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간-환상을 통해서 본 현대실내건축의 특이성 연구 : 라깡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안은희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외적 공간으로 분류되었던 건축과 실내건축을 정신과 심리의 내적 작용의 결과물로 간주하고, 그 내적 공간의 작동방식을 밝히려는 목적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특히 건축에서 정신분석적 방식의 내적 작용은 인간의 자연스런 본성인 ‘욕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건축적 대상들은 그동안은 모호하게 감추어지고 드러나지 않았지만 인간의 본성 자체인 욕망을 상징하는 구축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건축이나 실내건축에서 욕망의 문제는 건축이라는 대상의 존재-가치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제기를 수반하게 만든다. 현대 사회에 들어서 욕망의 문제는 건축을 포함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현대의 대중문화에서 소비의 문제는 일상적인 경험의 차원에서 욕망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동안 우리가 인식해왔던 데카르트적 주체는 이성적인 코기토적 주체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범람하는 대중매체와 소비문화 속에서의 주체는 자신의 욕망으로부터 소외된 비이성적인 주체로서, 주체가 어떤 것을 강하게 욕망하면 할수록, 주체의 욕망은 충족되지 못한다. 이때 주체는 소외를 회피하기 위해서 욕망이 충족되었다는 오인, 즉 ‘환상’의 시나리오를 만들게 된다. 그런 까닭에 욕망과 환상은 주체의 실존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건축적 관점에서 볼 때도 욕망과 환상은 정신분석적 대상으로 건축을 볼 수 있게 만드는 주요한 개념들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볼 때, 정신분석적 접근은 건축과 실내건축의 욕망을 비평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가장 적절한 개념 틀을 제공하고 있다. 정신분석의 무의식적 작용은 후기자본주의 사회에서 건축적 공간의 물질성 개념을 해석하는데 도움을 주기에 현대 실내건축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정신분석적 접근은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자크 라깡의 ‘욕망이론'은 건축과 정신분석이라는 상이한 영역 사이에 언어라는 상징적 의미를 확장시킬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기에 중요한 비교-비평 도구로 사용될 수 있었다. 그러한 까닭에 본 연구는 라깡의 욕망이론에 근거하여 현대 실내건축에서 나타나고 있는 욕망-환상-징후의 메커니즘을 분석하였고, 그 분석의 결과 도출되는 특이성의 지점을 밝히고 있다. 건축이나 실내건축의 주체들은 무의식의 심연에서 대타자의 욕망을 대리하면서 건축적 욕망을 품게 되고, 이러한 건축적 ‘체 보이?’에 대한 답으로 각기 다양한 공간적 환상 시나리오, 즉 공간-환상을 작성하게 된다. 결국 공간-환상이란 타자의 욕망으로부터 소외됨으로써 생기는 주체의 공백을 건축적으로 감추는 일종의 스크린이다. 이러한 공백과 결핍의 욕망구조는 다양한 공간-환상의 작동방식을 야기한다. 결핍을 은폐하기․왜곡하기․표출하기와 같은 유형들 속에서 살펴본 결과 공간-환상은 라깡적 의미의 실재계적 작동을 건축과 실내건축 내에서 이끌어내고 있다. 다시 말해 건축이라는 상징 질서의 구축물이 완벽한 존재-위상을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을 공간-환상은 환기시키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공간-환상은 결국 무의식적 징후들의 발현으로 볼 수도 있다. 억압되거나 부인되거나 배제된 건축적 무의식들은 공간-환상에서 강박적․도착적․편집증적 징후 기표들을 생성해낸다. 이처럼 건축적 무의식의 메커니즘은 욕망-환상-징후의 개념적 카테고리에서 상징적 구축․해석․재현의 실재계적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결국 현대 실내건축은 공간-환상의 작동방식에 의해서 자체의 특이성의 지점을 드러내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현대 실내건축의 특이성은 크게 공간-환상의 void적 특이성, informe적 특이성, double적 특이성, liminal적 특이성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이성들은 공간-환상이라는 개념 도구를 통해 도출 가능해지는 특수성과 보편성의 사이 공간으로 건축이나 실내건축 외의 다른 분야와는 변별되는 문자 그대로의 ‘특이성’임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욕망-환상-징후라는 정신분석적 틀은 건축이나 실내건축의 내재적 주제인 주체․의미생성․구축논리에 대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놓았고, 그 자체의 특이성을 드러내는데 유용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라깡의 욕망이론을 통해 건축이나 실내건축에서 쉽게 간과해버렸던 지점들, 즉 구축이라는 메커니즘 내에서 억압하고 부인하고 배제해버렸던 무의식의 지점을 환기시키고, 그 역설적 관계들에 대해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 궁극적으로 이와 같은 의식적․무의식적으로 형성된 건축 이미지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은 건축의 물질성에 가려져 있던 담론 구조를 드러내 건축과 실내건축의 존재론적 위상을 새롭게 규명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This thesis sets out to study the immanent mechanism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e which had classified as external spaces in general. The immanent mechanism of psychoanalytic way in architecture is connected with human natured desire. Until now, architectural objects have been supposed to the vaguely hidden and unexposedly external symbol of human nature itself in a general way. The theme of desire in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e is dealt with the existence-value of an architectural object. In contemporary society it has been emerging as the significantly highlighted topic in almost all kind of studying including architecture. The problem of consumption in the contemporary mass-culture crops up desire into the reality of day-by-day experiment. As far as we recognize, so-called the Cartesian Subject is considered as a logical cogito-Subject. But in the overflowing mass-media and consuming culture, the more the Subject is desire something strong, the less he is satisfied with it, in a ironically worst way, the Subject is way too far alienated from one's own desire. In order to avoid facing the alienation, the Subject sets up a fantastic scenario which falsified the disguised desire as real something but twisted illusion. Therefore what I am saying is here that the desire and fantasy is closely related with a Subject's existence. In my architectural way of thinking, the desire and fantasy are main concepts that motivate the psychoanalytic object through the 21st century architectural topology. From this point of view, an approach of a psychoanalysis offers the concept-frame to critically understand and analyze the desire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e. Psychoanalytic approach is in a good way that unconscious mechanism of previous psychoanalysis help out to interpret the space-materiality in post-capitalism. In particular, the Jacques Lacan's desire theory could be used to enlarge the symbolic meaning between architecture and psychoanalysis beyond the direct representation with the help of langue and parole. So this study analyzed the mechanism which result in 'singularity' of desire-fantasy-symptom of interior architecture through the Lacan's desire theory. The Subject of interior architecture has the place of The Other's desire in a unconscious abyss at the same time, answering this architectural 'Che voi?', that is to say, it is made up Space-Fantasy like a spatial fantasy-scenario. Eventually the Space-Fantasy is some sort of screen to veil Subject's void the empty space, alienated ― from Object's desire ― through interior architecture. This desire structure of void and lack brings about the mechanism of various Space-Fantasy. In different types like concealing, distorting, and exposing the lack, Space-Fantasy leads a shaping of the Real of Lacan's psychoanalytic meaning in interior architecture. In other words, Space-Fantas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architecture can not have the perfect existence-position within the Symbol, and it is also equal to a revelation of the unconscious symptom. The mechanism of architectural unconsciousness reveals the Real of symbolic construction, interpretation, and representation through a conceptual category of desire-fantasy-symptom like this. This is the very way that the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is exposed to its singularity by a mechanism of Space-Fantasy. To be specific, the singularity of contemporary interior architecture can be divided into void, informe, double, and liminal singularity. I want to focus on theses singularities by the gap concept between a particularity and a universality through Space-Fantasy, rather than they are literally 'singularity' to tell the distinguishment from interior architecture and the other fields. In conclusion, the psychoanalysis-frame of desire-fantasy-symptom has brought out any possibility of an interpretation about architectural immanent themes like a subject, meaning creation, and construction logic, and it has also been useful to reveal the architectural singularity. Thus this study has aroused the architectural unconsciousness, which is repressed, disavowed, and foreclosured in a construction mechanism, through the Lacan desire theory. So this study has the important meaning in the side to offer some interpretative possibility about the paradoxical relation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n interior architecture. Ultimately the psychoanalysis-approach about the architectural image has a useful meaning to obtain real existence-position in the architectural area, and that is the reason why this thesis makes it clear to us now Lacan's psychoanalytic discourse structure which is blinded by architectural materiality.

      • 교장임용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안은희 울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 국 문 요 약 > 교장임용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안 은 희 본 연구는 교장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역할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현행 교장 임용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바람직한 교장의 자질과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현행 교장임용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현행 교장임용제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넷째, 교장 임용제도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관련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자료 수집은 울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교사 137명과 중등학교교사 158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장 임용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현재의 승진 임용제도 중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을 보완․개선한다. 첫째, 승진 비리가 발생할 소지를 안고 있는 근무 평정을 관리자에 의한 하향평가가 아니라 동료교사에 의한 다면평가를 실시한다. 둘째, 학교 업무에 차질이 없는 방학 기간을 이용해 현 이수시간의 2배인 360시간 정도의 연수를 실시해 자격연수를 강화시킨다. 셋째, 학교 경영 전문가를 키우기 위해 교장 양성 기관을 별도로 설립하여 내실있는 연수가 계획․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교장 임용 후 2년에 한 번 정도 리더십과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교장 재교육을 실시한다. 다섯째, 단위학교책임경영자로서 교장이 자율성을 가지고 학교를 경영할 수 있도록 통제를 최소화함으로써 교장의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다. 여섯째, 교실 현장의 분위기를 파악하고 신세대 학생을 이해하기 위해 교장도 일정 시간 수업을 하고, 문제 학생을 상담․지도하는 역할을 맡게 한다. 일곱째, 학교 경영가가 지녀야 할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사범대와 교육대에 교육법과 교과과정, 학생의 행동지도, 교원의 통솔 등의 과목을 포함시켜 이수할 수 있도록 한다. 여덟째, 교육연구관이나 장학관의 경력도 교장의 경력에 포함시켜 임기 연장의 수단으로 삼을 수 없도록 한다. 아홉째, 교감이나 부장교사 및 교사들에게 전적인 책임이 위임되는 위임전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학교경영전문성 확보를 위한 자연스런 훈련 과정을 제공한다. 또한 교사가 원할 경우 행정실에서 행정 업무를 일정 기간 습득하게 한다. 나. 교장 임용방식을 다양화한다. 첫째, 학교 단위의 초빙․공모 교장제를 실시한다. 독일의 베를린주와 같이 전체교사회의에서 비밀투표로 교장을 결정한다. 각 시․도 교육청에서 중점 운영 학교를 선정하여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초빙 절차, 대상자의 조건, 임기 등을 개선하면서 현행 제도 운영 방식을 보완해 나간다. 둘째, 교장 선출 보직제를 도입한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교장선출보직제가 교장임용제도 개선을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고 55.3%의 교사들이 응답하였으며, 67.8%의 교사가 학교 현장에 선출교장으로 적합한 교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선출보직제를 도입할 경우 학교운영위원회(이하 학운위)역할과 권한은 자격 임기제에서보다 월등히 커진다. 따라서 학운위의 의결권에 따른 책임 또한 확대되어야 하며, 학운위위원은 제도적으로 월 1회 연수를 통해 운영위원으로서의 자질과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시․도교육청 단위로 학교장 공모제를 도입하는 것이다. 일차적으로 직무 수행 요건에 비추어 지원자의 경력이나 전문적 자질 경험과 훈련 등을 통해 적격자를 선발한다. 시․도교육청 단위에서 공모를 통해 지원을 받아 시․도 교육위원회의 동의를 받아 교육감이 임명하는 것이다. 다. 수석교사제를 도입한다.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는 교원이 우대받는 교직 풍토 조성을 위해서, 그리고 대화가 되는 학교 풍토를 만들기 위해서도 수석교사제가 도입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교수직과 관리직으로 자격 체계를 이원화하여 교직의 전문성을 강화시킨다. 라. 교장 단임제(4년 혹은 5년)를 실시하여 승진 적체를 막고 교직의 승진 기회를 늘린다. 이상에서 제시된 여러 대안들은 각기 다른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유능한 학교 경영자를 확보하면서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한 가장 근접한 방안을 모색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런데 사실 현행 제도도 장점도 많으므로 꼭 새로운 방식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 동안의 제도와 너무 다른 것보다는 충격의 폭이 크지 않으면서 현장의 반응이 높은 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 댄스스포츠의 참여특성에 따른 윤리의식과 여가만족도

        안은희 서울여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ory and the moral sense according to dance sport participants' population-sociology trait. And according as I examine closely that how do various factors effect dance sport participants' moral sense and leisure satisfactory. This research helps dance sport to contribute to becoming creation leisure culture. The objects of my research are the men and women of over 19 years old who are participating to a dance sport program from the 4 profit-making organization and 4 nonprofit-making organization which is located in Seoul in 2002. To us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nonprobability sample extraction and extract random sample, I asked the question for the objects about 350 discussion questionnaires and 304 actual dat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ept 46 data which were without sincerity. According to purpose of research, the data which is collected was analysed by one-way ANOVA. The reliability to be used the Cronbach's a's a method and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e Scheffe method. Each hypothesis was verified from a=.05 level.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method and in view of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o far achieved, it runs as follows; 1) For the population-sociological factors, religion there was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to a moral sense for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and education degree, sex, occupation and faith there was not. 2) For the participation trait,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hour and participation level there was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to a moral sense for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participation motive, participation duration, the participation objects there was not. 3) For the population-sociological factors, the leisure satisfactory subordinate element which is sex there was not a difference where all considers to a factor for. Education psychological it is a leisure satisfactory moral subordinate factor, the society, education, rest, physiology and environmental factor all each factor for the difference which considers was. Occupation there was a difference where the psychological factor and education factor consider to an each factor for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and social, rest, physiological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there was not. Religion there was not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to all factors. Faith remaining psychological it excepts a physiological factor, the society, there was a difference where the education, rest and environmental factor consider. 4) For the Participation motive there was a difference where the psychological factor and educational factor consider to an each factor for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from in participation quality and social, rest, physiological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there was not. Participation frequency there was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to a leisure satisfactory 6 all each factor for. Remaining psychological it excepts a rest factor and an environmental factor, the society, the leased house where the education and physiological factor consider to an each factor for there was a participation duration. The participation object remaining psychological it excepts a rest factor, the society, there was not a difference where the education, physiology and environmental factor consider to an each factor for. Participation level the remaining society which excepts a psychological factor and an educational factor, there was not a difference where the rest, physiology and environmental factor consider to an each factor for.

      • 광고 텍스트를 통한 시적 발상과 표현 교육에 관한 연구

        안은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현대시 교육은 주로 이해 교육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진정한 현대시 교육이란 학습자들이 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며 감상하는 행위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나아가 그들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표현인 창작 행위가 추가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학습자에게 낯선 시를 가르치는 데 있어 일상에서 친숙한 광고 텍스트를 통해 시적 발상과 표현 양면을 두루 가르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보다 쉽게 시 창작을 할 수 있도록 교육 제재와 도구로서 광고 텍스트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학이란 당대의 특정한 사회․ 문화적 맥락을 담고 있는 까닭에 교육에도 그 맥락이 고려되어야만 한다고 보았다. 현대는 매체의 시대라고 불릴 만큼 다양한 매체들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고 이것이 하나의 시대적·문화적 맥락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 여러 매체 중 광고 매체는 특히 교육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광고 텍스트는 함축적이고, 시적인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고매체는 상호텍스트적 측면에서 볼 때 시 교육과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다. 광고가 담고 있는 사회적 상황, 그 표현 특성에서의 비유, 변화, 강조 등의 수사법, 창의적 발상 등은 광고가 교육의 현장으로 끌어들이기에 충분한 제재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에 드러난 발상을 이해하고 이를 시 창작 교육에 활용하기 위해 창의력 문제 해결과 관련된 일련의 사고과정인 SCAMPER에 비추어 광고와 시에 드러난 발상을 분석해 보았다. SCAMPER는 Substitute, Combine, Adapt, Modification, Put to another use, Eliminate, Rearrange의 두문자 합성어로 SCAMPER 발상법은 아이디어 산출을 위해 사고의 출발점 또는 문제 해결의 착안점을 미리 정해 놓고 그에 따라 다각적인 사고를 전개함으로써 능률적인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이다. 이 발상법은 광고 텍스트나 시처럼 창의적인 텍스트를 생산해내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적 표현인 비유, 상징, 이미지, 반어, 역설, 운율이 광고에 광범위하게 쓰임을 확인함으로써 시와 광고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실제 광고에 드러난 발상과 표현을 활용한 시 쓰기 교육을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이를 통해 광고의 발상과 표현이 시 작품을 생산하고 표현하는 데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시를 배워야 할 대상으로만 여기지 않고 즐길 수 있는 대상으로 여길 수 있게 만들어 능동적인 학습자로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EPR대상 수입품 재활용률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안은희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가 이룩한 그 간의 경제성장은 우리 국민들의 생활수준에 있어 양적 성장은 물론, 다양한 삶의 질적 향상을 가져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제성장은 우리의 소비 형태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 과소비·과대포장의 확산에 따른 폐기물의 발생증가를 야기하기도 하였습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조·수입업자나 소비자에게 폐기물 발생량을 감소시키고 발생페기물의 재활용 촉진을 유도하기 위한 규제수단으로써 시행되고 있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Extended Producers Responsibility)의 운영성과를 분석한 다음 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와 우리의 제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 제도의 미비점에 대한 원인규명과 향후 동 제도의 근본 취지인 재활용률 제고를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재활용률이 저조한 EPR대상 수입품에 대한 현 제도의 문제점과 대안을 마련코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관계 부서에서 발표된 기존의 자료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하여 조사된 자료를 참조하여 비교분석하였습니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의 이론적 배경을 체계화하고 우리나라 EPR 시행 전·후 재활용실적을 분석하여 재활용률이 저조한 품목에 대하여분석해 본다. 분석된 결과를 중심으로 EPR대상 수입업체의 자료제출시기, 미신고업체 발생, 수입품목 사후관리의 어려움 등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밝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안을 제시함에 있어 수입품목에 대하여 폐기물예치금제도(deposit-refund system) 또는 폐기물부담금제도(Waste Disposal Charge)로의 전환 방안, 자료 제출시점 및 조사주기 조정 검토 방안으로 나누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economic growth which South Korea has attained brought us not only the quantitative growth but also a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to the people in a various way. However, this economic growth gradually had an impact on the patterns of consumption and that has resulted in rising of waste generation due to the diffusion of over-consumption and exaggeration of advertisement. Therefore, by analyzing the outcome of the performance of EPR(EPR; Extended Producers Responsibility) which has been undertaken as regulatory measures to reduce waste generation and to induce for promoting the recycling of generated waste and also by approching an analytical comparison between EPR which has been implamented in foreign countries and such a system in S. Korea, this study is aimed to present way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deficiency and to raise the recycling rates as a fundamental purpose of the system in the future. Also this study was arranged to present the preventions of problems for current measures from low-rated EPR imports therefore it was analytically compared through existing reference from the related department and the data from the researcher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nalyzing low rated-recycling items by systemati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PR and analyzing before and after of performance of recycling. Revealing the problems and presenting the ways to resolve the drawback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which may focused on time-period of filing data from targeted EPR importers, occurrence of undeclared business, and difficulties of follow-up management for the imported items. As for imports, the The way to change Deposit-refund system or Waste Disposal Charge and the way to review the presentation time of materials and survery period arrange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