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ffects of Carbon Sources on Inducible Gene Expression of Arabinan-Degrading Enzymes from Bacillus species

        신희지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Arabinan-utilization gene cluster was found from the genome of B. subtilis KCTC3135, which contains various genes encoding exo- and endo-acting arabinan-hydrolases, sugar transporters, ara operon, and transcriptional regulator proteins,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arabinan-utilization gene cluster of B. subtilis KCTC3135 includes total five putative arabinan-hydrolase genes. Each enzyme gene was functionally expressed in E. coli, and their enzymatic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The extracellular α-(1,5)-specific endo-BsAN-A GH43 could hydrolyze debranched arabinan (DA) to produce various linear-arabinooligosaccharides (LAOS), whereas it can hardly hydrolyze branched substrates such as sugar beet arabinan (SA) and LAOS shorter than arabinotriose. The other extracellular α-(1,5)-specific endo-BsAN-B GH43 could hydrolyze both DA and SA into various LAOS and BAOS, respectively. It cannot hydrolyze LAOS shorter than arabinotetraose. The intracellular exo-BsAF-A GH51 could hydrolyze DA, SA, LAOS, and BAOS to produce L-arabinose. This enzyme can attack α-(1,2)- and/or α-(1,3)-L-arabinofuranosyl branches as well as α-(1,5)-L-arabinofuranosyl backbone. BsAF-A prefers DA and LAOS to SA and BAOS. The other intracellular exo-BsAF-B GH51 showed much higher activities on α-(1,2)- and/or α-(1,3)-linkages of branched substrates than α-(1,5)-L-linkages of linear substrates. Effects of various carbon sources on the inducible gene expressions of arabinan-hydrolases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Bacillus species. In case of B. subtilis, the extracellular endo-AN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the polymeric inducers of DA and SA, whereas the intracellular exo-AF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L-arabinose as well as arabinans. In addition, the arabinan-utilization gene cluster of B. licheniformis DSM13 includes an intracellular exo-AF GH51 (BlAF-A), three extracellular endo-ANs GH43 (BlAN-A1, A2, and B), and two separate ara operons. In case of B. licheniformis, the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DA, SA, and L-arabinose. In the absence of any inducer, the considerable levels of enzyme activities were measured. The synergistic model for arabinan-degradation and utilization was proposed in B. subtilis KCTC3135. Firstly, the extracellular BsAN-A, BsAN-B, and BsXynD were expressed and secreted into the medium containing arabinan inducers. These enzymes can hydrolyze arabinans into short-chain AOS, which are transported into the cell through the sugar transporters. Within the cell, the resulting AOS can be further hydrolyzed into L-arabinose via the synergistic actions of the intracellular AFs. Finally, L-arabinose will be utilized by the enzymes from ara operon via the pentose phosphate pathway. Bacillus subtilis KCTC3135 균주의 유전체로부터 exo-형 및 endo-형 아라비난 가수분해효소, 당 수송체, ara 오페론, 전사 조절 단백질 유전자를 포함하는 아라비난 이용 유전자 클러스터를 발견하였다. 이 클러스터 내에 존재하는 아라비난 가수분해 효소 유전자 5종을 대장균에서 발현하고, 각 효소의 특성을 구명하였다. 세포 외로 분비되는 endo-형의 BsAN-A GH43 효소는 직쇄형 아라비난의 α-(1,5)-결합을 특이적으로 분해하여 다양한 직쇄형 아라비노올리고당을 생성하는 반면, 분지형 아라비난과 아라비노트리오스 보다 짧은 직쇄형 아라비노올리고당을 분해하지 못한다. 또 다른 세포 외 endo-형 효소인 BsAN-B GH43은 직쇄형 및 분지형 아라비난의 α-(1,5)-결합에 작용하여 각각 다양한 직쇄형 및 분지형 아라비노올리고당으로 가수분해하지만, 아라비노테트라오스 보다 짧은 직쇄형 올리고당은 분해하지 못한다. 한편, 세포 내 exo-형 효소인 BsAF-A GH51은 직쇄형, 분지형의 아라비난 및 아라비노올리고당을 가수분해하여 L-아라비노스를 생성한다. 이 효소는 α-(1,5)-결합 외에 α-(1,2)- 및 α-(1,3)-아라비노퓨라노실 가지 결합 또한 가수분해하며, 분지형의 아라비난 및 아라비노올리고당 보다 직쇄형 기질에 더 잘 작용한다. 또 다른 세포 내 exo-형 효소인 BsAF-B GH51은 α-(1,5)-결합으로 구성된 직쇄형 기질 보다 α-(1,2)- 및 α-(1,3)-결합을 포함하는 분지형 기질에 대해 훨씬 더 높은 활성을 가진다. 다양한 Bacillus 종에서 아라비난 가수분해 효소 유전자의 유도발현에 대한 다양한 탄소원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B. subtilis의 경우, 세포 외로 분비되는 endo-형 AN 효소활성은 중합체 유도물질인 직쇄형 및 분지형 아라비난에 의해 증가한 반면, 세포 내 exo-형 AF의 효소활성은 아라비난 뿐 아니라, L-아라비노스에 의해서도 증가하였다. 한편, B. licheniformis DSM13 유전체 내의 아라비난 이용 유전자 클러스터에는 세포 내에서 작용하는 exo-형 AF GH51 1종, 세포 외로 분비되는 endo-형 AN 3종, 그리고 독립적인 2개의 ara 오페론이 존재한다. B. licheniformis의 경우, 직쇄형 및 분지형 아라비난과 L-아라비노스에 의해 세포 내∙외의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유도물질을 첨가하지 않아도 상당 수준의 효소 활성이 측정되었다. B. subtilis KCTC3135 균주를 토대로 아라비난의 분해 및 이용을 위한 시너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우선, 유도물질인 아라비난이 함유된 배지 조건에서 BsAN-A, BsAN-B, BsXynD 효소가 발현된 후, 세포 외로 분비된다. 이 효소들은 아라비난을 짧은 길이의 아라비노올리고당으로 가수분해하며, 생성된 올리고당은 당 수송체 단백질을 통해 세포 내로 이동된다. 세포 내에서 아라비노올리고당은 exo-AF 효소 간의 시너지 작용에 의해 L-아라비노스로 분해된다. 최종적으로 L-아라비노스는 ara 오페론 유래 효소들이 관여하는 오탄당인산 대사경로를 통해 이용된다.

      • 원위부 췌관선암을 가진 노인 환자에서 복강경 원위췌절제술의 임상적 의의

        신희지 울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배경: 최근 노인 환자에 대한 수술이 늘고 있으나 복강경 원위췌절제술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우리는 절제 가능한 췌관선암을 가진 노인 환자에서 복강경 원위췌절제술의 안정성과 종양학적 수술로써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절제 가능한 췌관선암으로 진단받고, 복강경 원위췌절제술을 받은 2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이와 수술 방법에 따라 복강경 원위췌절제술을 받은 젊은 환자군(Y-LDP, 150명)과 복강경 원위췌절제술을 받은 노인 환자군(O-LDP, 59명), 그리고 개복술을 받은 노인 환자 군(O-ODP, 61명)등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저자들은 O-LDP군을 Y-LDP, O-ODP 군과 각각 비교하여 인구학적 특성, 수술 결과 및 생존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O-LDP 군은 Y-LDP 군에 비하여 ASA 점수가 3점 이상인 환자의 비율이 더 높았다. (15.3 vs. 4.6%, p=0.004). O-LDP 군과 Y-LDP 군은 술 후 합병증 (18.6 vs. 24.7%; p=0.351)과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췌장루(POPF)의 발생(6.8 vs. 6.7%; p=0.917)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O-LDP 군은 Y-LDP 군과 비슷한 중간 생존기간(median OS)과 무병생존기간(DFS)을 보였다 (32.5 vs. 37.5 months; p=0.152, 20 vs. 17 months; p=0.436). O-LDP 군은 O-ODP 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게 적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으며(18.6 vs. 52.5%; P < 0.001) 짧은 술 후 재원 기간을 보였다 (11.3 vs. 15.8 days, P = 0.004). O-LDP 군과 O-ODP 군은 비슷한 평균 생존기간(median OS)과 무병생존기간(DFS)을 보였다. 결론: 절제 가능한 췌관선암으로 진단된 노인 환자에서 복강경 원위췌절제술은 안전하고 적절한 수술방법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Background Old age was considered as a risk factor for surgical safety. The impact of old age on patients who underwent laparoscopic distal pancreatectomy (LDP) is still unclear.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the application of LDP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resectable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 Methods Two hundred seventy patients with resectable PDAC who underwent LDP were enrolled in present study. They were divided in three groups according to age and surgery: 150 young patients with LDP (Y-LDP), 59 old patients with LDP (O-LDP), and 61 old patients with open distal pancreatectomy (O-ODP). We compared patient demographics, perioperative outcomes, oncological parameters, and survival in O-LDP with those of Y-LDP and O-ODP groups, respectively. Results O-LDP group had a higher rate of ASA score than Y-LDP group with more than 3 (15.3 vs. 4.6%, p=0.004).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18.6 vs. 24.7%; p=0.351) and clinical relevant POPF (6.8 vs. 6.7%; p=0.917)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LDP and Y-LDP groups. O-LDP group showed comparable median overall (OS) and disease free survival (DFS) to the Y-LDP group, respectively (32.5 vs. 37.5 months; p=0.152, 20 vs. 17 months; p=0.436). There were significantly fewer overall complications in the O-LDP group than in O-ODP group (18.6 vs. 52.5%; P < 0.001). Length of hospital stay was shorter in the O-LDP group (11.3 vs. 15.8 days, P = 0.004). Median OS and DFS were comparable between O-LDP and O-ODP groups.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LDP in elderly patients with PDAC is safe and feasible, by demonstrating that the perioperative and oncologic outcomes thereof are comparable to those in Y-LDP group and O-ODP group. LDP is an acceptable surgery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resectable PDAC.

      • 온라인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효과

        신희지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온라인 수용전념치료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대학교 커뮤니티에 연구 참여 홍보물을 게시하여 참여를 희망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을 모집했다. 참여자들은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n=16)과 대기통제집단(n=16)에 배정되었다. 처치집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회기별 약 90분, 4주간 주 2회, 총 8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연구 도구는 수용행동질문지(AAQ-16), 자기통제력 척도(SCS), 자아존중감 척도(RSES),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APS-A)이며,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시간(Screen Time)을 추가로 적어 제출하도록 했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를 실시했고, 프로그램 종료 6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수용행동, 자기통제력 수준, 자아존중감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그러나, 지각된 스트레스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슈페너의 Pia Desideria에 나타난 교회 갱신에 관한 연구

        신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한국교회 위기 상황을 독일 정통주의를 갱신한 필립 야콥 슈페너의 대표작,『Pia Desideria』의 여섯 가지 제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함.

      • 홈트레이닝 활성화를 위한 브랜딩 전략 및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신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최근 몇 년간 단순히 외형적인 아름다운뿐만 아니라 내면의 아름다운 역시 화두에 오르면서 건강과 운동에 대한 중요성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홈트레이닝(Home Training)’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이것은 체육시설에서 하는 체육활동이 아니라 언제 어디에서 어떤 도구를 사용하든 상관이 없는 운동법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쉽게 할 수 있고, 그와 관련된 정보 역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것을 찾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홈트레이닝 영상과 방법 또한 다양하게 공유되고 있다. 빠르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온라인상에서 홈트레이닝의 정보가 늘어나고 있으며, 스마트 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한 홈트레이닝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국민의 건강을 위한 홈트레이닝 활성화에 대해 브랜드를 개발하고 사용자가 올바른 홈트레이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논문의 구성은 홈트레이닝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이해하고 홈트레이닝 관련 국내, 외 애플리케이션 사례 연구를 통해 현재의 문제점 및 연구 과제를 도출한다. 그리고 새로운 홈트레이닝 플랫폼을 제안하여 플랫폼 시나리오를 통하여 홈트레이닝 전문가 1명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사례 분석을 통해 많은 홈트레이닝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홈트레이닝에 도움받기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에 전문지식이 부족한 이 사용자들은 단순히 보고 따라 하기 쉽지 않으며 잘못 따라했을 경우 몸을 다칠 수 있다. 이 논문의 결론에서 나타날 플랫폼에는 홈트레이닝 전문가가 사용자에게 올바른 홈트레이닝을 가르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플랫폼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나 올바른 홈트레이닝을 위해 사용할 수 있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홈트레이너를 통해 쉽고 체계적으로 홈트레이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티를 통해 사용자들 서로가 의지하며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본 연구는 트렌드를 통해 생겨난 홈트레이닝을 올바르고 체계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문가와 미숙한 사용자를 서로 연결해주는 플랫폼으로 개발하고 비즈니스 제안을 통해 제 4차 산업의 흐름에 맞추어 연구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올바른 홈트레이닝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홈트레이닝이 좀 더 활성화되어 다양한 새로운 논제가 제시되길 바란다.

      • 쓰기 과제 구성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연구

        신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writing tasks through three different type of prompts on Korean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in a writing assessment, and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aspects of the content of the Korean learners’ writing. 72 Korean learners from intermediate level to advanced level were provided with 3 types of writing prompts and their writing performance in the writing assessment was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d qualitive analysis by surveys and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grades of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based on the 3 types of writing prompts, grades based on type of topics for each writing prompt and grades based on proficiency level for each writing prompt type. Through additional qualitative researc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riting and the aspects of learners' writing text on each type of writing prompt were examined and learner’s perception on different prompt types were investigated. The types of prompts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 of three types: a "Topic provided prompt" that simply provided the topic, a "Tasks provided prompt" that provided the topic and question-type tasks, and a "Structure(Frame) provided prompt” that provided the overall structure (frame) and main contents of the writ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writing performance of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prompt type ar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the results from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total score of learners’ writing base on three types of writing prompts and all the grade factors (content, writing structure, language usage). The result was the same for the writing performance based on proficiency level for each writing prompt type. In other words, it was revealed that the writing prompt types did not influence Korean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significantly,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icienc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factor of each topic based on each prompt type, and from the result of writing performance scores based on the topic of each prompt type, in that writing with the structure(frame) provided prompt type resulted in higher scores than writing with the topic provided prompt type when a low difficulty topic was provided. The result indicates that it is helpful for learners to be provided with the writing structure(frame) and main contents together whe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opic is low. Second, writing patterns of top rank learners and lower rank learners based on each prompt typ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result of participants’ writing performance based on each prompt type. The result showed that while top rank learners in Topic provided prompt type organized their thought consistently into the structure of writing based on the topic, the lower rank learners tended to list their thoughts inconsistently on the topic and described their personal episodes. In Tasks provided prompt, both top-ranking learners and lower ranking learners have a pattern of using a given sentence from the prompt in the introduction of writing, but the top-ranking learners adapted to the context of their writing, while the lower ranking learners copied and used the sentences as they were. Lastly, For the Structure(Frame) provided prompt, top ranking learners completed the writing by adding various introductions and appropriate examples based on the entire frame of the given text. Meanwhile lower rank learners only listed it as if they were responding to the given contex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reas of difficulty in writing through pre- and post-surveys targeting research participants,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iciency. It is concluded that intermediate learners experiened more difficulty with vocabulary, grammar and writing structure than advanced learners, while advanced learners experienced more difficulty with content composition. From survey results on the prompt and post-interview regarding learners’ perceptions of the prompt after writing assessment, participants experienced writing for various purposes in their native language, but most of them experienced writing in Korean through homework or a test. Therefore writing in Korean was perceived as a testing purpose and participants felt the pressure of testing regarding writing in Korean. Learners thought the Structure (Frame) provided prompt was the most helpful in their writing assessment, as it saves time when understanding the topic before writing and it also saves time to think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entire writing task. Most of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satisfied that they participated in three writing assessments, giving them time to write independently rather than alone as homework. They responded that they received great help from objective evaluations and feedback on their completed writing.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prompt types when Korean learners perform writing and investigated the writing patterns and perceptions of Korean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formation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writing questions to evaluate writing performance in Korean and the design of writing questions to fully demonstrate the writ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 본 연구는 쓰기 과제 구성이 다른 세 유형의 프롬프트가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결과물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구성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고급의 한국어 학습자 72명을 대상으로 과제 구성이 다른 세 가지 유형의 쓰기 프롬프트로 쓰기를 실시하여 그들의 쓰기 수행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사전 사후 설문 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의 인식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 나타난 쓰기 작문의 점수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쓰기 프롬프트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쓰기 수행 점수와 쓰기 프롬프트 유형별 주제에 따른 쓰기 수행 점수, 쓰기 프롬프트 유형별 숙달도에 따른 쓰기 수행 점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쓰기 수행 결과물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쓰기에 나타난 구성적 특징과 쓰기 프롬프트 유형별 학습자들의 쓰기 텍스트 양상을 살펴보고 인터뷰를 통해 쓰기 프롬프트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에게 제공된 프롬프트 유형은 세 가지로 주제만 간단하게 제시하는 ‘주제 제시 프롬프트’ 유형, 주제와 질문형 과제를 제시하는 ‘과제 제시 프롬프트’ 유형, 글의 전체 구조(틀)와 주요 내용을 제시하는 ‘구조(틀) 제시 프롬프트’ 유형이다. 프롬프트 유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물을 살펴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 검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과제 구성이 다른 세 유형의 쓰기 프롬프트별 학습자 쓰기의 총점 평균과 모든 채점 구인(내용, 전개구조, 언어 사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숙달도에 따른 프롬프트 유형별 학습자의 쓰기 수행 결과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였다. 즉, 과제 구성이 다른 쓰기 프롬프트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프롬프트 유형별 숙달도에 따른 차이도 없어 중급이나 고급 학습자에게 특별히 영향을 미친 프롬프트 유형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각 프롬프트 유형에 따른 주제별 ‘내용’ 구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프롬프트 유형별 주제에 따른 쓰기 수행 점수를 살펴본 결과 난이도가 가장 낮은 주제에 대하여 구조(틀) 제시 프롬프트 유형의 글이 주제 제시 프롬프트 유형의 글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를 통해 주제의 난이도가 낮을 때 글의 구조(틀)과 주요 내용을 함께 제시해 주는 것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의 각 프롬프트 유형 쓰기 수행 결과를 통해 각 프롬프트 유형별 상·하위권 학습자의 쓰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제 제시 프롬프트 유형에서 상위권 학습자는 주제에 따라 자신의 생각을 글의 구조에 맞춰 일관성 있게 구성한 반면 하위권 학습자들은 주제 대한 생각을 일관성 없이 나열하고 개인적인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기술하는 등 제각각의 양상을 보였다. 과제 제시 프롬프트 유형에서는 서론에서 상위권 학습자와 하위권 학습자 모두 프롬프트에서 제시한 문장을 활용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상위권 학습자는 자신의 글의 문맥에 맞게 각색하여 이용한 반면 하위권 학습자는 문장을 그대로 베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틀) 제시 유형에서 상위권 학습자들은 제시된 글의 전체적인 틀을 기준으로 다양한 도입과 적절한 예들을 덧붙여 글을 완성한 반면 하위권 학습자들은 제시된 내용에 대한 답변을 하듯 나열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쓰기를 할 때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을 살펴본 결과 숙달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중급 학습자들은 고급 학습자들에 비해 어휘 사용, 문법 사용, 글의 구조에 대한 어려움을 많이 느꼈으며 내용 구성에 대해서는 고급 학습자들이 중급 학습자들보다 더 어려움을 느낀다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쓰기 후 해당 프롬프트에 대한 설문과 사후 인터뷰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참여자들은 다양한 목적의 쓰기를 경험한 모국어 쓰기와 달리 숙제나 시험으로 경험한 한국어 쓰기에 대하여 ‘시험’이라는 부담감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학습자들이 글을 쓸 때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프롬프트 유형은 구조(틀) 제시 프롬프트였으며 이는 쓰기 전 주제에 대해 파악하고 글 전체의 구성을 생각할 때의 시간을 절약해 주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세 번의 쓰기를 참여하면서 숙제로 혼자 쓰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쓰기를 수행하는 시간을 주었다는 데에 만족감을 느꼈으며 자신이 완성한 쓰기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피드백에 큰 도움을 받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쓰기를 수행할 때 프롬프트 유형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양상과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쓰기 평가를 위한 쓰기 문항 개발과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는 쓰기 문항 설계를 위한 교육 자료로서의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사회초년생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신희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823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 정체성 형성 과정을 조망함으로서 그 의미와 본질을 드러냄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했으며, 분석 결과 163개의 의미 단위가 발견됐고 총 6개의 의미 주제와 29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의미 주제는 ‘가족의 역설’, ‘사회에서 자리 잡기’, ‘연대의 힘’, ‘새로운 세계와 만남’, ‘존재론적 고민과 가치’, ‘끊임없는 고찰과 변화’ 이다. 첫 번째 의미주제는 ‘가족의 역설’로, 가족은 자아정체성의 중요 요소인 성향을 형성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역할모델을 제시하고, 안정적 심리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지지를 제공했지만 가정폭력, 학대, 방임과 같은 현상이 왜곡된 자아상과 관계상을 형성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두 번째 의미주제인 ‘사회에서 자리 잡기’는 사회에서 승인 받아 자리를 잡기 위해 전문 분야를 명확히 하고, 스스로 생계를 책임질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을 확보하려는 연 구참여자들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의미주제인 ‘연대의 힘’ 에서는 친구, 지인 등과 같이 친밀하고 단단하게 연결된 연대감으로 표현된 그룹이 있었던 반면, 커뮤니티 모임, 종교 공동체와 같이 느슨한 연결감으로 표현된 그룹도 존재하는 양상으로 표현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공동체에서 사회초년생 시절 직면하는 위기를 해쳐나갈 힘, 지식, 지혜를 얻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의미주제는 ‘새로운 세계와 만남’이며, 연구참여자들이 성장하고 싶은 마음과 주체성을 기반으로 자극을 찾아 나서고, 외부의 자극도 수용하면서 능동적으로 자신의 시각을 확장하고 형성해나가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의미주제인 ‘존재론적 고민과 가치’는 다양한 외부 자극을 통해 존재론적 고민을 시작하고, 이 고민의 결과로 도출된 가치를 지향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여섯 번째 의미 주제는 ‘끊임없는 고찰과 변화’이고, 연구 참여자들이 기존에 접해보지 못 한 다양한 상황과 사람에 노출되며 끊임없이 자아상, 관계상, 조직 적응, 직업, 사회 등에 고찰하며 변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8명의 사회초년생들의 자아정체성 형성과정을 분석한 결과로 가족, 교육, 문화가 자아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고찰할 수 있었고 사회초년생이 다양한 상황에 처하며 기존의 자아상, 관계상, 사회상을 재검토하고 시야를 확장시켜나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확장과 재검토의 과정에서 수반되는 고찰과 변화의 결과로 이전보다 자신을 수용하고 현실적이 되어가는 성장이 이뤄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의 자아정체성 재형성에 가정, 문화, 직장, 교육 등이 영향을 미치는지 심도 있게 고찰하였고, 사회초년생의 자아정체성 형성, 재고찰, 재형성 등의 지속적 고찰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 천문항해를 이용한 선위 측위 알고리즘 및 임베디드 섹스탄트의 구현

        신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23

        Prior to the 20th century, ships usually used celestial navigation when sailing on the ocean. However, satellite-based GPS navigation is commercialized and mainly in use since 1990. Astronomical navigation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due to the complex and time-consuming measurement procedures. Recently, a North Korean cyber-attack near the NLL neutralized GPS equipment. A U.S. Navy ship has been stranded on the atoll due to a navigation error in the GPS navigation system in the Sulu Sea of the Philippines. Auxiliary navigation means for navigational safety is essential when GPS equipment malfunctions due to computer and navigation satellite hacking when the vessel is voyage in the ocean. Celestial navigation require proficiency for the use of the sextant and require specialized abilities such as drawing a line of position on the nautical chart. In addition, the calculation procedure is complex and takes a long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Celestial navigation, We have studied how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existing altitude difference metho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lement a simple, convenient and reliable device to carry using celestial navigat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ed books and data of celestial navigation, to study the positioning algorithm and to find a way to apply the latest IT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venience and reli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e research method is to design a positioning algorithm using two body fix and implement it as an embedded device. The convenience and reliability of the device are verified by comparing the positional errors of the two positioning methods through simulation and actual testing. The existing altitude difference method has more influence factors on the positioning than the embedded module, and the minimum observation time interval should be more than 2 hours during the daytime observations. However, the Embedded sextant with two body fix has little influence on the positioning compared to the altitude difference method because it calculates the position using the position (GHA, Dec) and the observed altitude(Ho) of the object. The embedded sextant is an embedded module embedded in the existing sex tant and the algorithm is programmed into the MCU of the embedded module. The simulated results of the theoretical ship positioning algorithm are applied considering the cause of altitude error such as index correction of sextant, altitude correction error, and individual difference. It is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observe at 2 hour intervals at an altitude error of ± 2' at an altitude of 20° less and at 32 minutes intervals above an altitude of 20°. The error value (± 2') was applied to the actual observation data. As a result, positioning is possible within the position error (37nm) of the simulated result by applying the calculated altitude value at the time interval (position error 31nm) of 16 minutes 12 seconds. As a result of two tests with embedded sextant, Observer A has a position error of 4.5 nm in 32 minutes time interval and Observer B is 10.5 nm in 32 minutes time interval. This is because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and it is possible to observe at 16 minutes and 12 seconds intervals at the simulation results, but it is better to observe at 32 minutes in tervals considering the position error. This is a result of highly reliable positioning in the ocean when considering the position error (9.8nm) at the 2 hours intervals recommended by the altitude difference method. Therefore, the test confirmed that the embedded sextant is highly reliable as a position measuring device. Embedded sextant is convenient and compared with the exiting altitude difference method. It shortens the time required from 2 hours to 32 minutes to 1 hour, 41 minutes and 30 seconds when running fix and 27 minutes to 1 second for simultaneous observation. Observers can use the embedded sextant to running fix at 32 minutes intervals or to observe the altitude at the simultaneous observation the difference in azimuth of celestial body at 7.5°. In the future, embedded sextant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ships without being affected by external radio disturbance.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o help the ship's long-rang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ships(LRIT) system introduced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o prevent maritime terrorism and strengthen maritime security measures against ships. 20세기 이전에는 선박이 대양을 항해할 때 천문항해를 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1990년 이후 위성을 기반으로 하는 GPS항법이 일반화 되면서 측위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원인으로 천문항해의 활용도가 급격히 저하 되었다. 최근 NLL 인근 해역에서 북한의 사이버 공격으로 GPS 장비가 무력화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또한 미국 군함이 필리핀 술루해 근해에서 GPS 항법장치의 항로착오로 인해 환초에 좌초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선박이 대양에서 항해 시에 컴퓨터와 항법위성 해킹 등으로 GPS장비가 오작동 할 경우에 항해 안전을 위한 보조 항법 수단은 필수적이다. 천문항해는 섹스탄트의 사용을 위한 숙련도가 필요하고 해도에 천측 위치선을 작도해야 하는 등의 전문적인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시트지에 의한 계산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 천문항해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의 고도차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천문항해를 이용하여 휴대하기 간편하고 편리하며 신뢰성 있는 장치를 구현하는 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천문항해의 관련 서적과 자료를 분석하여 선위 측위 알고리즘을 연구하며 최신 IT 기술의 접목이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고안된 방법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연구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Two body fix를 이용하여 선위 측위 알고리즘으로 고안하고 임베디드 장치로 구현하는 것이다. 장치의 편리성과 신뢰도는 모의와 실제시험을 통해 두 가지 측위 방법의 위치오차를 비교하여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기존의 고도차법은 측위에 미치는 영향요소가 임베디드 모듈에 비해 많으며 주간 중 격시관측 시 최소 관측시간 간격이 2시간 이상 되어야 한다. 그러나 Two body fix를 적용한 임베디드 섹스탄트는 천체의 지위(GHA, Dec), 관측고도(Ho)를 이용하여 선위를 산출하므로 고도차법에 비해 측위에 미치는 영향요소가 적다. 임베디드 섹스탄트는 기존의 섹스탄트에 임베디드 모듈을 장착한 것이며 임베디드 모듈의 MCU에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 하였다. 이론적인 선위 측위 알고리즘의 모의 결과는 섹스탄트의 기차, 고도 개정오차, 개인 차 등 관측고도오차 원인을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오차 값(± 2′)에서 천체 고도 20°이하에서는 2시간 간격으로 격시관측이 가능하고 고도 20°이상에서는 32분 간격으로 격시관측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실제 관측자료에 오차 값(±2′)을 적용하여 모의하였다. 그 결과, 16분 12초 의 시간간격(위치오차 31NM)에서 계산고도 값을 적용하여 모의한 결과의 위치오차(37NM) 이내에 있어 측위가 가능하다. 임베디드 섹스탄트로 2회 테스트한 결과, 관측자 A는 32분의 시간 간격에서 위치오차가 4.5NM이며, 관측자 B는 32분의 시간간격에서 위치오차가 10.5NM이다. 이것은 개인의 차가 존재하며 모의 결과에서 16분 12초의 시간간격으로 격시관측이 가능하지만 위치 오차를 고려하면 32분의 시간간격으로 격시관측을 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고도차법에서 권고하는 2시간의 시간간격 위치오차(9.8NM)를 고려하면 대양항해 시 신뢰도가 높은 측위의 결과이다. 따라서 임베디드 섹스탄트는 선위 측위 장치로서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시험으로 확인하였다. 임베디드 섹스탄트는 기존의 고도차법에 비해 편리하고 간편하며 격시관측 시 측위소요시간을 2시간에서 32분으로 1시간 41분 30초를 단축하였으며, 동시관측 시에는 27분에서 1초로 약 27분을 단축하였다. 관측자가 임베디드 섹스탄트를 사용하여 32분의 시간간격으로 격시관측을 하거나, 천체 방위 차이 7.5°로 동시관측하여 선위를 측위 할 수 있다. 향후 임베디드 섹스탄트는 외부의 전파교란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선박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국제해사기구에서 선박에 대한 해상테러 예방 및 해상보안 조치 강화를 위해 도입한 선박장거리위치추적 시스템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