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韓國文學の中の日本近代文學 : 一九二○年代の詩と詩人たち /c申銀珠
본 논문은 한국근대문학과의 관련부분을 중심으로 주로 1920년대의 일본근대 시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장별 내용을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 일본 근대시의 한국에서의 소개와 그 의의' 에서는 한국근대문학 형성기의 일본근 대문학으로부터의 수용과 그에 대한 자기 비판 또는 반발의 일면을 일본근대 시의 번역시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제2장 朱耀翰과 가와지류코'는 주요한과 川路柳虹의 曙光詩社의 활동에 대해 조사, 柳虹의 近代詩史에서의 再評價와 함께 주요한의 日本語詩의 분석을 시도했다. 柳虹가 중심이 된 `현대시가'는 일정한 思潮나 주장은 보이지 않지만, 초기 특집에서 보여주는 참신하고 다각 적인 관심은 새로운 시의 방향을 모색하는 신진시인들에게 틀에 메이지 않는 자유로움과 넓은 시야를 갖게 했다고 생각된다. 한편, 주요한의 일본어시는 내용면에서 보면 향수성·종교성이 강한 작품에서 사상성·저항성이 강한 작품으로 변모하는데 이는 시인으로서의 성숙에 민족적 자각이 크게 작용했음 을 나타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3장 다카하시싱키치와 한국에서의 다다이즘의 수용'은 일본의 다다이즘 시인으로 일찌기 한국에 소개된 바 있는 高橋新吉를 중심으로 그의 다다시의 세계와 일본과 한국의 다다이즘의 수용 양상에 대해 비교 고찰한 것이다. 일본의 다다이즘은 다카하지나 츠지준등, 개인의 개성과 융합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한국의 경우는 극히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렀다고는 하나 당시의 사회의 인습과 권력을 타파하는 원동력으로 이해되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점은 파과외 무질서라는 이식문화 로만 여겨지던 다다이즘에 대한 새로운 일면을 조명해주는 것으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제4장 <조선>에서 본 나카노시게하루'는 한국 프로레타리아 문학운동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中野重治와, 그와 개인적인 교류를 가졌던 이북만, 임화를 중심으로 당시 프로레타리아 문학운동에 참여했던 문학자들의 민족과 국가를 초워한 연대감과 그에 동반하는 좌절과 고뇌를 일본과 한국의 관련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문학을 시야에 넣고 일본문학의 일면을 재조명하고 식민지 문학자의 내적 갈등과 굴절을 재음미한 것이다.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관계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 관계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상담학과 신은주 지도교수 홍성호 본 연구는 영유아의 문제행동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과 공감능력의 구조적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목적은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 교사의 TA 성격유형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또한 보육교사 의 TA 성격유형이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방법에 적용한 표본 추출 방식은 비확률표집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 조 사 기간은 2021년 8월 19일부터 9월 3일까지로 하였고, 표집을 위한 지역 설정은 서 울과 경기, 인천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자료 수집 기간 기준으로 보육교사는 국·공립, 민간(공공형 포함) 및 직장, 가정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자료 수집은 온라인 플랫폼과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400명의 자 료를 수집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였고 이상 치 및 불성실하게 응답한 20여 건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38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보육교사의 TA 성격특성 척도는 K-KSEG척도 (교류분석의 이고그램을 김종호(2009)가 한국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한국형 이고그램 척도)를 사 용하였고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 (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은 홍성호(2015)가 수정 보완하고 중요도를 첨가한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 육교사의 공감능력에 관한 설문지는 박성희(1997)가 개발 후 이상순(2008)이 재구성한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검정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시행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과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간의 직접 효과 를 검증한 결과 권위적인 비판적 어버이자아(CP)와 본능적이고 자발적인 자유로운 어린이자아(FC), 순응하는 어린이자아(AC)는 공감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통계적 으로 무의미하게 나타났다. 온화하고 수용적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와 논리적이며 객관적인 어른자아(A)는 공감능력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직접 효과검증에서는 인지공 감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는 유의미하고 정서적 공감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자유로운 어린이자아(FC) 그리고 양 육적 어버이자아(NP)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넷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과 공감능력,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 관계를 분 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하위요인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는 정서적 공감 을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엄격하고 통제적인 비판적 어버이자아(CP)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온화하고 수용적 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와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어른자아(A)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은 문제행동 지도전략 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허용 적이고 수용적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는 정서 공감을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 지도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주제어 : TA 성격유형, 문제행동, 문제행동 지도전략, 공감능력
AHP 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가치평가 연구 : 목포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신은주 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Since the modernization, the advance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flow of populations from rural to urban areas and, as a result, cities have dramatically expanded. However, after the dramatic industrialization, cities have lost its productivity and functions, lagging the infrastructure and consequently falling the quality of urban life. This has finally led to urban emptiness. In order to deal with this urban issue, a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which focuses on the discover of distinct cultural factors and history of each city since the late 1890s has been carried out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everal methods have been tried to regenerate the cities after 199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ssible indicators of urban regeneration’ for urban regeneration and according to surveys of AHP and data analysis, it has been tried to find an interactive evaluation between data. To get data for possible standards of urban regeneration, there have been several following steps. Firstly, information from previous researches on urban regeneration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cases has been comprehensively collected to standardize indicators of urban regeneration. Secondly, based on data from previous researches, there are initial four main areas, physical, socio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aspect. Physical area includes ‘buildings and maintenance of its infrastructure’, ‘securement of various residential area’, ‘high efficiency of complex development on land’, ‘expansion of transport system and facilities’ and ‘expansion of parks and green areas’. Sociocultural area includes ‘reinforcement of healthcare service’, ‘vitalization of cultural activities’, ‘preservation of historical sites’, ‘reduction of crime rate’ and ‘creation of sustainable communities’. Economic aspect includes ‘population influx through centralized housing in cities’, ‘promotion of high-technology industry’, ‘creation of employment for local residents’ and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Political aspect includes ‘improvement of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financial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and ‘establishment of promotion organization’. There are 17 sub-structures in total. Finally, although the population in the city of Mokpo has remained steady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e city has lagged, according to a survey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Korea, city residents in Mokpo response and prioritize ‘Physical aspect’, ‘Economic aspect’, ‘Sociocultural aspect’ and ‘Political aspect’. They mark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physical aspect, ‘buildings and maintenance of its infrastructure’, ‘securement of various residential area’, ‘high efficiency of complex development on land’, ‘expansion of transport system and facilities’ and ‘expansion of parks and green areas’ in order and for the economic aspect, ‘creation of employment for local residents’, ‘population influx through centralized housing in cities’, ‘promotion of high-technology industry’ and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in order and for sociocultural aspect, ‘reinforcement of healthcare service’, ‘vitalization of cultural activities’, ‘preservation of historical sites’, ‘reduction of crime rate’ and ‘creation of sustainable communities’ and for the political aspect, ‘improvement of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financial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and ‘establishment of promotion organization’ in order. Through this study, although possible standards of urban regeneration and priorities of its indicators have been investigated, a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for an investigation on the level of city residents’ satisfaction on urban regeneration. 근대이후 산업화와 기술의 발달은 도시 인구유입을 증가시켰고 그 결과 도시는 급격하게 팽창되었다. 그러나 급격한 산업화 이후 생산동력을 잃고 기능이 쇠퇴한 도시는 공공서비스시설, 도시기반시설이 점차 낙후되며, 거주하고 있는 인간 삶의 질적 저하와 함께 도시공동화를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890년 후반부터 각 도시가 가진 고유한 역사 및 문화 요소와 경제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시 도시를 활성화 시키려는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1990년 이후부터는 도시재생을 위한 실제적인 다양한 시도들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계획과 설계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를 설정하고, AHP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해 각 지표 사이의 상대적 가치평가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가치 평가를 위한 계획 지표를 추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첫 번째로 기존의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문헌검토 및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하여 관련 지표를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종합화하여 지표화 할 수 있는 모든 요소들을 수집함으로서 주요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가 누락되지 않도록 하였다. 두 번째로 기존 연구보고서들의 분류 기준을 토대로 수집된 요소들을 분석하여 『물리적측면』, 『사회문화적측면』, 『산업경제적측면』, 『정책제도적측면』 4개의 1차 계층구조를 설정하고 『물리적측면』하부구조로 ‘건축물 및 기반시설 정비’, ‘다양한 도심주거의 확보’, ‘복합개발을 통한 토지 이용의 고효율화’, ‘교통수단 및 시설확충’, ‘공원 및 녹지공간 확충’, 『사회문화적측면』하부구조로 ‘의료복지서비스 기능 강화’, ‘도심 문화활동 활성화’, ‘역사적 공간의 보전’, ‘범죄율 절감’,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조성’, 『산업경제적측면』하부구조로 ‘도심주거 도입을 통한 인구유입’, ‘도시형 첨단산업 육성’, ‘지역주민을 위한 다양한 고용창출’,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제도적측면』하부구조로 ‘도시재생관련 제도 개선’,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재정적 지원’, ‘민관협력 추진기구의 구성’ 총 17개의 2차 계층구조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20년간 인구가 정체되고 낙후되어 있으나, 도시내 많은 역사 문화요소를 가지고 2014년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선도지역’으로 선정된 목포지역 거주민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통해 설정된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각 항목별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자들은 ‘도시재생사업 계획지표’의 1차 계층구조로써 『물리적측면』, 『산업경제적측면』, 『사회문화적측면』, 『정책제도적측면』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다. 2차 계층구조로써 『물리적측면』에서는 ‘건축물 및 기반시설 정비’, ‘다양한 도심주거의 확보’, ‘복합개발을 통한 토지 이용의 고효율화’, ‘교통수단 및 시설확충’, ‘공원 및 녹지공간 확충’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산업경제적측면』에서는 ‘지역주민을 위한 다양한 고용창출’, ‘도심주거 도입을 통한 인구유입’, ‘도시형 첨단산업 육성’, ‘지역상권 활성화’,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사회문화적측면』에서는 ‘의료복지서비스 기능 강화’, ‘도심 문화활동 활성화’, ‘역사적 공간의 보전’, ‘범죄율 절감’, ‘지속가능한 커뮤니티조성’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정책제도적측면』에서는 ‘도시재생관련 제도 개선’,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재정적 지원’, ‘민관협력 추진기구의 구성’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새재생사업시 필요한 계획지표와 지표별 중요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실제 도시재생이 이루어진 거주민들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여겨진다.
임상간호사의 직무관련 특성과 직무만족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관련 특성, 직무만족과 프리젠티즘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일반적 특성 중 학력은 프리젠티즘의 하위항목인 직무손실과 프리젠티즘의 하위항목인 직무손실과 차이를 보였고, 직무관련 특성 중 근무부서는 프리젠티즘의 하위항목인 지각된 생산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프리젠티즘의 요소인 건강문제와 직무손실은 직무만족과 부적상관이 있었고, 지각된 생산성과는 정적상관이 있었다.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건강문제 수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간호사-의사 관계만족, 직무손실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학력, 근무부서, 한 달 밤 근무일수, 의료진 상호작용, 자율성이었다.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근무부서, 의료진 상호작용, 업무요구, 자율성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직무만족을 높이는 여러 방안을 마련하여 실제로 임상에서 실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건반을 활용한 만성 뇌졸중 편마비 노인의 손기능 향상에 관한 사례 연구
신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iano playing to improve hand grasp strength and functional tasks in the post-stroke hemiplegia. A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of Activity of Daily Living on piano playing program in the patient. The subjects were two Elders with post-stroke hemiplegia who were treated no rehabilitation for hands and were over age 65 residing at sanatorium in Seoul. The subjects assessed for: (a)hand grasp in kilograms using a hydraulic dynamometer (b)lateral pinch and tip pinch in kilograms using a hydraulic pinch gauge (c)gross manual dexterity using box & block test. It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conducted piano playing with pre-test and post-test. It was used to analysis that data measured about hand function with dynamometer and pinch gau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piano playing program, exercises were conducted to increase hand grip, precision grasp and pinch. Second, during piano playing program, exercises were conducted to enhance gross manual dexterity. Third, after 3 weeks when closed piano playing program, elders kept the improvement of their hands. A participant with dominant hand in hemiplegia could eat and write by herself. Therefore, piano playing helps the patients of post-stroke hemiplegia get back their hand function. It indicate that piano playing as therapeutic instrument music playing is effective for hand grasp strength and functional tasks in the post-stroke hemiplegia. 본 연구는 건반을 활용한 치료적 악기연주가 만성 뇌졸중 편마비 노인의 손 기능 향상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S 시립요양원에 거주중인 좌·우 편마비 노인 2명이었으며, 주 3회 총 45회기를 진행하였다. 손의 기능 유지를 알아보기 위해 3주 후,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일대상을 포함한 뇌졸중 노인에 대한 선행세션이 13회 있었고, 앞선 13회의 세션에서는 통증 감소와 관절가동범위의 확장이 미비하였지만, 장악력·측면집기·각 손가락의 평균근력이 상승하여 손 기능 회복의 잠재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반 프로그램은 일상생활동작에서 꼭 필요한 쥐기와 집기의 기능적 움직임 강화에 초점을 두고 근·골격계 해부적 지식을 바탕으로 동작을 선별하였다. 대상자들은 환측의 통증·강직·마비를 호소하였으므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유도하기 위해 치료사의 신체적 지지를 기본으로 하여 연주방법과 음악을 구성하였다. 뇌졸중 노인의 손 기능은 건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장악력·측면집기·각 손가락 근력 검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감각 및 동통 촉진, 관절가동범위 등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뇌졸중 편마비 좌·우 대상자 모두 장악력·측면집기·각 손가락 근력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대상자 A,B는 약 2.7배, 2.5배의 손의 조작능력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건반 프로그램은 편마비 노인 환측 손의 쥐기와 집기 같은 잡기와 조작능력의 회복에 적절한 치료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손 기능 회복에 영향을 끼친 부수적인 요인으로는 통증완화로 인한 근 긴장도 감소, 관절가동범위의 회복, 손의 온도변화와 함께 비롯된 고유수용감각의 회복으로 보인다. 따라서, 건반을 활용한 치료적 악기연주는 신경 손상된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환측 손 기능 회복에 적절한 음악치료이며, 노화로 인해 근력약화를 경험하는 노인의 손 기능 강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어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치료적 악기연주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일상 영성’을 위한 영적 수련의 방법으로서 이냐시오의 ‘성찰’을 제시하며, 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일상’을 대하는 인식과 관점의 변화는 그리스도인들의 영성생활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일상은 영적 삶의 현장이다. 그리고 기독교 전통 가운데에는 일상 안에서 하나님과의 깊은 사귐과 변화로 이끌어주는 영성 수련의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모든 것 안에서 하나님을 발견”했던 이냐시오 영성의 핵심이 녹아 있는 ‘성찰’도 그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필자는 이냐시오의 ‘성찰’을 흔히 양심 성찰 또는 의식 성찰로 부르는 일반적인 관습은 ‘성찰’이 본래 지닌 의미를 축소, 상실시키는 것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냐시오의 영적 체험들과 『영신수련』의 구조와 관련된 ‘성찰’의 역할 그리고 『영신수련』의 핵심을 반영한 성찰의 각 단계들을 설명하면서, 이냐시오 ‘성찰’이 본래 양심 성찰과 의식 성찰로 구분된 것이 아니라 서로 긴밀히 조화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연구 과정들은 이냐시오 ‘성찰’의 고유한 의미와 가치들을 더욱 폭넓게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시대와 상황, 대상에 따라 유연한 변형과 해석이 가능한 『영신수련』과 마찬가지로 이냐시오 ‘성찰’은 현대 그리스도인들이 일상을 더욱 충실하게 살아가도록 도와주는 영적 수련의 한 방법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제시한다. 그리고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 이냐시오 ‘성찰’의 내적 의미와 특성들에 대한 고찰은 ‘성찰’을 직접 실천하거나 가르치는 이들에게 그것을 올바로 이해하여 보다 많은 영적인 열매들을 맺도록 도와줄 것이다. 주제어: 이냐시오, 영신수련, 성찰, 양심성찰, 의식성찰
여자 프로골프선수들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 퍼팅 루틴의 적용 및 효과검증
본 연구는 마음챙김 기반 퍼팅 루틴을 통해 여자 프로골프선수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기존의 골프 마음챙김 루틴(GMR)을 전문가 회의를 거쳐 수정, 보완한 마음챙김 기반 퍼팅 루틴을 KLPGA 소속 여자 프로골프선수 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사전에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선수들의 기존 문제점 등을 알아보았다. 선수들과의 만남은 총 8회기로 주 1회, 60~90분으로 이루어졌다. 세부 활동 내용에는 오리엔테이션, 마음챙김에 대한 개념, 마음챙김 명상 5가지, 심상, 그것을 말하기, 하지만/그리고, 현존하기 등이 포함되어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루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에는 심층면담을 통해 선수들이 스스로 인지하는 변화와 퍼팅 중요 요인의 변화에 대해 파악하였고 추가적으로 사전과 사후에 마음챙김 능력, 경쟁상태불안, 주의집중형태, 골프 수행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질적 자료는 귀납적 범주 절차를 통해, 양적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유의확률 p<.05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챙김 기반 퍼팅 루틴은 선수들의 정서적 안정, 객관적 자각, 심리기술의 기량 상승, 골프 기술의 기량 상승, 신체적 요소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둘째, 마음챙김 기반 퍼팅 루틴은 선수 개개인의 퍼팅 중요 요인에서 심리적 요인에 대한 비율을 상승시켰다. 셋째, 마음챙김 기반 퍼팅 루틴을 통해 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과 주의집중형태, 골프 수행력에서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마음챙김 능력, 비판단, 재집중 능력과 상태 자신감, 내적-과부하 주의력, 평균퍼팅수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골프선수들에게 마음챙김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선수들의 기술력이 뒷받침 될 때 기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다양한 개인 스포츠 종목에서 마음챙김 기반 루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되는 말 : 마음챙김, 프로골프선수, 퍼팅, 루틴 This study aim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it to female professional golfers through mindfulness-based putting routines. A mindfulness-based putting routine,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fter an expert meeting, was applied to eight female professional golfers from KLPG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in advance, we looked into existing problems of players. The meetings with the players totaled eight sessions, with 60 to 90 minutes a week. The details of the activities include orientation, concept of mindfulness, five mindfulness meditations, mental images, speaking of it, but/and, existing.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routines used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changes in players' self-awareness and important factors in putting, and to further identify changes in their pre- and post-mindfulness ability, competition state anxiety, attention patterns, and golf performance were used. Qualitative data through inductive category procedures, quantitative data utilize SPSS(ver.25.0) for a significant probability p<.05.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ndfulness-based putting routines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ers' emotional stability, objective awareness, skill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skills, skill improvement in golf skills, physical factors, etc. Second, mindfulness-based putting routines have increased the propor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in each player's putting important factors. Third, the mindfulness-based putting routine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layers in their competition state anxiety, attention patterns, and golf performance,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ndfulness ability, non-judgemental, refocusing ability and state confidence, internal-overload attention, and average putting count.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golfers were a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mindfulnes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provide information on mindfulness-based routines in various individual sports events as they can maximize their skills when their skills are supported. Key words : mindfulness, professional golfer, putting, rout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