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Participant Experiences in Online Education 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In the Context of Myanmar Coup D'etat

        이유림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쿠데타 이후 미얀마에서 실시된 온라인교육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이 무 엇인지 파악하고, 국제개발협력에서 온라인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알아보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와 쿠데타로 인해 고등 교육과 장기적인 국가 발전의 위기가 우려되는 상황 속에서 미얀마의 교육 단절을 극복하기 위해 제공된 한동대학교의 「미얀마 온라인 전공교육」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얀마 온라인 전공교육에 참여한 학습자와 교수자, 행정원을 포함한 총 28인이며, 참여자 모집은 자발적 동의를 통한 편의 표집과 목적 표집 방법이 사용되었다. 자료 수집은 실시간 화상 회의로 진행하며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참여자들의 온라인교육 경험과 인식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쿠데타 이후 미얀마에서 「미얀마 온라인 전공교육」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학습자들의 온라인교육 경험에 영향을 미친 요인, 온라인교육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온라인교육의 경험과 인식에 관련하여 학습자와 교수자, 행정원 사이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미얀마 학습자들이 대체로 온라인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 교수자와 행정원은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쿠데타를 겪은 미얀마 학습자들은 온라인교육이 현재 미얀마에서 유용한 학습 대안이자 미래를 위한 기회가 되었으며, 특히 미얀마 시민에 대한 국제사회의 연대라고 느끼고 있었다. 교수자들은 녹화 강의로 이루어진 수업의 결과와 학습자들의 미온적인 참여 태도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행정원은 학습자 지원에 대한 한계를 어려운 점으로 들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가 발생한 데에는 국내 대학의 학습 환경과 다른 미얀마 학습자들의 학습 환경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들이 모두 자발적으로 온라인교육에 참여하였지만, 불안정한 외부적인 환경으로 인해 학업에 몰두하기 어려웠고, 학습자 개인의 내부적 요인은 학업 성과에서 큰 차이를 만들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국제개발협력에서의 성공적인 온라인 교육을 위해서는 수업이 준비되고 진행되는 모든 과정에서 학습자 중심의 학습 설계가 필요하다. 특히나 교수자와 학습자의 학습 환경이 매우 상이하고, 원격으로 비동시적 학습이 이루어지는 온라인교육 환경에서는 학습자의 학업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국제개발협력 사업으로 진행되는 온라인교육은 학업에 대한 구속력이 부족하지만, 학업의 성과보다 학습자의 참여와 학업 지속 여부가 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학습 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인식과 지속적인 학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교수자의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온라인교육의 시행기관인 대학교는 교수자가 온라인교육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교수자와 행정원의 개인적인 헌신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인력 증원과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 성공적인 온라인교육은 국제개발협력에 있어서 교육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분쟁과 재난으로 학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학습자들에게 온라인교육은 학업 지속을 위한 중요한 대안이 되어주었지만, 또한 어려운 시기의 학습자들에 대한 국제 사회의 연대와 지원으로써 작용하였다. 해외에서 제공되는 온라인교육은 학습자가 불안정한 현실을 버텨내고 미래에 대비하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This study employs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izzi to explore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online education in Myanmar after the coup an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online educ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this purpose, it studied the "Free Online Course for Myanmar Students" offered by Handong Global University to overcome Myanmar's educational disconnection amid concerns over higher education and a long-term national development problem caused by COVID-19 and the coup. This study recruited a total of 28 participants, including students, professors, and an administrator who participated in "Free Online Course for Myanmar Students,"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purposive sampling methods, with their consent. The data collection is conducted via real-time video conferencing,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sed to identify participants' online educati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is study evaluat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and the factors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ree Online Course for Myanmar Student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findings. Regarding the experience and impression of online education, it was discovered that students, professors, and an administrator differ. While students in Myanmar had a generally good impression of online education, teachers and an administrator were skeptical. Students in Myanmar who experienced the coup thought that online education has become a viable alternative to traditional schooling and a chance for the future of the country,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support with Myanmar residents. The outcomes of the class consisting of recorded lectures and the students' lukewarm participation were problematic for the teachers, and the administrator identified the lack of student support as a challenge. This disparity in perception was due to the significant variance between the learning environment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Myanmar students. Although all students participated in online education freely, the unstable external environment made it difficult to concentrate on studies, and intern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ach individual's academic succ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online educ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be successful, student-centered learning design must be incorporated into all class preparation and delivery processes. Particularly in an online education setting when professors' and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are vastly dissimilar and remote asynchronous learning occurs, much effort is required to support students' academic pursuits. Online education provided as par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lacks academic compulsion, but participation and continuity of study should be seen as more significant than academic accomplishment. To encourage students' positive perspective of the learning process and continual academic participation, a professor's enthusiasm and direction are required. Universities, as the implementing body of online education, must systematically support professors to spend sufficient time on online education students. They also require more manpower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so that they do not rely solely on the personal commitment of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Educ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as not the only outcome of a successful online education. Online education has been a vital option to academic continuity for students unable to complete their studies due to conflict and natural disasters, but it has also acted as a gestur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solidarity and support for students in tough times. Students' ability to bear unpredictable reality and prepare for the future has been bolstered by access to online education from abroad.

      • Study on Role of Korean Development NGO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The Case of Lao PDR = 한국 국제 개발 NGO들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역할에 관한 연구

        유성종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개발 현장에 있어 한국의 국제 개발 NGO들의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에 대한 인식과 실재적인 적용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국제개발 NGO 활동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지속가능한 개발 방법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그들이 공통적으로 제사하고 있는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들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각 원칙들에 대한 한국 국제 개발 협력 NGO들의 인식 정도와 현장 적용 방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국제 개발 협력 NGO들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지속가능한 개발 방법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현장 지역 공동체의 자기 주도성 향상, 지역 공동체와의 협력, 공동체 외부와의 적절한 관계, 현지 문화의 활용, 자연 환경에 대한 청지기 정신, 지역 자원의 활용 그리고 개발 결과의 균등 분배가 각 개발 방법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잇는 지속 가능한 개발 원칙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개발 NGO들의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에 인식의 정도와 그에 대한 실제적인 적용 방식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에 대한 인식과 실제적인 적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국제 개발 NGO들은 그 인식에 비하여 미흡한 실제적인 적용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세부 원칙 별로 살펴보면 지역 공동체와 협력 원칙에 대한 충실도가 가장 높았으며 현지 문화에 대한 활용과 자연 환경에 대한 청지기 정신 원칙에 대한 충실도가 가장 낮았다.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에 대한 인식과 실제 적용방식이 가장 많이 차이를 나타내는 원칙은 지역 자원 활용 원칙이었고, 공동체 외부와의 적절한 관계 원칙의 적용 방법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는 모든 조사 대상 NGO들의 한국의 후원자들에게 자신의 활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한국 국제 개발 NGO 활동의 지속가능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각 단체 별로 자신의 활동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정의 수립하여 그에 따른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활동 원칙을 세워 지속 가능한 개발 원칙의 적극적인 현장 적용을 촉진해야 하며, 현장 전문가들의 현지 문화 이해를 위한 적극적인 현지 공동체에 대한 참여와 이에 대한 개발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고 현지 자생적 개발 단체 및 활동가들과의 협력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현장 활동가가 직접 작성하는 소식지 등을 통하여 각 기관의 활동 내용을 정기적이고 적극적으로 한국의 후원자들과 공유해야 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Purposes of this study are research about role of Korean development NGO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opose suggestions for increase sustainability of Korean development NGOs’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s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s which various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aches have them in common and this study researches about degree of awareness and practical application to each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s.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uggestions for Korean development NGOs’ more sustainable activities. As a result of compare and analyze various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s, they commonly suggest principles about increase leadership of local community,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y, proper relationship with outside of community, utilization of local culture, environmental stewardship, utilization of local assets and equal distribution.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about Korean development NGOs’ fidelity to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s through analysis about degree of awareness to each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it. The analysis results present that degree of Korean development NGOs’ practical applica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is lower than degree of awareness to them. In detail, Principle of collaborations with local government has the highest fidelity among sustainable development principles and principle of utilization of local culture and environmental stewardship has the lowest the fidelity. Principle of utilization of local assets presents the widest gap between degree of awareness and it practical application. The result about practical application to principle of proper relationship with outside of community presents that Korean development NGOs have few tool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ir activities with their sponsors in Korea. Through this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ing sustainability of Korean development NGO are prosed. The proposed suggestions are establishment of defini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can reflect the uniqueness of each organization and facilitation about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definition through establishment concrete and practicable principle of activity. Active engagement of NGOs’ field practitioners to local community should be facilitated through financial and political support from their organization for enhancing NGO practitioners for understanding local culture. Fortify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local indigenous development organization is proposed for supplementation of low fidelity to utilization of local culture. Lastly, activities of NGOs should be shared with sponsors in Korea by Active and regular method such as newsletter written by field pracitioners.

      • Capacity Development and Development Effectiveness : Evaluating the capacity of Korean CSOs in Ethiopia using the UNDP framework

        안미가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95

        Capacity development has its roots in the question “Is aid useful?” which was frequently raised at international discussion forums in the 1990s. The debate centered around how to support capac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modalities for development assistance, and especially modalities for technical cooperation(JlCA, 2008). Since then, the Paris Declaration on Aid Effectiveness in 2005, the Accra Action Plan in 2008, and 'The Future We Want' at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2012, have addressed key agendas and priorities for capacity development(OECD, 2008). Despite a haIf-century history of ODA the debate over aid effectiveness continues. Capacity development plays a key role in achieving economic growth, poverty reduction and SDGs, and emphasizes that the recipient country ownership should be fundamental to the pursuit of aid and development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development and development effectiveness and then to evaluate the capacity Of CSOs by using the Capacity Assessment Framework developed by UNDP. As CSOs are recognized as ‘independent development acto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emphasizing expertise, accountability and capacity development for promoting development effectiveness. The targets are two CSOs in Ethiopia. They responded to the existing level and desired level of the core issues of capacity, which are Institutional agreements, leadership, knowledge, and accountability. In addition, op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beneficiary and CSO practitioners to identify the existing capacities and the areas of improvement of the Korean CSOs such as understanding of culture, preliminary research and sustainability that were not highlighted in the UNDP organizational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of case study, the merits and Shortfalls of the UNDP capacity assessment tools were identified. This paper also offers a suggestion for the capacity which needs to be developed for future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o improve their effectiveness. 역량개발(Capacity Development)는 1990년대 국제회의에서 제기된 '원조는 과연 도움이 되는가?'하는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개발도상국 역량 향상 지원방안, 원조의 올바른 모습, 특히 기술원조의 지향점을 논하기 위한 핵심주제로 부상하였다(JICA, 2008). 이후 2005년 원조효과성에 관한 파리선언, 2008년 아크라행동강령, 2012년 유엔지속가능발전회의 'The Future we want'에서도 역량개발을 위한 방안과 우선순위가 핵심의제로 언급되기 시작하였다(OECD, 2008). 공적개발원조의 역사가 반세기를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조효과성에 관한 논쟁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역량개발은 경제성장과 빈곤감소, 그리고 SDGs를 달성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원조 및 개발효과성을 추구함에 있어 수원국의 주인의식이 기본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역량개발과 개발효과성의 관계를 규명하고, 역량개발을 통해 개발효과성을 향상에 기여하고자 UNDP 역량평가 프레임을 사용하여 CSO 역량평가를 시행하였다. CSO는 국제사회에서 '독립적인 개발행위자'로 인정됨에 따라 개발효과성 증진을 위한 전문성, 책무성, 그리고 활동수행을 위한 역량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에티오피아주재 한국 CSO 두 곳을 대상으로 역량 핵심 이슈에 해당되는 제도적 합의, 리더십, 지식, 책무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수혜주민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추가적 인터뷰를 시행하여 UNDP 기관 평가에서 드러나지 않은 문화이해, 사전조사, 지속가능성 등 추가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역량을 파악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UNDP 역량평가 도구의 적합성을 파악하고 현재 개발도상국에서 활동 중인 CSO의 현주소와 개선점, 역량강화를 위해 필요한 영역을 제시하였다.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Parental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Teachers among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Adolescents of Tansen, in Palpa District, Nepal.

        선우진주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lf-esteem and individual factor for adolescent, and to find out how parents attachment, peer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nfluence their self-esteem. For this,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are gone abreast. For quantitative research, question investigation was taken for adolescent in Palpa district and Tansen Municipality of western hills area, Nepal. For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investigation was taken for field speciali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 is not meaningfully distinguished from gender, religion, caste e syste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individual factor. Second,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 is meaningfully distinguished from age, and school year in individual factor. Third,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 is related to their school year in individual factor, and to mother attachment, peer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relationship factor but is not related to father attachment only. Fourth, school year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concern self-esteem of adolescent. Fifth, self-esteem how adolescents realize themselves is quite low. So they need to reinforce internal control for improving self-esteem of adolescents from the survey of field specialist. This study investigates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 that have not extensively researched and study into relation of relationship factor surrounding adolescents and reveal. It represents much to reveal what concerns to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of Nepalese adolescents and use it to establish a mission’s strategy for them. This study makes sure that it can contribute even education development including happiness and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for adolescent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seeking that human has a better life in the point of view of a whole world not to just be tied up educa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that are overly attached to vocational training.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을 둘러싼 개인요인 및 관계요인을 살펴보고, 관계요인 중 부모 애착, 또래관계의 질,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병행되었다. 양적 연구는 네팔의 서부산악지역인 팔파지구 탄센시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로는 현지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개인요인 중 성별, 종교, 카스트, 학업성취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네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개인요인 중 나이,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개인요인 중 학년과 관련이 있으며, 관계요인 중 어머니 애착, 또래관계의 질, 교사와의 관계와 관련이 있고, 유일하게 아버지 애착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학년 및 또래관계의 질이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네팔 청소년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자아존중감은 낮은 편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현지 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도출한 바로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내적 통제성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폭넓게 연구되어 오지 못한 네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조사하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을 둘러싼 대상들과의 관계요인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여, 네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네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네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선교 전략을 세우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전 지구적 관점에서 인간이 더 나은 삶을 영위하도록 추구하는 국제개발의 동향과 발맞추어, 기초교육 및 직업훈련에만 치중되어진 교육개발협력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청소년의 행복과 심리적 지원까지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의미의 교육 개발로 확산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The Policy Implication of South Korea’s Empirical Based HIV Prediction Model : Achieving UNAIDS 95-95-95 And SDG 3 In South Korea and SSA

        정희주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79

        한국은 뛰어난 의료서비스, 치밀한 역학조사 및 표적검사 시스템을 통해 코로나-19 사태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HIV/AIDS 현황에 대한 정보 부족은 펜데믹 시대가 시작된 이래로 정부와 HIV 감염자들(PLWH)에게 큰 부담을 주었다. 오직 준비된 국가만이 전염병의 복잡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속적인 고통과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진단되지 않은 HIV 감염자들까지 추정할 수 있는 합리적인 HIV/AIDS 예측 모델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HIV 발병률을 낮출 수 있는 획기적인 예방 전략 수립을 위해, 한국 정부는 HIV/AIDS 정책들의 변화가 HIV 발병률에 어떠한 영향들을 미쳤는지 평가해 보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ECDC)의 HIV 예측모델을 이용한 한국의 HIV 발병률에 대한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지난 수십 년간 시행해 온 한국의 HIV/AIDS 대응 전략의 정책적 시사점을 평가하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현재 한국이 SDG 3와 UNAIDS 95-95-95 목표들을 성공적으로 달성했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이 향후 사하라 이남 지역(SSA) 국가들을 포함한 전세계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ECDC)가 개발한 HIV 모델을 사용하여 한국의 HIV 발병률을 산정하였다. 이 모델은 증거기반 방법을 토대로 한 확장된 역계산기법(Evidence based extended-back calculation model)으로 수년간 축적된 CD4 Count T-cell 데이터와 1985년~2019년 HIV 발병률 추적데이터(Surveillance data)를 사용했다. 또한 ECDC HIV 예측 모델에 필요한 총 5개의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기 위해 정부에서 공개한 리소스를 기반으로 일련의 데이터를 추출했다. 이 연구는 한국의 HIV 발병률 예측과 수십 년에 걸친 주요 HIV/AIDS 정책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UNAIDS 95-95-95와 SDG 3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강점과 약점을 찾아내고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1985~2019년 한국의 연간 HIV 진단 인원은 빠르게 증가하였다. 한국 정부가 발표한 통계에 기반해 만든 데이터에 따르면 연간 HIV 진단 인원은 1985년 2명 (95% C.I. 0.3~2.8)에서 2019년 1,216명(95% C.I. 0.3~2.8)으로 ECDC HIV 모델의 연간 HIV 진단 예측 인원인 0명에서 1,223명과 거의 일치한다. 관측된 CD4 Count 데이터에 기반한 1990년~1995년 연간 HIV 진단 인원 절반 이상(n=925/1654)이 HIV 감염 초기 (CD4+ T 세포 수 500개/μL 이상) 또는 감염 말기 (CD4+ T 세포 수 200개/μL미만)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말기 단계에서 관측된 CD4 Count 진단 데이터 수치는 ECDC HIV 모델 예측 수치보다 3배가량 높았으며, 나머지 세 개의 다른 CD4 Count 군에 (CD4+ T 세포 수 500/μL이상, 350~499개/μL, 200~349개/μL)비해 가장 많았으며, 이는 HIV 진단에 있어서 심각한 지연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대다수의 한국 HIV 치료가 말기 단계에서 이루어져 사망률 또한 높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본 연구의 HIV 모델은 1985년~2019년 한국의 연간 예측 신규 감염자수가 101.53명에서 11,495.43명으로 증가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특히 2005년경부터 HIV 예측 신규 감염자 수의 증가가 가속화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HIV 진단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에 있어서는 감염연도부터 진단까지 걸리는 평균시간이 증상발현 연도부터 진단까지 걸리는 평균시간보다 지속적으로 높게 관측되었으나, 2008년부터는 진단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HIV 모델은 생존하고 있는 HIV 감염자의 수가 해가 갈수록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2010년 이후 진단이 이루어진 HIV 생존자 수가 (n=22,625.72)가 진단되지 않은 생손자 수(n=21,544.04)를 앞질렀다는 것이다. 또한 2019년 진단받은 생존자 수(n=98,677.32)의 증가와 2017년(n=32,269.86)~2019년(n=32,269.86) 진단되지 않은 생존자의 가시적인 감소는 전염병이 시작된 이래 한국의 HIV 퇴치에 있어서 이정표를 세웠다. 이것은 HIV 검사율의 향상을 의미하며, 많은 HIV 감염자들이 초기 단계 (CD4 + T 세포 수 500개/μL이상)에서 검사와 치료를 받음으로써 생존 가능성이 높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HIV 모델은 1985년~2019년 한국에서 진단되지 않은 HIV 감염자의 비중이 1985년 125.22%에서 2019년 24.64%로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을 것으로 예측한다. 이 연구는 HIV 발병률의 증가를 두 가지 방법으로 해석한다: 코로나-19 이전의 증가한 HIV 진단 및 신규 감염자 수는 HIV 관련 의료서비스의 개선으로 인해 늘어난 HIV 검사에 기인하였으며 진단되지 않은 감염자 수 역시 감소하였을 것으로 본다. 또한 HIV/AIDS와 관련하여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과 차별이 감소한 반면 HIV/AIDS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코로나-19 이후 신규 HIV 감염자의 감소는 지난 3년간 HIV 관련 의료 서비스의 중단으로 인해 진단이 지연됨으로써 늘어난 감염자 수, 지연된 HIV 진단으로 인해 증가한 HIV 전염 가능성 등과 높은 관련성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이 HIV/AIDS 를 극복하기 위한 투쟁에 있어서 얼마나 진전이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진전은 한국의 숨겨진 감염자들을 포함한 HIV 감염자들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강력한 동기부여를 준다. 또한, 본 연구는 HIV 검사와 치료 및 의료서비스에 대한 감염자들의 빠른 접근을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HIV 종식을 위한 전세계의 노력과 함께 한국도 효과적인 HIV 백신 개발이나 혁신적인 에방 전략수립을 위해 힘써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HIV 감염을 줄이고 HIV 발병률을 낮추는 한국의 역량을 더욱 강화하며, 팬데믹 시대에 국제사회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사하라 이남 지역 국가들과 국제기구들이 HIV 진단에 있어서 WHO Clinical Staging System에서 CD4 Count System으로의 전환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HIV/AIDS 및 코로나-19와 같은 글로벌 이슈에 있어서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을 일방적으로 지원하는 기존의 역학구도를 탈피한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와 사하라 이남 지역 국가들은 그 동안의 노력과 성과들을 공유하는 등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HIV/AIDS와 같은 전염병을 효율적으로 극복해야함을 보여준다. Background: South Korea, with its outstanding health services, watertight contact tracing, and targeted tests, has successfully managed the COVID-19 outbreak. Nevertheless, a lack of knowledge on the status of the Korean HIV/AIDS epidemic has imposed heavy burdens on the nation and PLWH since the beginning of the pandemic era. Only those who are prepared can prevent ongoing suffering and mortality caused by the complexity of epidemics. Scholars synonymously agree and strongly call for a legitimate method for estimating the nation’s HIV burden, including undiagnosed PLWH. To strive for innovative prevention strategies to lower HIV incidence, examining the impact of HIV/AIDS policy transitions in South Korea is urgent. Based on the findings using the HIV prediction model of South Korea, this study assesses the progress made in overcoming the HIV epidemic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on HIV prevalence over decades, including those undiagnosed. To take one step further, this study evaluates whether South Korea is on a successful road to achieving SDG 3 and UNAIDS 95-95-95. Furthermore, it aims to seek efforts and contributions South Korea can make to the nation and, to an extent, the global population, especially targeting Sub-Saharan Africa (SSA). Methods: This study simulated the progression of HIV incidence in South Korea using the world's renowned HIV modeling tool developed by the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ECDC). The model is based on an extended back-calculation (evidence-based method) and utilizes the multiple years' record of CD4 Count and the surveillance data covering the duration of HIV epidemics, which in this study was between 1985-2019. A series of data collections from openly published resources was made to create a total of five datasets required by the ECDC HIV modeling tool. The study focused on realistically modeling HIV incidence in South Korea and major HIV/AIDS policy transitions over decades. In doing so, this study located the strength and weaknesses in achieving UNAIDS 95-95-95 and SDG 3 and provided future policy implications. Findings: There was a rapid growth in the annual HIV diagnoses in South Korea between 1985 to 2019, with 0 to 1,223 observed annual HIV diagnoses compared to 2 (95% C.I. 0.3 - 2.8) to 1,216 (95% C.I. 1141.4-1276.4) predicted diagnoses made by the HIV modeling tool. The observed annual HIV diagnosis by CD4 Count strata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HIV diagnoses (n=925/1654) were made at either the early (CD4 >=500 cells/μL) or the last stage (CD4 < 200 cells/μL) of HIV between 1990-1995. The observed diagnoses in CD4 < 200 cells/μL were three times higher than the model prediction and suggested a delay in HIV diagnoses, with the vast majority of PLWH in South Korea beginning treatment at the late stage of HIV or AIDS. Each year, the estimated new infections increased from 101.53 infections (95% C.I. 90.44-112.34) in 1985 to 11,495.43 infections (95% C.I. 531.19-36740.14) in 2019. The growth began to accelerate around 2005 (n=2579.57, 95% C.I. 1415.02-5020.26). As for the average time taken for HIV diagnosis, the diagnosis by year of infection has been persistently higher than the diagnosis by year of diagnosis throughout the extended study period. However, in 2008, noteworthy similarities emerged in the number of years it takes to diagnose. The model projected that the total number of alive PLWH continues to grow as the year progresses. The critical point is that the number of PLWH Diagnosed and alive (n=22,625.72) outpaced the number of PLWH Undiagnosed and alive (n=21,544.04) since 2010. Moreover, the continued incline in the number of PLWH diagnosed in 2019 (n=98,677.32) and the visible decline in the number of PLWH Undiagnosed between 2017 (n=32,269.86) - 2019(n=32269.86) set a milestone for South Korea's ongoing battle with HIV since the beginning of the epidemics. It implies improved HIV testing rates, and more people are getting tested at the initial stage of HIV (CD4 >=500 cells/μL) with greater survivability. As a result, there was a drastic decline in the proportion of undiagnosed PLWH in South Korea between 1985 -2019. The proportion of undiagnosed PLWH decreased from 125.22 percent (95% C.I. 125.64-128.04) in 1985 to 24.64 percent (95% C.I. 16.54-35.25) in 2019, which is almost a 1/5 decrease. This study views the increase in HIV incidence in two ways: Before the COVID-19 pandemic, all the findings pointed to an increase in the estimated new HIV infections and the decrease in the estimated proportion of undiagnosed PLWH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HIV testing with improved HIV care services. Increased HIV testing implies reduced HIV/AIDS-related stigma and increased HIV/AIDS awareness. After the COVID-19 pandemic, all the findings evince that the decrease in newly reported HIV cases is highly relat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undiagnosed PLWH and the possible transmissions due to late diagnoses and initiation of ART treatment. Due to the delay in HIV-related services during COVID-19, the importance of prEP is higher than ever. Nevertheles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remove the idea that South Korea has been failing to reach people who remain undiagnosed and are not engaged in HIV service delivery between 1985-2019. Growing concerns over a sharp rise in national HIV incidence should be interpreted as optimistic signs in this case. With a further focus on delivering HIV prevention,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an continue to bring up their full potential to achieve UNAIDS 95-95-95 goal and SDG 3.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how far South Korea has come in the fight against HIV. The progress provides strong motivation for continued tracking of HIV trends in South Korea and strategies targeting faster access to HIV service delivery, including HIV testing and treatment. Taking account of the global efforts to end HIV, South Korea must continue to strive for innovative prevention strategies until an effective HIV vaccine is invented. Such efforts will further strengthen South Korea's ability to reduce HIV transmission and lower HIV, joining the forefront in managing global epidemics, especially in times of pandemics. Moreover, this study anticipates evidentiary support for SSA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shift from the WHO clinical staging system to CD4 Count. Overall, this study breaks the conventional power dynamics of developed countries' reaching developing countries to overcome global issues. As the SDG agenda is inclusive of nations from around the glob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Sub-Saharan Africa (SSA) governments can learn, adapt from each other, and take innovative approaches to overcome global epidemics such as HIV/AIDS.

      • An Exploratory Study on Outcomes of Education Using RACHEL in Remote Area : A case study in Nepal

        Saeromi Lee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79

        네팔에서는 새천년개발목표의 ‘모두를 위한 교육’을 양적 측면에서 상당히 달성한 것으로 평가된다(NPC, 2017). 이후 교육관련 연구와 지속가능발전목표에서 교육의 질적 측면을 조명하며 최근에는 네팔 교육부와 국제개발협력 관계기관들이 양질의 교육을 위해 함께 추구하고 있다. 전과 같이 무상교육, 교사교육, 교육자료 보급 등을 실시하며 새로이 ICT를 교육에 도입하고, 저학년 중심의 평가도구를 개발해야 한다는 것을 향후 계획에 포함했다(MOE, 2016). 해당 계획은 높은 예산을 필요로 하고 구체적 실행 방안이 미흡해서 실현가능성이 낮다. 네팔 교육부가 계획한 컴퓨터와 빔프로젝터 등의 도입 대신 개발도상국의 상황에 적절한 대안적 기기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인 학습에 기여할 수 있다(Yamanoor & Yamanoor, 2017). 저비용 시스템 구축에 라즈베리파이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교육분야에서의 활용효과가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라즈베리파이 기반으로 운영가능한 교육 플랫폼인 Remote Area Community Hotspots for Education and Learning(RACHEL)이 오프라인에서도 사용 가능해 개발도상국 및 고립지역에서 도입하기 적절하다. RACHEL은 교육이슈 해결을 위한 도구로 제시 및 활용되고 있으나 구체적 적용방안과 효과는 제시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RACHEL활용 교육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을 혼합방법을 사용해 평가하고, 실제적인 RACHEL활용 교육방안을 제시했다. RACHEL을 네팔의 초등교육에서 활용하기 위해 차시 별 계획을 수립하고, 학생들의 성취도와 정서적 영역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네팔의 상황에 적합하게 개선해 활용했다. 이에 네팔 카트만두의 한 초등학교의 1학년 수업시간에 RACHEL활용 산술 및 영어 교육 파일럿 실험을 하고, 치트완 고립지역인 거르다시와 빠레와꼿의 초등학교에서 동일 학년에게 교육과 평가를 실시했다. 양적 자료에서 드러나지 않은 RACHEL활용 교육의 실제적 특징을 수업관찰과 교사면담, 학생 자기평가 등을 통해 파악했다. 한편 거르다시의 학교에서는 교사 결근과 교체로 인해 연구에 대한 설명이 정확히 전달되지 않았고, 연구대상의 성취도 및 정서적영역에 대한 검사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아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카트만두와 치트완 빠레와꼿 학교에서 RACHEL활용 교육을 실시함에 따른 영향을 파악했다. 이를 토대로 향후 개발도상국 및 고립지역에서의 RACHEL활용 산술과 영어교육을 통한 학습성과 증진방안을 제시했다. In Nepal,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Education for All' are considered to have been quantitatively achieved (NPC, 2017). Afterwards, the Nepal education-related research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ighlight the qualitative aspects of education. The Nepal Ministry of Educ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rganizations have been pursuing quality education in Nepal. National plans for the agenda included introducing Integration of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ICT) to education and developing an evaluation tool focusing on lower grades of the primary school while continuing to offer free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distribu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as before (MOE, 2016). The plan suggested a high budget and is less likely to be feasible due to the lack of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in school education. Instead of adapting computers and beam projectors to classroom as planned by the Ministry, choosing alternative devices appropriate and affordable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can contribute to effective learning (Yamanoor & Yamanoor, 2017). Raspberry Pi is actively used to build low-cost systems, and its effectiveness in education has been verified through research. Remote Area Community Hotspots for Education and Learning (RACHEL), a Raspberry Pi-based educational platform, is available offline and is suitable for deployment in developing countries and remoter areas. RACHEL has been suggested and utilized as a tool for solving educational issues, but no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and effects have been presented. This study evaluates the aspects of RACHEL utilization using a mixed method and suggests practical RACHEL education. In order to introduce the system in Nepal's primary education, lesson pla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extbook and the RACHEL content. Assessment tools that were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modified and adapted to this study. A pilot test was conducted in a grade one class in Kathmandu, Nepal, by using RACHEL for numeracy and English education. The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RACHEL education, which were not revealed in quantitative data, were examined through class observation, teacher interview, and student self-evaluation. On the other hand, research descriptions were not delivered enough to teachers of the Gardas area school in Chitwan due to absence and replacement of teachers. The assessment on the area’s students was not conducted smoothly and the collected data was not available for the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implementing RACHEL education in Kathmandu and Parewakote area schools,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through RACHEL numeracy and English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remote areas.

      • A Study of Women’s Empowerment for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in Nepal : Focused on Recent Vocational Training by Korean NGOs

        조정예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research reveals the necessity of earthquake providing vocational training to women after the earthquake in order to prevent the exploitation of women’s vulnerability as well as to empower women to live sustainable lives, Vocational training will encourag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gender equality can be achieved. In gender equal communities, women are not vulnerable under any disasters, and the community is sustainable due to gender equality.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satisfied female trainees were with vocational training and how effective training was to achieve women’s participation and gender equality. Finally it is to investigate whether recovery program has been conducted with gender perspective or not. A quantitative method utilizing both primary data (i.e., survey results) and secondary data (i.e., research papers,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relevant Internet sites, and books) was chosen for this research. To collect primary data, three different surveys have been done: First, it was conducted with female trainees to examine satisfaction level about vocational training for women. Second, survey was carried out with expert group consisting of educators, government officers working in the relevant ministry, NGO workers, workers from social enterprise to look into the effectiveness of the recent vocational training. Third, it was done with above two groups concerning status of disaster recovery. Researcher also checked into the plan for women’s empowerment and earthquake recovery plan based on gender mainstreaming perspective with the relevant secondary data. As a result of survey, respondents mostly answered “ positive” to most of the questions based on Gender mainstreaming guidelines. They answer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as well as its necessity for sustainable life of both families and communities after the earthquake. Recovery and rebuilding activities by the government and NGOs were not implemented based on a gender perspective, but on a gender-neutral perspective. This turned out to fall short in the area of safety and crime prevention. Moreover, many women were neglected when relief supplies were distributed. This study will provide suggestions on what is necessary for women to have sustainable lives in the level of government & NGOs and communities. 본 연구자는 해당 연구를 통해 지진 이후 여성의 취약점 보완 및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여성 직업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여성들은 직업훈련을 통해 일자리를 가지게 되었을 때 사회 참여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더불어 그들이 속한 사회에서의 성평등도 이루어 질 수 있다. 성평등한 공동체에서 여성은 어떤 재해 가운데도 취약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성평등은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가져온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를 통해 최근 이루어진 여성직업훈련에 대한 여성 훈련생들의 만족도와 훈련이 얼마나 여성참여와 성평등을 이루는데 효과적이었는지 그리고 지진 복구 활동이 젠더 관점을 가지고 진행되 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1,2차 자료를 기반으로 한 양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1차 자료의 수집을 위해 세 종류의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는데, 첫째로 여성훈련생들을 대상으로 직업훈련의 만족도를 조사했으며, 둘째로 전문가 그룹- 교육자, 관련기관 공무원, NGO 근무자-를 대상으로 최근 여성직업훈련에 대한 실효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세번째로 두 그룹을 대상으로 지진 복구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2차 자료를 위해서는 논문, 기관의 보고서, 신문, 잡지기사, 인터넷자료, 책 등을 참조하여 관련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성주류화 관점에서의 여성역량강화 방안과 재난 복구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성주류화 가이드라인에 기초한 질문에 대부분 긍정적으로 답했다. 구체적으로 여성직업훈련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의 경제 개발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고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지진 이후의 가정과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여성직업훈련은 꼭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정부와 NGO의 복구와 재건활동에 대한 질문에서는 대부분의 활동들에 대해 젠더 관점이 적용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특히 여성들의 안전과 범죄예방차원은 고려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상당수의 피해 여성들이 구호품을 받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성주류화 관점을 가진 재해 복구방안이 절실하다 하겠고, 정부와 NGO 차원에서 여성들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 An Exploratory Study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 Focusing o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Cambodia

        안요셉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79

        Civil Society Organizations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play a major role as a powerful driving force to alleviate poverty in terms of the indigenous context and to encourage local people to have ownership which makes them participate actively in a variety of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Sohn & Park, 2017). Moreover, they hold both the state and the market in check, and suggest alternatives to compensate the problems originated from them (Park, 2005). Global community actively discussed the aid effectiveness when donor countries fell to feeling ‘aid fatigue’ in 1980’s.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have been strongly emphasized as a more effective actor to serve the public policy than the state through citizen engagement. Thus, it attributes to the dramatic growth of CSO sector in global development cooperation area. However, some scholars raised critical problems about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CSOs are likely to be hierarchized inaccordance with the capacity of each organization, dependent on the external resources, and finally subcontractors of donor countries. Moreover, they struggle to survive in severe competitions against other CSOs in order to procure the limited resources. As a result, it is 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way of marketing communication for making local people have ownership and accomplishing social goals through behavior change of various actors surrounding CSOs as well as overcoming the situation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confront.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where marketing communication of CSOs in developing countries is and reviewing for CSOs to accomplish social goals. The theoretical marketing communication model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literature reviews. After that, surveys of staff and communication practitioners of CSOs in Cambodia were carried out so that the existing status and recognition of them on marketing communication were explored. And 26 in-depth interviews with directors and communication specialists in Cambodian CSO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put into the theoretical model and It was reviewed and advised by communication specialist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model. Finally, the current state of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he improvement are explored, and an exploratory model is suggested based on those. Keyword : Civil Society Organiz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ambodia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는 현지 상황과 관점에서 빈곤 감소에 일조하고 개도국 시민들로 하여금 주인의식을 갖도록 하는 견인차적 역할을 수행한다 (Sohn & Park, 2017). 이와 동시에 국가와 시장을 견제하고, 현지시민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경제, 사회 및 정치적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기관이다 (Park, 2005). 1980년대 개발원조 공여국들이 원조피로를 느끼면서 원조효과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공공 서비스 제공을 정부보다 효과적으로 개발도상국 관점으로 수행하는 주체로 강조되면서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들이 급격히 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다양한 문제 또한 제기되었다. 단체간 역량의 격차로 인한 서열화와, 외부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공여기관의 하청업자로 전락하거나, 한정된 자원을 두고 치열한 경쟁해야 하는 환경 속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위협 등의 문제점들을 꼽을 수 있다. 이에,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는 현지 시민들로 하여금 주인의식을 갖게 하고, 단체를 둘러싼 다양한 주체들의 행동 변화를 통해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론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탐색하고, 사회적 목표 달성 기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시민사회단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이론적 모형을 마련하였다. 캄보디아 시민사회단체 실무자 설문지를 통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현황과 인식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캄보디아 시민사회단체 26곳의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개발도상국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모형에 대해 시민사회단체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를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개발도상국 시민사회단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현주소와 개선점, 역량강화를 위해 필요한 영역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색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 Community Business as an approach of Community Development in Nepal Marginalized area : A case study in Baidepani Village in Chitwan District

        Jeong-Hwa Lee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 for applying community business in marginalized areas of Nepal. The paper conducted the expert interviews with NGO officials and a case study based on the SLEN model. It was to suggest the following application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educations on motivation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sustainable agricultural education, and business education based on link with the market should be combined together for empowerment of human resources. Furthermore, education continues to promote sharing of knowledge through local resource persons, not to concentrate on specific individuals and groups. Second, an institutional system that aid agency supports business activities as a sub-actor when the financial planning and capital preparation are preceded by residen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community-driven activities. Third, community interaction and cohesiveness should be promoted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generated by inside or outside actors such as projects with common goals and regular meetings. Fourth, it is necessary to utilize local resources in consideration of food security and sustainable ecological environment, and intensively develop long-term sustainable crops or processing methods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limitations of marginalized areas. Fifth, a facilitator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unequal distribution structure in the marginalized area and to support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Sixth, redistribution plans and ultimate purpose considering both profitability and public interest should be agreed and shared with community member in advance in order to ultimate goal of community development, a community where everyone lives well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method of community business as a development strategy for Nepal marginalized area in a holistic perspective. 본 연구는 네팔 소외 지역이 지역공동체발전을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SLEN 모델을 기반으로 한 전문가 심층면접과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지역의 인적자원을 키우기 위해서, 체험활동을 통한 동기부여 교육, 지속가능한 농촌 환경 조성을 위한 농업교육, 시장과의 연계활동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교육이 동반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이 특정 개인 또는 집단에 집중되지 않도록, 지역 인적자원을 통한 지식공유 촉진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지역공동체의 주체적인 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주민 스스로의 재정 계획과 자기자본마련 등이 전제되었을 때 원조기관이 사업 보조 활동을 진행하는 제도적인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내외에서 추진하는 공동목표를 가진 사업이나 정기적인 회의 등을 통해 활발한 상호작용과 내부결속력을 촉진하여야 한다. 넷째,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생태환경을 고려한 자원활용방안이 추진되어야 하며, 특히 소외지역의 지리적 한계를 고려하여 장기간 보존 가능한 작물 또는 가공법을 집중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소외 지역이 가지고 있는 불평등한 유통구조의 문제를 해결하고, 외부와의 주체적인 협력 관계를 지원해줄 수 있는 촉진자가 필요하다. 여섯째,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지역공동체발전이라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수익성과 공익성을 모두 고려한 재분배 방안과 목적의식이 반드시 사전에 합의, 공유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경제적 효용에 초점을 맞추었던 발전전략에서 벗어나 총체적 관점에서 지역공동체발전을 이끌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from MSW using Hybrid plasma technology and distributed based on AI system: A case study for the Kinshasa Metropolis (DRC)

        Jean Chrysostome Biong Mayoko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79

        Electricity is a critical resource in the daily life of a population, industry, business, or any type of organization since it enables the investments, innovations, and new sectors that drive job creation, inclusive growth, and shared prosperity across entire economies (World Bank, 2022). There is no development without electricity because many sectors of life deal with it. Congo, the Democratic Republic of, is one of the largest Countries around the world, second in Africa, and in addition, the richest country in terms of natural resources with a population estimated at around 90 to 100 million inhabitants. However, it is among of low electrification rates country in the world less than 20% of the Congolese population has access to electricity. In the same line of thought, every day, DR Congo produces a huge quantity of solid waste generated in the country without a suitable management system.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primary causes of waste generation are urbanization,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growth. Kinshasa metropolises city produces around 11900 tons of MSW per day. Taking out all kind of waste could not be used for energy production, the estimated amount of waste is around 451.21 tons from 24 of municipalities, with production average of 208.41 tons each township. This situation raises concerns about the long-term management of waste capacity. Besides this, the absence of an effective management system results in flooding, air pollution emissions from household waste burning,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osquitos, causing public health concerns. Furthermore, Solid waste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energy and that power generation from wast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impacts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on the ecosystem. In addition, various methods currently accomplish waste management including incineration, landfills, biochemical conversion, and others. However, among of these processes, some a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waste reduction efficiency is low and causes health risks. Under this situation, appropriate and sustainable environment waste-to-energy conversion technologies are critical for attempting to address the massive amount of Solid waste produced and energy trustworthiness sustainable and responsible, resulting in the transformation of a habitable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focused on a suitable electricity production source while automatically ensuring energy balance between production source and distribution throughout a smart grid on one hand and providing a new way or technique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current solid waste treatment methods to solv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ts consequences on man in another hand. Thereby, the study examined the feasibility of the implementation of hybrid plasma technology through a gasification process as a suitable or eco-friendly waste-to-energy technology in the city of Kinshasa. The physical composition analysis in Kinshasa city was conducted and findings show that the city has the diverse type of waste depending on the season. In accordance with the findings, Aspen plus software was able to produce Syngas from the simulation and the result show Mass fraction of H2, N2, H2O, CO, CO2, CH4 with a mass density of 0.37 kg/cum. Thereby, the expectation capacity to install from this pilot project is about 11.82 MW/h PE-IGCC power plant. In addition, from this capacity of energy produced using plasma gasification, Machine learning model, especially LSTM RNNs and Simple RNN for automatically learning features from sequence data which support multiple-variate data for multi-step forecasting provided a best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energy forecast between a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 based on data from Kaggle considering day and nighttime. The result of the ML model shows a best performance of learning with 96% of accuracy. Based on findings, the microwave hybrid plasma technology and AI techniques proposed in this research handle both crises efficiently, including environmental pollution, waste disposal issues, and power reli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