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의 음주문제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화의 매개효과

        안요셉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음주문제는 가족질병이다. 특히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음주문제를 가지고 있을 경우, 자녀는 부모로부터 적절한 돌봄을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족관계에서 너무 많은 부담을 짊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성장 경험은 자녀의 사회적 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음주문제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3년 2월 27일부터 3월 21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진행되었다. 표집은 온라인 커뮤니티와 수도권 소재 대학에서 편의표본추출을 통해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측정에는 한국어판 Short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for Fathers(F-SMAST)와 Mothers(M-SMAST), 한국형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K-ICQ), 한국판 가족 돌봄의무 척도(FRS-A)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jamovi 2.3.21 solid version for macOS 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부모의 음주문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 그리고 부모화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통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음주문제와 자녀의 대인관계 사이의 부모화의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methods)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음주문제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며(β=-.13, p<.05), 대인관계의 하위유형 중 타인에 대한 배려(β=-.13, p<.05)와 적절한 자기개방(β=-.15, p<.05)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어머니의 음주문제는 자녀의 대인관계 전반보다는(β=-.01, p=.841), 대인관계의 하위유형 중에서 갈등관리(β=-.18, p<.01)와 적절한 자기개방(β=.18, p<.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버지의 음주문제(β=.28, p<.001)와 어머니의 음주문제(β=.29, p<.001) 모두 부모화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아버지(β=-.03, 95% C.I. -2.562 to .364)와 어머니(β=-.03, 95% C.I. -2.774 to .389)의 음주문제와 자녀의 대인관계 간에는 부모화의 매개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추가 분석 결과, 아버지의 음주문제(β =-.04, 95% C.I. -.861 to -.034)와 어머니의 음주문제(β=-.04, 95% C.I. -.927 to -.040)가 자녀의 타인에 대한 배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화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β=-.06, 95% C.I. -.873 to -.148)와 어머니(β=-.06, 95% C.I. -.936 to -.158)의 음주문제가 자녀의 갈등관리에 미치는 경로에서도 부모화가 매개했다. 본 연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음주문제가 자녀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경로에서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에서 성장한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가족구조적 차원에서의 세밀하고 폭넓은 개입, 정책 개발, 실행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tial effects of father’ and mother’ drinking problem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of college students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se relationship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onducted, collecting data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281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Korean university. Data collection took place over approximately one month, from February 27 to March 21, 2023. Participants were recruited using online communities and convenience sampling from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tudy utilized the Korean versions of the Short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for Fathers (F-SMAST) and Mothers (M-SMAST),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K-ICQ), and the Korean Version of Filial Responsibility Scale-Adult (FRS-A) for measurement.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jamovi 2.3.21 solid version for macO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drinking problems,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arentification. Bootstrapping methods were employ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fication. Results: First, Paternal drinking problems had a significant total effect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β = -.13, p < .05), with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types of caring for others (β = -.13, p < .05) and self-disclosure (β = -.15, p < .05). In contrast, maternal drinking proble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types of managing conflicts (β = -.18, p < .01) and self-disclosure (β = .18, p < .01), but not on college students’ overall interpersonal relations (β = -.01, p = .841). Second, Both paternal (β = .28, p < .001) and maternal (β = .29, p < .001) drinking problems influenced parentificatio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drinking problems (β = -.03, 95% C.I. -2.562 to .364) and maternal drinking problems (β = -.03, 95% C.I. -2.774 to .389) with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However,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parentification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drinking problems (β = -.04, 95% C.I. -.861 to -.034) and maternal drinking problems (β = -.04, 95% C.I. -.927 to -.040) with college students’ caring for others. Additionally, parentification mediated the paths through which paternal drinking problems (β = -.06, 95% C.I. -.873 to -.148) and maternal drinking problems (β = -.06, 95% C.I. -.936 to -.158) influenced college students’ management of conflict. Conclusions: By demonstrating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fication in the impact of paternal and maternal drinking problems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comprehensive interventions and developing targeted policies at the family level to effectively address the impact of drinking problem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of college-aged children. Such efforts hold substantial importance in preventing and addressing interpersonal challenges among college-aged children from families affected by drinking problems.

      • 이방인을 향한 예수의 태도에 관한 고찰 : 마가복음에 나타난 수로보니게 여인 이야기를 중심으로

        안요셉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목적은 성경에 기록된 이방인을 향한 예수의 태도를 분석하므로, 이방인을 향한 그의 태도가 결코 모순된 것이 아니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논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님께서 구약성경의 아브라함에게 너의 자손을 통하여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라는 약속을 하셨고, 그 약속은 그의 자손들에게로 이어져 최종적으로 예수까지 이르게 되었다. 예수는 아브라함의 자손으로서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라는 약속을 자신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을 통해 완성하였다. 둘째,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란 약속을 하였지만, 출애굽 시대, 왕정 시대, 포로 귀환 시대를 거치며, 이스라엘 민족은 이방인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으며, 이것이 선민사상과 더해져 이방인을 향한 복음전파는 배타적이 되었다. 이러한 이방인에 대한 태도는 구약시대 때에도, 예수가 복음을 전하던 신약시대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이렇게 구약시대와 예수가 복음을 전하던 신약시대 때에 이방인이 구원을 받는 것에 있어 분명한 장벽이 있었으나, 그것을 뛰어넘는 믿음을 보이면 그들 역시 구원을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모습의 인물들을 구약시대와 신약시대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그 중 수로보니게 여인을 가장 중심으로 연구하며 믿음의 검증을 통해 이방인도 구원을 얻을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이렇게 수로보니게 여인의 연구를 통해 예수 자신이 이 땅에서 사역할 당시에는 구원의 후순위에 있는 이방인을 구원하기 위해 믿음의 검증이라는 단계를 필요로 하였지만, 자신의 죽음과 부활을 통하여 이방인을 포함한 모두에게 구원의 길이 열리게 된 이후로는 더 이상 이방인은 구원의 후순위도 아니며, 예수 안에서 누구나 평등한 조건이 되었다. 이렇게 이방인을 포함한 모두가 구원의 복을 누릴 수 있게 한 예수의 행위는 아브라함에게 너의 자손을 통해 모든 민족이 복을 받게 될 것이라는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이다. 즉 예수의 이방인을 향한 태도는 결코 모순적인 것이 아니며, 오히려 확장된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본 논문은 제시하였다.

      • An Exploratory Study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 Focusing o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Cambodia

        안요셉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play a major role as a powerful driving force to alleviate poverty in terms of the indigenous context and to encourage local people to have ownership which makes them participate actively in a variety of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Sohn & Park, 2017). Moreover, they hold both the state and the market in check, and suggest alternatives to compensate the problems originated from them (Park, 2005). Global community actively discussed the aid effectiveness when donor countries fell to feeling ‘aid fatigue’ in 1980’s.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have been strongly emphasized as a more effective actor to serve the public policy than the state through citizen engagement. Thus, it attributes to the dramatic growth of CSO sector in global development cooperation area. However, some scholars raised critical problems about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CSOs are likely to be hierarchized inaccordance with the capacity of each organization, dependent on the external resources, and finally subcontractors of donor countries. Moreover, they struggle to survive in severe competitions against other CSOs in order to procure the limited resources. As a result, it is 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way of marketing communication for making local people have ownership and accomplishing social goals through behavior change of various actors surrounding CSOs as well as overcoming the situation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confront.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where marketing communication of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is and reviewing for CSOs to accomplish social goals. The theoretical marketing communication model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literature reviews. After that, surveys of staff and communication practitioners of CSOs in Cambodia were carried out so that the existing status and recognition of them on marketing communication were explored. And 26 in-depth interviews with directors and communication specialists in Cambodian CSO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put into the theoretical model and It was reviewed and advised by communication specialist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model. Finally, the current state of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he improvement are explored, and an exploratory model is suggested based on those. Keyword : Civil Society Organiz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ambodia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는 현지 상황과 관점에서 빈곤 감소에 일조하고 개도국 시민들로 하여금 주인의식을 갖도록 하는 견인차적 역할을 수행한다 (Sohn & Park, 2017). 이와 동시에 국가와 시장을 견제하고, 현지시민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경제, 사회 및 정치적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기관이다 (Park, 2005). 1980년대 개발원조 공여국들이 원조피로를 느끼면서 원조효과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공공 서비스 제공을 정부보다 효과적으로 개발도상국 관점으로 수행하는 주체로 강조되면서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들이 급격히 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다양한 문제 또한 제기되었다. 단체간 역량의 격차로 인한 서열화와, 외부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공여기관의 하청업자로 전락하거나, 한정된 자원을 두고 치열한 경쟁해야 하는 환경 속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위협 등의 문제점들을 꼽을 수 있다. 이에,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는 현지 시민들로 하여금 주인의식을 갖게 하고, 단체를 둘러싼 다양한 주체들의 행동 변화를 통해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론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탐색하고, 사회적 목표 달성 기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시민사회단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이론적 모형을 마련하였다. 캄보디아 시민사회단체 실무자 설문지를 통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현황과 인식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캄보디아 시민사회단체 26곳의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개발도상국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모형에 대해 시민사회단체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를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현주소와 개선점, 역량강화를 위해 필요한 영역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색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