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러 가지 확산적 흐림 하에서의 시인성 연구

        양석준 건양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LED on color visibility under diffusive blur. The diffusive blur was generat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diffusive film, liquid crystal window, and fog chamber. The color visibility under LED lighting with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3,000 K was the best in the following order: White, Yellow, Red, Blue, Green, and Brown. On the other side, The color visibility under LED lighting with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4,500 K was the best in the following order: White, Yellow, Green, Red, Blue, Brown. In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LED had an effect on the color visibility under diffusive blur. We have made attempts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temperature of LED headlamp and the color visibility under various diffusive blurs, but accurate interpretations is believed to require further researches.

      • 한국기업 전문경영자의 CEO 되기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양석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기업 전문경영자들이 체험한 CEO 되기에 관하여 탐구하고 해석함으로써 이들의 주관적 실재를 접근 가능하고 이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해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한국기업의 CEO 되기 전·후의 삶은 전문경영자 CEO들에게 어떻게 인식되는가 그리고 한국기업 전문경영자로서 CEO 되기의 삶은 그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50 후반에서 70 초반 사이의 남성 CEO 6명으로 연구는 2020년 5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예비연구, 연구 참여자 선정, 심층 인터뷰를 통한 자료 수집, 자료 분석 및 글쓰기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80개의 중심의미를 구성하였고, 이로부터 23개의 드러난 주제와 10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밴 매넌의 4가지 근본적 실존체인 신체성과 공간성, 시간성, 그리고 관계성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EO 되기’는 현실에서 실제로 CEO가 되는 체험과 CEO 자리에 오른 후 진정한 CEO로 거듭 되는 체험을 모두 아우른다는 의미이다. CEO 되기의 신체성에서는 “능동적으로 주체적 삶을 살아내다”와 “자율과 타율 사이에서 선택하다”라는 본질적 주제가 각각 ‘운명적으로 트러블슈터가 되다’, ‘전체를 보는 눈을 얻다’, ‘남과 다르게 몸을 능동적으로 쓰다’, ‘자율적 의욕으로부터의 책임감’, ‘타인의 기대로 인한 부담감’이라는 드러난 주제를 포함하였다. 공간성에서는 “결국, 공간의 변화를 만들어내다”와 “CEO를 계기로 만들어진 새로운 공간들”, “치열하게 살아서 얻어낸 내 삶의 공간들”이라는 본질적 주제가 각각 ‘현실 공간을 바꾸다’, ‘마음 속 인식 공간을 바꾸다’, ‘발상의 전환으로 새로운 공간을 열다’, ‘새롭고 낯선 공간이 열리다’, ‘CEO로서 누린 긍정의 공간들’, ‘CEO로서 겪어낸 고민과 회한의 공간들’이라는 드러난 주제로부터 도출되었다. 시간성에서는 “삶의 밀도가 불러낸 나의 운”, “난관을 돌파하는 특별한 시간들”, “CEO는 올라운드 플레이어”라는 본질적 주제가 각각 ‘누구보다 밀도 높게 살다’, ‘운일까 노력일까’, ‘사람 관리가 가장 어렵다’, ‘회사의 이익이냐 나의 이익이냐’, ‘CEO는 과거 적폐를 정리하는 현재의 해결사’, ‘CEO는 미래를 향한 리더다’, ‘나 이후 회사의 미래를 준비하다’의 드러난 주제를 포함하였다. 관계성에서는 “오너와의 관계가 가장 결정적이다”와 “직원과 친구, 가족과의 관계도 변하다”라는 본질적 주제가 각각 ‘오너는 나에게 존경과 감사의 대상이다’, ‘멀어지는 오너와의 관계’, ‘직원들이 멀어져 가는 건 어쩔 수 없다’, ‘친구들과의 관계는 내가 누구인가에 따라 달라지다’, ‘당연한 듯 멀어진 나의 가족’이라는 드러난 주제를 포함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신체성에 있어서 자신들이 쌓아올린 직업적 성공의 핵심 토대가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삶의 태도였음을 명확하게 보여주었으며, 공간성에 있어서는 기업 세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널리 쓰이는 이항대립 사고에서 탈피하여 성공적으로 현실 공간과 인식 공간을 변화시킨 사례들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시간성에 있어서 그들의 일에서 직면하는 과거의 적폐와 현재의 난관들, 그리고 미래에 대한 준비에 모두 부딪쳐 해결하는 밀도 높은 삶의 모습을 보였다. 관계성에 있어서 연구 참여자들에게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오너와의 관계였으며, 그 다음으로 핵심인재들과의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주체성에 대한 관점의 변화, 기업을 보는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 일에 대한 관점의 변화, 그리고 기업조직 내 위치에 따른 권력 갈등의 문제 등이 논의가 필요한 이슈들로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철학상담을 효과적인 접근 방안의 하나로 제시하였다. 전문경영자 CEO의 내적 자기 성찰과 타인에 대한 이해, 그리고 세계관 변화를 일관되게 관통할 수 있는 것이 철학상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철학상담은 보편적으로 이념화된 이론체계나 사유체계를 각 개인의 삶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처한 구체적인 현실의 문제를 자신만의 사유 능력으로 보편화 해내고 해결할 수 있도록 전문경영자 CEO들을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CEO들의 내면적 특성에 대한 연구들이 기업의 성과와의 연관성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학술연구 풍토에서 한국기업의 전문경영자 CEO들이 어떻게 CEO 되기의 체험과 삶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으며, 그로부터 어떤 갈등과 고민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탐색한 최초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한국의 기업 경영자들이 겪는 번아웃과 그 철학상담적 함의

        양석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 경영자의 존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업이라는 조직에서 근무하며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을 뿐 아니라 기업 조직의 구성원들과 그 부양가족, 기업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삶에 결코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기업을 유지·성장시키면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경영자의 기본적 역할, 경영자가 상시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심리적 갈등들, 그리고 4차 산업혁명과 같은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 등은 기업의 경영자가 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번아웃을 초래할 확률을 기하급수적으로 높인다. 그러나 기업 경영자가 그에 대하여 심리상담과 같은 적절한 외부적 도움을 받기는 구조적으로 어렵다. 한국 사회에서 기업 경영자가 심리상담을 받는 것에 대한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시선이 아직도 호의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한국 사회에서 기업 경영자들에 대한 심리상담 시장은 거의 사각지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 경영자에 대한 상담 영역에서 철학상담이 돌파구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철학상담이 여타의 심리상담과 달리 경영자의 경영철학을 더욱 강력하게 가다듬을 수 있게 해주는 철학적/인문학적 자문 활동으로서 포지셔닝할 수 있다고 전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단 문을 한 번 열고 들어간다면 기업 경영자가 겪는 많은 어려움들에 대해서 철학상담자가 적절한 상담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차용한 번아웃 모델과 직무-사람 모델로부터 8가지 번아웃 기본 원인들을 도출하였다. 그것들을 경영자의 관점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경영자 번아웃의 독특한 현상과 세부 원인들로 재구성한 후, 이를 다시 개인적 특성과 사회 구조적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경영자 번아웃 원인들의 개인적 특성을 분석하여 경영자 개인의 ‘욕망’을 핵심 키워드로 도출하였고, 사회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여 ‘리더십’을 또 다른 핵심 키워드로 도출하였다. ‘욕망’의 개념을 논하면서 욕망의 부정성과 타자성을 논의하고, 왜곡된 욕망의 균형성 회복에 대한 철학상담의 적합성을 두 가지로 살펴보면서 그에 대한 철학상담적 방법으로서 ‘소크라테스 대화’를 제시하였다. 경영자 번아웃 원인들의 사회 구조적 특성의 키워드인 ‘리더십’에 대해서는 리더십 전반에 대한 철학상담의 공통적 효용성을 먼저 제시한 후, 리더십의 핵심 역량을 인지 역량, 대인관계 역량, 전략적 관리역량으로 규정하여 그 각각에 대한 철학상담의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지역량에 대해서는 “동기 지워진 사유가 아니라 동기 그 자체를 숙고하는 것, 즉 문자 그대로의 의미에서의 성찰” 능력의 함양을, 대인관계 역량은 “개인들이 다양한 삶의 경험을 인식하고 분류하며 판단하는 철학적 ‘틀’이자 자신과 타자, 세계에 갖는 추상적 구조이며 철학적 함축성을 갖는 세계관”의 재해석 능력을, 그리고 전략적 관리역량에 대해서는 개념분석, 근본 개념 연결망에 대한 성찰, 비판적 사고, 근본 가정 검토, 대화, 유토피아적 사고 등의 철학적 기술들을 통하여 기업 구성원들에게 적절한 ‘비전 제시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철학상담을 통해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각각 제시하였다.

      • 미지의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그립을 위한 패시브-락킹 메커니즘 기반의 다기능 2 지 그리퍼

        양석준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미지의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그립을 위한 패시브 락킹 메커니즘 기반하는 2지 그리퍼를 제안한다. 그리퍼는 4절 링크, 8절 링크가 병렬로 연결되어 세 개의 지골 손가락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메커니즘은 핀치 그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기존의 패시브 그리퍼들은 손가락 측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그립력이 충분히 강하지 않아 그립이 불안정해지는 등의 고질적인 문제들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그리퍼 설계에서 해결되지 않았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8절 링크로 구성된 패시브-락킹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그리퍼는 핀치 그립이 작용하는 동안 물체와 접촉 시, 스프링 탄성 압축력에 의해 그립력이 발생되고 최대 탄성력이 작용되는 구간에서는 기구적 락이 걸리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러한 패시브- 락킹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말단 팁에는 압축 스프링을 적용하였고, 링크 간 접촉을 만들기 위한 병렬 관절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메커니즘의 링크 구성은 여러 상황에 따른 메커니즘의 운동성 분석을 통해 도출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역학 해석을 통해 그립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다양한 조건에서 목표 물체를 안정적으로 잡는지 검증하기 위한 광범위한 수치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더 나아가 다양한 표면을 갖는 물체들과 평평한 바닥, 무작위적 장애물 놓여있는 환경에서의 핀치 실험과 Pick and place/tilt 실험이 진행되었다. 메커니즘의 운동성을 분석 결과 핀치 그립 상황에서 1자유도가 되는 8절 링크 메커니즘이 선정되었으며, 임의의 미지의 환경에서의 다양한 물체 잡기에 관한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환경 대응과 패시브 락킹 기능을 보였고 측면 방향의 그립에서도 안정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후로 제안 모델의 작업 영역과 그립력의 평균 크기를 개선하기 위해 작업 영역과 그립력의 평균 크기를 최대로 하는 최적의 링크 파라미터를 선정하기 위한 목적 함수로 유전 알고리즘이 진행되었고, 그 결과 작업영역 100%를 만족하며 그립력의 평균 크기가 프로토타입 모델로부터 약 13% 증가한 314.1𝑁를 갖는 최적 링크 파라미터가 도출되었다. In this study, we propose a two-finger gripper based on a passive locking mechanism for stable gripping in various unknown environments. The gripper consists of three phalangeal fingers connected by a four- link, eight-link in parallel. The proposed mechan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pinch gripping. In particular, existing passive grippers have suffered from the inherent problem that the gripping force act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ngers is not strong enough, resulting in an unstable grip.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passive-locking mechanism consisting of eight links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has not been solved in existing gripper designs. The proposed gripper is designed to realize the effect that when contacting an object during pinch grip, gripping force is generated by spring elastic compression force and mechanical locking is applied in the region of maximum elastic force. To fulfill these passive-locking conditions, compression springs were applied to the fingertips, and parallel joints were newly configured to make contact between the links. The link configuration of a mechanism is derived by analyzing the mechanism's mobility in different situations. In this paper, the gripping mechanism is described through kinematic analysis, and extensive numerical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verify that it can reliably grasp the target object under various conditions. Furthermore, pinch experiments and pick and place/tilt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objects with various surfaces, flat floors, and random obstacles. After analyzing the mobility of the mechanism, an eight-link mechanism with 1-DOF was selected for the pinch grip situation, and it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on grasping various objects in an arbitrary unknown environment to show environmental response and passive locking, and to be stable in a lateral grip. Then, to improve the work area and the average magnitude of the grip force of the proposed model, a genetic algorithm was conducted as the objective function to select the optimal link parameter that maximizes the work area and the average magnitude of the grip force, resulting in an optimal link parameter that satisfies 100% of the work area and has an average magnitude of 314.1 𝑁, an increase of about 13% from the prototype model.

      • Study on structural controlling factors in fluid-flow : application to dykes and ore-deposits

        양석준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lassification of dyke intrusion patterns and inferred paleostress conditions Dyke has commonly been considered as a simple planar intrusive structure. However, recently various dyke patterns and structures have been reported. The concerns on dykes may be related with exploration of mineral resources, one of the recent hot issues in geology. Dyke intrusion patterns are mainly controlled b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source magmas, local stress conditions and preexisting structures. The subjects of previous studies on dykes are mainly mineralogical or geochemical studies, analysis of specific intrusion pattern and deduction of heat source area. However, one of the main concerns in recent dyke studies is fluid properties in rocks as conduits. Fault and fracture are the main controlling factors in fluid flow such as magma, groundwater, hydrothermal solution, hydrocarbon in rock masse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fracture and fault for fluid flow are a hot issue in modern structure geology. Studies on dyke intrusion pattern may give an insight into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fluid flow and fractures. In this study, various dyke intrusion patterns discovered in Korea are analyzed and classified, and their associated stress conditions are inferred from the dyke geometries. Based on these geometric and kinematic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dyke intrusion patterns and controlling factors are interpreted. The basic dyke classification depends on the similarity of intrusion pattern. We established four main categories and made more branch types depending on specific shapes and differences. Furthermore, intrusion mechanisms and controlling factors are interpreted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yke intrusion patterns and related factors. The controlling factors on dyke intrusion patterns inferred from this study are extension direction, stress condition, pre-existing fracture, and shear senses. Therefore, precise analysis on specific intrusion pattern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principal stresses and pre-existing structures. Based on these analyses and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charts for dyke intrusion patterns and controlling factors are proposed here. This classification charts might be very useful to infer local tectonic stress conditions and their effects to associated intrusion patterns. 이번 연구에서는 관입암류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관입형태들을 분석 및 분류하고 이들을 운동학적 지시자로 활용하여 고응력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각 암맥들 간의 형태학적 유사성을 토대로 암맥의 관입형태를 유형별로 분류하였으며, 암맥의 확장방향과 발달방향 사이의 관계와 특징적인 관입형태를 이용하여 관입시의 운동학적 정보를 획득하였다. 이러한 정보와 암맥의 변형특성을 이용하여 암맥의 관입 전, 중, 후의 응력변화를 추정하였다. 관입암체들에서 발달하는 관입특성인 암맥의 직진성 또는 굴절성, 암맥들의 분절이 만나는 부분에서의 특징, 암맥 내 구조적 요소의 발달 유무 등을 기준으로 연구된 암맥들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존재하던 단열, 관입시의 응력상태, 확장방향 등이 암맥의 형태와 방향성 및 두께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런 요소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암맥의 관입형태를 정밀분석 할 경우 암맥이 관입할 당시 최소수평주응력의 방향뿐만 아니라 관입특성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지그재그형 암맥의 두께와 확장방향에 대한 기하학적 분석은 암맥관입시 각 단열방향의 확장 폭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기존단열의 방향과 암맥 관입시의 최소수평주응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런 암맥의 관입형태와 특성을 분석하고 분류하는 연구는 마그마 관입 이전에 발달한 단열에 대한 정보, 마그마 관입시의 응력조건, 관입후의 구조운동 등에 대한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 한다. 또한, 절대연령측정을 통한 암맥의 연대가 밝혀질 경우 더 정확한 관입 전, 후의 구조운동 시기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udy on structural controlling factors in fluid-flow : application to dykes and ore-deposits Abstract of the whole thesis Fault and fracture are the main controlling factors in fluid flow such as magma, groundwater, hydrothermal solution, hydrocarbon in rock masse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fracture and fault in fluid flow are a hot issue in modern structure ge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features and fluid-flow.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d a Au-Ag ore-deposit and dyke intrusion patterns in Korea . In the case of modern low-sulfidation epithermal systems, it is even possible to examine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Au-Ag-rich ore fluids. In ancient fluid convection systems, such as the Moisan low-sulfidation epithermal deposit in SW Korea, it is important to fully characterise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understand their formational history over time. In this study, I examine the structural genesis of the Eunsan and Moisan deposit and interpret how these structures have influenced fluid flow, and the formation and positioning of Au-Ag ore-bodies. Dyke has commonly been considered as a simple planar intrusive structure. However, recently various dyke patterns and structures are reported. Dyke intrusion patterns are mainly controlled by inter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source magmas, local stress conditions and preexisting structures. The subjects of previous studies on dykes are mainly mineralogical or geochemical studies, analysis of specific intrusion pattern and deduction of heat source area. However, one of the main concerns in recent studies is fluid properties in rocks as reservoirs. Studies on dyke intrusion pattern may give an insight into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fluid flow and fractures. In this study, various dyke intrusion patterns, discovered in Korea, are analyzed and classified, and their associated stress conditions are inferred from the dyke geometries. Based on the geometric and kinematic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dyke intrusion patterns and controlling factors are interpreted. Structural genesis of the Eunsan and Moisan low-sulphidation epithermal Au-Ag deposits, Seongsan district, south Korea Gold-Ag mineralisation at the Eunsan, Moisan, and Chunsan low-sulphidation epithermal deposits are hosted by Cretaceous volcanic and volcaniclastic rocks of the Yuchon Group. These rocks are interbedded with epiclastic fluvial, alluvial, and lacustrine sedimentary rocks. Bedding in the district is subhorizontal and is locally cut by WNW-striking, subvertical, fault-hosted, Au-Ag-bearing veins. The veins formed at about 77.5 Ma, following the main episodes of volcanism (98-71 Ma), plutonism (86-68 Ma), and high-sulphidation epithermal mineralisation (98-91 Ma) in the Seongsan district. The Au-Ag-bearing veins in the low-sulphidation epithermal deposits formed in response to district-wide, NE-SW-directed extension and associated horst-and-graben-style dismemberment of the stratigraphy. During this event, ore fluids were focussed along WNW-striking faults and were concentrated in areas within the fault that experienced low-mean stress, such as intersections between the main WNW-striking fault and NNW-striking fault splays at Eunsan. In contrast, ore fluids were less focussed at the Moisan and Chunsan deposits due to the development of regularly-spaced fractures, resulting in a system of subparallel, sheeted Au-Ag-bearing veins. A secondary control on the development of ore zones is the intersection between mineralised WNW-striking structures and volcanic and volcaniclastic rocks of the Haenam Formation. The greater permeability and porosity of these rocks in comparison with mudstones and siltstones of the underlying Uhangri Formation resulted in the more efficient lateral migration of ore fluids away from the subvertical WNW-striking, fault conduit and the formation of wider ore zones in these host rocks. At the Eunsan deposit,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WNW-striking, subvertical, mineralised vein and the shallowly, SW-dipping lithological contact between the Haenam Formation and Uhangri Formation defines a 20° westward plunge to the Eunsan ore body. A resumption in NE-SW-directed extension during the second district-wide deformation event resulted in up to 100 m of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trata and ore bodies along WNW-striking faults. Subsequent deformation events resulted in N-to NNE-striking, brittle faults that offset the WNW-trending veins and post-mineralisation faults. Past exploration in the Seongsan district has been hindered by the lack of outcrop. Future exploration requires the systematic testing of WNW-trending mineralised structures along strike from the Eunsan, Moisan, and Chunsan deposits, with particular focus in areas that experienced local dilation during the mineralisation event and areas that are presently buried under deep transported sediments. Geophysical exploration tools, such as induced polarisation surveys, may help identify areas for drill testing.

      • 분광광도법 및 확산론에 의한 칼라렌즈 분석

        양석준 건양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분광광도법으로 착색렌즈에 대한 흡광도 및 투과율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사용된 착색염료는 분말형 적자색 착색염료이고, 착색렌즈 제조에 사용된 광학적 플라스틱 렌즈는 CR-39 이다. 착색렌즈 제조에는 염색착색법이 이용되었으며, 농도의 조절은 착색시간을 통해 조절하였다. 흡광도와 투과율 측정에는 Shimazu사의 UV-vis spectrometer가 사용되었으며, 측정 범위는 가시광선 영역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착색렌즈 내 염료의 농도와 흡광도의 관계는 정비례 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례 관계는 흡광도와 농도 사이에 성립하는 Beer법칙을 의미하는 것으로, 검정선(calibration curve)의 기울기 분석으로부터 착색렌즈 내 용액의 흡광계수는 임을 알 수 있었다. 착색렌즈의 시간에 따른 시감투과율의 관계는 지수함수적인 감소를 따르지 않았다. 따라서 1차 및 2차 지수감소곡선을 도입하여 분석하였으며, 1차 지수감소곡선의 경우에는 실험치에서 약간 벗어났지만, 2차 지수감소곡선으로 맞춤한 경우에는 실험치와 잘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플라스틱 착색렌즈의 제조가 일반적으로 60분 이상 넘어가지 않게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처럼 적자색으로 착색된 CR-39 플라스틱 칼라렌즈의 착색시간에 따른 시감투과율과의 관계는 2차 지수감소곡선으로써 맞춤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폐타이어 열분해로부터 생성된 카본블랙의 특성

        양석준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폐타이어 열분해로부터 생성된 카본블랙의 특성을 여러 온도별로 분석하여 경제성을 고려한 카본블랙의 적정온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열분해로부터 생성된 카본블랙은 열분해 과정동안 타이어에 포함된 첨가제에 의해 오염이 되어 그 성질이 저하되고 그 성질저하는 높은 무기물 함량과 표면저하로 나타남을 알았다. 이러한 열분해 카본블랙의 오염은 상대적으로 성질이 우수한 500℃의 온도에서 생성된 카본블랙을 황산과 수산화나트륨으로 연속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무기물 함량을 줄이고 표면성질을 향상시켜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별 카본블랙의 열분해 특성과 후처리의 영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기존의 타이어제조시 첨가되는 상업용 카본블랙과 비교분석함으로써 열분해로부터 생성된 카본블랙의 재활용도를 높여 열분해의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암맥과 열수맥의 분석을 통한 구조적 제어요소 해석과 유체유동 특성 연구

        양석준 부경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15

        Fractures (including faults and joints), representing deformation in a brittle environment, prevail in the subsurface. These structural factors are mainly controlled by the stress-state, which occurs due to the tectonic environment. Particularly, characteristics of fluid flow in the shallow crust are mainly controlled by fractures, because of their role as conduits. Dykes and veins provide important clues to deduce the role of fractures.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ole of fractures in the fluid flow within the subsurface based on an analysis (geometric and kinematic) of dykes and vein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dyke geometric patterns are generally controlled by both fractures and the stress conditions (extension direction) during intrusion, and (2) the characteristics of vein distribu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fault geometry and the damage structure of the host rock. This study will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fractures in fluid flow by the specific (1) study of dykes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shallow-level intrusions and the role of fractures in guiding their emplacement, and the (2) study of veins to improve exploration strategies. 단층과 단열은 천부 지각의 대부분에서 발달하고 있으며, 지진이나 유체유동을 유발 또는 제어하는 기본적인 지질학적 요소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취성구조들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지구에서 발생하는 지질학적 현상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필수적이다. 또한, 이들은 지각내부의 물질이 지표로 상승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최근에 마그마와 열수의 통로로써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지표면에서 이들의 역할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암맥 또는 열수맥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암맥과 열수맥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여, 유체유동에 있어 구조적 요인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 암맥의 관입기작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두 가지 이론, 즉, 암맥이 관입 할 때 기존의 단열을 이용하는지, 새로운 단열들을 형성하는지에 대해서는 최근까지도 많은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암맥들이 기존에 존재하던 단열들에 강하게 제어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특히, 이들 관입형태들은 단열의 발달형태와 상당부분 유사한 점을 보여주었다.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는 단열 분류 체계를 이용하여 관입형태에 대한 기재적 분류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렇게 특징적인 관입형태를 보이는 암맥에 대해서는 관입 이전의 단열 상태를 복원하여 좀 더 정확한 인장 방향을 유추하는 연구도 함께 수행하였다. 또한, 최근 세계적으로 광물자원의 배태와 재동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며, 구조지질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유체유동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광화유체의 통로인 단층이나 연결성 좋은 단열에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로들은 재활성 또는 열수맥에 의해 충진 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규명할 수 없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광화작용과 동시기에 형성된 열수맥들에 대한 여러 가지 분석들을 통해 광화작용과 관련된 구조들을 연구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진도군 가사도 금-은 광산 주변 해안에 발달하는 열수맥들에 대하여 기하학적 분석, 조사선 조사, 프랙탈 분석 등을 이용하여 지표 유체유동에서 구조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열수맥의 발달 특징은 모암에 발달하는 구조, 즉 단층대에 강하게 제어 받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열수광상의 발달에 있어 유체가 집중되는 현상, 마그마가 지표에 관입 할 때의 일반적 원리와 이와 관련된 구조의 역할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