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안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nd ego-resilience was examined as a key mediator var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were examined if these three variables have any relevance and to see if school adjustment was affected by social support in mediation of ego-resilience.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development of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nd professional on-site counseling techniques/program to increase positive high school adjustment. To achieve this object,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lec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ego-resil i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Does ego-resilience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a relationship betw een social support (peer support, parent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o verify above problems,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was conducted. The survey target was 1,200 students (freshmen, sophomore and senior year) of 5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unggi Incheon and Chungchung-do. 1,176 units (recovery rate 98%) were recovered, but 21 insincerity units (skipping more than 1 questions or marking same reactions) were excluded, so total 1,155 units were used as a final data.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oute of in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in mediation of ego-resilience and the route of 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were set in research model. SEM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and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effect of ego-resilience on social support for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nalysis summary is as follow: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peer support, parent support and teacher support),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ll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go-resilience, and all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er support, parent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is part mediated by ego-resilience. Thus, high social support and strong ego-resilience improves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Furthermore,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directly affects school adjustment, and in mediation of ego-resilience, they indirectly affect school adjustment as well. Based on this study, to create a positive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ystematic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 positive teaching method development to improve ego-resilience and professional training and intervention for school social work are highly required. Lastly, the limitation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proposed.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주요 매개변인으로 자아탄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우선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 그리고 학교생활적응, 이 세 변인이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긍정적인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지도방안과 학교 현장에서 전문적인 상담기법과 프로그램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문제를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유형(또래지지, 부모지지, 교사지지)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인천, 충청도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5곳에 재학 중인 1학년,2학년,3학년 남녀학생 120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내용의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1176부(회수율: 98%)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척도 1개 이상을 응답하지 않거나 동일한 반응으로 응답한 불성실한 21명의 자료를 제외한 115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18.0 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한 부분매개 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 Structure Equation Model)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또래지지, 부모지지, 교사지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지지중 또래지지와 교사지지, 그리고 자아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또래지지,부모지지,교사지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모든 하위요인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등학생들의 높은 사회적지지와 강한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도를 높이며 사회적지지 가운데 또래와 교사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의 매개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긍정적인 학교생활적응을 위하여 학교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긍정적인 지도방안, 학교 사회사업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개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밝혔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진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죽음을 성찰하는 이미지 : 알렉산드르 소쿠로프의 초기 영화를 중심으로

        안지영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죽음은 보이지 않는 것이고 보여서는 안 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스스로의 죽음에 관해서 성찰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주로 이미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오늘날 죽음이 삶의 경험과 분리되면서 죽음의 이미지들은 갈수록 폭력적이고 선정적으로 스펙터클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죽음을 성찰하는 이미지가 어떻게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그 특성과 함의는 무엇인지 고찰해보았다. 죽음을 성찰하는 이미지는 기존 서구 회화의 바니타스, 데스마스크와 사진 에서 그 선례를 살펴볼 수가 있다. 이는 현대 영화에서도 그 영향을 이어가고 있는데, 영화는 발생 초기부터 죽음과 밀접한 매체이자 죽음의 성찰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영화를 통한 죽음의 성찰 방식을 알아보고, 구체적인 사례 로서 알렉산드르 소쿠로프의 초기 영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죽음을 성찰하는 이미지는 단정적으로 한정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며, 죽음을 성찰하는 작가의 의도를 바탕으로 주제적, 형식적으로 구현되어야 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관객의 참여가 있어야 한다. 그렇지만 여타 스펙터클한 죽음의 이미지들과는 구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연구를 통해 크게 세 가지 측면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죽음을 성찰하는 이미지는 죽음의 사건, 순간 보다는 시간에 대한 사유, 시간의 흐름 속에서 체험되는 죽음의 과정에 초점을 둔다. 그리고 살인, 폭력의 장면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기보다는 눈에 보이지 않는 죽음을 잠재적이고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환유적 확장의 힘을 가진다. 또한 타인의 죽음에 대한 애도를 넘어, 죽음의 응시를 통해 스스로의 죽음과 마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죽음을 성찰하는 이미지는 현대 사회의 죽음이 은폐된 일상 속에서 나의 죽음, 나아가 삶과 죽음의 문제에 관해서 성찰해보는 하나의 계기, 즉 바니타스와 같은 매개물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알렉산드르 소쿠로프는 다양한 영화의 형식적 실험 속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의 주제를 지속적으로 탐구해왔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소쿠로프의 영화는 죽음의 시간을 구조적으로 구축하고 있으며, 죽음을 성찰하게 하는 이미지와 사운드의 변주를 통해 ‘현대의 아르스 모리엔디(ars moriendi)’로 불리기도 한다. 특히 관객은 영화적 시점 변화와 죽음의 응시를 통해서 죽음과 직접 마주하고 산 자와 죽은 자의 간극이 허물어지며 삶과 죽음이 하나가 되는 체험을 할 수 있다. 결국 우리가 죽음에 관해 성찰하는 것은 곧 삶에 관해 성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죽음을 성찰하는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개인의 차원에서 나아가 역사와 사회 현상, 집단의 소멸을 다루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이 무용정서 및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안지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이 무용정서 및 무용지속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자신감, 분노조절)이 무용정서(긴장, 행복, 완화, 우울) 및 무용지속의사(강화성, 경향성, 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예술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남녀 고등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이중 회수되지 않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무성의한 자료 181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실제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41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로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 중 학교의 특성에 따라 자아탄력성(낙관적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 자아탄력성(대인관계 효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자아탄력성(분노조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전공에 따라 무용정서(행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라 무용정서(우울)와 무용지속의사(강화성, 경향성, 가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수준에 대한 본인의 만족도에 따라 자아탄력성(자신감), 무용정서(긴장, 행복), 무용지속의사(강화성, 경향성, 가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이 무용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과 대인관계 효율성은 긴장에 부(-)적 영향을,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 낙관적 태도는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 낙관적 태도는 완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과 낙관적 태도가 강화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과 낙관적 태도가 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 낙관적 태도가 가능성에 정(+)적 영향을, 대인관계 효율성은 가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정서가 무용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무용정서의 하위변인 중 행복은 강화성에 정(+)적 영향을, 우울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정서의 하위변인 중 행복이 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긴장은 가능성에 부(-)적 영향을, 행복과 완화는 가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대인관계 효율성, 자신감, 낙관적 태도가 높을수록, 분노조절이 낮을수록 무용정서와 무용지속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무용정서의 하위변인 중 행복과 완화가 높을수록, 우울과 긴장이 낮을수록 무용지속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무용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현 시점에서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이 자아탄력성을 습득하고 이를 높이게 하는 체계적인 심층 상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절실히 필요할 것이다. 이에 이 연구가 무용지속의사를 높이고 학생들의 진로와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실질적으로 필요한 현장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및 올바른 교육환경의 제공에 기초 자료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치료적 노래활동이 치매노인의 자기표현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안지영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료적 노래활동이 치매 노인의 자기표현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2009년 10월 15일부터 11월 13일까지 서울시 마포구에 소재한 노인 복지관의 치매노인 환자 24명으로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을 무선 배치하여 실험을 하였다. 총 5주간의 치료에서는 실험집단에 대하여 주 2회, 매 40분씩 총 10회의 그룹 치료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노래를 사용한 음악치료 활동을 적용한 실험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표현에 있어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으며(p< .05), 의사소통능력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p< .05). 이상의 결과로 치료적 노래활동은 치매 노인의 자기표현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n the self express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Therapeutic Singing Activities. Participants were hospitalized in a nursing home in Mapo-Gu, Seoul and were 24 people that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with 12 people composing the control group and the other 12 people undergoing the treatment / experimental process from 15th Oct. to 13th Nov, 2009. For 5 weeks, the treatment / experimental group was taken the 10th times music activity program twice a week for 40 minute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y activity using Song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elf express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 .05). And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was impressively improved, too(p< .05). Therefore, the result showed that the music therapy activity using Song can be effective on the self express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수직통합과 다각화에 관한 연구 : 한국 엔터테인먼트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안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엔터테인먼트 산업내의 기업사례분석을 통하여 엔터테인먼트 산업내의 성공요인을 기업전략의 관점에서 가설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성공하고 있는 7대 글로벌 기업들의 사례를 참고하여,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는 기업들은 수직통합과 다각화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래서 이러한 점이 국내 기업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지 혹은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사례분석을 하였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내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에서는 다각화와 수직통합의 정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성공가능성은 높다”라는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하였고 질의응답 방식의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사례분석은 4일 동안 4개의 엔터테인먼트 회사를 찾아다니며 담당자와 인터뷰한 내용을 가지고 하였다. 사레분석은 6개의 항목을 만들어 구성해보았는데 그 중 인터뷰한 질의 내용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진출하게 된 동기와 다각화 현황, 수직통합 현황, 향후방향 등 이었다.

      •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수록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안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구운몽>, <춘향전>, <허생전>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을 현대적 가치관으로 재정립하였다. 이 연구는 평등의식의 확산으로 여성의 지위와 역할이 다원화되어 갈 21세기에 전통적인 주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여성관을 확립하고, 고전문학의 감상과 이해를 통하여 인간의 삶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고전문학의 의의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Ⅱ.단원에서의 <구운몽>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은 서포의 생애와 서포만필, 사씨남정기에서 나타난 여성관을 살펴보는 선행작업을 한 후 양소유의 어머니를 삶의 인도자로서의 여성과 名人賢者의 배후자로서의 여성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진채봉은 적극적인 행동으로 사랑을 쟁취한 여성으로, 계섬월과 적경홍은 知人之鑑으로 남성을 공유할 수 있는 결단력을 지닌 여성으로, 정경패는 전통적 고전미와 현대적 사고방식을 소유한 여성으로, 이소화는 겸양의 미덕을 나타내는 여성으로, 심요연과 백능파는 新世界로의 도전적인 여성으로, 가춘운은 安分知足의 삶을 깨달은 여성으로 살펴보았다. Ⅲ.단원에서의 <춘향전>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은 <춘향전>이 적층문학임을 감안하여 이본에 따른 춘향의 신분과 월매의 역할 변모 과정을 살펴보는 선행작업을 한 후 춘향을 자유분방하고 꾸밈없는 인간성이 돋보이는 여성의 모습과 지성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여성의 모습, 인권 확립을 위한 현실 타개 정신의 소유자인 여성의 모습으로 각각 살펴보았다. 월매는 속물근성의 기회주의자적 모습을 보이나, 때로는 가식없는 인간미가 보이는 여성의 모습으로 제시하였다. Ⅳ.단원에서의 <허생전>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은 연암이 허생고사를 수용하여 자신의 사상과 여성관을 피력한 작품임을 감안하여 허생전과 유사한 설화 3편에서의 아내의 모습과 <허생전>에서의 아내의 모습을 비교하는 선행작업을 한 후, 허생의 아내를 적극적인 생활인의 모습과 현실주의적 비판자로서의 모습, 진정한 내조자로서의 모습으로 각각 제시하였다. Ⅴ.단원에서는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여성관에 비추어진 <구운 몽>, <춘향전>, <허생전>의 여성상을 정립해 보고, 고전문학과 가치관의 관계와 세 작품이 학생들의 여성관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여성상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Ⅵ.단원에서는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상 연구를 통한 여성상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과 개선책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아직까지 우리사회는 남성우월주의의 가부장적 사고의식이 잠재되어 있는 관계로 여성상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고전문학에서 나타나는 여성상 교육은 독립된 학문이라기 보다는 고전문학 교육의 목표와 의의를 제대로 살린 교육에서 발현될 수 있는 교육이므로 좀 더 체계화된 고전소설에서의 여성상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자 한다. The study established a view of womanhood is expressed classical literature Ku Un Mong, Chun Hang Jon, Ho Saeng Jon as modern view of value. This object of study helps understanding human life through appreciate classical literature and establishment a view of womanhood is based on traditional subjectivity. Chapter Ⅱ is a study on the a view of womanhood which is expressed in Ku Un Mong. It is preliminary work to consider a view of womanhood which is expressed in So Po's life, So Po Man Pil and Sa Ssi Nam Jong Gi. Yang So U's mother on Ku Un Mong is guided in his life and supporter as a man oh high intelligence. There are eight heroines in Ku Un Mong, Jin Chae Bong who has a positive attitude gains Yang So U's heart, Gye Som Wol and Joc Goung Hong who have the decision of capacity of recognition own Yang So U's heart jointly, Jong Goung Pae has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way of modern thought, Lee So Wha shows the virtue of modesty, Sym Yo Youn and Baec Nung Pa are aggressive woman who want to challenge to new-world, Ga Choon Woon perceive life within it's means. ChapterⅢ is a study on the a view of womanhood which is expressed in Chun Hang Jon. It is preliminary work to consider Chun Hang's social position and Wol Mae's transformation as some Chun Hang Jon alternative versions. Chun Hang's free will and character without trimnings set her off. Her attitude is based on high intelligence and she challenges to irrational world to establish human rights. And Wol Mae looks like an opportunist who has philistinism, but sometimes she shows natural humanity. Chapter Ⅳ is a study on the a view of womanhood which is expressed in Ho Saeng Jon. It is preliminary work to consider Ho Saeng Jon which alludes to an ancient event of Ho Saeng shows Yon Am's ideology and a view of womanhood, in advance Ho Saeng's wife aspect was made a comparative study of hero's wife aspect of novels in narrative form like Jon on this study. Ho Saeng's wife is a person who makes a living instead of Ho Saeng. And she is realistic critic, sincere helpmate, also. Chapter Ⅴ is a study on the contents which arranged the a view of womanhood which is expressed in Ku Un Mong, Chun Hang Jon, Ho Saeng Jon about high school student's a view of womanhood according to research. And it suggests problems and remedies which are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a view of value, founded on the influence these three classical literature upon high school student's view of womanhood. Chapter Ⅵ shows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in teaching a view of womanhood according to study of women who are mentioned of classical literature. Our society is still latent androcentrism and patriarchal thought. So there isn't the proper education about the view of womanhood. The education of a view of womanhood mentioned classical literature isn't independence study. It is realized when we teach correctly object and significance of classical literature. It is a problem which demands our serious consideration.

      • 김정일 시기 북한영화의 젠더 담론 연구

        안지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김정일 시기 북한영화를 통해 북한 사회의 젠더 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영화와 젠더에 관한 기존 연구물들은 영화에서 제시하는 이상적인 여성상이나 남성상, 그리고 여성정책에 주목해 왔다. 그러나 젠더가 사회문화적 성으로서 관계에서 구성되는 담론이라고 할 때 여성성 또는 남성성만 분석해서는 온전히 파악할 수 없다. 또한 다양한 사회범주에서 상호작용하며 재구성되는 젠더 문제를 법과 정책을 통해 특정 위치를 개인에게 설정하는 ‘국가’ 또는 ‘민족’이라는 현실공간에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북한영화를 통해 젠더 담론을 분석하는 본 연구는 다음을 전제로 한다. 첫째, 통치담론들을 젠더의 국가적 범주에 대입시켜볼 때 정치적 특성이 강한 북한영화의 젠더 담론을 더 명료하게 살필 수 있다. 둘째, 시기에 따라 변화되는 영화 속 젠더 담론은 공식, 비공식 젠더 담론들이 서로 경합하며 재구성된 결과이며, 대내외 정세에 따른 변화를 보일 것이다. 셋째, 젠더 담론이 출신성분, 계급, 연령, 지역, 직종 등 다양한 사회 범주에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다. 연구 대상은 김정일 통치 시기(1995년 1월~2011년 12월)에 제작ㆍ발표된 북한의 예술영화와 TV드라마이다. 이 시기 북한영화가 구현하는 통치담론은 ‘조선민족제일주의, 선군정치, 강성대국건설’ 등이다. 이 담론들은 각각 민족 및 국가적 차원에서 기획되는 젠더의 다섯 가지 범주인 ‘생물학적 국민재생산, 문화재생산, 시민권, 군대와 전쟁, 노동’에 대입할 수 있다. 북한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형상을 이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생물학적 국민재생산 범주에서는 ‘선군시대 모성영웅’을 제시한다.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이 진행되는 현실과 달리 영화에서는 자녀의 사상적 교양자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자녀를 국가에 충성하는 군인 및 군인의 아내로 양육하거나 입양하는 ‘모성’을 칭송하는 것이다. 문화재생산 범주에서는 ‘조선민족제일주의’를 내세우며 수령을 중심으로 한 북한식 사회주의제도의 우월성 강조에 초점을 두고 있다. ‘김일성조선 김정일민족’과 같이 새로운 민족 정통성을 추구함으로써 체제유지와 주민결속을 꾀하는 것이다. 이때 치마저고리를 입은 여성, 씨름하는 남성이라는 특정 젠더를 민족정통성으로 제시한다. 더불어 예술 및 체육계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세계화에 대응하는 민족의 상징물로 재현함으로써 여성의 몸을 시각적으로 활용하였다. 시민권 범주에서는 ‘광폭정치’로 주민통합을 내세우지만 등장인물의 출신성분에 따른 젠더 위계가 확인된다. ‘전쟁영웅’을 정점으로 하여 기득권을 가지게 된 영웅 및 간부 가정의 아들이나 아내는 부정부패의 주역이 되기도 하며, 자녀들 중 특히 딸들은 개인적인 욕망을 드러내며 구조적 모순을 비판하거나 일탈하기도 한다. 기본계층들은 당원, 영웅으로의 신분 상승을 꾀한다. 출신성분의 굴레를 벗기 힘든 동요계층 또는 적대계층의 인물은 주로 2세대 남성이다. 그의 아내와 자녀들은 대부분 연좌제의 사슬에 묶여 배제와 차별의 문화를 재생산하는 보조적 인물로 재현된다. 군대와 전쟁 범주에서는 ‘선군정치’로 여전히 ‘반미대결전’이 강조되는 가운데 ‘혁명적 군인정신’을 전 사회로 확산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혁명적 군인정신의 전형은 전투현장에서 임무를 완수하고 동지들을 구하고 희생된 남성 영웅이다. 남성을 주연으로 한 군사물과 시대물에서 여성은 주로 정신적, 물질적 지원을 하는 보조적 인물에 불과하다. 특히 시대물에서 첩자인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부각되고, 적군 중 하위 계층의 남성은 그 성을 탐하는 파렴치한이 되어 ‘파괴자인 적’과 ‘불결한 성’이라는 이미지를 연결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노동 범주에서는 ‘자력갱생’, ‘경제국방병진노선’이 제시되는 가운데 뚜렷한 성별분업 양상, 경제개혁의 의지에 따라 달라지는 노동규율과 젠더 담론이 확인된다. 2000년대 초반 실리사회주의와 과학화가 강조되던 시기 보신주의에 빠진 인물은 대부분 2세대 남성 관료이며, 낡은 관습에 얽매인 부정적 인물은 대부분 20대 젊은 여성 인텔리들이다. 사회진출을 앞둔 남성들은 군 입대 문제로, 여성들은 대학 진학 문제로 각각 고민하고 갈등한다. 기혼여성의 경우 가정과 사회에서 이중노동에 대한 부담은 여전한 반면 그에 대한 고민이나 대안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다. 오히려 모성 신화와 함께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기대는 더 강화되었다. 이러한 국가적 범주의 젠더 담론은 시기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것이 뜻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정일 시기 북한영화의 젠더 담론은 전쟁영웅과 모성신화가 강하게 드러난다는 점에서 근대국가 수립 시기 전시체제의 국가 젠더 담론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선군정치 및 선군경제 담론이 다섯 가지 젠더 범주 모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군을 앞세운 ‘선군정치’를 유지 강화하는 것과 특정한 민족 전통을 ‘김일성 및 김정일조선’이라는 정통성으로 재구성함으로써 가부장적 위계구조의 젠더 담론이 강화되었다. 둘째, 북한 정권의 정세인식에 따라 북한 영화 속 젠더 담론 또한 달라졌는데, 대내외 정세의 안정에 따라 변화 의지도 높아졌다. 김정일 시기 작품들은 기본적으로 군인, 과학자, 체육인, 예술가 등 당국이 원하는 성과를 내는 특정계층 및 젠더를 우대하는 양상이 뚜렷하다. 그 가운데 특히 2000년대 초반 작품들은 출신성분과 사회성분이 좋지 않은 인물들, 여성, 어린이 등 하위주체가 주요인물로 등장하여 지역 및 계급 차별 등 북한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냈다. 그러나 2000년대 중후반에는 불안한 대내외정세와 함께 도덕담론을 앞세운 신체권력과 규율권력이 강화되면서 가부장적 권위구조와 문화가 다시 부상하고, 남성 전쟁영웅 및 모성에 대한 신화는 더욱 강력해졌다. 이 과정 또한 2009년을 기점으로 김정은 후계체제 수립 전후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2007~2008년 영화에서는 군사 및 남성 전쟁영웅만 다루었고, 2009년 김정은이 후계자로 등장한 이후에야 다시 경제문제도 다루면서 다양한 범주의 젠더도 재현되었다. 결론적으로 김정일 시기 영화에서 보여주는 지배적인 젠더 담론은 통치담론을 구현하는 “선군시대 영웅(‘전쟁ㆍ노력ㆍ모성’ 영웅)”이지만 그 이면에는 다양한 사회범주의 젠더 주체가 재현하는 젠더 담론들이 확인된다. 특히 영웅 담론과 다른 다양한 젠더 담론 간의 비중 차이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어떤 사회범주의 젠더가 주요인물 또는 부정인물로 형상되는지를 보면 향후 북한 당국의 정세 인식 및 정책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 대내외 정세가 평화적이거나 안정적 국면일수록 영화는 젠더 위계나 차별의 실상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정세에 대한 당국의 인식이 젠더 담론의 구성 및 재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김정일 시기 북한영화의 젠더 약사로서 자료를 축적하였으며, 북한영화에 대한 예술사회학적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향후 다각적이고 면밀한 분석을 통해 북한영화 및 사회 연구의 이론과 방법이 더욱 심화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dered discourse in North Korean society through North Korean films. The previous studies on North Korean films and gender mainly focused on women’s policies or images of ideal men and women seen in the movies. This study attempted to deal with overarching categories of ‘gender’ as a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 not biased against men or women. Al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gender issues at the level of the 'nation state' which assigns specific positions to individuals through laws and policies. The premi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ed discourse in North Korean films would be more clearly examined by substituting control discourses with gender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 reason that North Korean movies are officially produced and distributed by the government. Second, the changes of gendered discourse in the films with times were the result of competition and reconstruc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gendered discourses. Gendered discourse in the movies would also change due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Third, gendered discourse would differ based on various social categories such as class, age, job, etc. For this study, North Korean art films and TV dramas in the Kim Jong-il era (from January of 1995 to December of 2011) were analyzed. The control discourses shown in the movies in this era were 'the spirit of Korean people-first, all-embracing politics, benevolent politics, military-first politics, and building a strong and prosperous country'. In order to investigate in more detail, images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s we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of gender at the national level: biological reproduction of the nation, cultural reproduction, citizenship, military and wars, and labor.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tegory of biological reproduction of the nation, the ideological aspect shows the distinctive feature in the issue of women giving birth. The government promoted an aggressive pro-natalist policy, whereas the movies were committed to suggesting models of maternal hero in the Songun era. The motherhood myth that a woman should raise or adopt children as a loyal soldier or a wife of soldier was emphasized in the films. Second, in the category of cultural reproduction, the superiority of North Korean-style socialism focused on the great leader was fundamentally highlighted. By pursuing a new national legitimacy such as 'Kim Il-sung’s Chosun Kim Jong-il’s Nation', the films aimed to maintain the system and unite people. At that time, chima jeogori, Kimchi, ssireum, and even women’s sexuality in the art and athletic world were shown as concrete symbols of national legitimacy against globalization. Third, in the category of citizenship, each different image was presented depending on the characters’ songbun. The ordinary people were trying to move up to executive members or national heroes. A son or a wife in a hero’s family with the vested rights sometimes were playing a major role in corruption, and especially daughters of the children were criticizing the structural imbalance or breaking away from their families, revealing their personal desires. Characters from the wavering class or hostile class, hard to break free from their songbun, were usually second-generation men. Most of their wives or children were supportive characters, who were the victims of guilt by association and were reproducing the culture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Forth, in the category of military and wars, the images to disseminate the models of revolutionary military spirit were stood out, while still strongly emphasizing on “Anti-US propaganda”. The archetype of revolutionary military spirit was a war hero who finished his mission and was killed in the battle after saving his comrades. In war films and period films, men played leading roles and women were just supportive characters providing material and moral support. Especially in period films, women’s sexuality was highlighted as spies. Finally, in the category of labor, not only gender division but the gendered images followed by labor regulations depending on the will of economic reform were seen. In the early 2000s, the characters in self-protectionism were mostly male officers of the second generation, and the characters who were negative and sticking to old customs were mainly intellectual young women in their twenties. The movies showed young men worrying about joining the army, and young women suffering conflict because of going to college. This study accumulated data as a brief history of gender in North Korean films in the Kim Jong-il era and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a study on North Korean movi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art. It is expected that theories and methods in research in North Korean films and society will be developed through multilateral and in-depth analysis in the future.

      • 소아 천식 환자에서 저온저습공기 유발검사의 활용

        안지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Asthma is a chronic inflammatory airway disease characterized by reversible airway obstruction and airway hyperreactivity. The major diagnostic tests for asthma include spirometry and bronchial provocation test. There are specific and non-specific tests for bronchial provocation test, in which the methacholine provocation test is a representative test of non-specific bronchial provocation tests. However, it has a high sensitivity but low specificity. We proposed a cold dry air (CDA) provocation test and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CDA provocation test in pediatric patients with asthma. Methods: We enrolled 72 children and adolescents older than 5 years of age, who visite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or evaluation of chronic cough, shortness of breath, and wheezing. We analyzed the results of allergy tests, pulmonary function test, methacholine provocation test, and CDA provocation test. The FEV1 change of 5 minutes after the provocation was recorded as CDA5 dFEV1, and the FEV1 change after 20 minutes was recorded as CDA20 dFEV1. PT10 was defined as the time when FEV1 fell by greater than 10%, and the decrease by 10% or greater of dFEV1 was defined as the positivity of CDA test. Results: Of the total subjects, forty-seven were male and 25 were female, and the average age was 9.1 years. Fifty one patients were diagnosed as asthma. The positivity of CDA provocation test in the patients with asthma was correlated with non-eosinophilic asthma (P=0.001). In the patients with asthma, sputum eosinophil (P=0.019) and the level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P=0.047) of the patients with the positive CDA provocation tes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patients with the negative CDA provocation test. CDA5 dFEV1 was correlated with PC20 (r=0.295, P=0.049), total immunoglobulin E (r=-0.302, P=0.033). CDA20 dFEV1 was correlated with PC20 (r=0.36, P=0.015), sputum eosinophil (r=0.305, P=0.039), and ECP (r=0.296, P=0.041). PT10 was shorter as the peripheral blood eosinophil (r=0.731, P=0.011), FVC (r=0.636, P=0.019), FEV1 (r=0.611, P=0.027), FEV1/FVC (r=0.599, P=0.031), and FEF25-75 (r=0.615, P=0.025) decreased. Conclusions: CDA provocation test showed airway hyperreactivity to non-specific stimuli, a high correlation with non-eosinophilic asthma, and the possibility of accessing the severity of asthma via PT10.

      • 트왈드주이 표현방식을 활용한 서피스 디자인 연구 : 조선의 궁궐을 중심으로

        안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시대는 기존의 가치에서 새롭게 변화를 추구하는 과도기에 접어들며 아날로그에 대한 동경과 디지털의 공존 시대가 MZ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과거의 산물을 기반으로 현대적인 시각을 더해 이뤄낸 디자인이 다각도로 등장하며 신고전주의 화풍을 가진 ‘트왈드주이(Toile de jouy)’ 또한 다시금 재조명되는 계기가 되었다. 재해석의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브랜드들은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담은 트왈드주이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했고, 18세기에 유럽을 선도했던 디자인이 현대에 이르러 또다시 이윤을 창출하며 이름을 알리고 있다. 그러나 현시점까지 지속해서 리바이벌되며 중국과 일본, 동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풍경과 역사,일상을 재현한 트왈드주이가 무수히 생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적 이미지를 적용하여 디자인된 사례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트왈드주이의 표현방식을 빌려 한국의 역사를 보여줄 수 있는 조선의 궁궐 요소를 기반으로 서피스 디자인 개발에 목적을 두며 트왈드주이의 한국적 이미지 적 용 가능성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트왈드주이의 발전 양상을 문화적 측면과 더불어 연대기적 고찰을 하였다. 동판 날염 기술이 개발된 1770년 이후부터 공장이 문을 닫는 1843년까지를 기준으로 트왈드주이 시료를 수집해 디자인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대에 나타난 트왈드주이 제품 사례를 패션과 리빙으로 나누어 과거와 어떤 디자인적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분석하였고 트왈드주이의 디자인 특징과 유사점을 보이면서 궁궐 모티프를 이용한 제품 사례를 수집하여 한국적 이미지의 간접적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본 분석 내용을 토대로 트왈드주이 표현방식에 적용 가능한 조선의 궁궐 모티프를 고찰하고 한국적 이미지의 적용 가능성을 표로 종합하여 결론적으로 가능함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패션에서의 트왈드주이 모티프는 기존 인테리어 용품으로 사용되던 패턴의 형태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1리핏의 크기로 인해 큰 면적에 사용되던 때와 비교해보아도 크기 변화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모티프 주제에 관해서는 인물의 생활상 소재가 축소된 양상을 보였으며 소재 면에서는 무거운 소재에서 가벼운 소재로, 컬러 면에서는 블루, 레드의 전통 색조를 중심으로 한 1도 프린트에서 1-3도의 밝고 가벼운 컬러가 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트왈드주이 디자인 조건과 조선의 궁궐 모티프 활용 가능성을 도출했으며 인물과 풍경의 조화 중시, 섬세한 라인드로잉 기법, 모티프의 스토리 유무, 단순한 컬러 배색, 패턴화의 용이 다섯 가지 지점을 들어 활용이 적합함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트왈드주이 표현방식과 조선의 궁궐 모티프를 결합한다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세계화의 시대에 친근하면서도 경쟁력 있는 한국적 디자인을 선보일 수 있고 둘째, 우리나라 최고의 문화유산인 궁궐을 활용해 전통 미감과 선조의 정신을 알리는 것과 동시에 텍스타일 상품의 부가가치 창출에 유리하며 셋째, 국내외로의 적극적인 홍보에도 불구하고 구매로 이어지기 어려운 전통 문화상품에 활기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트왈드주이 디자인 시료의 일부를 가지고 분석을 진행한 점과 조선 궁궐 모티프의 적용 가능성을 궁중 서화 일부와 한국적 이미지의 제품 이미지를 가지고 연구자의 개인적 해석을 가미하여 분석한 것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트왈드주이 디자인을 주제해석이 아닌 모티프의 성격, PP의 표현, RPU의 배열과 같은 외적 요소로 표현방식을 분석한 것과 과거와 현재의 디자인적 차이 분석, 조선의 궁궐 외에도 기타 다양한 모티프의 접목 가능성을 위한 토대가 될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 된다. As the present era enters a transition period in which new changes are pursued in existing values, the era of longing for analog and coexistence of digital is spreading around the MZ generation. Designs made by adding modern perspectives based on these products of the past emerged from various angles, and "Tile de Jouy," which has a neoclassical style, also served as an opportunity to be re-examined. In order to meet the trend of reinterpretation, brands in various fields have begun to launch Tile de Jouy products containing their own identity, and designs that led Europe in the 18th century are making profits again and making their names known.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it continues to be revived to this point and numerous Tile de Jouy, which reproduces the scenery, history, and daily life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China, Japan, and East Asia, there are insufficient cases designed by applying Korean ima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surface design based on Joseon's palace elements that can show Korean history by borrowing the expression method of Tile de Jou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chronologically reviewed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ile de Jouy along with cultural aspects. From 1770 when copper plate cutting technology was developed until 1843, when the factory was closed, Tile de Jouy main samples were col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ases of Tile de Jouy products in modern times were divided into fashion and living to compare and analyze what design differences are in the past, and product cases using palace motifs were collected to confirm the indirect applicability of the Korean image. Therefo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palace motif of Joseon applicable to the expression method was considered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Korean image was synthesized into a t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ile de Jouy motif in fash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attern shape used as an existing interior appliance. As for the motif theme, the material of the character was reduced in daily life, and in terms of material, it was a heavy material to a light material, and in terms of color, bright and light colors of 1 to 3 degrees were mainly found in 1-degree prints centered on traditional shades of blue and red. Based on this, the design conditions of Tile de Jouy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Joseon's palace motifs were derived, and the importance of harmony between characters and landscapes, delicate line drawing techniqu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motifs, simple color coloring, and ease of patterning were appropriate. In addition,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by combining the Tile de Jouy expression method and Joseon's palace motif are listed as follows. Firs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riendly and competitive Korean designs can be introduced, and second, it is expected to use the palace, the best cultural heritage in Korea, to promote traditional aesthetics and ancestors' spirit, while creating value-added textile product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part of the twaldjui design sample,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Joseon Palace motif was analyzed by adding a personal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er with part of the court calligraphy and product images of Korean image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it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possibility of grafting various motifs in addition to the palace of Joseon, analyzing past and present design differences, analyzing external elements such as the nature of motifs, PPs, and R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