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무원 교육훈련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신철민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행정환경속에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우수한 자질을 갖춘 공무원 양성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출발하였으며, 공무원의 능력이나 자질이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저하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변수중의 하나로, 공무원의 능력개발 및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훈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한 이유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민간기업과 선진 외국기관의 공무원 교육훈련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공무원 교육훈련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여 교육훈련 제도적 측면 및 방법, 운영적 측면에서 문제점을 찾고 발전방안을 제시함

      • 老人憂鬱症의 血中 炎症 指標, 補體因子 H에 關한 硏究

        신철민 高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 노인우울증에 염증이 관여한다는 일련의 연구결과가 있다. 보체계가 면역에서 가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노인우울증과의 연관성을 확인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보체계 대체 경로의 구성인자인 complement C3, complement factor H가 우울증이 있는 환자군과 정상군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모집한 안산노인코호트 내에서 무작위로 추출하여 우울군(n=76)과 대조군(n=76)을 설정하였다. 2015년 8월 보관 중이던 혈액표본에서 complement factor H와 C3의 plasma 농도를 구하기 위하여 Milliplex로 immunoassay를 시행한 후 Luminex-20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Complement factor H의 혈중 농도가 정상군보다 우울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complement factor H와 우울증의 증상 간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우울증에 complement factor H가 조절자 역할을 하는 보체계 대체 경로의 작용이 관련되었음을 뒷받침한다.

      • 外傷後鬱憤障碍 尺度 한글版의 標準化 硏究

        신철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embitterment,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PTED) and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Self-Rating Scale(PTED Scale). We also investigat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TED Scale. Methods : Subjects included both male and female psychiatric outpatients, all aged 18 years or older. All subjects were diagnosed as having DSM-IV depressive disorder.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in Korea and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TED Scale, Korean version of PTED Scal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s(PHQ-9) and 15-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s(PHQ-15) were administered to Subjects. Results : 30.4% of subjects were reported as having PTED, speaking this prevalence is similar to that presented in the first German study.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PTED Scale was good,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at was excellent(Cronbach’s alpha=0.962).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PTED Scale and PHQ-9 and PHQ-15, speaking for a good convergent validity of the PTED Scale. Conclusion : From this study, we introduce PTED and the PTED Scale and standardize the PTED Scale to screen and diagnose PTED. The Korean version of PTED Scale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for embitterment as an emotional reaction to a negative life event. 연구목적 :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울분, 외상후울분장애의 개념과 외상후울분장애 척도의 한국어 번역판을 소개하고자 한다. 둘째로, 한국의 외상후울분장애 유병률에 대한 예비 자료를 제시하고, 한국인 외상후울분장애 환자들의 특징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판 외상후울분장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참여자들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신과 외래에 내원한 18세 이상의 남녀환자들 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어판 외상후울분장애 척도, 9개 항목 환자건강설문지(9 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s), 15개 항목 환자건강설문지(15-item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의 작성을 통해 외상후울분장애의 한국 유병률을 예측하고, 외상후울분장애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한국어판 외상후울분장애 척도로 구한 한국의 외상후울분장애 유병률은 30.4%로서, 이는 이전 연구에 제시된 유사한 군의 외상후울분장애 유병률과 비슷한 결과였다. 외상후울분장애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높은 수준의 내적 일치도를 나타냈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높았다. 외상후울분장애 척도와 PHQ-9, PHQ-15 간에는 높은 상관간계를 보여, 외상후울분장애 척도가 높은 수렴타당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외상후울분장애의 개념을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이를 선별, 진단하기 위한 한국어판 외상후울분장애 척도 표준화가 수행되었다. 한국어판 외상후울분장애 척도는 부정적 생활 사건에 대한 감정 반응이라는 울분의 정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신뢰있고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 마유에멀션에서 녹차추출물의 지방질 산화에 대한 영향

        신철민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Horse oil has been a popular skincare ingredient in Korea. In this study, the water in oil (w/o) emulsion using horse oil was prepared and th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GTE) on the oxidation of w/o emulsion with horse oil was investigated. The GTE was added to the w/o emulsion (60% horse oil) at the different concentration (0, 100, 500, and 1000 ppm) and the emulsions were stored at 50℃ for 6 days in the dark.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emulsion and the antioxidant effect of GTE were analyzed by peroxide values, changes in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GTE after water extraction at 80℃for 60 min was 127.68 ± 1.28 mg GAE/g and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86.54 ± 1.01%. The peroxide values of the w/o emulsion without GTE and the emulsion with 500 ppm α-tocopherol rapidly increased during storage of 6 days; however, the w/o emulsion with GTE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mulsions with 100, 500, and 1000 ppm GT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hibition of peroxide formation (p>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the emulsions with GTE decreased as storage day at 50℃ increased.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mulsion with 100 ppm GTE at 0 day was 35.70% and decreased to 19.73% at 6 day; however, those of the emulsions with 500 ppm and 1000 ppm GTE were 86.36 and 85.63% and they almost remained at the end of storage. The addition of GTE inhibited peroxide formation in the water in horse oil emulsion during storage and the polyphenol in GTE prevented the oxidation of horse oil emulsion. 최근에 마유(horse fat/oil)는 피부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화장품 성분으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적절한 품질 규격이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유를 이용하여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중 수적형(w/o) 에멀션을 제조하고, 마유에멀션의 저장 동안 산화 안정성 개선을 위해 녹차추출물을 첨가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 하였다. 녹차추출물을 0, 100, 500 및 1000 ppm 농도로 w/o 마유에멀션 (60% 마유)에 첨가한 후 50℃ 암실에서 6일 동안 저장하였다. 마유에멀션의 산화 안정성과 녹차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과산화물가, 총 폴리페놀 함량의 변화 및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에 의해 분석 되었다. 녹차추출 후 추출물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127.68 ± 1.28 mg GAE/g 녹차잎 이었고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은 86.54 ± 1.01%였다. 녹차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마유에멀션 및 500 ppm α-토코페롤을 함유한 마유에멀션의 과산화물가는 저장 6일 동안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녹차추출물을 첨가한 에멀션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고, 500 및 1000 ppm 녹차추출물을 첨가한 에멀션에서는 과산화물 형성 억제로 인해 마유 유지의 산화안정성을 개선시켰다. 녹차추출물을 첨가한 마유에멀션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50℃에서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저장 0일에 100 ppm 의 녹차추출물을 첨가한 마유에멀션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은 35.70% 이었고, 6일째 19.73%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500 ppm 및 1000 ppm 의 녹차추출물을 첨가한 에멀션의 경우 86.36 및 85.63%로 저장 기간에 따른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녹차추출물의 첨가는 저장 중 마유의 유중 수적형(w/o) 에멀션의 과산화물 형성을 억제하였고 녹차추출물의 폴리페놀화합물은 마유에멀션의 산화를 억제하였다.

      • 청색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용 새로운 안트라센 유도체의 합성과 그 물성에 관한 연구

        신철민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색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용 유기 재료 중에서 매우 관심있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중의 하나인 발광층 (Emitting layer, EML) 에 사용되는 재료인 청색발광용 유기 재료를 합성하고 이를 소자와 하여 새로운 청색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용 재료의 계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제작되는 소자의 효율 향상을 위해 양자 효율이 우수하고 안정적이면서, 청색발광을 하는 화합물인 Anthracene 을 기본으로 하여 여러 가지 anthracene 유도체의 분자를 디자인하고 Pd 계 촉매를 이용하여 최종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5종의 anthracene 유도체들은 NMR 과 FAB Mass 분석을 통한 구조 분석을 시작으로 해서, optical properties, thermal properties, electrochemical properties, 를 각각 측정하였고, 합성한 재료들의 UV-vis. 측정 결과 350~400 nm 에 걸쳐 anthracene 특유의 vibrational pattern 을 관찰 하였고, PL spectrum 의 결과는 3,3'-DABP 477nm, 3,3'-DPBP 439nm, 3,3'-DCF3BP 451nm, 3,4'-DPBP 454nm 에서의 최대 형광 peak 를 관찰하였다. cyclic voltammetry (CV) 측정을 통해 각 compounds 의 HOMO energy level 을 계산하여 5.61~5.67 eV 의 값을 확인 하였다. ITO/2-TNATA(60nm)/NPB(15nm)/EML(30nm)/Alq3(30nm)/LiF(1nm)/Al(200nm) 의 구조로 소자를 제작하여 각 model compounds 에 대한 electroluminescence properties 를 알아보았다. 3,3'-DABP, 3,3'-DPBP, 3,4'-DPBP 의 EL spectrum은 PL spectrum 과 매우 유사한 값은 나타내었지만, 흥미롭게도 3,3'-DCF3BP 의 경우에는 electron-withdrawing group 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PL spectrum 과는 매우 다른 EL spectrum 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model compounds 중에서 3,4'-DPBP 의 EL 특성이 매우 우수하게 측정되었는데, 10mA/cm2 를 기준으로 current efficiency 가 5.45 cd/A, power efficiency 가 2.01 lm/W 로 standard 물질로 사용된 DPVBi 의 3.47 cd/A, 1.26 lm/W 보다 매우 향상된 EL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칭구조인 3,3'-DPBP 와 비교하여 비대칭 구조인 3,4'-DPBP 에서 볼 때 그 치환기의 위치에 따른 구조적 특성에 따라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 하였다. 3,4'-DPBP 의 CIE 값은 (0.18, 0.23) 으로 측정되었다.

      • 자동화된 XML문서변환시스템의 구현과 성능분석

        신철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s, the trend of integrating legacy systems using Web Services is increasing. However, XML document formats for input and output arguments of such syste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XML document can have its own definition flexibly. Due to these differences, it is very difficult for developers to integrate several Web Services efficiently. To overcome this problem, major XML vendors and academic researchers have developed many XML transformation tools, which can generate XSLT, such as Altova Mapforce, Stylus Studio, and so on. However, these tools must need the user's intervention that indicates correspondences between related elements and attributes between two XML documents. In this paper, an automatic XML transformation system named AutoXTrans is implemented so that this system can automatically find correspondences from linguistic and structural information of XML documents. The main idea of AutoXTrans is based on the dissertation of Kyung-Ha Lee who is graduated from our lab. The evaluation with other schema matching systems is also performed. AutoXTrans has various capabilities to match between two or more XML Schema documents. And it also has an ability to find matching more reasonably by feasibility checking using histograms from data types and occurrence informations. From the performance point of view, AutoXTrans system is better than any other schema matching systems in the aspect of precision and recall. In experimentation, AutoXTrnas is compared to 2 other schema matching systems(Rondo, BizTalk mapper) ,and the selected XML schema documents from 4 domains(CIDX, Docbook, UBL, E-commerce) are used. The evaluation shows that the feasibility checking and user feedback process cause better result. AutoXTrans system can be used for the semantic web services and dynamic web services composition.

      • OBE 이력자료를 이용한 이상치 제거 범위 산정

        신철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교통정보시스템(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UTIS)과 지능형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를 연계하여 정확한 교통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교통체계를 구축하여 교통정보의 질적 향상 및 양질의 교통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도시지역의 통행을 향상하고 있다. 그러나 UTIS의 경우, 개인 및 영업용 차량의 업무 및 돌발 상황으로 인해 노변에 주정차 하거나, 무선통신 장치의 이상으로 인한 데이터 중복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교통정보 신뢰도를 저하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상치를 제거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상치 제거 시 사용되는 사분위편차와 관리도모형에서 산정된 범위 값을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이상치를 제거하고 있으며 이는 5분마다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의 특성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를 각각의 범위 값을 적용하여 이상치 제거 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BE 구간정보제공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실시간 OBE 교통정보의 개별차량 자료를 5분 단위로 가공 시 이상치를 제거하기 위해, 실시간 OBE 자료의 이상치 제거 방법은 통계 분석의 사분위편차와 관리도 모형으로 사용하였으며, 5분 집계자료의 수집건수에 따른 적합한 방법과 이상치 제거 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안산시 시내의 단일교차로 1개 구간으로 설정하였으며, 자료는 한양대학교 교통정보센터에서 수집된 2011년 9월 01일부터 9월 30일까지 1개월 동안의 OBE 원시자료를 사용하였다. 과거이력 데이터의 5분 단위 평균속도를 생성한 다음 실시간 5분 데이터의 평균속도와 중위 값을 구한 다음 이를 과거 평균속도를 기준으로 실시간 평균속도가 과거 평균속도와 오차가 적으면 관리도 모형을 적용하며, 중위 값과 과거 평균속도와 오차가 적으면 사분위편차를 적용하였다. 각각의 이상치 제거 모형을 구한 다음 실시간 속도를 도로별 소통상태의 따른 기준 속도에 따라 원활, 지체, 정체로 구분하였으며, 본 연구의 분석구간의 소통 등급별 속도는 원활은 40㎞/h 이상, 지체는 40㎞/h 미만 20㎞/h 이상, 정체는 20㎞/h 미만이며, 이후 데이터 수집건수에 따라 빈도가 가장 많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이상치를 제거한 다음, 통행속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상치 제거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분석구간의 첨두일인 금요일에 GPS를 장착한 차량을 이용하여 모의주행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현장 조사시간대의 UTIS 수집건수는 총 167개였고, 관리도 모형은 이상치 제거가 없었으며(0%), 사분위편차의 경우 7개(4.1%)를 제거하였고, 개선된 알고리즘은 13개(7.7%)를 제거하였다. MAPE는 사분위편차가 58.8%, 관리도 모형이 60.5%, 개선된 알고리즘이 60.8%로 개선된 알고리즘이 기존 이상치 제거 모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이상치 제거된 시간대의 정확도가 높지 않은 경우도 발생하였으나, 다른 이상치 제거 방법과 차이는 크게 나지 않았으며, 대부분 이상치가 제거가 됨으로써 기존 이상치 제거 방법보다 정확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간 5분 단위 데이터의 이상치 제거 시 개선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도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상치가 제거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점검지기체계와의 퓨전을 통해 통행속도 및 통행시간을 산정하여 신뢰성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 are UTIS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for the improved urban traffic by providing qualified traffic information to users through collecting and analysing exact traffic information with connecting those devices which can build the traffic system offering information via media. In the case of UTIS, however, there are lots of researches to remove outli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ecreased reliability on traffic information resulting from various reasons including parked personal or business automobiles owing to their affairs or unexpected situation and duplicated data from abnorm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ut the outlier in those researches has been removed by applying the value of range equally from the quartile deviation and management graphic statistics model and this would effect the facts because the system provides information by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data every 5 minutes. In this respect it need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ach value of range on outlier filter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m.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proper methods accordant to collected data every 5 minutes and the range of outlier filter using quartile deviation and management graphic statistics model for outlier filter of real-time OBE data so that it can remove the outlier from the processed data every 5 minutes on individual automobile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it selected a single intersection in Ansan-si and used OBE source data from September 01 to 30, 2011 collected by Hanyang University Traffic Information Center. The data was made by average speed per 5 minutes from the past and then the real-time average speed of 5 minutes and median were calculated. When the real-time and the past average speed had the low level of error on the base of the past average speed, management graphic statistics model was applied and when median and the past average speed had the low level of error, the quartile deviation was applied. After building the outlier filter model for each case, it divided real-time speed into smoothness, delay, and congestion accordant to the base travel speed. In this study smoothness means 40㎞/h or above, delay means 20㎞/h or above, and congestion means less than 20㎞/h. The travel speed was deduced by removing outlier after applying the most frequent weighted value from the collected data. On the base of the data above, outlier filter algorithm was provided. To estimate the function of the algorithm, there was driving simulation on the first Friday of the research using a car with GPS and total 167 was made for UTIS. Management graphic statistics model had no outlier filter (0%), the quartile deviation had 7 outlier filter (4.1%), and the improved algorithm had 13 outlier filter (7.7%). MAPE showed that the improved algorithm was superior to the precedent ones by making the result of 60.8% comparing the quartile deviation 58.8%, and management graphic statistics model 60.5%. There was somewhat low level of accuracy in a certain time zone but it was not high in comparing that of oth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was more improved than the precedent methods by removing most outlier. The result of research suggests that the improved algorithm would be better for outlier filter of real-time 5 minutes data and it can offer information with higher reliability by calculating travel speed and time with fusion of position detection system using data with outlier fil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