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BSTRACT An Evaluation of Flexural Behavior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of 80 MPa Young Sun Ahn Department of Landscape and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Jeonbuk, Korea ( Supervised by Professor Sung Won Yoo ) Recent an study of high-strength of 80 MPa class is made active, but it does not ensure construction techniques. By this reason, in this paper, some applications and use of the structures given the variable H-shaped steel and high-strength concrete slabs in the casting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members produced high-strength concrete steel composite beam and then, performing a behavior evaluation of the bending, it was to check the applicability of the actual structure of high-strength concrete an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eflection, strain, etc. in accordance with the casting method appears similarly, the shorter the interval shear connector, the capacity of load resistance was increased, The precast and in-site method showed a difference of strain behavior. A nonlinear analysis model is proposed using the modulus of elasticity and stress-strain relation of the composit members with steel girder and 80 MPa class concrete and the analysis using the proposed model shows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국 문 초 록 80MPa 고성능 콘크리트 합성보의 휨거동 평가 안 영 선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토목공학과 구조공학전공 (지도교수 유 성 원) 최근 8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구조물의 시공기술 등이 확보되지 않아 적용 및 활용이 일부에 국한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구조 부재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H형 강재와 고강도 콘크리트 바닥판을 타설방법에 변수를 주어 고강도 콘크리트 강합성보를 제작한 후, 휨에 대한 거동 평가를 수행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 구조물의 적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타설방법에 따른 처짐, 변형률 등의 발생양상 및 크기는 유사하게 나타나며, 전단연결재 간격이 짧을수록 하중 저항 능력이 증대되었으나, 프리캐스트에서는 변형률 거동차이가 발생되었다. 실험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80 MPa급 콘크리트의 탄성계수와 응력-변형률 관계를 이용한 강합성보의 비선형 해석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한 결과, 해석결과와 실험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하여 제안된 해석 모델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자율주행 자동차에 사용되는 카메라 센서를 사용하여 전방의 사물을 인지하는 비전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량에 부착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속, 감속, 조향을 스스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에 안전하게 주행하는 자동차를 의미한다.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항법 시스템, 제어 시스템, 인지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비전 시스템은 인지 시스템에 해당하며, 사람의 눈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월드 좌표와 픽셀 좌표의 관계를 계산하여 하늘에서 내려다본 것과 같은 이미지인 탑뷰를 만드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탑뷰를 이용하여 차선, 정지선 및 과속방지턱과 같은 도로 노면 표시를 인지하는 알고리즘과 표지판, 신호등, 차량 등을 인지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은 공개된 인지 알고리즘보다 더 빠르고 향상된 인지 성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비전 시스템은 계명대학교 무인자동차 연구팀에서 개발된 자율주행 자동차에 적용하여 실험했고 만족스러운 인지 성능과 속도를 얻었다. This paper describes a vision system that recognizes objects using in front camera sensors for autonomous vehicles. An autonomous vehicle refers to an automobile that safely travels to a destination set by the user by controlling acceleration, deceleration, and steering based on data acquired through various sensors attached to the vehicle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driver. Various systems such as a navigation system, a control system, and a cognitive system are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The vision system covered in this study corresponded to the cognitive system and played the same role as the human eye. In this paper, we first proposed a method to create a top-view, which is the same image as seen from the sky, by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ld coordinates and pixel coordinates. Next, we developed algorithms that recognize vehicles and road surface markings such as lane, stop line, etc. The developed algorithms show more faster execution speeds and improved recognition performances than the public recognition algorithms. The vision system of this study was applied and tested in the autonomous vehicle developed by the Keimyung University Unmanned Vehicle Research Team.
환경보전 생활습관형성을 위한 환경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안영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이에 따른 실천위주의 효율적인 초등학교 환경교육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환경교육의 의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7차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내용 등 지금까지 논의의 쟁점은 무엇이었는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둘째, 초등학교 환경교육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 조사는 초등학교 21개교 교사 356명, 학부모 911명 및 학생 94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환경의식과 실천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은 일부 시범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을 제외하고는 각 교과에 분산되어 있는 환경교육 내용을 체계화하여 지도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초등학교에는 환경 교과가 없으므로 각 교과 교육과 관련지어 지도하고, 특별 활동 또는 생활 지도를 통하여 교과와는 상호 보완 관계를 유지하면서 융통성 있게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생각한다. 현재, 초등학교에 구비되어 있는 환경교육 자료의 양이 극히 부족하고 그 질도 매우 열악하며,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면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환경교육의 주제들을 체계적, 통합적, 다학문적인 접근 방식으로 다루면서 학생들의 적극적, 능동적인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면서 학생들이 친근감을 갖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활용함이 바람직하리라 본다. 주요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환경교육의 목표영역에 대한 결과에서, 초등학교 교사는 ‘참여’를 가장 중요한 목표라고 보고 있어서 환경교육은 곧 실천이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교사들은 환경교육 방법으로 ‘현장학습, 조사, 실험실습’등을 원하고 있으나, 현재 학교 환경교육에서는 강의 중심 수업이 많이 행하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환경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데에는 강의위주의 학습 방법이 보다 효과적이라 할 수 있지만 실천위주의 환경교육을 하는데 있어서는 조사학습과 시청각 학습을 병행한 학습 방법이 강의 위주의 학습 보다 더 효과적이다고 본다. 또한, 학생과 학부모의 설문자료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리 나라의 환경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한 비율은 학생은 54%, 학부모는 87%이상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모두 환경 문제 중 쓰레기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고 답했고, 그 다음으로 수질오염으로 꼽았다. 환경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생의 87%이상이 긍정적으로 응답했고, 환경 문제를 인식하는 경로에 있어서는 TV의 영향이 가장 크다(50.0%)로 답했고 학교 수업시간이라고 답한 비율은 29.1%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에서 실시되는 환경교육이 실천에 옮기는 데에는 가정과 연계한 환경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환경교육은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가치관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생활 속에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으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학교 외 교육을 통해 보완 또는 보강되어야 한다. 가정 생활과 사회 생활을 통해 이루어지는 환경 교육은 학교 환경 교육 못지 않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일상 생활의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환경 문제 즉 자연 환경의 파괴, 쓰레기의 발생과 처리, 상하수도 문제, 과다 포장과 자원 낭비 등의 문제를 교육적으로 다루는 것은 학교 환경 교육에서 배운 지식과 태도 및 가치관을 실천과 연결시킬 수 있는 좋은 교육적 기회가 된다. 그러므로 예방적 측면과 치료적 측면에서도 학생들이 환경교육 실천의 장으로서 지역 주민 및 학부모들에게 환경 보전 의식을 갖고 실천할 수 있도록 계도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이에 따른 환경교육의 평가도 환경 보전 생활이 습관화가 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요약하여 보고자 한다. 첫째, 환경교육은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어 지속적으로 교육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환경교육은 빠르면 빠를수록 효과가 크고 확실하다. 셋째, 체험하고 실천하는 환경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환경교육은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환경보전의 생활화를 위한 다양한 학습 자료 개발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다양한 환경교육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환경 보전 생활을 습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 환경교육은 교사들의 관심과 지도능력이 갖추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and analyse the present stat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thereby suggesting some efficient directions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For such a study, in the first place, the significance, purpose, target,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7th Curriculum, what the points of dispute are in discuss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so far done, etc. were theoretically reviewed through some relevant documents. In the second place, some of the necess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21 elementary schools where 356 teachers, 911 student's parents, and 948 students were involved in that data collection; and then, w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ir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al-preservation practice were analysed. Then,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intended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particular, it appeared that with the exception of the ca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t some model elementary, it is a real situation that elementary schools in general do not systemize the cont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dispersed in each textbook and guide students to sound, environmental education. Also, since there is any of environmental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it is deemed that it'd be better and effective for teachers to guide students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 relation with som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cluded in each textbook and to guide them flexibly while maintaining a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 with textbooks through special activities or guidance of life. At present, it is a real condition that the quantity of the materials or data for environmental education equipped at elementary school extremely lack; quality of them is very poor; and materials or data which students can easily utilize while feeling their interest in them lack. Therefore, it is deemed to be sound to develop and utilize some materi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students can utilize with a sense of affinity while topics or them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 being dealt with by systematic,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students can be led to their positive, active, environment-preservation activities. In a close review of the analysis of data from the questionnaire, specially concerning the target domai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t was found out that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is the very practice. And even though elementary teachers want to carry out `on-the-spot study, inspection, experimental, practical training, etc.' for a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it is a real condition that a lecture-oriented cla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generally being executed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nowadays. Even though the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is lecture-oriented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methods in order to acquire much of the knowledge related to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a short time;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practice-oriented,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carries out both the learning through inspection and learning through audio-visual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lecture-oriented, environmental education. Also, in a close review of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t appeared that 54% of those students and 87% of those parents answer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very serious in our country; both the groups(students and parents) answer `the problem of waste in the environmental problems is most serious', and then `water contamination or pollution'. Regarding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more than 87% of those students positively answered `it is necessary' ; regarding the route or cause by which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recognized, it appeared that they answer `TV is most influential(50.0%), and then `school hours are secondly influential'. Therefore, in order to carr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executed at school into practice, environmental education linked with the home circle should be achieved. Sinc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connected to not only the acquirement of knowledge but also social agreement of a view of values and the practice to settle the environmental problem in daily life, supplementing or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such education other than education at school should be don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home live or social life has a meaning so important just as good as such education at school.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in the process to settle the basic of everyday life, food, clothing and shelter, i.e., such as destruction of natural environment, waste and its disposal, water supply and drainage, excessive packing, waster of the resources, etc. - all these can be treated educatively. And this becomes a good educative opportunity for all the knowledge, attitude, and a view of values to be connected to practice. Therefore, in the both aspects of prevention and remedy, instructive activities should be reinforced in order that residents or parents of the student in a place where students can put what they have learn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practice, a local region, may have their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then put it into practice. There should be also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habitation of the life-style orienting to environmental preservation should be also achieved. Finall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ecute environmental education continuously,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involved in the Curriculum and the base of suc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econd, the faster such environmental education is carried out, the higher and the more certain its effect is. Third,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can be experienced and practiced should be achieved. Fourth,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linking with the home circle and community. Fifth, for the habituation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various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supplied. Sixth, with utilization of various methods to evaluate environmental education, a life-style of preserving natural environment should be habituated. Seventh, for sound, su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terest in such education by teachers and their ability to guide their students into sound,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equipped.
본 연구는 학교상담체제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를 통해 학교 급별에 맞는 학교상담체제를 새롭게 구축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개선책을 제시하여, 행정적․재정적 지원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남부 지역(수원, 용인, 화성, 오산, 이천)의 초․중등학교 20개를 선정하여 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 상담 영역에 대한 관심과 실제 상담 활동 실태, 학교상담 활성화 방안과 학생들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교 급별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은 첫째, 상담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모든 교사들이 학교상담 활동을 ‘중요하다’ 이상으로 인식했으며, 특히 고등학교 교사가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더욱 높게 인식했다. 둘째, 중요한 상담영역에 대해 고등학교 교사들은 진로 상담과 학습 상담, 초등학교 교사들은 심리․성격 상담, 초․중학교 교사들은 비행·문제행동 상담이라고 응답했다. 셋째, 전문상담교사의 배치에 대해서는 89% 이상의 교사들이 찬성을 해서 학교 급별 교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넷째, 학교 급별 교사들의 ‘주당 상담 학생 수’는 초등학교 교사들은 1-2명, 중학교 교사들은 3-4명, 고등학교 교사들은 5명 이상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상담 인원이 뚜렷하게 증가했다. 또한 전혀 상담을 못한다고 응답한 교사들도 22.1%에 달해 학교 업무 등으로 학생상담을 원활히 하기 어렵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조사 결과 첫째, ‘상담 활동 저해 요소’로서 ‘수업시수와 업무 과다로 인한 시간 부족’에 대해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교사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 부족’과 ‘상담에 대한 기초 자료나 시설 부족’을 그 다음으로 많이 응답했다. 둘째, ‘바람직한 학교상담의 방향’으로서 ‘상담교사 배치’를 가장 많이 응답했고, ‘담임교사의 상담을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그리고 ‘학생과 교사가 결연을 맺어 지속적 상담’ 순으로 응답했다 전체 교사들이 학생의 주요한 심리적 문제라고 응답한 것은 주의집중의 어려움(산만함, 과잉행동, 충동성), 학업 스트레스(성적․입시 중압감), 사회적 미성숙(어린 아이 같은 행동, 자기중심성), 학업 수행의 문제(성적저하 및 부진, 과제물 미수행), 가족 갈등과 불화(부모이혼․별거), 정서불안(잘 울고 샘을 잘 냄․신경질적․고집․성질) 등 6가지이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교사들은 주의집중의 어려움과 사회적 미성숙(어린 아이 같은 행동, 자기중심성) 같은 집단생활에 관련된 기본적 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했으며, 고등학교 교사들은 학업과 진학에 관련된 학업 스트레스(성적․입시 중압감)가 가장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본 연구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중요하게 인식했던 문제들을 거듭 확인하고 인지할 수 있었다. 또한 학교상담 현황이나 학생의 심리적 문제에 있어 학교 급별 교사의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상담체제를 개발하고 정비하는 과정에서 획일적인 학교상담체제보다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는 상담체제를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안영선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1 국내석사
Currently, Internet business has grown rapidly. But, academic and practical studies a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to support the Internet business, and it is difficult that progress of these studies keeps pace with development speed of the Internet businesses. Under these condition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urchase features of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somewhat. This study is to examine users' behavior through purchase factors by product types and various purchase behaviors by customer type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with practical survey and to supply plans to lead customer satisfaction and activation of shopping mall. Questionnaire was performed on Internet by features of this study, and 524 questionnaires among the respond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indings of the prac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1. Purchase rate by income, age, and product type of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2. Purchase cost by income, sex, and age of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3. Payment method by income, age, product type of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4. Reason for purchase/non-purchase by product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5. Purchase motive of products in Internet shopping mall 6. Activation plan of Internet shopping mall
Hilbert 空間에서 일반화된 분리평형문제를 위한 반복 알고리즘
안영선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1994年 Blum과 Oettli가 Hilbert 空間(Hilbert space)에서 여러 가지 非線型空間 중에서 아주 중요한 平衡問題(equilibrium problem)를 소개하였다. 이 문제로부터 最小化問題(minimization problem), 不動點問題(fixed point problem), 變分不等式問題(variational inequality problem) 등 여러 가지 非線型 問題들을 얻을 수 있다. 그 후에 많은 學者들이 一般化된 平衡問題(equilibrium problem)를 소개하였고, 이 問題들의 해에 수렴하는 많은 알고리즘(algorithm)을 찾았다. 한편, 1994년에는 Censor와 Elfving는 應用科學에 많이 活用하는 有限 次元의 Hilbert 空間에서 分離可能問題(split feasibility problem)를 紹介하였고, 이 問題의 解에 收斂하는 알고리즘을 紹介하였으나, 이 알고리즘에 包含되어있는 作用素의 逆作用素를 求하는 것이 어려워 큰 注目을 받지 못하다가, 2002년에 Byrne이 새로운 알고리즘을 찾았다. 이후에 많은 學者들이 Byrne의 알고리즘보다 더 一般化된 여러 알고리즘을 紹介하였다. 특히, 2012년에는 He가 平衡問題와 分離可能問題를 合하여 分離可能 平衡問題(split equilibrium problem)과 이 解에 收斂하는 알고리즘을 紹介하였다. 본 硏究에서는 Hilbert 空間에서 一般化된 分離可能 平衡問題(generalized split feasibility problem)를 紹介하고, 이 問題에 收斂하는 알고리즘을 찾았으며, 이와 관련한 몇 가지 수렴정리를 증명하였다. 본 硏究의 結果들은 最近에 몇몇 學者들이 硏究한 結果들을 및 改善시킴을 알 수 있다.
국가의 출입국 통제와 외국인 인권 : 전자여권제도와 외국인지문날인 사례를 중심으로
안영선 경희대학교 NGO대학원 2011 국내석사
지구화는 한 국가가 해결할 수 없는 다양한 문제를 다양한 행위자가 협력하여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모한다. 이러한 지구화의 의미라면, 노동도 자본도 자유롭고 출입국통제도 약화되어야 할 것 같은데, 현실은 출입국통제가 점점 강화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체인식기술을 적용한 출입국통제의 변화는 사용자에게는 편리함으로 관리자에게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국경관리시스템이 된다. 하지만‘국가안보’‘국익’‘효율성’의 미명 아래 확대되어가는 출입국통제시스템은 보이지 않는 국가의 통제능력을 한층 더 강화시키고 있다. 국민에게는 편리함을 내세우고 외국인에게는 국가안보를 내세우며 통제를 강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인간은 인종, 성, 사회적신분, 종교 등에 상관없이 평등하게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보편적 인권개념이 자리잡게 되었지만 여전히 외국인의 차별과 배제는 심화되고 있다. 지구화와 국민국가의 틀 속에서 출입국통제는 국민국가의 재량에 달려있지만 보편적 인권에 도전을 받는다. 본 논문은 시민권과 인권을 염두해두면서 국가의 출입국 통제 강화를 전자여권제도와 외국인지문날인에 집중하여 그 위험성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국가안보’의 미명 아래 출입국통제를 강화시키고, 대외적으로 가시화시키고 있는 국가는 미국이다. 미국은 2001.9.11테러 이후 국가안보가 강화되었으며 대외적 안보시스템이 가시화되고 있다. 9.11테러 이후 생체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생체인식기술은 단일생체(1:1)기반에서 다중생체검색(1:n)기술기반으로 변화하고 있다. 불특정다수에서 ‘그가 누구인지’알아내고 기록되고 저장된 정보는 수많은 연결망으로 링크되어진다. 이러한 생체인식기술의 기반위에 외국인의 출입국 통제를 강화시킴으로써 불법이민자의 통제도 가시화시키고 있다. 연구자는 한국은 고용허가제(2004.8.)전후 2005년을 중심으로 출입국통제가 본격적인 변화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본다. 정부부처의 합동으로 단속이 강화되었고, 법무부에서는 국민담화문을 발표하며 불법체류자 감소 원년의 해로 정하고 강력하게 추진하기 시작한다. 출입국심사시스템의 대표적인 변화는 여권자동판독시스템(MRP)과 승객정보사전분석시스템(APIS)이 도입되고 생체산업 성장의 흐름을 보이면서 전자여권모델 개발이 시작된다. 미국은 2001.9.11테러 이후 테러리스트가 위․변조여권을 사용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생체정보를 활용한 생체인식기술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미국은 각국마다 다르고 흩어진 정보를 통일되게 저장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생체정보에 주목하게 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미국의 요구가 관철되기 시작하고, 미국은‘비자면제국’을 중심으로 국가안보를 가시화시키고 있다. 미국은 US-VISIT(United States Visitor and Immigrant Status Indicator Technology)미국방문자․이민자신분확인기술프로그램으로 2004. 1. 5.부터 미국에 도착하는 모든 외국인에 대한 지문채취를 시작하였고,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생체인식기술 국제표준안을 준용하면서 전자(생체)여권과 비자를 기반으로 하는 출입국통제시스템 도입이 가시화되었다. 이러한 미국의 통제시스템에 동조하는 국가로 일본은 2007년 11월 모든 외국인지문날인을 시행하였고, 한국은 2010년 11월 외국인지문날인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은 미국의 비자면제국이 되기 위해 전제조건인 전자여권을 도입하고 2008년 3월 여권법이 개정되었다. 2010년 5월 외국인지문날인 법률안이 통과되고 출입국관리법이 개정되었으며, 모든 외국인 입‧등록 시 지문날인은 2010.11. G20서울정상회의를 앞두고 9월 시범운용을 거쳐 11월15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국가안보’‘국익’‘효율성’미명 아래 출입국통제강화는 정당성을 인정받으며 보이지 않는 통제를 강화시키고 있다. 미국의 US-VISIT과 일본의 J-VIS에 이어 세계 3번째로 한국은‘ROK-VISIT’(Republic of Korea Visitor and Immigrant Status Indicator Technology)으로 시행되고 있다. 미국, 일본, 한국이 유사한 시스템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국은 미국의 통제시스템에 부합하고 있는 국가이고 국민과 외국인의 지문을 채취하는 세계 유일의 나라가 되었다. 신자유주의 아래 국민국가는 사회적 불안을 타자의 탓으로 돌리고 외국인은 잠재적인 범죄자로 간주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 국가는‘공동체의 안전’미명 아래 외국인의 차별과 배제는 정당성을 인정받는다. 오늘날의 국가통제는 개인의 생체정보를 전자화시켜 기록되고 저장된 정보를 식별(identification)하고 통제한다. 바우만은 옛날의 빅브라더는 사람들을 대열에 정렬시키고 그곳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포함하는데 열중했다. 반면, 오늘날의 빅브라더는 그들이 있는 자리에 어울리는 사람과 어울리지 않는 사람들을 가려내고, 쫓아낸 그들에게 어울리는 곳으로 추방하거나 아예 처음부터 오지 못하게 배제시키는 것이다(바우만,2008). 본 논문은 전자여권제도와 외국인지문날인을 중심으로 국가의 출입국통제가 어떠한 흐름 속에서 어떻게 강화되고 어떻게 외국인의 차별과 배제로 이어지는지 그 위험성을 비판적으로 살펴본 후에, 시민사회의 실천적인 접근법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국민은 무엇이고 외국인은 무엇인지, 외국인은 차별을 받아도 되는 것인지 실천적인 논의와 가치관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국가권력은‘공동체의 안전’을 우선시하며 외국인의 차별을 정당화하고 자연스럽게 내면화시킨다. 국가의 통제․감시는 과거에도 현재에도 변함없이 작동하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러한 시스템이 맞물려 간다하더라도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닌 실천적인 고민과 ‘대항헤게모니’가 요구되어지는 시점임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변동성 지수와 기간을 고려한 KOSPI200 지수옵션 전략 개발 연구
안영선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트레이딩시스템전공 2018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KOSPI200 지수옵션 시장에서 옵션 매도 전략의 성과 증진을 위한 조건들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 기간은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이며, 5분봉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익성과를 검증한다. 기본 전략으로 양매도라 불리는 스트랭글 매도(Short Strangle) 전략의 시뮬레이션을 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 조건을 적용하여 결과를 검증했다. 첫 번째는 분기별 표준편차를 이용한 손절 조건을 적용하였다. 두 번째는 만기일에 해당하는 주의 영업일에는 매매를 하지 않는 조건을 적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변동성 지수(VKOSPI)를 이용한 조건을 적용한 시뮬레이션을 살핀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날짜와 시간, 콜옵션과 풋옵션의 외가격(OTM +1)을 데이터로 사용했다. 옵션의 민감도 지표나 다른 항목들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가격과 수량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전략의 특성상 기본적으로 승률은 높지만 최대손실폭(Maximum Draw Down, 이하 최대손실폭)및 변동성 위험과 같은 리스크로 실제로 투자하기에는 어려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위의 세 가지 조건을 적용하면서 개선되는 결과를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개인 투자자들도 안정적인 수익 곡선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전략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profitability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6 according to the hypothesis on the condition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option short strategy in the Korean KOSPI 200 index option market. The basic simulation in this study is the short strangle option strategy by using OTM +1 level prices both Call and Put options. And then, Added three conditions. The first condition is the range of stop loss. Second one is that does not trade on trading day including expiration dates with near four days. The last condition is about considering VKOSPI. In this study, only used option prices, dates and time(5 minutes candlestick). I did not use any option sensitivity index(Greek). Only used prices and quantities. This study has proved the usefulness of strategies that individual investors can make a stable yield curve.
경력개발제도 적용 유무에 따른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개발제도 인식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본 연구는 경력개발제도의 적용 유무에 따른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인식,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인식과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선정은 경기도 소재 350병상 미만 중소병원 중 경력개발제도를 적용하지 않은 2곳의 중소병원 간호사 150명과 경력개발제도를 적용한 S 중소병원에 재직하는 208명의 간호사 중 경력개발제도 적용 대상 간호사 150명을 선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7월 1일부터 7월 31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총 대상자 274명 중 경력개발제도 적용대상은 130명, 비적용대상은 144명이었다. 일반적 특성에서 적용군과 비적용군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연령, 결혼, 근무지, 이직횟수, 근무형태, 급여, 경력개발제도를 들어본 경험이었다. 경력개발제도 인식은 적용 군에서 평균 2.65점, 비적용 군은 2.4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경력개발제도 인식을 구성하는 세부항목에서는 전반적 이해에서 적용 군이 평균 2.65, 비적용 군이 평균 2.1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경력개발제도 적용 군의 경력개발제도 인식은 직무 만족과 양의 상관관계, 이직 의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경력개발제도 비적용 대상자의 경력개발제도 인식은 직무 만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이직 의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경력개발제도를 적용한 대상자의 경력 개발제도의 인식은 비적용 대상자보다 높았고, 긍정적인 경력개발제도 인식이 직무 만족을 높이며, 이직 의도를 낮추는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중소병원에서 경력개발제도를 적용하는 것은 개인적 차원에서 경력개발 제도에 대한 인식과 직무 만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이직 의도의 감소는 조직적 차원의 이직율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