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종사자의 역량에 관한 연구

        안성기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Employees’Competency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An, Sung-Ki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Supervisor : Prof. Dr. Lee, Seong-gy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employees' competency on the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people at this point of time where welfare environment is undergoing a sudden change along with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change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servic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people through analysing employees' competency that requires outstanding performance on the basis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based on the logic of market economy. Hereunder,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performance' and 'competency'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in assessment resul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people brought by employees' competency. Moreover, survey was carried out with questions of employees' ability that influences performance was drawn from competency dictionary developed by preceding studies. The survey was done by directors, team chiefs,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in 73 centers assessed in year 2010 among 97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for disabled people and analysis was done with 75 surveys that were collect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y of director(chief administrator), team chief(intermediate administrator),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teacher(primary administrator) is similar in employees' ability categorized by position or job type regarding the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people and the director(chief administrator) had the most influence among employees. Second, there is a need for institutional device that allows full development and display of directors' ability since the director's competency influenced the most among employees and showed high comprehension of program and administration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people Third, in common ability related to center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people was found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of program, trust and confidence. Moreover management consciousness and macro thinking power was relatively low. Fourth, the influence on performance was found in the order of director, team chief, vocational rehabilitation teacher, education acquirement, work type, product related worker, and gender by comparing the value of statistically notable variables related to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people. Such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e need of plans to develop and advance diverse capabilities like ability as a professional, administrator, and leader for employees who work with limited resources and environment since the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people is based on provision of differentiated service accompanied by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performed by employees. Key words :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disabled people, competency, employee,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assessment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환경의 빠른 변화와 함께 복지환경도 급변하게 변화하는 시점에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성과에 대한 종사자들의 역량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시장경제 논리속으로 들어온 복지의 시장경제에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바탕으로 우수한 성과를 내는데 요구되는 시설종사자들의 역량을 분석함으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평가 결과가 종사자의 역량에 의하여 변화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성과’와 ‘역량’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두 개념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개발된 역량사전에서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종사자의 역량을 문항을 도출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97개소 중 2010년 평가를 받은 73개소에 대한 원장, 사무국장(팀장), 직업훈련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7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성과에 있어 종사자의 직위별・직종별 역량에서 최고관리자인 원장, 중간관리자인 사무국장, 초급관리자인 직업재활교사의 역량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가장 영향을 미치는 종사자는 최고관리자인 원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성과와 관련 종사자의 역량에서 원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원장의 역량 부분에 있어 사업의 이해와 경영의식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만큼 원장의 역량을 충분하게 개발하고 발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시설성과와 관련된 공통역량에서 사업의 이해, 신뢰성, 자신감의 역량 순으로 나타났고, 경영의식과 거시적 사고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성과 관련 통계적 유의한 변수들의 값을 비교한 결과 원장, 사무국장, 직업재활교사, 최종학력, 근무유형, 생산관련기사, 성별 순으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성과는 종사자의 역량에 의하여 차별화 되고 효과성과 효율성이 수반된 서비스가 제공됨으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종사자의 전문성 역량을 위하여 제한된 재원과 환경 내에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전문가로서의 역량, 경영가로서의 역량, 리더로서의 역량 등 다양한 역량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주제어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성과, 역량, 종사자, 직업재활시설 평가

      • 포도상 구균의 장독소 B에 의해 유발된 비부비동염 흰쥐모델에 관한 연구

        안성기 慶尙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exact pathogenesis of chronic rhinosinusitis (CRS) has not been elucidated as yet. The major potential factors of CRS are known to be bacteria, allergy, fungi, and most recently, superantigens. Following the report in which Schubert hypothesized a potential unifying role for bacterial superantigens in the pathogenesis of CRS, a few clinical studies regarding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uperantigens and CRS have been published. Superantigens can directly stimulate specific Vβ regions of the T-cell receptor and up-regulate as much as 30% of the body's lymphocytes. The exact role of superantigens in CRS, however, remains elusive. Several articles have reported severe or long-standing inflammatory tissue responses induced by superantigens in parts other than nose and paranasal sinuses, such as skin, lung, or gut in an animal model. But, no animal model of CRS has been reported up to date using superantigens. According to Schubert's hypothesis, it was postulated that chronic inflammation could occur when superantigens are applied intranasall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to verify Schubert's hypothesis by investigating whether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 called superantigens could induce CRS in a rat model. Forty ㎕ of 100 µg/mL of SEB was applied intranasally to 4~6 week-old Sprague-Dawley rats, and the same amount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was applied to the control rats. At days 1, 5, 14 and 28 the rats were sacrificed and the nasal cavities and sinuse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investigation. There was significant infiltration of neutrophils in the lamina propria of the respiratory epithelium, and significant appearance of inflammatory cell clusters in the sinuses air spaces in the SEB instilled rats. The rats sacrificed at day 1 showed significantly more neutrophilic inflammation. The amount of inflammation had decreased at days 5 and there was little evidence of inflammation at days 14 and 28. In conclusion, intranasally applied SEB induced acute rhinosinusitis in rats, showing the highest peak at day 1. However, the expected evidences of chronic inflammation induced by superantigens were not observed. Contrary to Schubert's hypothesis, the presence of superantigens in the nose and paranasal sinuses alone could not induce CRS. It thus appears that multiple conditions or complex mechanisms might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CRS.

      • 지방교부세제도 개선을 통한 지방자치단체 재정운영 건전화 방안 연구:인천광역시 재정을 중심으로

        안성기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자치는 지방자치단체가 행정수행을 위해 자치권에 기초하여 자주적으로 그 재원을 조달하고 관리하는 권능을 말한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가 그 지역의 모든 행정수행에 필요한 재원을 자주적으로 완전히 확보하기에는 지방재정여건, 경제환경 등으로 인하여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방교부세 제도를 통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적 재정권 확보와 지방자치단체간 재원격차를 최소화 하고자 운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지방재정이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의 취약과 의존재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실에서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적 재정권이 확보되고 주민에게 표준적인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데에는 현재 제도와 운영상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재 지방교부세제도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원기능과 재정조정기능이 최대한 발휘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와 운영상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지방교부세를 통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수직적 조정과 지방자치단체간 재배분하는 수평적 재정조정에 대한 운영현황 파악과 기존의 제도의 문제제기 된 내용을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찾는데 목적으로 한다. 특히 최근 급변하고 있는 광역지방자치단체의 보통교부세와 분권교부세의 운영현황을 토대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개선방안별로 인천광역시 사례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보통교부세는 법정률 조정효과, 광역시 자치구의 보통교부세 대상으로 전환 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재원조정교부금의 광역시 기준재정수요에 포함하여 산정 시 인천광역시를 비롯한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방교부세의 실질적 효과분석, 즉 보통교부세의 항목별 자치단체의 효과분석, 분권교부세의 교부금액 대비 수혜자 영향분석 등에 대한 지방재정 건전화 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할 것이다.

      • 경영관리시스템이 조직 내 지식경영 및 혁신활동에 미치는 효과 : 산업단지 지식산업센터 중심으로

        안성기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업을 둘러싼 국제적인 환경의 변화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삶과 기업 조직의 경영 패러다임까지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 국가들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보호무역의 장벽은 더욱 심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조직 내부의 합리적인 의사결정 및 효율적인 경영관리 활동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급격하게 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의 생존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조직 구성원들은 그들의 기술 및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경영관리시스템이 지식경영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이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관리시스템이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관리시스템과 지식경영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산업단지 지식산업센터 내 기업들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공해주려는 목적에서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연구에서는 기업의 경영관리시스템의 개념과 구성 요소, 지식경영 중요성, 혁신활동 개념 및 구성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각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토대로 가설을 설정한 후 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관리시스템의 하위요인, 최고경영층지원은 지식경영의 지식획득과 지식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교육훈련은 지식이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권한위임, 공식화, 의사소통은 지식경영의 모든 구성요인, 지식획득, 지식이전, 지식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실증분석 결과 기업은 지식획득을 높이기 위해, 최고경영층지원, 권한위임, 공식화,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해야하며, 지식이전과 지식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도 교육훈련, 권한위임, 공식화, 의사소통과 최고경영층 지원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지식경영의 하위요인인 지식획득과 지식활용은 혁신활동의 하위요인인 프로세스 혁신, 운영혁신, 서비스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경영의 하위요인인 지식이전은 혁신활동의 하위요인인 프로세스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 기업의 프로세스 혁신을 높이기 위해 지식경영의 구성요인인 지식획득, 지식이전 및 지식활용이 적극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운영 혁신을 높이기 위해는 지식획득, 지식활용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서비스 혁신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식획득, 지식활용을 위한 노력 필요하다. 셋째, 경영관리시스템의 하위요인인 권한위임, 의사소통은 혁신활동의 하위요인인 프로세스 혁신, 운영혁신, 서비스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영관리시스템의 하위요인인 최고경영층지원은 프로세스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교육훈련은 운영혁신과 서비스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식화는 프로세스혁신과 운영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 기업은 프로세스 혁신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층 지원, 교육훈련, 권한위임, 공식화,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운영혁신을 높이기 위해 교육훈련, 권한위임, 공식화,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해야 하고, 서비스 혁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훈련, 권한위임,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넷째, 경영관리시스템의 교육훈련 및 권한위임과 지식경영의 지식획득과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은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식화는 지식경영의 지식획득과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은 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 기업체는 지식획득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훈련과 권한위임을 활용할 때, 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이 높을수록 지식획득을 위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반면 기업이 지식획득을 높이기 위해 공식화를 활용할 때, 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이 높을수록 지식획득에 대한 부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교육훈련과 지식이전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은 정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 기업은 지식이전을 높이기 위해 교육훈련을 활용할 때 경영자의 기업가정신 높을수록 지식이전을 위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업단지 지식산업센터 내 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기 때문에, 조사대상 지역, 제한된 기업, 측정방법 등에서 한계점을 지니고 있고,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 이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런 점들이 모두 고려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SiC MOSFET를 이용한 차량용 INVERTER 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안성기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SiC MOSFET를 이용한 차량용 INVERTER 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이다. 차량용 DC-AC 인버터 장치는 차량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입력전압 DC 12V~24(V)를 공급받아 단상 AC 220(V)로 변환 출력한다. 차량용 DC-AC 인버터는 선거용 유세차량과 같이 전기를 끌어올 수 없는 곳에서 발전기와 함께 일부 사용되어 왔으나, 발전기의 엔진소음과 매연문제로 인해 인버터로 점차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 주5일 근무의 영향으로 늘어난 캠핑용 차량과 푸드 트럭에서의 AC전원 사용의 필요성과 트레일러와 같은 대형차량의 무 시동 에어컨장착이 늘어남에 따라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노트북, 휴대전화기와 같은 개인용 전기제품이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차량용 DC-AC 인버터는 추후 버스, 철도 차량등과 같은 다중이 이용하는 운송수단에서도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차량용 DC-AC 인버터에 필요한 핵심부품이 전력반도체 소자인 MOSFET이다. 현재까지 실리콘(Si : Silicon) 전력반도체 소자가 인버터 시스템의 핵심 전력변환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실리콘소자로 구성된 전원장치를 고속화/경량화, 고출력화를 달성하는 것은 한계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Si 전력반도체가 가진 한계상황을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전력반도체가 실리콘 카바이드(SiC : Silicon Carbide) 전력반도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Si / SiC MOSFET에 대한 도통 손실, 스위칭 손실, 효율 특성, 주요 부품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도통 손실 실험에서는 1주기 동안의 손실이 Si MOSFET에 비하여 SiC MOSFET의 손실값은 약 61.3(%) 이다. 스위칭 손실 실험에서는 Si MOSFET에 대비하여 Turn on 시에 약 49.6(%), Turn off 시 약 49.2(%) 정도로 SiC MOSFET의 손실이 작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것은 곧바로 인버터 각 부분의 온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온도가 가장 높은 Transformer Core에서의 온도 차이는 부하 600(W)에서 15.1(℃)까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율 특성 실험에서는 최대효율 93.5(%)를 얻었으며, Si MOSFET을 적용한 인버터에 비해 최대 2.8(%)의 효율개선이 이루어졌다. 또한 온도 측정 테스트에서도 SiC MOSFET를 채용한 인버터에서 대부분의 부품온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통 손실, 스위칭 손실, 효율 특성, 주요 부품의 온도측정 실험에서 SiC MOSFET를 적용한 인버터의 성능이 조금 더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므로 인버터의 효율 향상에 SiC MOSFET의 적용이 타당함을 입증하였다.

      • 음성향상을 위한 가변적응 변수를 적용한 주파수 차감법

        안성기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잡음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가변적응 변수 (over-subtraction factor)를 적용한 주파수 차감법(spectral subtraction)을 제안하였다. 주파수 차감법은 잡음이 포함된 신호의 스펙트럼에서 예측한 잡음 스펙트럼을 차감하여 잡음에 오염된 음성신호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주파수 차감법에서 잡음제거 성능의 중요 변수 α의 결정은 주파수 차감법의 전체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변수 는 잡음환경의 특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면 고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환경에서는 배경 잡음환경의 특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주파수 차감법에서 변수 를 배경 잡음환경에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의 특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에서 효과적인 잡음제거를 위하여 가변 적응 변수 α를 적용한 주파수 차감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배경 잡음 환경에서 잡음제거의 중요 변수인 α를 주파수별 가변 적용하는 방법과 잡음이 혼입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NR)를 추정하여 잡음과 음성 구간을 구분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변화하는 신호에 적응하는 잡음제거를 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서 이전에 제시되었던 주파수 차감법을 이용한 잡음제거 결과와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주파수 차감법에서 잡음제거의 중요 변수인 α을 가변 적용 후 잡음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NR)를 추정하여 잡음제거 성분을 갱신하여 나오는 잡음제거 결과와 성능을 비교한다. 이 비교를 통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이전에 제시된 주파수 차감법보다 잡음제거 효과가 더욱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