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然靜 安相喆(1927-1993)의 작품세계

        정유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6

        본 논문은 한국 전통 동양화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동양화의 경계를 넘으려 노력했던 안상철의 작품세계를 살펴보며 한국 화단의 탈동양화 흐름 속에서 안상철의 위상과 의의를 고찰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2015년 안상철미술관 김철효 관장의 주도하에 직접 참여하여 진행하였던 ‘기억수집 프로젝트’에서 안상철의 친척, 지인, 제자 등과 인터뷰를 하고 구술채록한 결과물을 보조적인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안상철의 유년기와 대학교에 진학한 후 학습기에 대해 살펴보고, 1950-60년대 한국 화단의 탈동양화 양상에 대해 고찰한 후 이러한 경험이 그의 작품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주목하였다. 안상철의 작품은 평면작품과 입체작품으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평면작품의 경우 국전 출품작, 오창석풍 문인화, 크라프트지 작품으로 구분하였고, 입체작품은 1960-70년대 ‘돌’을 이용한 작품과 19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고목’을 이용한 작품으로 구분하였다. 안상철은 1950년대 국전 출품작에서는 구성적인 면모와 과감한 구도를 사용하여 이전의 산수화에서 탈피한 새로운 동양화를 선보였으며, 196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돌’을 부착하고 종이를 찢는 <영(靈)> 시리즈에 돌입하였고 1970년대부터는 화선지가 아닌 크라프트지에 호분과 아교를 섞어 얼룩효과를 이용한 평면작품을 선보이며 입체작품과 평면작품 양방향에서 동양화의 혁신을 주도하였다. 안상철의 <영(靈)> 시리즈는 1970년대 초반에 ‘돌’에서 ‘고목’으로 주재료가 변화하게 되는데, 그 이유에 대해 고찰하는 과정에서 안상철이 ‘영’이라는 개념을 ‘동양성’과 연결하여 서양 현대미술에서 쓰이던 기법을 수용하면서도 동양화가로서의 정체성을 지키려 노력한 점에 주목하였다. 안상철이 평생에 걸쳐 지속했던 여러 실험적인 시도와 안상철의 제자들이 결성한 ‘현대차원회’가 일구어낸 성과를 통해 안상철이 한국 동양화의 현대화에 있어 중요한 몫을 담당하였음을 확인하였다. This thesis considers the prestige and significance of Ahn Sang Chul in the stream of post-oriental painting of Korean painting circle as examining the works of Ahn Sang Chul, who tried to cross the boundary of Korean oriental painting with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deviating from the traditional Korean oriental painting. In this process, I interviewed with relatives, acquaintances, and disciples of Ahn Sang Chul and utilized its talk-as-text as supplementary data in the ‘Memory Collection Project,’ which I directly participated in and worked under the director of Ahn Sang Chul Museum, Kim Chul Hyo, in 2015. In this thesis, this study firstly examined Ahn Sang Chul’s childhood and his period of learning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and then this study noticed how these experiences influence his works after considering the post-oriental painting aspect of Korean painting circle in the 1950s-1960s. The works of Ahn Sang Chul was examined dividing into the two parts of two-dimensional works and three-dimensional works. The two-dimensional works were classified into his works of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literati paintings in the style of Wu Changshuo(吴昌硕), and kraft paintings, and the three-dimensional works were classified into his works using ‘stones’ in 1960s-1970s and using ‘old trees’ from 1970s to 1990s. For the works of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50s, Ahn Sang Chul showed a new Korean oriental painting that turned away from the previous landscape painting by using configurational features and daring composition. Moreover, in earnest since the early 1960s, he has entered into <Spirit (靈)> series, which attaches ‘stones’ and tears paper, and he has led the innovation of Korean oriental painting in the both of two-dimensional works and three-dimensional works as introducing his two-dimensional works applying the effect of soak stain by mixing aleurone and glue on kraft, not oriental painting paper (Hwaseonji). Ahn Sang Chul's <Spirit (靈)> series changed the main material from ‘stones’ to ‘old trees’ in the early 1970s. In the process of considering why he changed the main material, this study noticed that Ahn Sang Chul spent his effort to maintain his identity as an Korean oriental painter while accepting the techniques used in Western contemporary art by connecting the concept of ‘spirit (靈)’ with ‘orientalness’. This study identified that Ahn Sang Chul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modernization of Korean oriental painting through his various experimental attempts, which Ahn Sang Chul has continued throughout his whole lifetime,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ntemporary Dimension Association (Hyundai-Chawon-Hoe)’ organized by Ahn Sang Chul’s disciples.

      • 승차감 및 핸들링 성능을 고려한 멀티링크 현가장치의 VTL 기반 입력하중 저감 설계에 관한 연구

        안상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친환경고안전자동차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컴퓨터 기술 발전됨에 따라 차량 개발 과정에서 가상 시험 기법이 승차감, 조종안정성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내구분야에도 여러 가상 시험기법이 시도되어 내구 품질을 확보하고 있다. 실제 차량의 내구 성능은 내구로 주행 등의 실험을 거쳐 평가된다.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내구 해석은 실제와 같은 시험조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VTL(Virtual Testing Laboratory)은 기존 차량의 내구로 주행시험을 통해 계측된 휠 하중을 개발 차량의 현가장치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내구 성능을 예측한다. 하지만 차체를 구속하고 가상 시험이 진행됨에 따라 차체가 구속되지 않은 실제 차량과 같은 시험 조건을 가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스템 규명 기법을 적용하여 VTL 가상 시험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 규명은 차량 현가장치 모델을 수학적 함수로 근사하고 실차 시험 결과를 만족시키는 휠 하중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휠 하중을 개발 차량의 현가장치 모델에 적용하여 개발 차량 부품의 입력하중을 예측하게 되고 내구 성능을 평가하게 된다. 또한 제시된 내구 시험 기법을 차량 개발 과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현가장치 최적설계를 진행하였다. 승차감, 조종안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ISO 규정된 시험 기법과 평가 방법들을 활용하였고, 승차감과 조종안정성은 유지하면서 내구 성능이 향상된 최적의 현가장치 모델을 도출하였다. As computer technology develops, virtual test techniques are applied in many fields such as ride comfort, handling, etc. In recent years, several virtual test techniques have been tried in the durability field of vehicles to ensure the quality of durability. The durability of an actual vehicle is evaluated through experiments such as running on the road. And the durability analysis in the virtual space needs to be done under the actual test conditions. The proposed VTL (Virtual Testing Laboratory) predicts the durability performance by applying the wheel load measured by the running test of the existing vehicle to the suspension model of the developed vehicle. However, as the vehicle body is restrained and the virtual test progresses, the vehicle body will not have the same test conditions as the unrestricted actual vehicl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VTL virtual test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System identification approximates the vehicle suspension model with a mathematical function and generates wheel loads that satisfies the actual vehicle test results.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the proposed durability test method to the vehicle development process, the optimum design of a suspens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sider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we used the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specified test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and we derived an optimal suspension model with improved durability while maintaining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 창업 여성CEO의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전지역 창업여성 CEO들을 대상으로

        안상철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창업 여성CEO의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논문제출자 안 상 철 지도교수 민 경 세 본 연구는 창업 여성CEO들을 대상으로 여성CEO의 특성과 경영성과 사이에는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업 여성CEO의 특성과 역량을 중심으로 하여 선행연구와 기존 문헌을 토대로 여성CEO의 특성요인으로서 경력 특성, 행위적 특성, 역량 특성 등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여성CEO의 경력 특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검증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전공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직장 또는 창업경험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 여성CEO의 행위적 특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검증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창업동기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실패 가능성이나 위험에 대한 대처 노력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 여성CEO의 역량 특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검증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관리적 역량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가적 역량 요인과 기술적 역량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창업 여성기업의 일반현황 및 창업관련 실태 전반을 분석하고, 창업 여성CEO의 특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실증적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대한 각 요인별 상관관계와 중요도를 밝히고 경영성과 증진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나 대전이라는 지역적 한계와 대상 업종의 범위적 한계성을 가지고 연구를 했기 때문에 표본 규모가 충분하지 않았고 이는 표본의 대표성에 문제가 될 수 있어서 창업 여성 전체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창업 여성CEO의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 또는 매개할 가능성이 높은 많은 변수들을 연구모형에 적용하지 못하였다는 것, 설문지 개발 과정의 어려움과 설문의 구성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충분하지 못하였다는 것은 한계로 남는다. 따라서 향 후 연구에서는 지역의 범위를 확장하거나 단일 업종의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고, 창업 여성CEO의 고유한 특성을 심도있게 반영한 설문지 개발과 상황변수들을 적용시킨 정교한 연구모형 개발이 우선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Female Corporate Founders on Managerial Achievements Ahn, Sang-Chul Department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Hanbat National University Advisor: Min, Kyung-Sae The study is focused on figuring out correl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female CEOs who founded a company and their managerial achievements. Toward this end, the study is focused on generating such determinants as background characteristics, behavioral features and competence traits that characterize female CEO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existing literature while suggesting study models and assumptions on correlations between these factors and managerial achievements and conducting empirical analyses.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regression analyses that verified relationships between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female corporate founders and managerial achievements have found that major subjects had a significant effect, but that their experiences in corporate foundation and careers did not. Second, regression analyses that verifi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orporate CEOs and their managerial achievements have found that credibility and the motive for corporation found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but that efforts to counter risks factors did not. Third, regression analyses that verified relationships between competence features of female corporate CEOs and managerial achievements have found that managerial control capa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but that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technical capability did not.

      • 열차운행선 근접구간 흙막이 벽의 안정성 해석

        안상철 충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implemen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earth retaining wall by railroad pressure examining H-pile+CIP, a typical earth retaining wall in the open-cut method and Downward which is the first trying Top-down method in the nearby railroad construction. The horizontal pressure on the earth retaining wall is originated by a lot of variables such as the load of unit of area, ground intensity, water line and so on. In this study, two cases in construction site have been selected to assure safety on vertical railroad pressure. One is studi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numerical analysis(the shear strength reduction method, c-), and the other is with nearby railroad load on trench excavation of slurry wall (Janssen formula and Limit equilibrium method). The conclus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H-pile+CIP construction work nearby railroad ① The railroad unload makes failure in -38m of excavation, while in -35.7m for the loaded case. Therefore early failure (2.3m) has to be considered in every excavation step. ②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aximum shearing strain at each working phase, potential failure surface is moving to lower column relative to the excavation depth decreasing safety factor. 2. In the Downward construction work nearby railroad, the horizontal stress caused by a line load(railroad) takes 50% in the reclamation layer, 25~50% in the alluvial layer and 15~30% in the weathered soil. And that by strip load takes 27% in the reclamation layer, 6~26% in the alluvial layer and 2~6% in the weathered soil. Hence, railroad load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loser area of ground level. 3. In addition,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railroad load is working as real live load, an in-depth study in the effect of sharp braking and joint impact to the earth retaining wall is highly necessary.

      • 청년주택의 보급에 따른 주민인식에 관한 연구 : 마포구 서교동 사례를 중심으로

        안상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년주택공급은 인접지역 주민들과의 사회적 고립, 빈민지역으로의 낙인, 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등 지역내에서 다양한 반대여론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임대주택인 청년주택의 성공적인 추진과 정책의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실증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정책과 선행연구 등을 문헌자료를 분석하고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추가로 현장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실적으로 이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청년주택 사업촉진지구 10곳 중에서 선정하여 2차례에 걸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취합하여 청년주택과 지역주민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정책 인지정도는 연구대상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이 전반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청년주택 건설의 찬반에 대한 설문은 반대 의견이 절반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주민 거주지에서 청년주택 입지 거리와 소요시간에 연관된 찬반의견을 조사한 결과 30분 이상의 거리에 입지하는 경우에만 절반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청년주택에 입주하게 될 입주민과 기존 거주자간 교류의사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입주 후 활발하게 교류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청년주택에 대한 주민이 느끼는 이미지는 청년주택을 안전, 편리한 주거공간, 매우 실용적인 주거공간 등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청년주택 건립에 따른 주민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종합한 결과, 청년주택 입지에 대하여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으며, 반대 이유로는 개인 사유재산에 대한 가치하락과 함께 인근지역 임대시장에 대한 악영향을 우려하는 의견이 다수였다. 이 연구는 현장 조사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느낌을 파악하여 갈등 해소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현재 시행 중인 청년주택정책의 성공적인 연착륙을 위하여 추후 시행하게 될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와 지역주민과의 갈등해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都市住居地의 特性과 旣成住居地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안상철 동아대학교 대학원 197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comparison of residential patterns for developing and existing residential area, about population structure, land use, socio-economic level of residents in urban area. Two analytical districts are selected in Busan, one is Dongdeasin-Dong which is the built up residential section in 1941, another is Deayeun-Dong which is the built up area in 1969. Survey method is composed of enquete on-interview guide, an on-the-spot survey and a st tistical report. Analysis period is during three months from June to September. As mentioned above on survey, existing and developing residential areas one analysed on the attributions and on function of urban residential area size, obstruction factors and its exhibited characteristics a general redevelopment plan of the city planning.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oints are found. l. On pop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omposition ratio by age group, existing residential area is largely of old age, and developing area is mostly in thirty and forty age group. According to population density, existing residential area, is high density (579 person/ha.), developing area is low density (217 person/ha.). By number of the average family, existing area is 5.5 person per household and developing urea is 5.0 person. 2. On urban land use, developing residential are has many good concrete buildings and existing arca, has many wooden buildings st building structure. At existing building usage, existing aria, is of multiple usage and developing area is exclusively of residential usage. At the average story of buildings; developing area is higher than existing area, and building coverage is high in existing area than developing area. 3. On the attribution of socioeconomic structure, according to occupation existing residential area is mostly of the commercially oriented and developing area, is mostly of the white collar class. Education level and income is high in developing area than existing area. As a result of analysis above-mentioned, it is possible to conceive urban structure in the urban ecology. Especially understanding environment of urban residential area, it is feasible to residential area, by data of administration policy and by utilizing planning data. This is not the end of "A Study on the Attribution of Residential area in Busan" at present time and the analytical study must be continued b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residential area in Busan. Urdan residential area is fluid inner structure and form and of metamorphosis. Developing residential area of the present time will be changed to existing area, and eventually to the wors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uring the urban renewal plan carried out for recovery of residential function, the Metropolis will grow up to the Dynametropol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