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文學の中の日本近代文學 : 一九二○年代の詩と詩人たち /c申銀珠

        신은주 お茶の水女子大學 1995 해외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한국근대문학과의 관련부분을 중심으로 주로 1920년대의 일본근대 시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장별 내용을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 일본 근대시의 한국에서의 소개와 그 의의' 에서는 한국근대문학 형성기의 일본근 대문학으로부터의 수용과 그에 대한 자기 비판 또는 반발의 일면을 일본근대 시의 번역시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제2장 朱耀翰과 가와지류코'는 주요한과 川路柳虹의 曙光詩社의 활동에 대해 조사, 柳虹의 近代詩史에서의 再評價와 함께 주요한의 日本語詩의 분석을 시도했다. 柳虹가 중심이 된 `현대시가'는 일정한 思潮나 주장은 보이지 않지만, 초기 특집에서 보여주는 참신하고 다각 적인 관심은 새로운 시의 방향을 모색하는 신진시인들에게 틀에 메이지 않는 자유로움과 넓은 시야를 갖게 했다고 생각된다. 한편, 주요한의 일본어시는 내용면에서 보면 향수성·종교성이 강한 작품에서 사상성·저항성이 강한 작품으로 변모하는데 이는 시인으로서의 성숙에 민족적 자각이 크게 작용했음 을 나타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3장 다카하시싱키치와 한국에서의 다다이즘의 수용'은 일본의 다다이즘 시인으로 일찌기 한국에 소개된 바 있는 高橋新吉를 중심으로 그의 다다시의 세계와 일본과 한국의 다다이즘의 수용 양상에 대해 비교 고찰한 것이다. 일본의 다다이즘은 다카하지나 츠지준등, 개인의 개성과 융합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한국의 경우는 극히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렀다고는 하나 당시의 사회의 인습과 권력을 타파하는 원동력으로 이해되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점은 파과외 무질서라는 이식문화 로만 여겨지던 다다이즘에 대한 새로운 일면을 조명해주는 것으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제4장 <조선>에서 본 나카노시게하루'는 한국 프로레타리아 문학운동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中野重治와, 그와 개인적인 교류를 가졌던 이북만, 임화를 중심으로 당시 프로레타리아 문학운동에 참여했던 문학자들의 민족과 국가를 초워한 연대감과 그에 동반하는 좌절과 고뇌를 일본과 한국의 관련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문학을 시야에 넣고 일본문학의 일면을 재조명하고 식민지 문학자의 내적 갈등과 굴절을 재음미한 것이다.

      •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관계

        신은주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공감능력 및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 관계 중부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상담학과 신은주 지도교수 홍성호 본 연구는 영유아의 문제행동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과 공감능력의 구조적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목적은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육 교사의 TA 성격유형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또한 보육교사 의 TA 성격유형이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방법에 적용한 표본 추출 방식은 비확률표집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 조 사 기간은 2021년 8월 19일부터 9월 3일까지로 하였고, 표집을 위한 지역 설정은 서 울과 경기, 인천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자료 수집 기간 기준으로 보육교사는 국·공립, 민간(공공형 포함) 및 직장, 가정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자료 수집은 온라인 플랫폼과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400명의 자 료를 수집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였고 이상 치 및 불성실하게 응답한 20여 건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38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보육교사의 TA 성격특성 척도는 K-KSEG척도 (교류분석의 이고그램을 김종호(2009)가 한국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한국형 이고그램 척도)를 사 용하였고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교사용 (Teacher Strategy Questionnaire: TSQ)은 홍성호(2015)가 수정 보완하고 중요도를 첨가한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 육교사의 공감능력에 관한 설문지는 박성희(1997)가 개발 후 이상순(2008)이 재구성한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검정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시행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과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간의 직접 효과 를 검증한 결과 권위적인 비판적 어버이자아(CP)와 본능적이고 자발적인 자유로운 어린이자아(FC), 순응하는 어린이자아(AC)는 공감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통계적 으로 무의미하게 나타났다. 온화하고 수용적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와 논리적이며 객관적인 어른자아(A)는 공감능력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의 직접 효과검증에서는 인지공 감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는 유의미하고 정서적 공감은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자유로운 어린이자아(FC) 그리고 양 육적 어버이자아(NP)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넷째,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과 공감능력, 문제행동 지도전략의 구조적 관계를 분 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하위요인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는 정서적 공감 을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엄격하고 통제적인 비판적 어버이자아(CP)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온화하고 수용적 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와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어른자아(A)는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주었다.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은 문제행동 지도전략 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보육교사의 TA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허용 적이고 수용적인 양육적 어버이자아(NP)는 정서 공감을 매개로 하여 문제행동 지도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주제어 : TA 성격유형, 문제행동, 문제행동 지도전략, 공감능력

      • Characterization of Porcine Campylobacter Isolates Highly Resistant to Erythromycin : 돼지의 장에서 분리한 에리스로마이신 고도내성 Campylobacter의 특성 연구

        신은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Many animal species harbor Campylobacter in their intestinal tracts which are considered as potential sources of Campylobacter for humans. Campylobacter jejuni appears predominantly among cattle and broiler chickens, but is found only at a low frequency among pigs, in which C. coli predominates. In recent years, human campylobacteriosis has shown a dramatic increase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currently represents one of the principal causes of bacterial food-borne diseases. As the potential exists for the transmission of antimicrobial-resistant animal isolates to humans, the presence of antimicrobial-resistant isolates in the food chain has raised concerns that the treatment of human infections will be compromised. Rapid isolation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se organisms is thus a desirable objective to provide important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isolated Campylobacter species from 24 pig farms in 10 different regions in the Kyung-gi and Choongchung Provinces of Korea. And they were assayed with regard to their susceptibility to seven antimicrobial agents. A total of 114 Campylobacter isolates from 572 intestinal samples were all identified as C. coli via both classical methods and molecular methods, including 16S rDNA sequence analysi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s (PCR) using specific primer sets for the hippuricase gene and the aspartokinase gene, designed to differentiate C. coli from C. jejuni.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seven antimicrobial agents were determined via agar dilution: the MIC_(90)s were 64 ㎍/ml for ampicillin, 8 ㎍/ml for chloramphenicol, 64 ㎍/ml for ciprofloxacin, 16 ㎍/ml for enrofloxacin, ≥128 ㎍/ml for erythromycin, ≥128 ㎍/ml for gentamicin, and ≥128 ㎍/ml for tetracycline. The proportion of isolates resistant to each antimicrobial agent was as follows: 28.9% for ampicillin, 2.6% for chloramphenicol, 84.2% for ciprofloxacin, 83.3% for enrofloxacin, 46.5% for erythromycin, 20.2% for gentamicin, and 56.1 % for tetracycline. All 114 isolates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at least one antimicrobial agent, and 61 isolates (53.5%) were found to be multi-drug resistant (resistant to more than three antimicrobial agents in different classes). Macrolides, the drug of choice for treating Campylobacter infection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veterinary field for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purposes. Erythromycin resistance in C. coli from food animals is frequently isolated, whereas erythromycin resistance in C. jejuni rarely occurs. Two mechanisms, target modification and efflux, are involved in the macrolide resistance in Campylobacter, but there is no evidence that Campylobacter produces macrolide-modifing enzymes. When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erythromycin were assayed with the agar dilution method, 80 isolates were resistant to erythromycin (MIC≥4 ㎍/ml). These were 31 strains with low level resistance (LLR, MIC=4~16 ㎍/ml) and 49 isolates with high level resistance (HLR, MIC≥32 ㎍/ml). The HLR isolates carried a point mutation at position A2075G in Domain V of 23S rRNA gene while LLR isolates carried no mutation.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the focus placed on the 49 isolates that were classified within the HLR group which was among the groups that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erythromycin susceptibility. HLR isolates were clustered into 16 clusters by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using a 50% genetic similarity as the cutoff. Forty six among 49 erythromycin HLR isolates showed cross resistance to 6 various macrolide derivatives. It has been observ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hibitory activity of carbonyl cyanide m-chlorophenylhydrazone and the existence of cmeB responsible for efflux in HLR isolates was low. Erythromycin-resistance was transferred from 38 isolates among 43 HLR isolates to susceptible C. coli by natural transformation with the frequency of 1.217 X 10^(-9)~4.618 X 10^(-6). Every transformant was erythromycin resistant and had uneven A2075G mutation of the three copies of the 23S rRNA gen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followings: 1, the genetic diversity among the erythromycin HLR isolates from swine in Korea is very high; 2, the main mechanism of macrolide resistance is point mutation of A2075G in the 23S rRNA gene; 3, they are cross resistance to other macrolide analogs; 4, the cmeABC efflux gene is not the sole gene responsible for the macrolide efflux mechanism; 5, since Campylobacters in porcine coexist with various different strains within the same environmental niche, the antibiotic may give the positive pressure for intra-species transfer of resistant genes.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antibiotic consumption in the veterinary field and preval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t Campylobacter and to characterize possible mechanisms of erythromycin resistant. In addition, using 200 porcine colon tissues, the efficiencies of three different isolation methods of Campylobacter from porcine intestines were compared: Method 1, direct streaking of colon mucosa; Method 2, direct inoculation of intestinal contents with a swab; Method 3, inoculation after pre-enrichment. A total of 460 Campylobacters were isolated from 178 samples (89%) by direct streaking of colon mucosa, 142 samples (71%) by direct streaking of a swab, and 94 samples (47%) by pre-enrichment of intestinal contents in Preston broth. Direct streaking of colon mucosa was superior to the other two isolation methods, in terms of rapidity and higher efficiency. When isolates were identified with various biochemical tests and PCRs specific to 16s rRNA, mapA, and ceuE, C. coli was the predominant species (87%) in porcine, while the rest of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C. lanienae. 여러 동물들의 소화기관 안에는 여러 종의 Campylobacter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 C. jejuni는 소와 닭에서 주로 분리되며 C. coli는 돼지에서 우세하게 분리된다. 동물의 소화기에 존재하는 Campylobacter에 의해 사람이 감염되어 Campylobacter 식중독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주로 C. jejuni와 C. coli에 의한 감염이다. 현재 산업 국가에서 일어나는 식중독 중 Campylobacter 식중독이 가장 흔하고 또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동물 유래 Campylobacter 의 항생제내성으로 인해 사람의 Campylobacter 식중독 치료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보다 효과적인 역학 연구와 임상 연구를 위해 Campylobacter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정확하게 동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경기도와 강원도에 위치한 10개 지역의 24개 가축 농장으로부터 유래한 돼지에서 Campylobacter를 분리하였다. 도축 직후의 572마리의 돼지의 대장 일부와 그 안의 내용물을 취하여 Campylobacter를 분리하였다. 114 분리주의 형태적, 생화학적, 그리고 분자 유전학적 동정을 수행 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C. jejuni와 C. coli를 구별하기 위하여 hippuricase 유전자와 aspartokinase 유전자에 대한 PCR 증폭을 수행하였다. 114 분리주는 모두 C. coli 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7종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 정도를 배지 희석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각 항생제의 MIC_(90)은 ampicillin 64 ㎍/ml, chloramphenicol 8 ㎍/ml, ciprofloxacin 64 ㎍/ml, enrofloxacin 16 ㎍/ml, erythromycin ≥128 ㎍/ml, gentamicin ≥128 ㎍/ml, tetracycline ≥128 ㎍/ml 이었다. 각 항생제에 대한 내성 비율은 ampicillin 28.9%, chloramphenicol 2.6%, ciprofloxacin 84.2%, enrofloxacin 83.3%, erythromycin 46.5%, gentamicin 20.2%, tetracycline 56.1% 이었다. 114 균주 모두 1개 이상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중 61균주 (53.5%)는 3개 이상의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다재 내성균 이었다. Erythromycin을 포함하여 macrolide 항생제들은 동물에게 치료와 예방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항생제이다. 식육으로 사용되는 가축에서 erythromycin 내성 C. coli 가 흔히 분리되지만 내성 C. jejuni 의 분리는 드물다. Campylobacter 의 erythromycin 내성 기전은 표적 변이와 약물 유출에 의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수식효소에 의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배지 희석법으로 최소억제 농도를 측정한 결과 80 균주가 erythromycin에 4 ㎍/ml이상의 최소억제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31 균주는 MIC=4~16 ㎍/ml의 저도 내성, 49 균주는 MIC>32 ㎍/ml의 고도 내성 균주 임을 알 수 있었다. 고도 내성 균주는 23S rRNA 유전자의 Domain V에 A2075->G 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었으나 저도 내성 균주는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는 erythromycin 고도 내성인 49 균주 들의 유전적 특성을 확인하고 균주들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고도 내성 균주 들의 23S rRNA 돌연변이 확인,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분석, 항생제 내성 유형, 유출 억제제에 의한 영향, cmeB 유전자 확인을 수행하였다. PFGE 결과에 따라 50% 이상의 유사성 집단을 같은 분류군으로 묶어 16 개의 분류군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고도 내성 균주 들의 유전적 다양성이 높음을 시사 한다. 이들은 모두 erythromycin 외의 다른 macrolide 항생제에도 교차내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arbonyl cynide m-chlorophenylhydrazone (CCCP) 에 의한 유출 억제와 유출 유전자 cmeB의 존재와의 연관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43 균주의 erythromycin 고도 내성균주의 DNA를 감수성 균주로 natural transformation하였을 때 38 균주의 DNA가 감수성 균주로 transformation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ransformation 빈도는 1.127 X 10^(-9)~1.618 X 10^(-6)으로 모든 transformant는 3개의 23S rRNA 유전자 중 적어도 한 개의 A2075->G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돼지에서 유래한 고도내성 C. coli 의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한국에서 분리한 돼지 유래 erythromycin 고도 내성 Campylobacter의 유전적 다양성은 매우 높다. 2, 고도 내성 Campylobacter의 주요 내성 기전은 23S rRNA 유전자의 A2075->G 돌연변이이다. 3, 이들은 macrolide 계열 항생제에 교차 내성을 나타낸다. 4. macrolide의 유출에 cmeABC 유전자와 독립된 유전자가 존재할 수 있다. 5, 항생제의 사용은 돼지의 장관 내에 공존하는 미생물간의 내성 유전자 전달의 압력으로 작용한다. 이와 함께 돼지 200 마리에서 결장 조직과 내용물을 함께 취하여 효과적으로 Campylobacter 분리하기 위한 3가지 방법의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방법 1, 결장 점막의 직접 도말; 방법 2, 면봉으로 취한 장 내용물의 도말; 방법 3, 장 내용물을 preston broth에 예비 증균 후 도말의 세가지 방법 분리 방법에 의해 방법 1, 결장 점막 조직의 직접 도말 한 경우에 가장 높은 Campylobacter분리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방법 1에 의해 178 시료 (89%)에서 Campylobacter를 분리할 수 있었다. 방법 2와 방법 3에 의해 142 (71%) 시료와 94 시료 (47%)로부터 Campylobacter를 분리하였다. 세 가지 방법에 의해 분리된 460 균주에 대한 생화학 동정과 16S rRNA 유전자, mapA, 그리고 ceuE의 PCR 증폭을 수행하여 이들은 C. coli (87%)와 C. lanienae (13%)임을 확인하였다.

      • 모델링 활동 사례분석 연구 :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신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수학의 논리적 구조와 내용 체계를 지도하는 것 뿐 아니라 실세계 맥락에서 탐구하고 추측하고 시험하고 반성하는 과정에서 수학을 구성하도록 돕는 것은 중요하다. 최근에, 학생들이 학습한 수학적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여 이를 실세계 맥락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학이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교과가 아니라 실생활과 관련이 된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실세계 맥락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과 수학을 일상생활과 유리된 추상적인 교과라고 인식하여 학습 동기와 흥미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이미 학습한 개념이나 절차를 단순히 기계적으로 적용하면 해결될 수 있는 단편적인 응용문제에 익숙해 온 점이 그 이유가 될 수 있다. 실세계 맥락을 탐구하면서 비형식적인 개념을 형식화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가 도입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이해하고, 그 후에 점진적으로 새로운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학습하고, 그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여 이를 다양한 실세계 맥락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실세계 맥락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과정은 진정한 의미에서 수학을 응용하는 학습과정이며, 모델링 활동에서 진정한 의미에서 수학을 응용하는 학습이 가능하다. 모델링 활동에는 실세계 맥락을 탐구하면서 수학적 구조와 관계를 추상화하여 비형식적인 상황모델을 형식적인 수학모델로 개발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추상화 과정은 탈맥락화된 추상화 과정이 아니라 실세계의 상황적 · 실제적 의미를 보존한 채로 추상화하는 상황적 · 실제적 추상화 과정이다. 또한 모델링 활동에서 학습자는 실세계 맥락에 내재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도구를 활용한 지각적 활동을 하고, 지각적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모델을 개발하는 인지적 활동을 하게 된다. 그 밖에도, 모델링 활동에서 학습자는 모델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수학적 지식에 대해 사고하고, 비판적으로 판단하여 선택하고, 그 활용 과정을 제어하면서 모델을 개발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모델링 활동에서 수학의 응용 학습, 상황적 · 실제적 추상화 학습, 도구를 활용한 탐구 학습, 메타인지적 사고 학습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수학 학습에서 모델링 활동의 역할로서 이 네 가지 학습의 중요성이 선행연구들에서 주장되어 왔다. 그러나 모델링 활동에서 이들 네 가지 학습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들 학습 과정이 밝혀지면 이를 기반으로 하여 바람직한 모델링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논의를 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모델링 활동에서 이들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을 밝히는 것을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모델링 활동에서 수학의 응용 학습은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진행되는가? 둘째, 모델링 활동에서 상황적 · 실제적 추상화는 어떤 과정을 통하여 학습되는가? 셋째, 모델링 활동에서 도구를 활용한 지각적 활동과 모델을 개발하는 인지적 활동은 어떤 상호작용 과정을 거치는가? 넷째, 모델링 활동에서 어떤 메타인지적 사고를 학습할 수 있으며 이 메타인지적 사고는 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방향을 설정한 후에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는 모델링 활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그 후,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학생들의 모델링 활동을 조사하고, 이에 기반을 두고 연구문제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첫째, 학생들이 수학을 응용하는 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실세계 맥락에서 자신의 경험과 활동을 조직화하고, 맥락을 단순화하고, 실세계 맥락을 재조직하는 재맥락화 과정을 거쳤다. 다음에는, 재구성적 일반화 과정과 상황적 추상화 과정을 거치면서 새로운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가 도입되는 필요성을 암묵적으로 이해하였다. 그 후, 점진적 형식화 과정에서 새로운 수학 개념, 원리, 법칙을 학습하였다. 마지막으로, 맥락화 과정과 확장적 일반화 과정에서 수학 개념, 원리, 법칙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고, 이를 실세계 맥락에 적용함으로써 학습한 내용을 심화하고 확장할 수 있었다. 하나의 모델을 개발한 후에는 이전 과정에서 개발한 모델에 비춰보아 합리적인지를 판단하는 타당화 과정이 수반되면서 모델을 수정하고 정교화하여 더 발달된 모델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모델링 활동에서 수학을 응용하는 학습 과정은 나선형 과정으로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모델링 활동에서 상황적 · 실제적 추상화를 학습하는 과정은 실세계 맥락의 상황적 · 실제적 의미가 보존된 다양한 모델들이 서로 연결되고 통합되면서 추상을 향하여 구체의 근방이 점점 더 확장되어 가는 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모델로 발달되어 가는 나선형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델링 활동으로 상황적·실제적 추상화를 학습할 때 실세계 맥락의 상황적 · 실제적 의미가 나선을 통하여 보존되면서 다양한 모델들이 재귀적으로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모델링 활동에서 모델을 개발하는 과정과 도구를 조작하는 활동 과정의 상호작용 과정을 밝혔다. 학생들은 물리적인 도구를 활용한 지각적 활동에 기반을 두어 비형식적인 상황모델을 개발하였다. 물리적인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도구에서 인지적 활동을 돕는 도구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모델에 내재한 수학 구조가 학생들에게 가시적으로 드러나면서 수학모델이 개발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도구를 조작하는 활동을 내면화함으로써 도구의 중재가 없는 상황에서도 일반화 가능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넷째, 모델링 활동에서 학습되는 메타인지적 사고를 분석하고, 이 메타인지적 사고가 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적 지식, 지각적 활동에서 구성한 구체적 지식, 수학적 지식을 사고의 대상으로 하는 인지적 지식을 활성화함으로써 모델을 개발하고 수정하고 정교화하였다. 또한 자신의 수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수학모델을 정교화 하여 일반화 가능한 모델을 개발할 수 없을 때 자신의 수학적 지식을 모니터하고 평가하고 새로운 수학적 지식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상의 네 가지 연구결과에 기반 하여 모델링 수업 지도방안과 수업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기초로 모델링 활동으로 탄젠트함수의 그래프를 학습-지도하기 위한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What is important in mathematics education is not only to teach students the knowledge of systematic structures and overall contents of mathematics but also to help students to construct mathematical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inferring, testing and reflecting in the realistic context. Recently, what is emphasized in mathematics education is that students should not only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enough to be able to apply these to mathematical problems in the realistic context but also realize the fact that mathematics is not an abstract and formulated subject, but an important subject with great relevance to everyday life. However, there have been on-going concerns about the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which is that firstly, students tend to lack in the capacity of applying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in solving problems in the realistic context, secondly, they seem to lack in their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partly due to their bias of viewing mathematics as an abstract subject detached from everyday life. A part of the reasons for these problems may be that in the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students are often taught to practice solving routine problems, which requires only mechanical application of mathematical concepts or problem solving procedures that they learned. What seems to be required for the current problems is that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necessity of learning new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in the process of gradually formulating the non-formulated concepts through exploring mathematical problems in the realistic context. And then, gradually, they should learn new mathematical concepts, principles and rules, and underst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m, which will equip them to apply what they learned to various problems in the realistic context. Through these processes, students can impro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in the realistic context with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This approach is, in a true sense, a learning process of applying mathematics, and this learning process can be accomplished in a modeling activity. A modeling activity includes a process of developing a non-formulated model of situation into a formulated mathematical model through the process of abstracting mathematical structure and relation from exploring realistic context. This abstraction process should be understood not as a process of creating abstract concepts detached from the realistic context, but as a process of situated and realized abstraction in which realistic context is abstracted into the mathematical world without losing their contextual and realistic meaning. Also, in a modeling activity, students will be engaged in the activity of perception by the use of various instruments to collect various sets of data in the realistic context and will be engaged in the activity of recognition in which they develop a mode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of model-development, students will think about and select critically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required for modeling, and control the process of using mathematical knowledge selected. Consequently, through a modeling activity, students will be engaged in the learning of applying mathematics to the realistic context, the learning of situated-realized abstraction, the learning of the exploring with instruments and the learning of metacognitive thinking. Through these learning, students will develop capacity to solve mathematical problems in the realistic context. In previous studies on a modeling activity, the importance of these four learning has been mostly emphasized. However, it has not been clear about the detailed mechanism of how these four learning progress in a modeling activity. Motivated by the questions regarding the detailed mechanisms of the progression of these learning, this research focused on elucidating the detailed mechanisms of these four learning. Once the detailed mechanisms are elucidated, a desirable modeling class can be designed in a better way by reflecting the detailed mechanism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First, through what mechanisms does the learning of applying mathematics progress in modeling activities? Second, through what process can the learning of situated-realized abstraction be accomplished in modeling activities? Third, what kind of mutual interactions are there between the activity of perception manipulating instruments and the activity of recognition for developing a model in modeling activities? Fourth, what kind of metacognitive thinking can be implemented and what effect does metacognitive thinking have upon the process of model-development? With the above questions in a mind,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was established. First of all,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research, various theories of the modeling activity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actual modeling activities of students were monitor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based on the cas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nalyzed in depth. First, the mechanisms of applying mathematics to the realistic context have been investigated. Students could organize their everyday experience and various activities, and simplify and reorganize the realistic context through the processes of re-contextualization. Next, through the processes of reconstructive generalization, expansive generalization and situated abstraction,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necessity of learning new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And then, through the process of gradual formalization, students studied new mathematical concepts, principles and rules. Lastly, in the processes of contextualization and expansive generalization, students could broaden and deepen their understanding upon what they have already learned, through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among mathematical concepts, principles and rules and applying them to the realistic context. Once a new model was developed, a valid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to check whether the model was reasonable compared with the models developed in previous processes, and then more refined model was developed. Thus, the learning process of applying mathematics in a modeling activity progresses through a spiral process. Second, this research has elucidated the process of situated-realized abstraction. The learning process of situated-realized abstraction is a spiral process in which various models are connected and integrated while preserving their contextual and realistic meaning, and the models are developed into the models located in the domain where the neighborhood of the real world is extended to the abstract world. Thus, the various models were developed recursively while preserving their contextual and realistic meaning of the realistic context through a spiral process. Thir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rocess of model-development and the process of manipulating instruments have been investigated. Students developed a non-formulated model of situation based on the activity of perception with the use of physical instruments. A mathematical model was developed when a mathematical structure inherent in a model of situation emerges out in students' mind through the process of turning instruments defined as their physical functions into instruments defined as a means of helping students' activity of recognition. Also, students could internalize the activities of manipulating instruments, which enabled them to develop a generalizable model even without a support of instruments. When the knowledge about instruments and the knowledge about mathematics were integrated in the activity of recognition and the various functions and limitation of instruments were recognized, it speeded up the process of model-development. Fourth, the metacognitive thinking learned in modeling activities were analyzed and the effect of the metacognitive thinking upon the process of model-development was investigated. Students developed cognitive knowledge in a process during which their experiential knowledge, the concrete knowledge constituted in the activity of their perception and mathematical knowledge became objects of their thinking, which enabled them to develop, correct and refine their models. In addition, when they could not develop a generalizable model through refining a mathematical model by the use of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they monitored and evaluated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which made them realize the necessity of learning new mathematical knowledge. Based on the analyses upon these four research questions described above, a teaching guideline and a teaching model for a modeling class were developed. Based on these, a teaching plan for teaching and learning a tangent function graph in a modeling activity was developed.

      •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 연구 : 도교적 요소를 중심으로

        신은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에 들어와 시작된 수운 최제우의 시천주 사상에 대한 연구는 근대성에 대한 인식의 한계 위에서 이루어졌다. 근대 혹은 탈근대적 관점에 따라 시천주 사상은 유교를 극복하거나 개혁한 사상으로 인식되었고, 도교는 그와 같은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요소로 평가되었다. 이는 도교 연구가 유교와 불교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했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시천주 사상 안에 내포된 도교적 요소의 의미 역시 유교와 달리 부각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도교에 대한 제한적 이해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에 도교가 어떤 식으로 전개되었고, 그것이 어떻게 시천주 사상으로 발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시천주 사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도교에 대한 선이해가 요청된다. 수운 사상의 핵심은 ‘시천주’로 요약되는 주문 스물 한 자에 있으며, 그것은 도교 수행과 깊은 유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시천주 사상과 도교의 관계를 고찰하기에 앞서 먼저 시천주 사상의 형성과정에 어떠한 영향이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조선 말 제반 종교 사상들의 영향을 받은 시천주 사상은 퇴계 사상과 개념적 유사성을 띠고 있지만 본질적 의미는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퇴계의 경천(敬天) 사상이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적 존재론에 입각한 것인 반면, 수운의 시천주 사상은 이원론적 일원론에 근거하고 있다. 유교 다음으로 시천주 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소로 평가되는 것은 서학이다. 하지만 시천주 사상과 서학과의 관계 역시 표면적 유사성만으로는 파악하기 쉽지 않다. ‘천주(天主)’라는 개념을 비롯하여 수운의 관한 몇몇 일화들이 서학의 영향을 입증하는 근거가 되기도 하지만, 객관적인 자료로서의 설득력이 충분하지 않다. 그 밖의 불교와의 관계는 수운의 저술 속에서는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있다. 수운은 유불선 삼교로부터 의례적 요소를 취했다고 했다. 하지만 그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것은 도교이다. 시천주 주문이나 영부, 칼춤 그리고 신선사상 등은 모두 도교적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시천주 사상의 핵심 요소이다. 시천주 사상 안에 내포된 도교적 의례가 지닌 의미는 조선 도교와의 비교를 통해 극명하게 드러난다. 조선 후기 단학파는 선맥(仙脈)을 체계화하고, 삼교합일을 지향하며, 내단을 중심으로 민족 주체적인 도교를 확립하고자 했다. 하지만 성리학적 세계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기에 민중의 현실을 포용하지 못했고, 개인주의적인 성격에 의해 사회 개혁의 구심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와 달리 시천주 사상은 도교 의례를 중시하며, 그것을 중심으로 삼교합일을 지향했다. 시천주 사상은 신선사상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내단학과 같은 맥락에 있지만, 내단학이 의례적 차원을 소홀히 해 사회 통합을 이루어 내지 못한 것과 달리, 의례를 통해 공동체적 사회 개혁의 토대를 이루어 냈다는 점에서 차이를 지니고 있다. 그와 같은 차이는 신선사상에 대한 입장에서 비롯되었다. 내단학이 도교의 신선불가학(神仙不可學)적 관점을 계승해 인간의 신선 가능성을 지배 계층으로 한정시킨 반면, 수운은 의례를 통해 민중을 통합하며 그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러한 입장은 송(宋)대 이후 신유교의 영향력 아래 위축된 신선가학(神仙可學)적 관점을 계승한 것이었다. 수운은 시천주 사상을 통해 인간의 보편적 가능성을 제시하며 새로운 세상을 이루려했다. 그것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노력을 통해 자신을 온전히 실현할 수 있다는 도교의 신선가학적 인간론의 부활이었다.

      • 소리시각화를 주제로 한 도자조형연구

        신은주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시대가 제시하는 사회는, 빠른 속도로 발전해가는 테크놀로지에 의해 눈부시게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는 인간의 변화의 주체가 되지 못한다. 변화 주체는 테크놀로지이기 때문에 디지털 시대에서의 최고의 가치 역시 테크놀로지가 되는 것이다. 테크놀로지가 형성하는 기계 주의적 딱딱한 모습과 차가운 속성 그리고 무엇이든 완벽한 답이 존재해야 한다는 특성들이 인간 본연의 미숙한 모습과 반대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불안하고 부정적인 심리가 생성되었다는 말이 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무엇이든 정확하게 분리되는 디지털의 차갑고 단절적인 개념 속에서 이제 무한한 가능성이 존재하는 감성 세계를 꿈꾸게 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을 통해 시각화된 사운드웨이브를 입체화 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소리의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소리의 개념과 역사, 구성요소, 특징과 소리를 시각적으로 표현된 사운드웨이브개념과 표현을 알아보았으며, 아울러 현대미술 속에서의 나타난 소리가 표현되어진 형상들을 평면과 입체, 멀티미디어를 중심으로 작품의 내용과 표현기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품의 제작계획에 있어서는 소리의 시각적인 변화인 사운드웨이브가 만들어내는 자연스러운 조형적 형상화과 소리가 가지고 있는 상징적인 특징을 살려 조형적으로 표현하고자 계획하였다. 작품의 제작은 사운드웨이브형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위해 페이퍼클레이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주변소리, 사람목소리 등을 컴퓨터를 이용해 화면에 나타나는 사운드웨이브 이미지를 가지고 아날로그 표현 방법과 소리가 함축된 조형으로 이미지화하는데 그 의미를 두었다. We know that society presented by digital age changes remarkably by acceleratedly ever-developing technology. Human being steps back from the initiative of change in digital age. It is technology that takes the initiative of change and thereby comes to a position with the ultimate value of digital age. But technology's inh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mechanical stiffness, hard-boiledness and perfect solutionism (for any question), are contrary to immature aspects of inherent human nature, which implies that technology has involved generation of human anxiety and negative psychology. That is why people dream of their emotional worlds with indefinite possibility even in such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as represented by words like clear- cut, cold and separative. This study focused on solid embodiment of sound wave visualized by digital technology. For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made general examinations into sound to address the concept, history,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sound, and the concept and expression of sound wave as a visualization of sound. Furthermore, this study addressed meanings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contemporary artworks on visual expression of sound, particularly focusing on 2D and 3D visual art and multimedia art. For making plan of artwork, this study focused upon natural formative embodiment of sound wave as visual change of sound, and also focused on formative vital expressions of sound's symbolic characteristics. For actual making, this study employed paper clay to effectively express visual images of sound wave.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it uses sound wave images displayed on computer screen to implement computerized visual imaging of formative embodiments involving analogue expression techniques and sounds based on daily life noise and human voices.

      • 荀子 散文 硏究 : 言語藝術을 中心으로

        申銀珠 忠南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先秦諸子散文, 不僅具有政治經濟, 哲學思想, 文化敎育, 倫理道德成就, 而且也具有相當豊富的文學成就. 其中《荀子》對後世文學發展産生了巨大的影響. 荀子是位卓越的語言大師. 他的文章不僅有深湛的思想內容, 高度的藝術技巧, 在語言的運用上也有□高的造詣. 《荀子》一害現存32篇大多爲散文式的論說文, 是荀子講學論政的實錄, 因之在表達自己思想的同時, 也就必然反映出說理的實際情況. 《荀子》一書, 篇目條貫淸□, 語言明白簡練, 充分使用了修辭手法, 達到論斷精警, 說理透□的勒殊效果. 荀子對先秦諸子的文勢觀進行了批判地吸收, 從而成爲當時文藝思想的集大成者. 荀子的文藝思想是對孔子思想的繼承和發展. 荀子的文藝思想主要見於《荀子》一書的<勸學>·<正名>·<儒效>·<非相>等篇. 荀子認爲人性惡, 必須通過後天的敎育才能改惡從善. 從這一認識出發, 他十分重視文學的作用. 荀子論文, 也非常中視言辭辯說的作用. 荀子認爲辯說十分中要, "說行而天下正"(<正名>), 但要能産生這樣的作用, 言辭說也必須和經典一樣合乎禮義. 這些觀點形成爲比較完整的明道, 徵聖, 宗經的理論, 對後世的文學理論産生了深遠的影響. 荀子十分重視音樂的社會作用, 他寫了專論<樂論>論述音樂的作用問題, 提出了不少重要見解, 在深度和廣度上也較前人有□大進步. 他認爲人們愛好音樂是"人情之所必不免"的. 他指出由於音樂表現了人們的思想. 他認爲音樂具有"化人也深"的巨大敎育感染作用, 能□對整個社會的民情風俗乃至國家安危産生重大影響. 荀子對音樂藝術特徵和文學, 對後代文論産生了重大影響. 荀子對"語言美"的追求更加明確和自覺, 所以他在繼承孟子等先秦諸子語言成就的同時, 發展創新, 成就斐然. 在語言修辭方面, 他不但擅長比喩, 排比, 而且還運用了對偶·層遞·重疊·說問·借代等修辭手法, 這大大豊富了他的散文語言的表現力. 在語言結構方面, 荀子散問的語句較之孟子更富有變化. 從而使荀子散文的語言在整體上呈現出旣質朴又富麗, 旣儒雅又雄奇的特點. 這樣, 荀子的論辯藝術更多地表現了嚴謹性和靈活性和邏輯. 同時由于荀子散文的論辯藝術都具有形象性與生動性的特點. 他的散文旣富有理性, 又富有情感. 旣富有哲理性, 又富有文學性, 這是荀子散文具有長久的藝術魅力的一個重要原因.

      • 국화를 첨가한 빵의 특성 변화

        신은주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Chrysanthemum powder is considered to be a useful health food material, incense, pigment, and herbal medicine in oriental countries for the influenza, headache, hypertension, disease-causing bacteria, circulation of the blood, and ag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on of chrysanthemum powder on the quality of bread, 0%, 3%, 5%, and 7% of chrysanthemum powder was added to the wheat flour. The properties of each dough, physical change, and storage stability, and sensory evaluation were analyzed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The volume of the dough during the fermentation and the final volume of the bread added with chrysanthemum powder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dough without the powder. Also, While the pH and the Hunter L (lightness) of the bread were decreased by addition of chrysanthemum powder, hardness, solid content, and water activity were not changed. The addition of chrysanthemum powder to bread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aerobic bacteria and mold on the bread surface. In sensory evaluation, although bitternes, moistness, after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addition of the chrysanthemum powder, favorable sense was shown to addition of 3% chrysanthemum powder. On the contrary, addition of chrysanthemum powder minimized sensory decline by storage time.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3% chrysanthemum powder to bread improve storage stability and sensory decline by storage time. 식생활의 형태가 서구화 내지는 편리한 식생활 패턴으로 변모되면서 주식대용으로의 빵 소비가 크게 증가하게 되었고, 아울러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기능성이 부여된 빵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빵이 가지는 장점인 간편성과 맛 이외에 건강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다양한 기능성이 부각된 건강지향적인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화의 효능은 혈액을 맑게 해주면서 몸에 열이 나는 것을 막아주고 대변을 잘 보게 해 주기 때문에 피부를 깨끗하게 해주며 혈액순환이 좋아져 노폐물 배출이 잘되고 비타민C가 풍부하여 피부에 윤기가 나며 부드럽게 한다. 이러한 국화의 효능들은 정확한 연구보고들에 의해서도 증명되고 있는데 국화에는 항산화 활성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억제효과, 항균활성 및 항암활성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마산 국화의 품질은 국화재배에 꼭 맞는 토질과 마산만의 해풍에 의해 육질이 두껍고 향이 높으며 햇볕 쬐임이 좋아 약효가 더욱 뛰어나다. 그러므로 우수한 품질의 마산국화를 이용한 제품의 개발은 농가소득의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경제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산국화의 기능성과 항균성을 살린 제빵을 시도하였으며 국화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식빵을 제조하였을 때 반죽의 물성변화를 측정하고 빵을 구운 후 실온에 저장하면서 pH, 고형물함량, 경도, 색도, 수분활성도, 비용적, 저장성, 관능 등의 품질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여 국화첨가 빵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화의 첨가에 의해 식빵의 무게는 증가하였고, 부피 및 비용적, 빵의 굽기 손실율, pH, 명도 등은 국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총균과 진균의 증식은 국화의 첨가량에 따라 크게 억제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경도, 고형물 함량, 수분활성도 등은 국화의 첨가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관능평가에서는 국화의 첨가량에 따라 외부 및 내부 색도, 쓴맛의 정도가 높게 나왔으며 향, 경도, 촉촉한 정도에서는 유의적인 차가 크지 않았다. 또한 쓴맛의 정도, 촉촉한 정도, 섭취 후 뒷맛, 종합적인 기호도의 경우 3%첨가 까지는 무첨가군 과 비교하여 크게 나쁘지 않았으며 오히려 저장기간 중의 변화는 무첨가군 에 비해 나빠짐이 훨씬 적어 저장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저장기간에 따른 빵의 풍미저하와 빵의 부패에 관련된 미생물의 번식을 국화의 첨가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국화는 빵의 저장성을 높이는 좋은 첨가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