 자가 간호 수행 정도와 퇴원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퇴원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I대학병원 소화기 내과 병동에 입원하여 퇴원을 앞두고 있는 간경변 환자 161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8월부터 2014년 4월까지였으며 연구 도구는 Heo(2004)가 간경변 환자의 자가 간호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간경변 환자의 자가 간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퇴원교육요구도는 예비조사를 한 결과와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자가 개발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처리 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자가 간호 수행 정도와 퇴원교육요구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 수행 정도와 퇴원교육요구도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경변 환자의 자가 간호 수행 정도는 총 75점 만점에 총점평균 45.93점, 문항평균 5점 만점에 3.06점이었고 퇴원교육요구도는 총 135점 만점에 총점평균 94.83점, 문항평균 5점 만점에 3.51점이었다. 하부 영역으로 자가 간호 수행 정도는 병원 방문 및 정기검진 영역(3.60점)의 자가 간호 수행 정도가 가장 높았고 합병증 예방 및 관찰 영역(2.85점)의 자가 간호 수행 정도가 가장 낮았다. 퇴원교육요구도는 약물 영역(3.78점)의 퇴원교육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정서 및 사회적지지 영역(3.19점)의 퇴원교육요구가 가장 낮았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 행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학력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33, p=.0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 행위의 하위 영역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른 병원 방문 및 정기검진 영역(F=3.42, p=.01)과 합병증 예방 및 관찰 영역(F=4.33, p=.006)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력에 따른 식이요법(F=3.88, p=.005), 안정 및 활동 영역(F=6.09, 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가족의 월 소득에 따른 식이요법(F=3.48, p=.01), 합병증 예방 및 관찰 영역(F=3.01, p=.03)에서 자가 간호 수행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퇴원교육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직업(t=2.51, p=.01), 연령(F=4.07, p=.008) 가족의 월소득(F=6.03, p=.001)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퇴원교육요구도의 하위 영역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연령에 따른 질병경과 및 치료영역(F=3.13, p=.02)과 합병증 관리 및 예방 영역(F=1.54, p=.02), 안정 및 활동 영역(F=5.32,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력에 따른 합병증 관리 및 예방 영역(F=3.02, p=.002), 직업 유무에 따른 질병 경과 및 치료 영역(F=2.52, p=.01), 안정 및 활동 영역(F=2.41, p=.01), 정서 및 사회적지지 영역(F=2.19, p=.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가족의 월소득에 따른 질병 경과 및 치료 영역(F=3.11, p=.02), 합병증 관리 및 예방 영역(F=3.23, p=.02), 식이요법 영역(F=3.59, p=.01), 안정 및 활동 영역(F=3.31, p=.02), 그리고 정서 및 사회적지지 영역(F=4.11, p=.008)의 퇴원교육요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질병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 행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합병증의 유무(t=2.31, p=.02), 간경변의 원인(F=3.00, p=.05), 지식습득경로(F=2.79, p=.02)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 행위의 하위 영역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합병증 유무에 따른 식이요법 영역(t=1.99, p=.04)과 안정 및 활동 영역(F=2.53, p=.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경변 원인에 따라 식이요법 영역(F=4.78, p=.01), 안정 및 활동 영역(F=5.10, p=.007)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증도에 따른 식이 요법 영역(F=8.14, 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지식 습득 경로에 따른 식이요법 영역(F=3.94, p=.01)과 합병증 예방 및 관찰 영역(F=4.46, p=.00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도움이 된 경로에 따른 합병증 예방 및 관찰 영역(F=3.41, p=.01)에서 자가 간호 행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 특성에 따른 퇴원교육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식 습득 경로(F=4.88, p=.003)와 가장 도움이 된 경로(F=6.0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 특성에 따른 퇴원교육요구도의 하위 영역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진단 시기에 따른 병원방문 및 정기검진 영역(F=2.96, p=.03)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합병증 유무에 따른 합병증 관리 및 예방 영역(F=-2.70, p=.008)과 약물 영역(F=2.25, p=.02), 그리고 중증도에 따른 정서 및 사회적지지 영역(F=3.38, p=.03)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지식습득경로에 따른 식이요법 영역(F=5.06, p=.002), 안정 및 활동 영역(F=8.76, p<.001), 정서 및 사회적지지 영역(F=5.42, p=.001), 병원방문 및 정기검진 영역(F=4.01, p=.009)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가장 도움이 된 경로에 따른 식이요법 영역(F=6.57, p<.001), 안정 및 활동 영역(F=6.32, p<.001), 정서 및 사회적지지 영역(F=9.21, p<.001), 병원방문 및 정기검진 영역(F=3.36, p=.02)에서 퇴원교육요구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간경변 합병증 예방과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정보제공 뿐 아니라 자가 간호를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개발이 진행될 필요가 있겠다. 또한 간호사는 퇴원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반드시 약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양선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의 일반적 경향과 관련성을 알아보며 양육과 관련된 이해를 돕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의 문지기역할, 아버지의 양육참여, 아버지의 양육 스트레스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간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와 충청남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를 자녀로 둔 아버지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의 문지기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Van Egeren(2000)이 개발하고 Schoppe-Sullivan과 Lauren, Meghan, Daniel, Claire(2015)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개발 및 타당화한 조윤진, 임인혜(2016)의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A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 gatekeeping Scale)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측정하기 위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제작한 최혜순, 이미현(2015)의 양육참여 척도(A father involvement scales for fathers of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으며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아버지를 대상으로 Abidin(1995)이 개발한 부모양육스트레스 검사 축약형(PSI-SF)을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 김혜진(2008)이 한국의 실정에 맞게 개발 및 타당화한 한국판 부모양육스트레스 검사 축약형(K-SPI-SF)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일원변량분석(ANOVA), LSD 사후검증, 독립적 t-test,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교육수준, 가정의 월평균소득, 자녀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 문지기역할, 아버지의 양육참여,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버지의 교육수준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았을 때 아버지의 양육참여 하위요인 중 교육지원과 공동양육을 더 많이 한 반면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정의 월평균소득은 소득이 높았을 때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하위요인 중 놀이·문화지원, 공동양육이 높게 나타났고 소득이 낮았을 때 아버지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부모-자녀 역기능적 상호작용은 높게 나타난 반면 어머니의 문지기역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녀의 성별이 남아일 때 아버지의 양육참여 하위요인 중 사회·정서지원이 높게 나타났고 여아일 때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까다로운 아동이 높게 나타난 반면 어머니의 문지기역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서는 어머니의 문지기역할 하위요인 중 문열기가 높을수록 아버지의 양육참여 모든 하위요인인 자기성장, 놀이·문화지원, 사회·정서지원, 교육지원, 공동양육이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문지기역할 하위요인 중 문닫기가 높을수록 아버지의 양육참여 하위요인 중 사회·정서지원에서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서는 어머니의 문지기역할 하위요인 중 문열기가 높을수록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모든 하위요인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 상호작용, 까다로운 아동은 낮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문지기역할 하위요인 중 문닫기가 높을수록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모든 하위요인인 부모의 고통, 부모-자녀 역기능적 상호작용, 까다로운 아동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neral tendency and relationship among the maternal gatekeeping recognized by fathers, father involvement,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and helps the understanding of bringing-up children. The issues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general tendencies in the maternal gatekeeping recognized by fathers, father involvement,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gatekeeping and the father involvement?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gatekeeping and the father's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254 fathers who have 3 to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the surrounding Gyeonggi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s. The study tool for investigating the maternal gatekeeping recognized by fathers was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 gatekeeping scale translated and modified by Cho Yoon-Jin and Lim In-Hye (2016) based on the original tool developed by Van Egeren (2000) and moified by Schoppe-Sullivan, Lauren, Meghan, Daniel, and Claire (2015). The tool for measuring the father involvement was the parenting scale for the fathers of young children developed by Choi Hye-Soon and Lee Mi-Hyun (2015), and the tool for measuring the father's parenting stress was Korean version of the parent stress index short form (K-PSI-SF) developed by Lee Kyung-Sook, Jung Kyeong-Mi, Park Jin-Ah, and Kim Hye-Jin (2008) based on the parent stress index short form (PSI-SF) for fathers developed by Abidin (1995).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ANOVA, LSD Post-Hoc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ernal gatekeeping, father involvement,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father's educational standards,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and sex of childre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aternal gatekeeping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even though the educational support and co-parenting of the sub-factors of the father involvement showed high levels while the fathers represented high educational standards. The play-cultural support and co-parenting of the sub-factors of the father involvement showed high levels according to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the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of the sub-factors of the father's parenting stress showed high levels according to lower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aternal gatekeeping. In the male children, the social-emotional support of the sub-factors of the father involvement showed high levels, the difficult children of the sub-factors of the father's parenting stress showed high levels in the female children,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aternal gatekeeping. Second, the maternal gate-opening showed a static correlation to the entire sub-factors of the father involvement, and the maternal gate-closing showed a static correlation to some sub-factors. That is, the higher levels in the maternal gate-opening represented high levels in the self-growth, play-cultural support, social-emotional support, educational support, and co-parenting of the sub-factors of the father involvement, and the higher levels in the maternal gate-closing showed high levels in the social-emotional support of the sub-factors of the father involvement. Third, the entire sub-factors of the maternal gate-opening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and the entire sub-factors of the maternal gate-closing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showed static correlations. That is, the higher levels in the maternal gate-opening showed low levels in the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children, and the higher levels in the maternal gate-closing represented high levels in the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children.

      • 상급종합병원 신입간호사의 재직의도 영향요인

        양선희 울산대학교 임상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을 중심으로 임상경력 1년 미만 신입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구조적 관계를 탐색 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일 상급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임상경력 1년 미만의 신입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 추출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0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257부를 배부하여 전량 회수되었으며, 이 중 유효한 설문지 246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탄력성은 265점 만점에 평균 196.82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적 업무 환경의 업무요구 영역의 하위 척도인 업무량의 평균은 49.33점, 업무속도의 평균은 75.07점으로 나타났고, 감정적 부담의 평균은 51.45점이었다. 일의 조직과 업무내용의 하위 척도인 영향력의 평균은 29.01점이었고, 발전가능성은 35.87, 업무의 의미의 평균은 68.63점 이었다. 협력과 지도력의 하위척도인 직무몰입의 평균은 55.16점으로 나타났고, 인정과 보상의 평균은 56.57점, 역할명료성 평균 66.80점, 역할갈등의 평균은 49.52점, 리더십의 질의 평균은 61.31점이었으며, 상사의 지지는 평균 65.79점, 동료의 지지의 평균은 68.12점이었고, 공동체성은 평균 71.43점이었다. 일-개인생활의 하위 척도인 업무만족도의 경우 평균 56.61점이었고, 일-가정 갈등은 평균 54.37점이었다. 회사의 가치영역에서는 경영진 신뢰가 평균 63.74점, 동료 간 신뢰는 평균 72.39점이었고, 공정성의 평균은 55.89점으로 나타났다. 재직의도는 8점 만점에 평균 4.97 점이었다. 둘째, 재직의도는 성별(t=-2.352, p<.05), 근무부서(F=4.139, p<.01), 희망부서 배치여부(t=-3.175, p<.01), 간호직 선택동기(F=.3.768, p<0.01), 재직이유(t=2.480,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직의도는 회복탄력성,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의 일의 조직과 업무내용 영역에서 업무의 의미(r=.495), 발전가능성(r=.351), 직무몰입(r=.707), 협력과 지도력 영역의 예측가능성(r=.349), 인정과 보상(r=.363), 역할명료성(r=.406), 리더십의 질(r=.356), 상사의 지지(r=.296), 동료의 지지(r=.242), 공동체성(r=.253), 일-개인 생활 영역에서의 업무만족(r=.531), 회사의 가치 영역에서 경영진의 신뢰(r=.376), 동료간 신뢰(r=.203), 공정성(r=.340)이 재직의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의 업무요구 영역에서 업무량(r=-.436), 업무속도(r=-.220), 감정적 부담(r=-.461), 협력과 지도력 영역의 역할갈등(r=.199), 일-개인 생활 영역에서 일-가정 갈등(r=-.306)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중 남자(β=.094, p<.05),간호직 선택동기 중 “내 적성과 흥미에 알맞아서” 인 경우(β=.219, p<.05)와 사회 심리적 업무환경의 직무몰입(β=.497, p<.001)과 감정적 부담(β=-.170, p<.01)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의 대상자가 서울 소재 A 병원에 재직중인 간호사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지역과 대상자를 확대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재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직무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병원조직차원의 근무환경조성과 조직문화의 변화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세대적 특성을 확인하고 세대적 특성이 재직이유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신입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종단 연구를 제언한다. 주요어: 재직의도, 신입간호사, 회복탄력성,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stay of novice nurses in territory care hospital with a focus on resilience and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venience extracts for new nurses with less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 in territory care hospital in Seoul, and collected data from March 1 to April 30, 202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 total of 257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nd 246 copies of the valid questionnaire were final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for Windows.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stay were male (β=.094, p<.05), “Appropriate for my aptitude and interest”, during the selection motivation for nursing (β=.219, p<.05), “Commitment to the workplace” (β=.497, p<.001) and “Emotional demands”(β=-.170, p<.01). Based on the results above,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limited to nurses in A hospitals in Seoul, it is recommended to repeat the study to expand the region and subjects. Second, in order to improve job commitmen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job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working environment at the hospital organization level and a strategy to change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in order to confirm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reasons for employment, a longitudinal study with novice nurses is suggested. Key Words: Emotions, Intention, Nursing staff, Workplace

      • 복합적 슬픔을 경험한 사별 여성 배우자의 애도과정으로서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양선희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alyze and examine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y as a mourning process for a widow in the point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view. In this study, two major questions are 'What kind of experience do widows get through art therapy as a mourning process for a complicated grief?' and 'What a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art therapy on widows as a mourning process?‘ For this research, two widows who has experienced Complicated Grief(CG) were participated. The structured group program using collage and individual interview were implemented for participants. Seven sessions of art therapy were conducted for 90 to 120 minutes, once a week from July to August, 2018. The qualitative date were analyzed and fundamental topics were drawn through the procedure derived from the hermeneutic phenomenology guided by Max Van Manen: ⒜ one's inner mourning, ⒝ relational mourning, ⒞ existential mourning, the meaning of life existence, and ⒟ empathy and consolation in art therapy. As a result,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meanings of art therapy experience as a mourning process of a widow who has experienced complicated grief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it gives participants the opportunity to figure out their grief and emotions which have not been expressed for a long time since bereavement through exploring their own images. Second, it provided the safe circumstances for participants to express their emotions with images and accept the visualized emotions. Third, it enables participants to encourage and support each other with sharing their feelings reflected in the art products. Fourth, it induces participants voluntarily to express their new hope, ‘living with and for others’ toward new life in the future. As experiencing these proper function of art therapy as mourning process, participants get to look deep into themselves, to accept it naturally and finally to rebuild the meaning of their life. Deeply understanding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y using collage as a mourning process for grieving wi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valuable basis for future researches abou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xperiences on the bereaved by art therapy. Furthermore, to enhance the generality and validity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research can include a greater number of participants, bereaved male spouse, various cases of bereavement, religious effects, utilization of diverse art media & technique and influence of multiple sessions Key words : Art therapy, Bereavement, Collage, Complicated grief, Hermeneutic phenomenology, Mourning 본 연구는 배우자 사별 이후 복합적 슬픔을 느끼는 여성의 애도과정으로서의 미술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이 인지하는 주관적이고 생생한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으로 이해하고 분석하여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질문은 ‘사별 여성 배우자는 복합적 슬픔을 위한 애도과정으로서의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게 되는가?’와 ‘애도과정으로서의 미술치료가 사별 여성 배우자에게 주는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연구를 위해 남편과 사별한 지 2년 이상 된 여성 배우자 2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주 1회 90-120분씩 7회기에 걸쳐 미술치료와 면담을 진행하였다.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는 콜라주 기법으로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4개의 본질적 주제, <자신의 내면적 애도>, <타자와 관련된 관계적 애도>, <삶과 존재의 의미인 실존적 애도>,<미술치료 안에서의 공감과 위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복합적 슬픔을 경험하는 사별 여성 배우자의 애도과정으로서 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미술치료 안에서 이미지 탐색을 통해 사별 후 오랜 시간 동안 억압되었던 자신의 슬픔과 감정에 대해 탐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미술치료라는 안전한 환경에서 이미지로 감정을 표현하고 시각화된 자신의 감정을 수용하게 되었다. 셋째, 완성된 작품의 나눔을 통해 자기 통찰과 함께 공감, 위로, 응원을 공유하며 지지받는 각자의 애도의 시간을 함께할 수 있었다. 넷째, 타자를 위한 의미 있는 삶에 대한 소망을 표현하며 새로운 삶에 대한 의미인식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참여자들은 애도과정으로서의 미술치료경험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마주하고 수용하며 변화된 삶을 받아들이고 앞으로의 삶의 의미를 재정립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다수 사례의 적용과 비교, 사별 남성 배우자의 적용, 사별 원인별 적용, 종교 여부에 따른 비교 적용, 다양한 미술 매체와 기법의 적용, 다 회기의 미술치료 적용 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배우자 사별 후 복합적 슬픔을 경험한 여성의 애도과정으로서의 미술치료 경험의 본질을 이해함으로써 사별자들에게 심리·정서적 측면의 사별·애 도를 위한 미술치료 체험에 질적 자료를 제공하며 후속 연구의 기초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자기 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 및 가족 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양선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리더십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주도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리더십을 직접 체험하게 하여, 자신이 극복해야 할 한계와 더욱더 개발해야 할 강점을 인식하도록 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또한 자신의 뿌리에 대해 자각함으로써 가족관계 속에서 자신을 이해하게 하며, 가족 속에서 자신이 취하게 될 역할을 그려 봄으로써 자신의 책임을 자각하고 긍정적인 역할에 대한 비전을 가지게 하여 가족관계 증진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의해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G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24명(남자 12명, 여자 12명)을 실험집단에, 같은 학교의 학년과 성별을 실험집단에 맞추어 24명을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고 실험집단에만 총 16회기의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 존중감 척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또한 자아 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아, 사회적 자아, 학문적 자아, 가정적 자아에서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보다 모든 하위 영역에서 평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가족관계 척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또한 가족관계의 하위요인인 가족결속력, 가족 내 갈등 수준, 가족 표현력 에서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보다 모든 하위 영역에서 평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가족 속에서 자신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한 비전을 가지게 하여 가족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systematical self leadership program which can help the forth grade of elementary students as follows. First, it can bring up students' self esteem by realizing their potentials to overcome their limits. Secondly, students can understand themselves as a part of their families by realizing their family origins. They can have optimistic visions for their roles in the families for improving their family relationships while imagining roles that they are going to take in families. In the program students can practice self-directed leadership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ith the will and eager. The question for this study was what effects the self-directed leadership have on the family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tudents. 12 boy students and 12 girl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in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wang ju city in Chonla-do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mong the rest of the students in the same school to the experimental group, 12 boys and 12 girl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With these two groups, 16 week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score of self esteem had been measured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providing this program, the average score of four 4 sub areas of self-esteem: general, social, academic and family self-concepts have respectively measured higher as well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ly, the score of family rela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came out higher than that of in the control group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nalyzed results of this program on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 show that the average score of three sub areas of family relations: family cohesion, inner-family conflicts, family expression ability have respectively measured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ose results indicates that the self leadership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self esteems of children. Also, it suggests that it helps improve family relationships by encouraging students to have visions of their roles in their own families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