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사용된 서법 조동사의 실제성 연구

        안혜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uthenticity of modal auxiliary verb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o find out if they are properly used in these textbooks by comparing the use of modal auxiliary verb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to the Longman Spoken and Written English (LSWE) corpus. This study will concentrate on the distribution of the frequency and the meanings expressed by nine modal auxiliary verbs(can, could, may, might, must, should, will, would, shall.) First research questions is the frequency of modal auxiliary verbs in English textbook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requencies of will, can, would are high and must, might and shall are low in English textbooks like LSWE Corpus. However, the frequencies of would and may a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in LSWE corpus.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he frequency of modal auxiliary verbs across registers. In English textbooks, the modal auxiliary verbs are more common in spoken language(Listening part, Speaking part), and less common in written language(Reading part, Writing part), which is almost similar to the result of LSWE corpus. Finally, this study analyzed modal auxiliary verbs' use preferences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meanings in different registers. In the first category of permission/possibility/ability, could and may in the written text shows the similar distribution to LSWE corpus and so does might in both written and spoken texts, used as the meaning of possibility more than those of ability. However, can in both written and spoken texts is mostly used as the meaning of possibility unlikely LSWE corpus. In addition, could and may in spoken text is mostly used as the meaning of permission while they are mostly used as the meaning of possibility. In the second category of obligation/necessity, the frequencies of must and should in English textbooks have a similar distribution to those in LSWE Corpus. On the other hand, must in written text is mostly used at the same rate as the meaning of obligation and necessity while it is used as the meaning of obligation more than that of necessity in written text in LSWE corpus. In the third category of volition/prediction, the uses of will and would in written text have a similar distribution to those in LSWE Corpus, so does shall in both resisters. In the case of textbook B, however, will is much more used as the meaning of volition, not that of prediction which is used more in real. Moreover, would in the spoken texts of all three English textbooks is mostly used as the meaning of volition while it is more used as the meaning of prediction than that of volition in LSWE corpu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ould and may be used more comparing to a large scale corpus data. Furthermore, as can(both in the written and spoken texts), may(in the spoken texts), must(in the written texts), will(spoken texts in textbook B) and would(in the spoken texts) are not used genuinely in the distribution of the meaning. The use of those modal auxiliary verbs in English textbooks should be made authentically on the basis of corpus data.

      • 상담전문가의 소명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안혜진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담자의 소명에 대해 이해하고 구조를 밝힘으로써, 경험의 본질적 요소를 규명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상담관련 박사과정을 마쳤거나 학회 혹은 국가에서 발급한 1급 이상의 상담자격증을 보유하였으며, 상담전문가 동료의 추천을 받고, 자신의 일을 소명으로 인식하고 있는 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은 상담경력 7년 ~ 23년에 해당하는 숙련상담자로, 30대 후반부터 50대 초반의 연령에 속하는 6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월부터 3월까지며, 참여자별로 1회에서 2회에 걸쳐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질문지를 사용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면담 내용은 녹음하여 필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olaizzi (1978)가 제시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따랐으며, 이남인(2010)의 연구방법을 참고하여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는 32개의 주제(Theme), 16개의 주제군(Theme cluster)으로 도출되었으며, 4개의 범주(Category)인‘소명의 기원’,‘소명의 형성 과정’,‘소명의 형성 결과’,‘소명의 변화’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각 범주 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 기원은 초월적 존재의 인도와 개인 내면에서의 발현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상담자들은 인간을 넘어선 신 혹은 우주의 절대자에 의한 강한 이끌림을 느꼈으며, 내적 성찰을 통한 깨달음으로 소명을 인식하기도 하였다. 둘째, 소명의 형성 과정은 그 경로나 방법이 복잡하고 다양하게 경험되었다. 상담자들은 상담을 통한 치유와 성장의 경험이 있었고, 이는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의 이타심으로 발전하였다. 이들은 상담에 강한 흥미와 호기심, 재능을 느끼며 숙달하고자 하는 욕구로 열정적인 몰입을 보였다. 또한 진로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시행착오를 겪는 등 일에서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우여곡절을 경험하였다. 셋째, 소명의 형성 결과 상담자들은 일과 삶에서 많은 충만함을 경험하였다. 특히, 상담 장면에서의 절정경험을 통해 강한 효능감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일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치유와 성장뿐만 아니라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담자들은 일에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고, 자아실현을 향해 나아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명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제가 변화하고 확장되는 지속적인 과정으로, 촉진과 저하를 반복하기도 하였다. 상담자는 치료적 도구로서의 자신을 관리하며 소명을 촉진하고 강화하였으며, 시간과 체력의 한계에 따른 소진으로 인해 소명의 저하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담자의 소명에 대해 참여자들의 생생한 진술을 바탕으로 본질적 요소를 분석한 첫 시도라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소명의 다양한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는 상담자로 진로를 선택하려는 자 혹은 소명을 경험하였거나 인식하고자하는 상담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담자의 소명에 대한 특징과 본질적 요소에 대해서도 운을 떼었다는 점에서, 추후 관련 이론의 개발과 연구의 기반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상담자들의 소명을 촉발하고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meaning of experiences in the professional lives of the individuals as counselors, who take their career as a calling and search for the essence of the particular and universal phenomena occurring in experiences.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that they finished the Ph. D courses in counselling or had a certificate of counselling higher than the first degree issued by the nationally accredited organization or the academic society, and they were recommended by their colleagues, recognizing their work as a calling. The participants were six people; all of them were skilled counselors with 7 to 23 years of counselling credentials and the age group ranged from in their late 30’s to the early 50’s. The period for collecting the data was from January to March 2020,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and twice for each participant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of the individual.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every interview was recorded and written down.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research method of phenomenological quality presented by Colaizzi (1973) and com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method of Lee Namin (2010). The research results were drawn into 32 themes and 16 themes clusters, and were broken into 4 categories such as ‘the origin of calling', 'the formation process of calling', 'the results of calling' and ‘the change of calling'. The results of each study result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origin of calling can be traced to a result of a combination of the some guidance of transcendental beings and the self-reflection. The counselors identified their career as something of a destiny conferred by transcendental power and recognized the calling through internal reflection. Second, the formation process of calling is experienced in a wide variety of the courses and methods. The counselors have experienced healing and growth through counselling, which led to the growth of altruism as a wounded healer. They felt a strong sense of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counselling, passionately immerging themselves in desires to improve their skills. In addition, they have experienced ups and downs to find meaning in life, such as intensely agonizing over career path and trial and error. Third, they have experienced a high degree of a sense of fulfillment in their works and life as the results of the formation of calling. In particular, they have been able to recognize strong efficacy through the peak experience in the counseling scene, and through work they was able to exert good influence on the world as well as the healing and growth of themselves and others. Therefore, counselors were able to find the meaning of life in their work and move toward self-realization. Last, calling is a continuous process in which the subject changes and expands over time, and facilitates and degrades have been repeated. The counselors promoted and enhanced their calling by taking care of themselves as a therapeutic tool, and experienced a decline in calling due to exhaustion due to limitations in time and physical streng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essential elements of the counselor’ s calling based on the vivid description of the participants. This study provides opportunities to shed light on investigating particular details of calling and can supply useful materials to those who want to follow the course of the counselor or have experienced or want to recognize the calling. Furthermore, just touching on the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and essential elements of the counselor’s calling will pave a wa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ories related and research and can be used as materials to develop programs geared to encourage and enhance the sense of calling of the counselor.

      • 고등학교 영어 쓰기 수업에서 포트폴리오 활용을 통한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안혜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portfolio-based instruction on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writing ability,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Is there an improvement in students’English writing ability after portfolio-based instruction?; and 2) Is there a change in students’perception about English writing after being exposed to portfolio-based instruction?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13 and they were 1st grade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coed classes in a high school. After a writing pre-test was completed by the students, they received structured portfolio-based instruction for 21 class periods during the course of a whole semester in 2019. The participants wrote three argumentative essays and made portfolio files which included their outlines, drafts, feedback sheets, self-editing worksheets and self-reflection. After the instruction period was complete, a writing post-test was taken by the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their writing abilitie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by the SPSS 25 statistical computer program in order to answe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statistical techniques applied were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for inter-rater reliability and the Paired-sample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ean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Also,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participants’views and reflections about portfolio-based instruction were elicited through a survey after completion of the teaching and writing period. The quantitative data from the 5-point Likert scale questions and multiple-choice questions were analyzed using SPSS 25. The qualitative data from the survey underwent grounded theory analysis which then enabled discussion of the major extracted themes.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participants improved in their overall writing abilities related to the sub-skills of argument, vocabulary and grammar; and 2) they perceived that writing skill was important and that this portfolio-based instruction was useful in improving their writing ability. Specifically, the positive feedback given in the survey indicates that students appreciated portfolio-based instruction because it improved their confidence and writing ability. They expressed the idea that this teaching method enabled them to experience real writing practice. Also, due to the portfolio system, the repetitious manner of their writing practice and teacher feedback allowed them to directly observe their own improvements. Impressively, students noted that this process was a good opportunity to have real writing instruction and practice in a public school rather than in a private institution. On the negative side, however, the students expressed issues on the excessive amount of time they had to spend on writing, the ineffectiveness of peer feedback, and the possibility of abusing the internet translator. Despite these negative aspects, students still ended up with the view that English writing is useful and should be taught in schools. The findings of the study highlight the fact that this portfolio-based method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EFL learners in a public education context. Furthermore,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need for developing further practical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English writing. 본 연구는 쓰기 수업의 한 모형으로 한국 고등학교 영어 쓰기 수업에서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과정 중심 영어 쓰기 지도를 했을 때, 학생들의 쓰기 능력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본 지도 방안에 대한 인식과, 영어 쓰기에 대한 인식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총 113명의 한국 고등학교 1학년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21차시의 포트폴리오 활용 쓰기 지도를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은 세 편의 논증 에세이를 완성하였고, 그 과정에서 작성한 개요, 피드백 활동지, 자기첨삭 활동지, 초고 및 수정본, 자기 성찰 보고서 등을 포트폴리오에 보관하였다. 이후, 쓰기 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학생들이 실험 수업이 시작되기 전 사전 쓰기 평가에서 작성한 글과 실험 수업이 종료된 후 사후 쓰기 평가에서 작성한 글의 채점 결과를 데이터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SPSS 25.0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본 지도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자기 성찰 보고서를 작성하게 한 후 그 결과를 질적·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과정 중심 영어 쓰기 수업을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고등학교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지도 방법이 학생들에게 과정 중심 쓰기에 대한 경험과 포트폴리오 작성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는 경험을 하게 하여, 학습자의 언어적․정의적 성장을 촉진하였으며, 영어 쓰기에 대한 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 참여자들이 이러한 쓰기 수업을 학교 교육에서 받을 수 있었던 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단점으로 언급하였던 과업 수행에 요구되는 시간 부담, 동료피드백의 효과성, 인터넷 번역기 사용의 문제가 개선된다면 이 쓰기 수업이 훌륭한 쓰기 지도 방법으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활용 글쓰기 지도 방법이 한국 고등학교의 영어 수업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수업 방법임을 보여준다. 또한 영어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쓰기 수업 방법에 대한 모색이 더욱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 의료비서의 역할과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안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료비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알아보고 업무 내용을 파악하여 의료비서의 직무 능력 향상과 전문화를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인사 행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의료비서의 채용과 교육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비서의 역할과 직무는 무엇인가? 둘째, 의료비서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무엇인가? 셋째, 의료비서와 의료 코디네이터의 역할 차이는 무엇인가? 먼저 의료비서의 전반적인 역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1차 조사로 종합병원의 과장급 이상을 보좌하는 비서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2차로 현직 의료비서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의료비서의 역할 및 특성을 문헌조사를 통해 의료 코디네이터와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밝혔다. 1차 조사는 김정아, 최애경(2002)의 의료비서의 역할과 업무에 대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업무 목록을 점검하고 필요 역량과 의료비서로서의 경험에 대해 파악하였다. 새로이 도출된 작업 2가지를 추가하여 7개의 역할범주와 43개의 작업에 대해 중요도와 난이도, 빈도를 알아보고 역량에 대해서도 수준과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중요도, 난이도, 빈도의 세 항목 모두 2등급 이상인 작업을 의료비서의 핵심작업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는 언론/보도기관과의 접촉, 병원 관련 보도자료 수집 및 분석, 외부 발송을 위한 문서 작성, 스케줄 관리, 경조사 관련, 회의자료 준비 및 작성, 문서 작성, 개인 지인리스트 관리, 직원간의 인간관계 갈등 조정, 우편물 관리하기로 총 10가지이다. 역량은 지식과 외국어, 자질로 분류하여 파악하였다. 지식의 경우, 문서 작성 및 SW 활용능력과 같은 일반 사무 지식, 병원 행정에 관한 지식으로 상위 순위를 보였고 의학 용어 및 의료 보험과 같은 의학 관련 지식은 수준과 중요도에서 모두 낮은 순위를 보였다. 영어를 제외한 제 2외국어의 필요성은 낮았다. 영어 능력 우선순위는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자질에 있어서는 꼼꼼한 일처리와 시간관리, 기밀유지, 멀티태스킹,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상위 5순위를 차지했으며 협동심이 가장 낮은 순위를 보였다. 의료비서는 일반 비서와 마찬가지로 상사 중심의 업무를 진행하는 행정/사무 효율성을 위한 존재이며 의료코디네이터는 수익 극대화를 위한 환자 중심의 상담, 고객관리 등이 주 업무라는 점에서 명확한 차이를 갖는다. 의료비서에 관한 기존 연구(김정아, 최애경, 2002)와는 다소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연구대상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병원의 관리실장, 상담실장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는데 이는 상담 및 고객 관리는 의료코디네이터의 주 영역이므로 의료비서와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의료비서만을 대상으로 한 국내의 최초의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의료비서의 업무를 확인하고 필요한 역량을 파악함으로써 의료비서의 채용 및 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 종사자가 많지 않은 의료비서직의 특성 상 의료비서는 선배의 멘토링이나 병원 내 비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신입 의료비서들은 전반적인 업무와 역량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성장계획을 세우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패널과 설문 표본 집단의 수가 적어 한계가 있으며 더욱 구체적이고 명확한 직무 분석을 위하여 추후 의료비서의 DACUM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medical secretary's performance and specializing by finding out the abilities required to medical secretary and apprehending job description. Going one step further,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for efficient performance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useful resource in employment and training. Detailed subjects for inquiry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responsibility and task imposed on medical secretary? Second, What is the abilities required to medical secretary?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in role between medical secretary and medical coordinator? First of all, to investigate general rol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6 secretaries who assist doctors above the head level in general hospital as a 1st research. As a 2nd research, on-line and off-line survey took place among present-medical secretaries. The differences in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between medical secretaries and medical coordinators were disclosed through documentary survey. 1st research let us check the task list and understand the compulsory abilities and experiences as medical secretaries on the basis of fundamental research as to the role and task of medical secretaries conducted by Jung Ah Kim, Ae Kyung Choi(2002).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difficulty level and frequencies of 43 tasks with 7 categories of roles, adding newly drawn tasks. Core tasks were determined as those above 2nd level in the categories of significance, difficulty level and frequency. They are totally 10 tasks which are the contact to media organiz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of press release about hospitals, outgoing documentation, schedule management, family occasions, preparation for meeting handouts, documentation, managing list of private acquaintances, negotiation of conflicts between staffs and mail management. Abilities were investigated in three categories which are knowledge, languages and Qualifications respectively. In Knowledge, general official skills like documentation and SW skills and knowledge about hospital administration ranked relatively high, but medical-related knowledge as to medical terms or insurance represented low placing in significance and level as well. The necessity of second foreign languages except English was remarkably low. Language skills showed the priority a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in order. Regarding qualifications, elaborate performance, time management, secrecy, multi-task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ranked top 5, though cooperation ranked the lowest priority. Like other general secretaries, medical secretaries are also the existences for efficient boss-oriented administration and office work.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obvious difference in the way that medical coordinators are specialized in patient-oriented counselling and customer management for revenue maximization. The results seemed quite against previous studies of medical secretaries (by Jung Ah Kim, Ae Kyung Choi(2002)), which is caused by the differences of study objects. In this study, administrative and counselling managers in private clinics were excluded, because these positions are the major part of medical coordinators and needed to be separated from medical secretaries. The significance is that this study is the domestically first research only for whom are medical secretaries. This study can be used in employment and training of medical secretaries by convincing the tasks of medical secretaries and necessary abilitie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job which has less practitioners, it is true that the chances of seniors' mentoring and secretary training are absolutely rare, which can be applied to new secretaries' realizing overall tasks and abilities and building up growth plan for the future. However, there is a limit due to low number of panels and random sample group, so that further DACUM analysis is needed for much clear and detailed analysis about tasks.

      •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안혜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가?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키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9개 반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연구자가 담임으로 지도하는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사전검사 결과 동질성이 확보된 1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구성인원은 각각 38명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10주 동안 총 10회기의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한국판 i-STATistics 프로그램(Kim & Baker, 2009)을 이용한 검사지 반응 분석과 각 회기별 소감문, 프로그램 종결 후 아동 설문지, 연구자 관찰을 통한 분석을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기조절능력과 그 하위요인 중 인지적 요인, 행동적 요인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동기적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학교생활적응과 그 하위요인 중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에 있어서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학교수업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소감문 및 관찰 내용 분석 결과,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갈등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욕구충족을 위한 책임 있는 행동을 스스로 선택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자기조절능력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가치를 인정․존중하는 태도 및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최선의 해결책을 선택하는 방법을 터득함으로써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에게 실시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그 하위요인 중 인지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동기적 요인에서는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는데 그 이유는 학생들이 내면화하여 내적 동기화시킬 수 있는 활동 및 시간이 부족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집단의 사후-사전 효과검증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오히려 감소했기 때문에 동기적 요인에 대한 내용, 방법, 횟수를 보완시켜 개입한다면 그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즉 학생들 스스로 내적 동기화할 수 있는 활동을 매회기 후반부에 보충하여 자기 평가 후 소집단에서 강화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늘릴 필요가 있다. 그리고 통제집단의 사후 자기조절능력 점수가 감소한 것을 보았을 때 추후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바람직한 성장 및 자기조절능력의 발달을 위해 교육과정과 통합된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현재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이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는만큼 인성교육시 자기조절능력을 함양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겠다. 다음으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 적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교수업에서는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는데, 실험집단 내 사후-사전 검증에서는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프로그램 활동 중 교우 및 교사, 학교규칙과 관련된 내용에 비해 학교수업에 관련된 내용이 다소 부족했기 때문으로 보고, 학교수업과 관련해서 행동을 점검하고 평가하며, 새로운 행동계획을 세우는 활동을 늘릴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원만한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요소인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초등학생의 원만한 학교생활 뿐 아니라 바람직한 성장에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램 계발과 학년에 따른 내용 수준과 제시 방법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된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들을 유지하기 위한 추후지도와 연령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지적, 신체적 성숙과 심리사회적 변화가 큰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예방적 차원에서 현실요법 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사회적 조력 및 학교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내적 통제력을 기르고 스스로 책임 있는 행동을 선택함으로써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학교 및 사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 group counseling using reality therapy effects the self-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Question 1> Does the group counseling using reality therapy improve the self-regulation of children? <Question 2> Does the group counseling using reality therapy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To verify the above questions, nine classes of 6th grade in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pre-tested to gauge their self-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Two classes were selected, one of which was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class which had same quality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as designated as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were composed of 38 students. 10 sessions of the group counseling using reality therapy were conducted over 10 week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intervention was made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 post-test was give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ounseling. In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counseling, quantitative analysis using Korean i-STATistics(Kim & Baker, 2009), opinion documents from each session, opinion documents of children after the counseling, and a qualitative study by teachers through observation were use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counseling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the group counseling using reality therapy turned out to make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regulation and its sub-factors(cognitive process and behavior). Seco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the group counseling using reality therapy turned out to make significant in school adjustment and its sub-factors(relationship with teachers, friendship and school rules).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from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children enhanc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Besides, they appreciated others' worth and respected them. It also helped them with interpersonal relation. Futhermore, they learned how to cope with conflicts and choose their behavior with responsibility for their satisfaction of desires. The above results of this research inform us that the group counseling using reality therapy has effects on improving the self-regulation and some sub-factors of self-regulation(cognitive process and behavior). Next, it was noted that the group counseling using reality therapy has effects on improving the school adjustment and som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relationship with teachers, friendship and school rules). Through these results, we corroborated our hypothesis that the group counseling using reality therapy effectively improved the self-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s stated above, this research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measured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in the counseling for one class of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hich have big changes in intellectual, physical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And this research has meaning that children are able to improve self control and choose their behavior with responsibility, and then they finally adjust highly to school and society more effectively through social support and school education.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교과서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

        안혜진 부산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학습을 통한 진로교육’이란 학습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 내 학습내용 및 제시방법의 교과활동이 진로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분석해 초등 진로교육 내용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 4학년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음악, 미술, 체육, 영어 주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고 교육부에서 마련한 분석틀인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의 ‘초등학교 진로교육 세부목표 및 성취기준’을 기준 준거로 선택해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고 더 나아가 초등 진로교육 발전방향을 모색 해 보았다. 2015 개정 초등학교 3, 4학년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음악, 미술, 체육, 영어 교과서의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개정 3, 4학년 전 과목의 교과서에는 총 380회의 진로교육 관련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특히 진로교육 내용과 관련이 깊은 교과는 국어, 도덕, 사회였으며, 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직업의 명칭만을 사용한 수학 교과서에서는 진로 관련 내용을 찾을 수 없었다. 둘째, 각 교과서에서 진로교육 관련내용은 대영역 중 ‘Ⅰ.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제시되어 있었고 반면 ‘Ⅲ. 진로탐색’ 영역이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특정 성취기준의 중복과 누락으로 대영역간 급격한 비중의 차이가 드러났고 이는 학습자가 편향되게 진로교육을 학습할 가능성이 있어 보완할 필요성이 있었다. 셋째, 교과서의 진로교육 내용을 제시한 방법은 활동, 읽기자료, 삽화, 영상자료, 듣기자료 순으로 나타났다. ‘Ⅱ.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영역을 제외한 모든 진로교육 영역에서 활동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3, 4학년 교과서 중 음악, 미술, 체육, 영어 과목은 여러 출판사 중 임의로 선정한 1종의 검인정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교육과정 부분 개정과 교과서 집필의 보완점과 초등학교 진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ptions to help further develop and expand educational goals in school settings in accordance to the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from 2015. Research subjects that are covered in the 3rd and 4th grade are Korean, Moral Educatio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and English. The textbooks used in these subjects are designed to adhere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The contents of these textbook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o meet the standards of the school care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were included in these textbooks in a total of 380 times, as seen in the 3rd and 4th grade textbooks. The subject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were Korean,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On the other hand, Mathematics contained only a few references relating to career education because the subject’s name was mentioned as merely a part of a problem-solving question. Secondly, amongst four fields of career education, the categories I.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took the highest percentage while III. Career Exploration takes the lowest percentage. Although the fields that the textbooks manage are inclined to specific fields because of their huge overlaps and omissions, learners might recognize a biased point of view due to the proportional gap of contents and learning materials. Thirdly, the presenting methods of th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in textbooks emerge frequently with activity, reading, illustration, photography, videography, and listening in that order. Activity can be seen as a recurrent theme in almost all fields in career education except in II. Understanding Of Works and Jobs. In conclus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hinders the analyzation of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due to schools that select only one textbook from various publishing companies. This could only suggest the need for improvement to help reform the next curriculum and the manufacturing and selection of future textbooks.

      • 高麗末 辛旽 改革政治의 性格

        안혜진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反元개혁 성공 이후 측근세력을 중심으로 한 공민왕의 정국운영은 공민왕 10년 대규모의 홍건적의 침입으로 위기에 부딪치게 되었다. 정세운·안우 등 측근들과 최영·이성계 등 신진 무장들의 활약으로 홍건적을 물리치기는 했으나, 국왕의 권위가 실추된 데다 홍건적 격퇴 후 측근세력의 자기항쟁과 흥왕사의 난으로 주요 측근세력이었던 홍언박 등이 모두 제거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위기를 틈타 공민왕을 폐위시키고 德興君을 옹립하려는 원의 시도까지 겹쳐 공민왕은 안팎으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 결과 홍건적과 원의 간섭을 격퇴하는 데 공을 세운 무장들의 영향력이 강화되었고 측근세력을 상실한 공민왕의 정국 주도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민왕은 새로운 정치구상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신돈이 등장하게 되자, 왕은 자신이 가진 모든 권한과 지위를 신돈에게 양여하여 일임하게 된다. 그리하여 신돈은 新進文臣勢力과 연결을 갖고 田民辨正都監을 비롯한 정치·경제·사회 등에 걸친, 당시로서는 포괄적이고도 종합적인 개혁을 실시한다. 특히, 중요한 것이 田民辨正都監의 설치를 통한 田民推定事業이었다. 당시의 대토지 소유자는 民田·軍人田등 그 소유자가 열약한 농민들의 토지를 주로 탈점하여 권력형 농장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그 토지지배의 불법성이 농민을 流亡民化시켰으며, 또 口吏, 官奴, 百姓등 有役者를 누락시켜 有役人口의 감소 및 경제적 파탄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推定事業을 실시하여 권세가가 탈점한 전민을 모두 本主에게 돌려보내고 또 한 舊勢力의 경제적 기반을 해체세키려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의 결과는 어느 정도 효력을 인정 받을 만큼 상당한 규모였고 또 정확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인임,이춘부 등 辨整事業의 대상자가 되어야 할 인물이 오히려 이 사업과 관련하였다는 사실은 지배세력의 전면적인 개편이 없이는 불가능했고 또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되지 못하였다는 점, 그리고 그들 자신의 이해관계와 잠재적 충돌은 개혁의 지속을 불가능하게 하고 辛旽은 몰락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개혁의 열의와 분위기 속에서 새로이 등장한 新進文臣勢力, 곧 士大夫勢力의 정치적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었으며 또 權門勢族의 去勢를 통해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개혁자체는 성공을 거두지 못하지만 뒤에 이들 權門勢族과 대결하여 승리함으로써 커다란 사회변혁을 통해 조선을 건국할 새 세력을 성장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辛旽의 개혁은 큰 의미가 있다. The administration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King Gongmin centering around the power of his entourages posterior to the successful anti-Won reform came to be confronted with a crisis due to the invasion of Honggeonjeok on a massive scale in the tenth year of the king. He could barely repulse them with the combined forces of his aides such as Jeong Sae-woon, An Woo, and so forth and military commanders like Choi Young, Lee Seong-gye and so on but the main power of his followers such as Hong Eon-bak and so forth all came got rid of owing to the self-resistance of the followers and the Heung Wang-sa revolt right after the repulsion of Honggeonjeok along with the king's loss of prestige. Furthermore, by taking advantage of this crisis, an attempt was made by Won Dynasty to dethrone King Gongmin and instead help prince Deokheung to the throne, which made the king undergo serious hardships in and outside of the state. As a result, the influence was reinforced of those generals who greatly contributed to driving back Honggeonjeok and the intervention of Won Dynasty, whereas the leading power of King Gongmin got conspicuously deteriorated by losing much of the power of his entourages. In this situation, King Gongmin urgently necessitated the a new construction of political power and at this time Shin Don presented himself. Thus, the king conceded almost all the authority and power he had to Shin Don. Thereupon, Shin Don implemented a comprehensive and synthetic reform throughout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fields, etc. centering around Jeonmin Byeonjeong Dogam, an organization for administrative amelioration of land and slavery, with combined efforts with the rising power of civil vassals. In particular, the essential point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Jeonmin Chujeong undertaking by establishing Jeonmin Byonjeong Dogam. In those days, most owners of land were men of power or soldiers, who deprived real farmers of their land,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the illegal ownership of farms by power. This phenomenon brought about illegality of land ownership and led farmers to leave farming, omitting yuyokjas (statute laborers), including yeoklis (station attendants ), gwanro (servants of the government ), and the people practically engaged in farming, which caused a reduction of the yuyokja population and even their economic bankruptcy. Under these conditions, all the farms occupied by those in authority were all returned to the original ownership and then an attempted was made to dissolve the economic foundation of the old power. However, the result of this undertaking was such a considerable scale as can be recognized and known to be precise in its effects but the fact that those figures who should have been the object of the Byonjeong undertaking such as Yi In-im, Yi Chun-bu, etc. were associated with this undertaking indicates that it was unable to be achieved without the overall reorganization of the leading power, that it was not extended throughout the country in its coverage, and that their collision against their interests made it infeasible to continue their reform, which led Shin Don to fall. In this enthusiasm for and atmosphere of reforms, the political growth of the power of rising civil vassals, i.e. high ranking officials, could not be realized, and the reform to solve social contradiction through the purge of families in power could not succeed but the reform of Shin Don seems of much significance in that he was devoted to the foundation of Yi Dynasty through great social changes by overcoming confrontation against the power of families in influence.

      • 단어재인 과제에서 시각적 방해자극 및 명사 심상성에 따른 청년층 및 노년층 간 수행력 비교

        안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상적인 노화는 구조적 및 기능적 대뇌조직의 변화를 동반하며(Hedden & Gabrieli, 2004), 대뇌조직의 구조 변화에는 전전두피질과 해마의 부피 감소(Raz et al., 2005)가 포함되고, 50세 이후 해마의 수축이 가속화되며(Raz et al., 2004), 또한 감각 저하로 인해 시각 및 청각 자극을 식별하고 구별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한다(Pichora-Fuller et al., 1995; Speranza et al., 2000). 이러한 생물학적 및 전반적인 감각 및 지각에 대한 노화과정이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쳐 정보처리 속도와 정확성이 떨어지고 주의력이 약해지며, 이러한 인지능력의 저하는 결국 노년층의 언어처리 과정을 어렵게 한다(Balota & Duchek, 1988; Giaquinto et al., 2007; 강혜원 & 심현섭, 2021; 김선경 & 이혜원, 2007; 조혜련 & 성지은, 2019). 언어처리 과정에서 단어를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로 나타나는 구체성 효과(concreteness effect)는 구체적인 개념을 표상하는 높은 심상성(imagery)을 가진 단어는 심상 정보(imagery information)가 추가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심상 정보를 얻기 어려운 단어보다 기억하기 더 쉽고 빠르게 처리되는 현상을 말한다(Paivio, 1971, 1986). 그러나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구체성 효과가 불분명하며, 선행연구에서 노년층에게서도 구체성 효과가 유지된다고 보고하는 반면(Mason & Smith, 1977; Rowe & Schnore, 1971; Roxbury et al., 2016; Whitbourne & Slevin, 1978; Witte & Freund, 1976), 구체성 효과가 연령과 함께 감소한다고 보고하기도 한다(Bruce et al., 1982; Dirkx & Craik, 1992; Peters & Daum, 2008; Rissenberg & Glanzer, 1987). 노화에 따른 구체성 효과에 대한 상반된 이론과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단어 정의하기 이외에 노년층의 심상적 처리 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단어재인 과제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노년층의 인지 및 언어처리 능력의 변화를 파악해보기 위해서는 노화가 구체성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구체성 효과에서 나타나는 심상적 처리의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 단어재인 과제 시 심상적 처리를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Dynamic visual noise(DVN)를 이용한 시각적 방해자극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분석 시 신호탐지이론(Signal detection theory)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반응 유형(적중률, 오경보율)을 이용한 계산을 통해 재인 과정에서 대상자가 실제로 목표 자극을 명확하게 기억하고 있음을 일관적이고 신뢰성 있게 추정하기 위한 민감도(sensitivity, d′)와 목표 자극에 대해 과잉 혹은 과소로 보고하는 경향성을 분리하기 위한 반응편향(criterion, c)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어재인 과제에서 DVN을 이용한 시각적 방해자극 및 명사 심상성에 따른 청년층 및 노년층의 집단 간 반응 유형(적중률 및 오경보율), 민감도 및 반응편향에서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연령 및 작업기억용량과 반응 유형, 민감도 및 반응편향 간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청년층 31명, 노년층 31명 총 62명으로, 각 연령 집단에서 무선적으로 시각적 방해자극 제시 집단 15명, 시각적 방해자극을 제시하지 않는 집단 16명으로 구분되었다. 실험자극은 단어길이, 사용빈도, 심상가를 고려하여 2음절 구체명사 40개, 추상명사 40개 총 80개를 선정하였다. 시각적 방해자극은 Chubala et al.(2018)의 연구에서 제시한 DVN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집단별로 구체명사 15개, 추상명사 15개, 총 30개의 명사가 시각적 방해자극 혹은 빈 화면과 함께 무작위(randomization)로 제시된 후 4분간 도시 이름 대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제시되었던 단어 30개와 제시되지 않았던 단어 30개, 총 60개의 단어를 무작위 순서로 본 후 예/아니오 반응을 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중률, 오경보율, 민감도에서 모두 연령에 대한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노년층은 청년층보다 단어재인 과제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로 인해 정보처리 속도와 정확성이 떨어지고, 주의력이 약해진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며(Balota & Duchek, 1988; Giaquinto et al., 2007; 김선경 & 이혜원, 2007), 노화로 인한 처리속도 저하에 의해 단어재인 과제에서 수행력이 저하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강혜원 & 심현섭, 2021; 조혜련 & 성지은, 2019). 제시되는 목표 단어를 재인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인지능력의 저하로 인해 목표 반응을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적중률, 민감도에서 모두 심상성에 대한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단어재인 시 대상자들은 추상명사보다 구체명사에서 더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어재인 과제에서 구체성 효과로 인해 구체명사의 적중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다는 선행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Chubala et al., 2018; Parker & Dagnall, 2009). 또한 연령과 심상성 간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아 연령대별로 모두 구체성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하는 선행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Mason & Smith, 1977; Rowe & Schnore, 1971; Roxbury et al., 2016; Whitbourne & Slevin, 1978; Witte & Freund, 1976). 언어처리 과정에 있어 구체성 효과가 나타나며, 노화에 따라 감소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적중률에서 시각적 방해자극과 심상성 간의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추상명사와 시각적 방해자극 간 적중률 차이가 구체명사와 시각적 방해자극 간 적중률 차이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 중 Chubala et al.(2018)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지만, 단어재인 시 DVN이 구체명사의 적중률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던 Parker & Dagnall(2009)의 연구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며, DVN을 이용한 시각적 방해자극이 심상적 처리에 선택적 간섭을 일으킨다는 선행연구(Dean et al., 2005; McConnell & Quinn, 2000, 2004; Quinn & McConnell, 1996)와도 일치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극 제시 방법에서 교차 양상 제시(cross-modal presentation)와 동시 제시(simultaneous presentation)의 차이로 인해 나타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반면 노년층에서 시각적 방해자극와 명사 심상성 간 적중률과 오경보율의 다른 추이로 인해 민감도에서 시각적 방해자극와 명사 심상성 간 이차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연령은 시각적 방해자극이 없는 집단의 구체명사와 추상명사의 적중률과의 부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였으며, 시각적 방해자극이 없는 집단의 구체명사와 추상명사의 민감도 및 시각적 방해자극이 있는 집단의 추상명사의 민감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가 처리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강혜원 & 심현섭, 2021; 조혜련 & 성지은, 2019), 노화와 단어재인 수행력 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뜻한다. 또한 연령은 시각적 방해자극이 없는 집단의 추상명사 반응편향과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는데, 이는 노화가 목표 반응에 대한 경향성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령을 통제하여 편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각적 방해자극이 있는 집단에서 추상명사의 적중률 및 민감도와 작업기억 간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선 단어재인에 있어 추상명사의 경우 구체성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구체명사보다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추상명사를 처리하는 동시에 시각적 방해자극을 억제하는 것은 높은 인지 처리를 필요로 하는 과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의 작업기억용량과 추상명사의 적중률 및 민감도 간 밀접한 연관이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어재인 과제를 통해 노화로 인한 언어처리 능력의 저하 및 노화가 구체성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상 노년층이 언어처리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 및 언어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체성 효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Normal aging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entails changes in cerebral tissues(Hedden & Gabrieli, 2004), and the structural changes in cerebral tissues cause a decrease in the volumes of the pre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Raz et al., 2005). In addition, the contraction of the hippocampus evidently accelerates after the age of 50(Raz et al, 2004) and many difficulties are encountered in recognizing and identifying the visual and auditory stimuli due to sensory deterioration(Pichora-Fuller et al., 1995; Speranza et al., 2000). Such a biological aging process for the overall sense and perception affects the cognitive process, thereby resulting in not only the lowered speed and poor accuracy in information processing but also the poor attention span. Consequently, the elderly typically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language process due to such a decreased cognitive ability(Balota & Duchek, 1988; Giaquinto et al., 2007; Kang & Sim, 2021; Kim & Lee, 2007; Jo & Sung, 2019). The concreteness effect appears during the language processing as one of the methods that process the words and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the words with higher imagery, which represent a specific concept, are more easily memorized and rapidly reprocessed than those, which are difficult to acquire the imagery information(Paivio, 1971, 1986). It is because there exists additional imagery information in those words. However, a study on the elderly reported that the concreteness effect has not evidently exhibited. Despite the conflicting theories and research results on the concreteness effect, it is a fact that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related to the word recognition tasks that can identify the imagery processing ability of the elderly in South Korea other than word definition task.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cognitive and language processing abilities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study additionally with regard to the impacts of aging on the concreteness effect. This study, in the word recognition task, aim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youth and the elderly groups in terms of response types (hit rate and false alarm rate), sensitivity, and response criterion according to the visual interference using Dynamic visual noise(DVN) as well as the noun imagery. Moreover, it intends to elucidate the correlation among the age, the working memory and response types, and the sensitivity and response criterion. This study recruited a total of 62 participants consisting of 31 for the youth group and 31 for the elderly group, and each of those two groups was randomly classified into two sub-groups, 15 with visual interference and 16 with no visual interference, respectively. Considering word length, frequency of use, and imagery value, 80 words in total including 40 concrete nouns and 40 abstract nouns in two syllables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al stimulation. The visual interference was created based on the DVN presented in Chubala et al.(2018). After randomly presenting a total of 30 nouns including 15 concrete nouns and 15 abstract nouns with either visual interference or blank screens,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a task to speak out the city name for 4 minutes. Afterward, the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respond yes or no after watching a total of 60 words in random order, consisting of 30 words presented and another 30 not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 on all age rang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hit rate, false alarm rate, and sensitivity. The elderly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e youth in the word recognition task. Second, the main effects on the image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hit rates and sensitivity. In case of the word recognition,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higher performance in the concrete nouns than in the abstract nouns. Third, the secondary interactions between visual interference and image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hit rate. Moreover, it was shown that the hit rate difference between abstract nouns and visual interference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between concrete nouns and visual interference. Fourth, age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hit rate of both the concrete nouns and abstract nouns in the group with no visual interference, and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ensitivity of the concrete nouns and abstract nouns in the group with no visual interference as well as the abstract nouns in the group with visual interference. In addition, 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sponse criterion of abstract nouns in the group with no visual interference. Additionally, the results of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ith controlling the age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working memory and the sensitivity and hit rate of the abstract nouns in the group with visual inter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cline in cognitive ability due to aging makes language processing difficult, thereby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word recognition, but the concrete effect was found to appear in all age groups regardless of the aging in the process of language processing.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ould enhance understanding of not only the difficulties that the normal elderly feel but also the concrete effect that is shown in language processing.

      •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 7종 교과서의 문화영역을 중심으로

        안혜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일본어Ⅰ 문화영역 성취기준과 일본어Ⅰ 7종 교과서 문화영역의 다문화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일본어 수업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내용을 파악하고, 향후 일본어Ⅰ 교과서를 편찬할 때 반영해야 할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관점에서 교과서 분석을 실시한 논문과 다문화교육 내용의 논문의 분석 준거를 분석 및 재구성하여 다양성, 정체성, 협력, 평등, 편견극복, 계층, 존중, 성, 언어의 9가지 분석 준거를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9가지 분석 준거를 기준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 일본어Ⅰ의 문화영역 성취기준과 일본어Ⅰ 7종 교과서 문화영역의 다문화교육 내용을 문화항목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일본어Ⅰ 문화영역 성취기준과 일본어Ⅰ 7종 교과서 문화영역의 다문화교육 내용은 다양하지 않고 일부 요소에 편향되어 있었다. 즉, 다양성과 정체성의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평등, 편견극복, 계층의 내용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일본어Ⅰ 7종 교과서 문화영역의 주제는 다양한 다문화교육 내용을 담고 있지 않았다. 문화영역의 주제는 의식주, 학교생활과 같이 대부분 일본의 문화를 소개하는 내용으로 다양성과 정체성에 편향되어 있어 다양한 인종이나 사회계층 집단, 장애, 성적 소수자 등 보다 광범위한 의미의 다문화교육을 실시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개정 교육 과정에서는 일본어Ⅰ 교과의 특성에 맞춘 교육과정 목표를 재설정해야 한다. 현재 일본어Ⅰ의 목표는 일본 문화에 대해 주로 이해하는 것에만 집중되어 있어 다양성과 정체성에 치중된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수밖에 없다. 향후 한국과 일본의 역사적ㆍ정치적 관계 특성을 고려할 때 서로의 정치, 사고방식, 사회규범 등에 대해 존중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의 비중을 점차 늘려가야 할 것이다. 둘째,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보다 다양한 다문화교육 내용을 반영한 교과서를 편찬하도록 해야 한다. 일본어Ⅰ은 일본어를 배우고 일본 문화를 소개하는 과목이지만, 일본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다른 나라의 문화 이해에도 도움이 되며 더 나아가 세계 시민 의식을 기르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는 과목이다. 이에 따라 일본 문화를 소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장애인 등의 소수자나 환경, 난민 등의 내용을 다루는 계층, 평등, 편견극복과 같은 다문화교육 내용이 더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