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슈페너의 Pia Desideria에 나타난 교회 갱신에 관한 연구

        신희라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한국교회 위기 상황을 독일 정통주의를 갱신한 필립 야콥 슈페너의 대표작,『Pia Desideria』의 여섯 가지 제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함.

      • 강릉단오굿 전승자 연구

        신희라 가톨릭관동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강릉단오굿은 강릉단오제라는 향토신제(鄕土神祭)를 구성하는 중요한 제의(祭儀) 중 하나로서, 무당과 강릉시민과 영동지역민이 참여하고, 강릉지역 또는 남대천이라는 전승판을 통해 전승되어 왔다. 이 중에서 논문의 연구대상이 되는 것은 무당이다. 전통적으로 강릉을 비롯한 영동지역은 세습무권이라고 알려져 있다. 강릉단오굿은 세습무의 주도하에 지금까지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강릉단오굿의 전승은 큰 변화를 겪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 동해안 세습무 중 큰무당들이 대거 사망하면서 강릉단오굿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오던 세습무집단의 수가 현저히 줄어든 것이다. 이에 따라 강릉단오굿의 전통적인 전승이 어렵게 되었다. 현 시기에 강릉단오굿 전승자의 계통과 전승내용을 밝혀내는 작업은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속 가능한 전승방향을 진단하는 것 또한 연구자의 중요한 과제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먼저 강릉단오굿의 전승자 및 세습무가의 계통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전승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세습무의 전승이 약화되면서 새롭게 출현하게 된 집단에 주목하여 이들 집단의 학습 및 교육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 강릉단오굿은 전통 세습무가에 강신무와 제도교육출신 굿참여자가 참여하며 혼합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강릉단오굿 전승자 집단의 변화양상을 효과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세습무와 제도교육출신 굿 참여자로 구분하여 각각의 활동을 기록하고, 무녀와 악사의 무가(巫歌)․무무(巫舞)․무악(巫樂)의 교육방법과 현장에서의 교육방법을 알아본다. 또한 세습무가의 학습방법과 제도교육출신 굿참여자의 학습방법을 비교, 검토하며 이들 학습방법과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앞서 밝힌 것과 같은 전승집단의 변화와 적응에 주목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강릉단오굿의 전승방향을 진단해 보았다. 2007년 이후 강릉단오제가 단오제보존회 회원체제로 운영되면서 강릉단오굿 전승자는 예전과 달리 강릉단오제보존회 회원으로 등록되어 활동하고 있다. 강릉단오제보존회에서는 회원의 역량강화 워크숍과 전승프로그램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강릉단오굿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전승자들 모두 제도권 안에서 교육을 받게 되었다. 강릉단오굿이 가지고 있던 원형들을 잘 유지하고 발전시켜나갈 수 있는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사회적 변화 요인에 의해 강릉단오굿 무당의 구성에 새로운 변화가 시작되고 있는 전반적인 상황을 살펴보고, 세습무와 제도교육출신 굿 참여자들의 학습방법과 교육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강릉단오굿 전승의 내적 변화를 살펴보고 적응방안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로 인한 기대효과는 세월이 흐르면서 변화될 수밖에 없는 전승자들의 인적 구성과 그들의 학습체계를 정립하고 앞으로 변화할 강릉단오굿을 진단, 준비하는 것이다.

      • Acupuncture for perioperative care of total hip arthroplasty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신희라 Wonkwang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Introduction: Total hip arthroplasty (THA) is a common orthopedic surgery in elderly, an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side effects caused by opioids, postoperative pain, functional disability, postoperative cognitive disorder and deep vein thrombosis. These days, a lot of clinical trials using acupuncture as perioperative care have been conducted on patients undergoing THA. We conducted systematic review to assess the efficacy and safety of acupuncture treatment associated with perioperative care of THA. Methods: RCTs were searched using the following databases from their inception to November 2018; MEDLINE, EMBASE,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the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KoreaMed, DBPIA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 A quality assessment of RCTs was conducted using Cochrane risk of bias tool a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RevMan5.3 software (review manager). Result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it was shown that auricular acupuncture reduced the use of opioid analgesics during the surgery. And wrist-ankle acupuncture (WA) was effective in pain relief and improving hip joint dysfunction after surgery. WA was also sh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side effects caused by opioids such as nausea & vomiting and urinary retention. Electro-acupuncture and manual acupuncture were effective in improving postoperative cognitive dysfunction. Acupuncture treatments were considered as a relatively safe technique based on the number and rate of side effects. Conclusion: Acupuncture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that can be used to manage the side effects or sequelae of patients undergoing total hip arthroplasty. But more additional well designed RCTs are still needed to generalize the results. 서론: 고관절 전치환술은 노년의 환자에게 정형외과적으로 흔한 수술이다. 고관절 전치환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이라 평가받고 있지만, 마약성 진통제로 인한 부작용, 수술 후 통증, 기능 장애, 수술 후 인지 장애, 심부정맥혈전증 등과 같은 문제들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들의 관리에 침 치료를 사용한 임상연구들이 시행되어 왔으며, 이에 본 저자는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수술 주위기 관리를 위한 침 치료가 유효하고 안전한지 평가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법: 2018년 11월까지의 무작위배정 임상연구들을 다음의 database들을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MEDLINE, EMBASE,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the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and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KoreaMed, DBPIA,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연구들의 질적 분석은 Cochrane Risk of bias tool을 이용하여 시행하였고, 메타분석은 RevMan5.3 software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메타분석의 결과 이침 치료는 수술 중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량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과침 치료는 수술 후 통증 감소와 기능장애 개선에 효과적인 중재였으며, 마약성 진통제로 인한 오심, 구토, 요저류 등과 같은 부작용을 개선시키는데도 효과적이었다. 전침 치료 및 일반침 치료는 수술 후 인지장애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법이었다. 시술로 인한 부작용의 발생 수 및 비율로 보았을 때, 침 치료는 상대적으로 안전한 치료 술기라고 판단되었다. 결론 : 침 치료는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는 환자들의 수술 부작용이나 후유증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질 좋은 무작위배정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강릉단오굿 전승과 변화 연구

        신희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angneung Dano Gut (Dano shamanistic ritual or Danogut, hereafter) and its related community through field research. Danogut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and social situation. Focusing on the sustainability of Danogut, I have investigated how it has been handed down since its designation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spect of Danogut for the futur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I, as one of the performers of the ritual, thoroughly recorded an entire process of the ritual on the basis of bot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 have collected oral histories of informants from the field and historical materials of Danogut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and field surveys. Taking an example of my fieldwork, in 2016 on the festival of Gangneung Dano Festival, I took part in the Danogut as both a performer and a fieldworker and recorded its overall process for 34 days. Based on the field research and other data collected, I scrutinized the change of Danogut. Three aspects among other changes are paid to the most attention in the study: first, the performance of shaman; second, the composition of shaman group; third, the activities strengthening and expanding the ritual community of Danogut. The first aspect of the change of shaman’s performance is also divided into three points for the analysis: the changes seen through the "Gangneung Danoje Muga (shamanistic song)", chronicles of Danogut and lastly new additions of the shaman ritual influenced by social occasions and incidents. Secondly, the composition of shaman group is analyzed for the examination of the change of the Gangneung Danogut. For this, I studied the shaman group which has long performed the Gangneung Danogut and also met the previous ritual holders for taking their oral histories. In addition, I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man group which was newly established as Gangneung Dano Preservation Society. In the way of strengthening and expanding the ritual community of Danogut, the leading group of Gangneung Dano festival has made an endeavor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ceremony format, the diversification of participation groups, the expansion of the ritual process, and the strengthening of Gangneung Dano festival for the continuity. After examining the changes of Gangneung Danogut, I analyzed their efforts and devises attempted by the shaman group through which the establishment of rituality, expansion of playability, and empowerment and popularization are extensively used. In this paper, it is clarified that various changes occurred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Gangneung Danogut as an important shamanistic ritual of the Gangneung Danoje festival.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ritual community, new rituals have been created. These new emerging rituals have been made naturally by the community people, but sometimes those have been also intentionally created by some leading group of the Gangneung Danoje festival organization. The ritual of the sinju bitgi (sacred wine brewing) that was held in private has been created and formed a situation where the local people can participate in. By presenting the "sintongdaegil gilnol-i (sacred big procession)" the local identity has been manifested. The ritual was made by the organizers of Gangneung Dano fesival and it has played a major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a big community festival which includes a whole members of the various small communities. The shamanistic ritual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in appearance depending on the social situation and the environmen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upernatural power of gut continues. A shaman is a medium that connects human beings with gods. Those who join the shamanistic ritual with hope tend to believe of its supernatural power. This is thought to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shamanistic rituals. Unless the supernational power is thought to be absent in the process of gut, it would disappear soon resultantly. It is thu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the gut continue and maintain its content and form. Diverse entertainments are another important factors in maintaining the gut. Without the phases of play, recreation and entertaining the gut may be difficult to be maintained. While the shamans of older generations emphasized magic, witchcraft and supernatural power, the present Danogut shamans tend to play theatric performance. They try to cover magical or supernatural power that is believed in superstition in other religions with socialized rituals and entertainment. The disguised entertainments serve as a factor embracing the Danogut into a community festival of Gangneung Danoje. The Gangneung Danogut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through interactions with local people and development of diverse devices. These efforts correspond to the times and social environments in which the Gangneung Danogut is situated. 이 논문은 현장연구를 통해 시대적·사회적 상황에 맞춰 부단히 변화해 온 강릉단오굿과 의례공동체를 분석한 연구이다. 강릉단오굿의 지속성에 주목하여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전승되어왔고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폈다.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문화로써 강릉단오굿을 진단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굿의 연행자로서 충실한 참여관찰을 통해 강릉단오굿의 의례현장을 민족지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민족지적 접근과 관련된 기록과 자료의 수집, 심층인터뷰, 현장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2016년 강릉단오굿의 현장에 직접 참여하여 34일 동안 이루어진 강릉단오굿의 전반적인 과정을 세세히 기록하고, 이를 토대로 전승 상황의 변화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강릉단오굿의 변화는 크게 굿거리의 변화, 무집단 구성의 변화 및 의례공동체의 강화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굿거리의 변화에서는 「강릉단오제무가」를 통해 본 강릉단오굿, 연대별 굿거리의 변화 양상 및 사회적 변동에 따른 굿거리의 추가로 세분하였다. 강릉단오굿의 변화를 살피기 위해서 두 번째로 주목한 것은 무집단 구성의 변화이다. 무집단 구성의 변화에서는 강릉단오굿을 연행하는 무집단과 역대 단오굿 보유자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서 새롭게 구성된 강릉단오제보존회의 무격부가 지니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의례공동체의 강화방식에서는 강릉단오제의 주도집단이 강릉단오제의 지속을 위한 노력으로 의례 형식의 전환, 참여집단의 다양화, 제차와 제일의 확장 그리고 축제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밝혔다. 강릉단오굿의 변화를 살펴보고 난 이후, 강릉단오굿의 지속적 전승을 위한 무집단의 장치에 대하여 분석했다. 이들은 제의성의 확립, 놀이성의 확장 및 역량강화와 대중화를 통해 강릉단오굿이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문화로 전승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강릉단오제의 무속제의로서 강릉단오굿을 정착·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여러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의례공동체를 확장시키는 과정에서 새로운 형식의 제의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변화는 공동체를 형성하는 사람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변화한 측면도 있지만 강릉단오제를 주도하는 세력에 의해 공동체를 강화하는 측면에서 의도적으로 변화하기도 하였다. 비공개로 치러지던 신주빚기 의례는 여러 단계의 변화를 통해 지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고, ‘신통대길 길놀이’를 기획함으로서 지역정체성을 드러내는 과정을 겪었다. 이는 주재집단의 의도에 의한 변화로 공동체성을 포함하는 축제로 변모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했다. 굿은 사회적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외형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지만, 굿이 지니는 주술적 상징성은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무당은 인간과 신을 잇는 매개체로, 주술을 통해 인간의 구복을 신에게 전달한다. 굿을 향유하는 사람들은 구복된 기원이 이루어지기를 간구하며 이는 굿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들이 생각하는 굿의 주술적 의미가 변하거나 사라지지 않는 이상, 굿을 유지하는 장치로 지속해 나갈 것이다. 굿을 유지하는데 있어 주술성 이외에 놀이성은 또 다른 중요요소로 작용한다. 굿거리의 연행에 있어 놀이성이 제외된다면 굿이 유지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된다. 윗세대들이 주술성을 강조했다면, 현재 단오굿 연행자들은 놀이성을 강조하고 있다. 직접적인 주술성을 사회적 제의성과 놀이성으로 가리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강릉단오제가 축제로 변모하는데 있어 하나의 장치로 작용한다. 강릉단오굿은 지역민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재에도 끊임없이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강릉단오굿의 지속을 위한 장치로서, 시대적·사회적 환경에 조응한다. 이러한 변화는 강릉단오제가 지금까지 생생한 현장으로 살아남을 수 있었던 힘이기도 하다.

      • 사회초년생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신희라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 정체성 형성 과정을 조망함으로서 그 의미와 본질을 드러냄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했으며, 분석 결과 163개의 의미 단위가 발견됐고 총 6개의 의미 주제와 29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의미 주제는 ‘가족의 역설’, ‘사회에서 자리 잡기’, ‘연대의 힘’, ‘새로운 세계와 만남’, ‘존재론적 고민과 가치’, ‘끊임없는 고찰과 변화’ 이다. 첫 번째 의미주제는 ‘가족의 역설’로, 가족은 자아정체성의 중요 요소인 성향을 형성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역할모델을 제시하고, 안정적 심리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지지를 제공했지만 가정폭력, 학대, 방임과 같은 현상이 왜곡된 자아상과 관계상을 형성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두 번째 의미주제인 ‘사회에서 자리 잡기’는 사회에서 승인 받아 자리를 잡기 위해 전문 분야를 명확히 하고, 스스로 생계를 책임질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을 확보하려는 연 구참여자들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의미주제인 ‘연대의 힘’ 에서는 친구, 지인 등과 같이 친밀하고 단단하게 연결된 연대감으로 표현된 그룹이 있었던 반면, 커뮤니티 모임, 종교 공동체와 같이 느슨한 연결감으로 표현된 그룹도 존재하는 양상으로 표현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공동체에서 사회초년생 시절 직면하는 위기를 해쳐나갈 힘, 지식, 지혜를 얻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의미주제는 ‘새로운 세계와 만남’이며, 연구참여자들이 성장하고 싶은 마음과 주체성을 기반으로 자극을 찾아 나서고, 외부의 자극도 수용하면서 능동적으로 자신의 시각을 확장하고 형성해나가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의미주제인 ‘존재론적 고민과 가치’는 다양한 외부 자극을 통해 존재론적 고민을 시작하고, 이 고민의 결과로 도출된 가치를 지향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여섯 번째 의미 주제는 ‘끊임없는 고찰과 변화’이고, 연구 참여자들이 기존에 접해보지 못 한 다양한 상황과 사람에 노출되며 끊임없이 자아상, 관계상, 조직 적응, 직업, 사회 등에 고찰하며 변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8명의 사회초년생들의 자아정체성 형성과정을 분석한 결과로 가족, 교육, 문화가 자아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고찰할 수 있었고 사회초년생이 다양한 상황에 처하며 기존의 자아상, 관계상, 사회상을 재검토하고 시야를 확장시켜나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확장과 재검토의 과정에서 수반되는 고찰과 변화의 결과로 이전보다 자신을 수용하고 현실적이 되어가는 성장이 이뤄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의 자아정체성 재형성에 가정, 문화, 직장, 교육 등이 영향을 미치는지 심도 있게 고찰하였고, 사회초년생의 자아정체성 형성, 재고찰, 재형성 등의 지속적 고찰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 쓰기 과제 구성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연구

        신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writing tasks through three different type of prompts on Korean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in a writing assessment, and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aspects of the content of the Korean learners’ writing. 72 Korean learners from intermediate level to advanced level were provided with 3 types of writing prompts and their writing performance in the writing assessment was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d qualitive analysis by surveys and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grades of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based on the 3 types of writing prompts, grades based on type of topics for each writing prompt and grades based on proficiency level for each writing prompt type. Through additional qualitative researc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riting and the aspects of learners' writing text on each type of writing prompt were examined and learner’s perception on different prompt types were investigated. The types of prompts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 of three types: a "Topic provided prompt" that simply provided the topic, a "Tasks provided prompt" that provided the topic and question-type tasks, and a "Structure(Frame) provided prompt” that provided the overall structure (frame) and main contents of the writ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writing performance of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prompt type ar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the results from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total score of learners’ writing base on three types of writing prompts and all the grade factors (content, writing structure, language usage). The result was the same for the writing performance based on proficiency level for each writing prompt type. In other words, it was revealed that the writing prompt types did not influence Korean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significantly,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icienc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factor of each topic based on each prompt type, and from the result of writing performance scores based on the topic of each prompt type, in that writing with the structure(frame) provided prompt type resulted in higher scores than writing with the topic provided prompt type when a low difficulty topic was provided. The result indicates that it is helpful for learners to be provided with the writing structure(frame) and main contents together whe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opic is low. Second, writing patterns of top rank learners and lower rank learners based on each prompt typ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result of participants’ writing performance based on each prompt type. The result showed that while top rank learners in Topic provided prompt type organized their thought consistently into the structure of writing based on the topic, the lower rank learners tended to list their thoughts inconsistently on the topic and described their personal episodes. In Tasks provided prompt, both top-ranking learners and lower ranking learners have a pattern of using a given sentence from the prompt in the introduction of writing, but the top-ranking learners adapted to the context of their writing, while the lower ranking learners copied and used the sentences as they were. Lastly, For the Structure(Frame) provided prompt, top ranking learners completed the writing by adding various introductions and appropriate examples based on the entire frame of the given text. Meanwhile lower rank learners only listed it as if they were responding to the given contex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reas of difficulty in writing through pre- and post-surveys targeting research participants,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iciency. It is concluded that intermediate learners experiened more difficulty with vocabulary, grammar and writing structure than advanced learners, while advanced learners experienced more difficulty with content composition. From survey results on the prompt and post-interview regarding learners’ perceptions of the prompt after writing assessment, participants experienced writing for various purposes in their native language, but most of them experienced writing in Korean through homework or a test. Therefore writing in Korean was perceived as a testing purpose and participants felt the pressure of testing regarding writing in Korean. Learners thought the Structure (Frame) provided prompt was the most helpful in their writing assessment, as it saves time when understanding the topic before writing and it also saves time to think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entire writing task. Most of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satisfied that they participated in three writing assessments, giving them time to write independently rather than alone as homework. They responded that they received great help from objective evaluations and feedback on their completed writing.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prompt types when Korean learners perform writing and investigated the writing patterns and perceptions of Korean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formation as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writing questions to evaluate writing performance in Korean and the design of writing questions to fully demonstrate the writ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 본 연구는 쓰기 과제 구성이 다른 세 유형의 프롬프트가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결과물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구성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고급의 한국어 학습자 72명을 대상으로 과제 구성이 다른 세 가지 유형의 쓰기 프롬프트로 쓰기를 실시하여 그들의 쓰기 수행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사전 사후 설문 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의 인식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 나타난 쓰기 작문의 점수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쓰기 프롬프트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쓰기 수행 점수와 쓰기 프롬프트 유형별 주제에 따른 쓰기 수행 점수, 쓰기 프롬프트 유형별 숙달도에 따른 쓰기 수행 점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쓰기 수행 결과물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쓰기에 나타난 구성적 특징과 쓰기 프롬프트 유형별 학습자들의 쓰기 텍스트 양상을 살펴보고 인터뷰를 통해 쓰기 프롬프트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에게 제공된 프롬프트 유형은 세 가지로 주제만 간단하게 제시하는 ‘주제 제시 프롬프트’ 유형, 주제와 질문형 과제를 제시하는 ‘과제 제시 프롬프트’ 유형, 글의 전체 구조(틀)와 주요 내용을 제시하는 ‘구조(틀) 제시 프롬프트’ 유형이다. 프롬프트 유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물을 살펴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 검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과제 구성이 다른 세 유형의 쓰기 프롬프트별 학습자 쓰기의 총점 평균과 모든 채점 구인(내용, 전개구조, 언어 사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숙달도에 따른 프롬프트 유형별 학습자의 쓰기 수행 결과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였다. 즉, 과제 구성이 다른 쓰기 프롬프트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프롬프트 유형별 숙달도에 따른 차이도 없어 중급이나 고급 학습자에게 특별히 영향을 미친 프롬프트 유형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각 프롬프트 유형에 따른 주제별 ‘내용’ 구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프롬프트 유형별 주제에 따른 쓰기 수행 점수를 살펴본 결과 난이도가 가장 낮은 주제에 대하여 구조(틀) 제시 프롬프트 유형의 글이 주제 제시 프롬프트 유형의 글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를 통해 주제의 난이도가 낮을 때 글의 구조(틀)과 주요 내용을 함께 제시해 주는 것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의 각 프롬프트 유형 쓰기 수행 결과를 통해 각 프롬프트 유형별 상·하위권 학습자의 쓰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제 제시 프롬프트 유형에서 상위권 학습자는 주제에 따라 자신의 생각을 글의 구조에 맞춰 일관성 있게 구성한 반면 하위권 학습자들은 주제 대한 생각을 일관성 없이 나열하고 개인적인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기술하는 등 제각각의 양상을 보였다. 과제 제시 프롬프트 유형에서는 서론에서 상위권 학습자와 하위권 학습자 모두 프롬프트에서 제시한 문장을 활용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상위권 학습자는 자신의 글의 문맥에 맞게 각색하여 이용한 반면 하위권 학습자는 문장을 그대로 베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틀) 제시 유형에서 상위권 학습자들은 제시된 글의 전체적인 틀을 기준으로 다양한 도입과 적절한 예들을 덧붙여 글을 완성한 반면 하위권 학습자들은 제시된 내용에 대한 답변을 하듯 나열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쓰기를 할 때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을 살펴본 결과 숙달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중급 학습자들은 고급 학습자들에 비해 어휘 사용, 문법 사용, 글의 구조에 대한 어려움을 많이 느꼈으며 내용 구성에 대해서는 고급 학습자들이 중급 학습자들보다 더 어려움을 느낀다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쓰기 후 해당 프롬프트에 대한 설문과 사후 인터뷰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참여자들은 다양한 목적의 쓰기를 경험한 모국어 쓰기와 달리 숙제나 시험으로 경험한 한국어 쓰기에 대하여 ‘시험’이라는 부담감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학습자들이 글을 쓸 때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프롬프트 유형은 구조(틀) 제시 프롬프트였으며 이는 쓰기 전 주제에 대해 파악하고 글 전체의 구성을 생각할 때의 시간을 절약해 주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세 번의 쓰기를 참여하면서 숙제로 혼자 쓰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쓰기를 수행하는 시간을 주었다는 데에 만족감을 느꼈으며 자신이 완성한 쓰기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피드백에 큰 도움을 받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쓰기를 수행할 때 프롬프트 유형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양상과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쓰기 평가를 위한 쓰기 문항 개발과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는 쓰기 문항 설계를 위한 교육 자료로서의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홈트레이닝 활성화를 위한 브랜딩 전략 및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신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최근 몇 년간 단순히 외형적인 아름다운뿐만 아니라 내면의 아름다운 역시 화두에 오르면서 건강과 운동에 대한 중요성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홈트레이닝(Home Training)’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이것은 체육시설에서 하는 체육활동이 아니라 언제 어디에서 어떤 도구를 사용하든 상관이 없는 운동법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쉽게 할 수 있고, 그와 관련된 정보 역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것을 찾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홈트레이닝 영상과 방법 또한 다양하게 공유되고 있다. 빠르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온라인상에서 홈트레이닝의 정보가 늘어나고 있으며, 스마트 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한 홈트레이닝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국민의 건강을 위한 홈트레이닝 활성화에 대해 브랜드를 개발하고 사용자가 올바른 홈트레이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논문의 구성은 홈트레이닝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이해하고 홈트레이닝 관련 국내, 외 애플리케이션 사례 연구를 통해 현재의 문제점 및 연구 과제를 도출한다. 그리고 새로운 홈트레이닝 플랫폼을 제안하여 플랫폼 시나리오를 통하여 홈트레이닝 전문가 1명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사례 분석을 통해 많은 홈트레이닝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홈트레이닝에 도움받기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에 전문지식이 부족한 이 사용자들은 단순히 보고 따라 하기 쉽지 않으며 잘못 따라했을 경우 몸을 다칠 수 있다. 이 논문의 결론에서 나타날 플랫폼에는 홈트레이닝 전문가가 사용자에게 올바른 홈트레이닝을 가르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플랫폼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나 올바른 홈트레이닝을 위해 사용할 수 있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홈트레이너를 통해 쉽고 체계적으로 홈트레이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티를 통해 사용자들 서로가 의지하며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본 연구는 트렌드를 통해 생겨난 홈트레이닝을 올바르고 체계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문가와 미숙한 사용자를 서로 연결해주는 플랫폼으로 개발하고 비즈니스 제안을 통해 제 4차 산업의 흐름에 맞추어 연구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올바른 홈트레이닝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홈트레이닝이 좀 더 활성화되어 다양한 새로운 논제가 제시되길 바란다.

      • 요약하기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독해 능력과 읽기 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신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대학입학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 교육에서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독해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읽기 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요약하기 활동의 실제적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은 대학입학 후 대학수학에 필요한 다양한 학문적 텍스트를 접하게 되는데, 이때 이들에게 읽은 내용의 핵심을 파악하여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고, 종합하는 능력은 이들이 성공적인 대학수학을 하는 데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효과적 방법으로 요약하기 활동을 제안하였으며, 요약하기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전략학습을 통해 한국어 학습이 목적이 아닌 대학수학의 학문을 목적으로 하는 환경에서 효율적인 읽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훌륭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의 S대학교의 한국어교육원에서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급이상의 학습자 3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의 참여자는 중국인 학습자로 구성하였으며, 이들을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을 하는 실험 집단 16명과 일반 읽기 수업을 진행하는 통제 집단 16명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1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육에서의 전략학습의 필요성과 그에 대한 구체적 활동으로 요약하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또, 이와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교육에 관한 연구이고, 둘째는 읽기 전략에 관한 연구이며, 셋째는 구체적 활동인 요약하기 활동에 관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살펴 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은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은 학습자의 상・하향식 읽기 처리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1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각기 다른 읽기 수업을 진행한 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읽기 점수의 향상에 대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상・하향식 읽기 문항별 향상에 대한 유의도 검증 결과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뒷받침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일반적 읽기 능력에 대한 정의와 학문 목적 읽기를 하는 데 있어 요구되는 읽기 능력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읽기 활동을 할 때 텍스트 안에서 의미를 구성해내는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모형과 이론들을 다루었다. 또, 읽기 활동과 읽기 전략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활동으로서 요약하기 활동에 대한 연구들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1장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와 이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방법과 실험 설계 및 절차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문제에 대한 실험의 결과를 밝혔으며, 그에 대한 해석을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 따른 결론과 연구의 제한점 및 시사점을 다루었다. 본 연구 문제에 대한 실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에 해당하는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은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독해 능력이라 정의한 전체 점수에 대하여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지 못하였다. 반면, 사전ㆍ사후검사지에 대한 집단 내의 향상도면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연구문제 2에 해당하는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은 학습자의 상・하향식 읽기 처리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사후검사에서 하향식 문항에 대해 요약하기 활동을 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상향식 문항에 대해서는 통제 집단이 실험 집단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이로써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하향식 읽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 각 집단 내의 상ㆍ하향식 문항에 대한 향상도를 살펴본 결과, 하향식 문항에 대한 향상도는 통제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실험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다시 한번 요약하기 활동이 하향식 읽기 처리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상향식 문항에 대한 향상도는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모두 사전검사지보다 향상되었고,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은 학습자의 하향식 읽기 처리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사전과 사후검사 결과에 향상된 점수차를 보였기 때문에 단기간의 훈련이 아닌 장기간의 수업을 구성한다면, 향상된 점수의 차이가 클 것으로 기대해 본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수업을 할 때 이들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효과적인 읽기 전략인 요약하기 활동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대학수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actical effects of Summarization as a study strategy by analysing how this affects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top-down, bottom-up reading processing ability of learners who were studying Korean for higher education. In Chapter 1, required study strategies in reading study were stated and summarization was suggested as a key activity of reading comprehension. Furthermore, existing studies were reviewed using three different criteria. First, the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only limited to those who were learning Korean to go to university in Korea. Second, studies only related to reading strategies were considered. Last, the studies must have handled summarization as a concrete activity. Based on these criteria, there are two questions to investigate posed for this study. Key Research Question 1. Does summarization as a reading strategy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readers' comprehension abilities ? Key Research Question 2. Does summarization affect learners' abilities of top-down/ bottom-up process? In Chapter 2, the defini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was discuss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the reading requirements for non-native speakers with academic purpose were described as well as the diagrams and theories explaining the procedures of re-consistituting the meaning while reading the text. In Chapter 3, the method and the procedures of the present study were mentioned. The subjects were restricted to 32 Chinese students studying Korean for higher education at S university in Chung Nam Province, and they were divided as two groups as a test-group and control-group. First 16 students in the test group had practiced summarization with other reading strategies and the remained 16 in control group had only been taught reading conventionally without any strategies. In chapter 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with possible interpretations. In chapter 5,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stat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regarding the key question 1 (Does summar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readers' comprehension abilities?) Both group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s of reading comprehension at the post-test, however, the scores of the test group about the pre and post-tests were more considerably and statistically increased than the control-group's. After analysing the results of the second key question (Does summarization affect on learners' processing ability of top-down/ bottom-up?), the scores of test group in the post top-down tests after studying summarization with reading strategies were statisticall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ame test after general reading classes. However, the scores of latter group were higher in the bottom-down questions but that value was not considerably high. Throughout the study, it could be inferred summarization enhances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especially in top-down process. The amount of improvement of two groups was also considered in test questions related to top-down and bottom-up process respectively. As for the top-down questions, the test-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control group remained at the same level. These findings seemed to support the claim that summarization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performances in top-down reading process, Whereas, both groups showed more significant and statistical differences about bottom-up questions at the post-test than at the pre-test. However,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benefits of additional reading classes rather than the effects of summarization.

      • 온라인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효과

        신희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온라인 수용전념치료가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대학교 커뮤니티에 연구 참여 홍보물을 게시하여 참여를 희망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여자대학생을 모집했다. 참여자들은 무선할당을 통해 처치집단(n=16)과 대기통제집단(n=16)에 배정되었다. 처치집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프로그램(ZOOM)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회기별 약 90분, 4주간 주 2회, 총 8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연구 도구는 수용행동질문지(AAQ-16), 자기통제력 척도(SCS), 자아존중감 척도(RSES),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SAPS-A)이며,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시간(Screen Time)을 추가로 적어 제출하도록 했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를 실시했고, 프로그램 종료 6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수용행동, 자기통제력 수준, 자아존중감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그러나, 지각된 스트레스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