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고등학교 공간디자인 교육 방안 연구

        안은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a rapidly changing paradigm, it is a fact that the development has greatly contributed to our daily live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while a lot of issues have been tolerated on the justifiable grounds of being convenient, but it also brought about a crisis to human beings. Moreover, this change and crisis tend to accelerate over time while being reiterated and unpredictable. Although we are obsessed with constantly discovering new things, we are not ready to take action against issues that are identified along with changes, making us to reflect on this topic. Starting with these concerns, this study focused on the direction of finding the right and alternative values in society through art education. In particula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ays of realizing social values and coming up with art education as an alternative way of finding solutions by designing a space, a social venue that exists in our everyday life.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s and scope.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necessity and objective of space design education that holds social values, and summarized the details and method of research and scope and limitations of research. Second, it defined the concept and evolvement of space design which realizes social values by review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and contemplated the type and details of space design. Third, it defin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space design that realizes social valu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details, and contemplated the learning methods of space design education that has social values. Fourth, it identified the educational scope and potential of space design with social values in the current education through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d classified and analyzed the details related to space design with social values within the current high school textbook. Fifth, it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teaching and learning plan in relation to space design with social value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aforementioned details. Sixth, it came up with conclusions and proposals after comprehensively incorporating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expects the following educational effects. Frist, by proposing a space in everyday life as a problem solver, an individual can have authentic learning experience and, in doing so,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address real issues. Second, the process of finding issues while sensibly perceiving the situation within the space and deriving results in an alternative way after having discussions with a group member can cultivate the visual communication skills. Third, the process of exchanging problems of each other, devising a solution, and enabling students to apply diverse media according to an individual’s capacity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apply things differently and to think comprehensively. Fourt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emphasizing with each other’s problem can horn social and collaborative skills, and have respect for various aspects of culture with a broader social view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others. In the e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lternative way of utilizing space design in order to solve problem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one another in a changing society, and to develop creative curriculum.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students can foster the right value and attitude in society. This study expects that this research result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continue various studies related to space design education with social values. 급변하는 시대적 패러다임 속에서 산업혁명 이후 계속되어온 발전은 삶의 편리성이라는 정당한 목적 아래 많은 것들이 용인되며 우리 삶에 수많은 기여를 해 온 것 또한 사실이지만, 동시에 인간 존재에 대한 위기도 불러왔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와 위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속도가 붙으면서 계속 중첩되고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현재 우리는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자 하는 강박에 빠져있음에도 변화와 함께 발현된 문제에 대한 대책과 대응에 대해서는 그 준비가 미비하다는 것은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할 논제일 것이다. 이러한 고민을 시작으로 본 연구는 미술 교육을 통해 사회 안에서 올바르고 대안적인 가치를 찾아가는 방향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특히 일상 속에 항상 존재하는 사회적 장(場)인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문제에 대한 대안을 찾는 미술 교육을 모색해 보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방안을 찾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방법 및 범위를 따라 진행하였다. 첫째, 사회적 가치를 지닌 공간디자인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을 알아보고,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을 정리하였다. 둘째, 공간디자인의 개념 및 특징으로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간디자인 개념과 전개를 정의하였고, 그 유형과 그 세부 내용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셋째, 앞서 정리된 내용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지닌 공간디자인의 교육적 효과를 정의하고, 사회적 가치를 지닌 공간디자인 교육의 학습방안을 고찰하였다. 넷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통해 현재 교육 안에서 사회적 가치를 지닌 공간디자인 교육의 범위와 가능성을 파악하고,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의 사회적 가치를 지닌 공간디자인 관련 내용을 분류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앞서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가치를 지닌 공간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여섯째,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기대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 속 공간을 문제해결 대상으로 제시하여, 실제적 학습 경험을 만들고, 이를 통해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둘째, 공간 안에서 감각적으로 지각하면서 문제를 찾아보고, 이를 모둠원과 토론하여 대안적 결과물로 도출하는 과정은 시각적 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셋째, 복합적이고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모둠원과 서로 교환한 후, 상대를 위한 해결 방안을 구상해 보고, 학생들 각자의 개별 역량에 맞춰 다양한 매체를 적용해보는 과정은 응용 능력을 기르고, 통합적 사고 능력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 모둠원과 함께 서로의 문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적, 협업적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며,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넓은 시야를 가지고 사회를 바라보면서 문화 다원적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로 나아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변화하는 사회 안에서 이해와 배려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적 공간디자인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응용하여 창의적인 학습 과정을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며, 학생들이 사회 안에서 올바른 가치와 자세를 함양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지닌 공간디자인의 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반제품을 통한 공간디자인 액티비즘에 관한 연구

        안은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모더니즘 시대부터 의식되어진 사회적 디자인은 오늘날 일상 속에 디자인의 역할과 개입이 커지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공간 디자인 분야에서도 윤리 의식을 가진 디자인을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지만, 올바른 방향과 구조적 방법에 대해서는 사회의 다원적 성향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디자인 액티비즘은 사회적 역할을 행동으로 유도하고, 긍정적 대안을 제시하는 새로운 디자인 방법으로 부상했다. 본 연구는 디자인 액티비즘을 통해 20세기 고도의 소비주의와 문화 동질화에 반하여 사회의 가치기준을 재정비하고 사람과 공간과의 관계성을 다시 바라보고자 한다. 이에 대안으로서 반제품 디자인을 연구하여 사람들이 각자의 자신만의 공간을 스스로 형성해가거나, 혹은 다수의 협업적 행위를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획일적 가치 한계를 넘어서는 공간 디자인을 완성해 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액티비즘이 발생하게 된 이유와 그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 문헌 고찰을 통해 최근의 연구 경향과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반제품의 범위를 제품 영역의 부속품으로 한정시키지 않고 제품, 가구, 공간 등으로 확장시켜 유형화한다. 확장된 개념인 반제품 공간 디자인을 심리적, 구조적, 미학적 특징으로 나누어 이해한다. 셋째, 반제품 공간이 디자인 액티비즘으로 실현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관련된 사례를 조사하고,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알아본다. 이를 통해 반제품 디자인이 나아가야하는 전략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다음과 같다. 반제품 디자인을 통한 참여와 행위는 개인과 집단 안에서 사회 대안적 방법들로 모색될 수 있다. 공간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 주어졌을 때, 개인 스스로의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와의 공감대 형성을 개선시켜 준다. 참여 과정에서 형성된 인공물에 대한 애착은 지속가능으로 이어지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해체와 조립의 변화 가능성은 경제적이고 이동의 자유를 주지만 전문성과 품질의 한계로 시장 안에서 제시하는 것이 수월해 보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앞선 체계와 교육이 병행되었을 때에는 모든 계층을 위한 디자인으로의 가능성을 가진다. 이는 모든 비전문가들에게도 공평한 기회를 주며 보다 쉽게 참여 행위로 유도한다. 이러한 특징은 개인의 작은 행위를 통해 사회 전체의 변화를 가져온다. 개인의 감정에 대한 위로와 개인성 극복의 목소리는 더 이상 누군가가 완성시킨 것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최선이 아니라는 의미를 가진다. 디자이너는 선택할 물건보다 선택의 폭을 디자인 해주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이는 과거 서로 비슷한 결과물에 대한 극복의 방안이자 이상적 형태의 기준에 대한 재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가능성은 실험을 통한 검증 및 지속적인 심화 연구가 필요함을 밝힌다. 본 연구는 더욱 빠르게 변화하며 다양한 문제를 안고 가는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사회적 디자인 구조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Social design, recognized since modernism, is now gaining attention as the role and involvement of design are growing in daily life. In spatial design field, design with ethics is continuing, however, multi-dimensional approach of society hampers right direction and structural method. As such, design activism is attracting society to take action as a new design method that provides positive alternative. Against excessive consumerism and cultural homogeneity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rearranges social value and examines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through design activ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ete spatial design structure that overcomes standardized value by forming individual space after reviewing design of semi-finished products and by cooperating with the majority. The process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 trend and characteristic of design activism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this study categorizes the scope of semi-finished products and understands psychological, structur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expanding the concept of semi-finished model such as space, furniture, product, etc. Third, this study examines feasibility of semi-finished product as design activism and researches relevant cases and performed roles. By doing so, this study considers future strategy of semi-finished desig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Participation and behavior through semi-finished design can be sought by social and alternative methods among individuals or group. Once the process to form space is given, forming consensus with community and solidifying identity can be improved. Attachment to artifact which is formed during participating process can be sustainable alternative. Also, the possibility of dissolution and assembly gives economic advantage and freedom of movement, however, suggestion to the market is difficult due to expertise and quality limitation. Nonetheless, if preceding system is paired with education, this design opens up the possibility for all classes, offers fair opportunities to all non-experts and promotes participatory behavior. This kind of characteristic brings change in society by individual’s insignificant action. In conclusion, condolence to individual’s emotion and overcoming individuality imply that selecting completed product is not the best option. Designer needs to consider designing the width of choice not chosen product. This action can be considered as resetting standard of ideal type and overcoming similar results from the past. However, all possibilities need to be proven by experiment and continuing and extensive research. As this study suggests new social design structure in rapidly changing society with diverse problems, it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 영어 합성명사의 한국어 번역에 관한 연구

        안은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semantic relators of compound nouns and types of English-into-Korean translation shift. Making compound nouns is the most common and easiest way to create new words. Also they have A highest percentage of the combining words. I look into the definition of English compound nouns and several analyses on the semantic categories. Compounds are composed of two free words or more, and syntactically they are fossilized. English compound nouns can be classified in view of semantics and pragmatics. They also can be distinguished from noun phrases using morphological, phon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riteria. However, distinguishing compound nouns from noun phrases cannot perfectly be explained by these criteria. This study claims that the meaning of English compound nouns depends on their semantic relator based on their conceptual combination. I focus on their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sing elements of compound nouns and find out facts about semantic patterns of N-N compound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boundary with semantic relevant criteria. Then I try analysing English compound nouns based on of Levi and Nida theory. Nida(1973) suggests 4 semantic relations as contiguity, included sets, overlapping,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Levi classified 9 comprehensive semantic categories to interpret the English compound nouns. I selected 200 compound nouns from text book ‘Anna Karenina’ written by Leo tolstoy. and I compared to 3types of korean version. The data were compare with English Compound nouns with those of Korea. When compounds nouns translated into Korean, a variety of word class shifting were taken placed. It indicates that translation need to use conversion in the translate processes. I classified 5 translation types such as one to one confrontation, word class shift, meaning expansion, combing similar meaning words and ellipsis, nominalized idiom words. In the translation pattern analysis, the result show that about 62.5% of them in the source texts have one to one confrontation in the corresponding target texts. Also about 13.5% of compound nouns in the source texts have nominalized in the corresponding target texts. The low proportion category is to combine similar constituent and ellipsis of meaning. In Levi’ s analysis, ‘for’ and ‘in’ semantic categories take high rates. The important in the semantic analysis of compound nouns is not the semantic translation of each compounds but the classification into possible semantic patterns of them. The new number of compound nouns ever increasing, because of their greatly useful convenience, economical expression and informal intimacy. The study also showed the aspect of new words' translation in OED(Oxford English Dictionary) from 2013 to 2015. Unlike in the past, the meaning of new compound nouns has been developing a wide to merged application.

      • 남녀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on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ale & Female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안은혜 부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이성교제를 하고 있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이성 간에 갈등해결전략, 관계만족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성별에 따라 심리적 독립, 갈등해결전략, 이성관계 만족에 차이가 있는지, 둘째, 심리적 독립, 갈등해결전략, 이성관계 만족의 관계는 어떠한지, 셋째, 심리적 독립은 갈등해결전략을 매개로 이성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현재 이성교제를 하고 있는 남녀 대학생 318명(남 106명, 여 212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독립, 갈등해결전략, 이성관계 만족,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포함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부모로부터 심리적으로 더 독립적이었으며, 부모대상으로 보면 남녀 대학생은 어머니보다 아버지로부터 더 독립적이었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인 갈등해결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부정적인 갈등해결전략을 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부모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할수록 긍정적인 갈등해결전략을 사용하고 부정적인 갈등해결전략을 적게 사용하였다. 하위요인별로는 남녀 모두 갈등적독립이 부정성 전략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부정적인 갈등해결전략을 완전매개로하여 이성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차를 살펴보면, 남자 대학생은 기능적으로 독립할수록 부정적인 갈등해결전략을 적게 사용하고, 여학생은 태도적으로 의존할수록 긍정적인 갈등해결전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결과적으로 만족도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ale &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and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is th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18(male:106, female: 212) college students in Pusan.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questionnair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onflict coping behaviors and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in male &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the links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fully mediated by negativ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in male & female college students.

      • 총동원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선교사관리와 防諜정책(1937-1942)

        안은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총동원체제기 조선총독부의 防諜정책 하 선교사관리를 분석했다. 특히 총독부의 선교사관리가 조선인에게 ‘反英·反美’ 감정을 주입하는 사상 선전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에 주목했다. 중일전쟁 발발로 총독부는 방첩정책을 강화했다. 총독부가 의도한 방첩정책은 ‘불온한’ 정보를 유입하는 자들을 단속하는 것이었다. 당시 조선에 재류한 英美 선교사는 정보에 밝을 뿐만 아니라 조선인과 ‘포교망’을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주요한 ‘정보유입매개체’로서 주목받았다. 중일전쟁이 장기화함에 따라 일본에서는 장개석을 돕는 영국과 미국에 대한 반감이 거세졌다. 이러한 국제상황과 맞물려 총독부도 선교사를 포함한 英美人의 定住를 제한하기 위해 「외국인의 입국·체재 및 퇴거에 관한 건」을 제정했다. 이와 동시에 총독부는 조선사회에 ‘排英운동’을 일으킴으로써 선교사와 조선인의 포교망을 차단하려고 했다. 하지만 일본과 다르게 조선에서는 배영운동의 성과가 낮았다. 총독부는 배영운동의 저조한 성과를 만회하기 위해 선교사에게 첩보혐의를 적용했다. 태평양전쟁 발발로 인해 영미인은 ‘敵國人’이 되었고 경제권과 거주권을 박탈당했다. 또한 총독부는 조선에 재류한 영미인을 스파이, ‘鬼畜的’인 존재로 부각시키면서 조선인에게 反英美 사상을 적극적으로 주입시키려고 했다. 하지만 총독부는 조선인들에게 영미에 대한 적대의식을 주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총독부의 반영미 선전에 대해 기독교계 인사들은 협조했지만 일반 민중들은 무관심으로 대응하거나 거부했다. 이러한 민중들의 반응은 해방 때까지 유지되었다. 총독부가 조선인들에게 영미에 대한 ‘敵國人’ 인식을 강력하게 주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인들을 사상적으로 포섭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 한글 캘리그래피의 콘셉트 표현에 관한 연구

        안은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 문자의 우수한 조형미를 바탕으로 제작되는 한글 캘리그래피는 현대 그래픽 디자인의 부족한 단면을 채울 수 있는 감성적인 디자인으로 그 역할과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캘리그래피는 전달하고자 하는 문자나 문장을 콘셉트에 맞춰 여러 재료와 방법 등을 통하여 직접 손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표현과 캘리그래퍼의 의지, 능력, 감성 등 복합적인 요소와 실용성과 상업성이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결과물이 캘리그래피인 것이다. 이러한 성격의 캘리그래피는 문자의 전달이라는 기본적인 목적 뿐 아니라 시각적 이미지 효과를 적합하게 전달 할 수 있어 콘셉트 마케팅이 중요한 여러 분야에서 그 가치의 극대화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한글 캘리그래피가 지속적인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다소 정형화된 작업 스타일에서 벗어나 캘리그래퍼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콘셉트에 맞는 표현과 한글 조형원리에 기초한 다향한 글꼴과, 새로운 표현의 개발로 응용 영역의 확장을 계속해서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콘셉트 표현 방식으로서의 한글 캘리그래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유형과 그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글 캘리그래피의 효과적인 활용을 제시해 봄으로써 한글 캘리그래피가 콘셉트를 한층 더 부각시킴과 동시에 차별화된 콘셉트를 표현하여 한글 캘리그래피가 콘셉트 표현이 중요시 되는 여러 활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도록 그 발전 방향을 모색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글 캘리그래피가 어떤 특성을 지니며 콘셉트 표현에 어떠한 효용성을 지니고 있는지 활용 현황과 사례들을 분석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며, 여러 분야에서 콘셉트 표현의 도구로써 사용 된 한글 캘리그래피의 활용 사례들을 콘셉트 표현 유형에 따라 살피고 상표출원에 사용된 한글 캘리그래피를 대상으로 선정, 연도별 활용 비율과 업종 및 주체별 출원현황을 중심으로 한글 캘리그래피가 차지하는 수치를 산출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글 캘리그래피의 동향을 알아보았다. 한글 캘리그래피의 콘셉트 표현에 관한 현황과 사례들을 조사, 분석한 결과 여러 분야에서의 활용과 다양한 콘셉트 표현사례 들을 살펴 볼 수 있었으며 콘셉트 표현과 재료의 사용, 기본 조형원리, 가독성 등의 문제점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콘셉트에 관계없이 하나의 유행의 흐름을 따라 무분별하게 제작되는 캘리그래피들은 한글 캘리그래피의 참신함과 주목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으므로 지양해야 할 부분이다. 한글 캘리그래피의 보다 효과적인 콘셉트 표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첫째, 캘리일러스트레이션의 활용이다. 캘리그래피가 아무리 잘 표현되었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인 디자인요소들이 콘셉트와 조화되지 않는다면 디자인 전체를 혼란스럽게 만들게 된다. 캘리그래피의 기법을 이용한 캘리일러스트레이션(calli-illustration)의 활용은 시각적 이미지 형성을 돕고 콘셉트 전달에 효과적으로 사용 될 수 있다. 캘리일러스트레이션의 요소, 즉 선과 획, 번짐과 질감 등은 캘리그래피, 전체적인 레이아웃, 디자인 그리고 콘셉트를 반드시 고려하여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제작 되어야 한다. 캘리그래피와 마찬가지로 캘리일러스트레이션 역시 반드시 주어진 콘셉트에 맞도록 철저한 계산과 계획 하에 그려져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둘째, 모션그래픽의 활용이다.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적 표현은 콘셉트에 대한 몰입감을 증가시키고 강한 콘셉트 전달의 효과를 낼 수 있다. 획의 흐름에 따른 시각적 모션으로 생동감과 리듬감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글씨의 빠르기와 재료에 따른 사운드, 먹의 번짐과 경쾌한 선의 흐름 등 2차원적 캘리그래피 표현의 한계점을 보완한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활용은 화려한 시각적 효과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콘셉트 전달 효과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며, 지나치게 긴 캘리그래피의 나열과 글자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큰 경우는 가독성을 해치고 혼란을 유발 시킬 수 있으므로 캘리그래피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콘셉트를 뒷받침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의 활용이 중요하다 하겠다. 셋째, 다양한 오브제의 활용이다 마스카라 솔, 노끈, 옷감, 풀뿌리 등의 다양한 자연물 혹은 인공물과 같은 신변의 오브제들이 모두 캘리그래피의 재료로 활용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캘리그래피가 모필에 의해 표현 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표현을 나타낼 수 있는 캘리그래피의 장점을 활용한 실험적 연구와 활용은, 캘리그래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캘리그래피의 재료는 콘셉트에 맞게 선정 되어야 하며, 콘셉트를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오브제의 활용을 통해 캘리그래피 시각이미지의 확장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한글 조형원리에 기초한 표현이다. 캘리그래피는 주어진 콘셉트에 일치하는 글씨가 나오도록 글꼴을 만드는 것이다. 강한 글씨, 부드러운 글씨, 날렵하고 경쾌한 글씨 등 다양한 글씨의형태 중에 하나를 선택하고, 변화와 강조 등을 주어 콘셉트에 어울리도록 창작하는 것이다. 캘리그래피를 연구하거나 제작하는 사람이라면 보다 깊은 관점에서 한글의 창제 원리와 조형원리를 살펴 제작해야 한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은 다른 문자와는 달리 자음과 모음이 조합되어 하나의 글자를 이루고 있다. 한글은 구성 자체가 과학적이며 조형적이어서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글의 초성·중성·종성에 맞는 표현과 조형적 변화에 대한 연구와 그에 맞는 표현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디자이너와의 효율적인 혐업 에서 오는 시너지효과 이다. 캘리그래피는 독립된 위치에서보다 디자인과 함께했을 때 극대화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결국 디자이너와의 혐업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디자이너가 직접 캘리그래피를 쓰는 경우도 있으나 전문적이지 못한 캘리그래피는 도리어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캘리그래퍼가 콘셉트에 맞게 캘리그래피를 작업할 때 혐업의 관계가 소홀해 지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게 될 경우에는 좋은 결과물을 얻기 힘들다. 캘리그래피의 결과물은 캘리그래퍼와 디자이너의 유기적인 혐업을 통해 최고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오늘날의 캘리그래피는 내용의 전달뿐만 아니라 콘셉트를 어떻게 표현해서 보여줄 것인가가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캘리그래피의 주된 요소는 가독성뿐만 아니라 캘리그래피가 가지고 있는 조형미와 거기서 표현되는 콘셉트의 전달에 있는 것이다. 캘리그래피는 기존의 타이포그래피에 비해 감성적이고, 인간적이며 차별화 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디지털서체로 표현되는 타이포그래피가 크기와 형태, 획일성 등의 한계를 갖고 있다면, 캘리그래피는 필법에서 손의 흐름, 힘, 가늘고 굵음의 변화, 운동성 우연성, 경향성 등의 필선의 유희에 따라 다양한 콘셉트를 표현해 낼 수 있는 방법이 무궁무진하다. 캘리그래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실제 사용하는 디자이너와 분야가 많아지고 있는 지금 캘리그래피의 전망은 밝다. 더욱 많은 분야와 콘텐츠의 접목으로 새로운 상품과 콘텐츠로 제작되어지는 한글 캘리그래피들을 통해 한국 디자인의 원형을 찾고, 능력 있는 캘리그래퍼들과 다양한 표현들을 통해 캘리그래피가 한때의 트랜드로 끝나버리지 않고 하나의 전문적인 분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발전 시켜 나가야 할 것 이다.

      • 모바일 기기의 패턴 매칭을 위한 TCAM 설계

        안은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thesis, I present efficient structure of the Ternary content addressable memory design for pattern matching of mobile devices. All the simulation results are based on 180m CMOS Technology. The Simulation result has been compared with power consumption, area, read access time at 100MHz. Thus, I could achieve that TCAM using 4T-SRAM is the best of comparable structures at high efficiency for power consumption and area. Finally, I show you pattern-matching simulation using TCAM.

      • Synthetic Studies of Haouamine A

        안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thesis describes our efforts toward the total synthesis of haouamine A, an anticancer marine alkaloid possessing a novel molecular architecture (Chapter 1). The molecule features an indenotetrahydropyridine moiety that contains a diaryl quaternary center and an anti-Bredt double bond. This tetrahydropyridine ring is further fused to a highly strained 11-membered paracyclophane that includes a bent aromatic ring. Several research groups have reported synthetic studies of haouamine A, including both total and formal syntheses. Highlights of our strategy include the convergent assembly of building blocks using Pd-catalyzed reac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tetrahydropyridine by the Ni-catalyzed asymmetric reductive Heck reaction (Chapter 2). Furthermore, a highly convergent formal synthesis of haouamine A was accomplished in a longest linear sequence of 12 steps for racemic/asymmetric synthesis (Chapter 13). The successful synthesis of the paracyclophane’s precursor led us to the construction of the paracyclophane by connecting two aryl rings via a cross-coupling reaction (Chapter 4). 해조류로부터 추출된 해양천연물 하우아민 A 는 4 차탄소를 포함한 인데노테트라 하이드로피리딘구조와 고리 strain 으로 인해 휘어진 방향족고리를 포함하는 파라싸이클로페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우아민은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아민 A와 B 각각 다른 암세포에 대해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5 가지의 살 수 있는 출발물질들을 퍼즐 조각처럼 조합하여 효율적으로 하우아민의 탄소골격을 합성하였다. 그리고 니켈 촉매와 키랄리간드를 사용하여 테트라하이드로 피리딘 구조를 비대칭합성하였다. 또한 짧은 합성경로를 통해 P. Baran group 의 haouamine A intermediate 를 높은 수득률로 짧은 단계만에 합성하여 형식전합성(formal synthesis)을 완성시켰다. 마지막으로 확보된 병렬 합성경로를 통해 두 개의 아릴구조를 잇는 다양한 파라싸이클로페인 합성 전략을 제시하고 연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