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arge-area nanogap structures on various solid substrates using interfacial, self-assembled metal/dielectric core/shell nanoparticles monolayer

        신유나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플라즈모닉 기반의 금속 나노소재는 독특한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바이오 의학 및 환경모니터링 분야에서 분자검출을 위한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금속 나노구조체 사이에 형성된 작은 나노크기의 갭(gap)은 외부의 광학적 에너지가 국부화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금속 나노입자간의 플라즈모닉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매우 높은 전자기 신호 증폭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금속 나노갭(nanogap) 구조체를 극소량 분자의 초정밀 검출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나노갭 금속 구조체는 주로 하향식(top-down) 나노패턴 형성 방법을 통해 제작된다. 이 방법은 주로 에너지 빔 리소그래피 기술이나 원자층 리소그래피 기술을 통해 금속 구조체에 나노 스케일의 빔을 조사함으로써 나노패턴을 형성시키거나 원자 단위의 두께로 균일한 금속 박막을 증착 그리고 식각하는 방식을 통해 나노갭을 형성시킨다. 그러나 대부분의 리소그래피 기반의 하향식 방법들은 최신 마이크로/나노기술이나 고가의 장비의 사용이 요구되므로, 대면적의 구조체를 형성을 위해서 소요되는 비용 절감을 위한 공정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향식(bottom up) 방식을 통해 저가의 비용으로 나노갭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주로 금속 나노 입자 사이에 랑커(linker)분자들을 도입함으로써 나노갭을 형성시킨다. 상향식 방법은 하향식 방법에 비해 나노구조체의 크기, 밀도 그리고 입자간 거리에 대한 우수한 제어가 가능하나 이를 위해서 정밀한 화학적 반응 조건의 조절이 요구되고, 금속 나노구조체 사이에 존재하는 링커분자로 인한 검출분자의 확산한계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산제한이 없는 균일한 크기의 초소형 나노갭 금속 나노구조체를 고체 기판 상에 대면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제안하여 위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액체/액체 계면 상에 자가 조립시킨 금/실리카 코어/쉘 나노입자 단일층을 다양한 기판 위에 옮긴 후, 화학적 에칭으로 실리카 쉘을 제거함으로써 대면적으로 나노갭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화학적 에칭이 진행됨에 따른 금 나노 입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2 nm 크기의 초소형 나노갭을 형성시켰으며, 금 나노입자 간의 거리의 감소에 따라 플라즈모닉 커플링(plasmonic coupling)이 강화된다는 것을 반사스펙트럼 측정을 통해 증명함으로써 나노갭 구조체 주변의 근접장 이 증강될 수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제작한 나노갭 구조체를 초민감성 분석 기술인 표면 증강 산란 분광법 (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에 적용하여 에칭 전의 코어/쉘 나노입자 구조체에 비해 1,000~10,000 배 이상의 전자기 신호 증폭을 얻을 수 있음을 증명함으로써 제시한 방법에 대한 효용성과 검출 신호 향상성을 증명하였다. Extensive efforts have been aimed for fabricating well-defined sub-10 nm nanogaps between two noble metallic nanoparticles owing to their high near-field enhancement in the nanometer-sized void. However, in most of practical applications, many nanogap structures were typically fabricated with aid of state-of-the-art micro/nanofabrication or required for special detection techniques to obtain high signal enhancement due to spacer molecules used for fixing the separation between nanoparticles. Here we propose a facile method to produce large-area, sub-10 nm nanogaps between gold nanoparticles on solid substrates. This allows analyte molecules to diffuse freely within these gaps of high field enhancement. Gold/silica core/shell nanoparticles are self-assembled at air/water interface and then, transferred onto solid substrates (glass, indium tin oxide, and poly (dimethyl siloxane)), followed by chemical etching to remove the silica shell. The removal of the silica shell between gold nanoparticles by chemical etching allows van der Waals attraction between the nanoparticles, leading to creation of ultrasmall nanogap. The near-field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decrease in interparticle distance between gold nanoparticles was confirmed via reflectance analysis and SERS measurement. SERS measurements suggest that such nanogap structures exhibit significant enhancement of the Raman signal, which is up to 3 to 4 orders of magnitude higher than that of the gold/silica core/shell nanoparticles monolayer before etching of silica shell.

      • 신문 보도 사진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 섹션별 차이를 중심으로

        신유나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수용자는 신문 보도 사진의 메시지를 받아들일 때 그것의 논리들을 자신의 사회적 현실 속에서 확인하고 검증하려는 능동적인 주체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의 수용자가 어떻게 신문 보도 사진을 이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1. 연구문제 1. 신문의 보도 사진을 보는 이용 동기는 무엇인가? 가설 1-1. 신문의 보도 사진을 보는 주된 이용 동기는 섹션에 따라 다를 것이다. 가설 1-2. 신문의 보도 사진을 보는 이용 동기는 수용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를 것이다. 2. 연구 문제 2. 신문의 보도 사진을 보는 이용 동기와 만족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가설 2-1. 이용 동기는 사진에 대한 만족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2-2. 사진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 동기에 대한 만족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같은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시행하였다. 우선 신문 보도 사진의 이용 동기와 사진 목록을 찾아내기 위하여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로 나온 결과(이용 동기와 사진 목록)를 정리하여 내용 분석(실제 실리는 신문 보도 사진을 분석하기 위한)에 필요한 자료와 설문지 구성에 필요한 항목을 만들었다. 다음으로는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사전 조사에서 나온 사진이 실제로 실리는지 확인하였다. 내용 분석의 결과로 나온 사진의 목록을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이용 동기와 실제 실리는 사진에 대한 만족, 이용 동기에 대한 만족, 수용자 특성의 내용으로 구성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설문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1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온 신문 보도 사진의 이용 동기는 다음과 같다. <기사 내용 신뢰> <기사 내용 파악> <정보 습득> <대화에 필요> <눈에 띄어서> <읽을 기사 선택> <상대적으로 우월한 정보로 여김> <글만 있는 기사보다 편리> <글만 있는 기사보다 감정변화가 커서> <현장감 느끼려고> <재미와 즐거움> <좋아하는 사람을 보기 위해> <외모 감상 및 성적 호기심 해소>의 13개 이용동기였다. 가설 1-1의 검증 결과 다섯 개 섹션 모두 사진을 보는 이용 동기 중 주된 것은 <기사 내용 파악>이었다. 그 외의 우선 순위는 다르며 이용 동기를 기준으로 섹션끼리 비교했을 때, 각각의 이용 동기는 섹션끼리 차이가 있었다. 가설 1-2 '섹션 별로 신문의 보도 사진을 보는 이용 동기는 수용자에 따라 다를 것이다'의 검증을 위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이용 동기를 비교하였다. '성별'에 따른 평균 비교를 위해 T-test를 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평균 비교를 위해 One-way ANOVA test를 실시하였다. 신문 보도 사진을 이용하는 13가지 이용 동기 중에서 정치면의 경우 <상대적으로 우월한 정보로 여김> 동기와 <글만 있는 기사보다 감정 변화가 커서> 동기는 남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면의 경우는 남녀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이용 동기는 없었다. 문화·예술면의 경우 <재미와 즐거움> 동기에서 남녀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면의 경우 <상대적으로 우월한 정보로 여김> 동기에서 남녀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V프로그램·연예면의 경우 <읽을 기사 선택> 동기와 <재미와 즐거움> 동기에서 남녀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정치면은 <상대적으로 우월한 정보로 여김> 동기에서 연령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면은 <눈에 띄어서> 동기와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한 동기에서, 문화·예술면은 <눈에 띄어서> 보는 동기와 <읽을 기사 선택> 동기, <글만 있는 기사보다 편리> 동기에서 연령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스포츠면은 <정보 습득> 동기, <대화에 필요> 동기, <눈에 띄어서> 동기와 <좋아하는 사람을 보기 위해> 동기에서, TV프로그램·연예면은 <기사 내용 신뢰> 동기, <눈에 띄어서> 동기, <재미와 즐거움>을 얻기 위한 동기, <좋아하는 사람을 보기 위해> 동기, <외모 감상 및 성적 호기심 해소> 동기에서 연령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가설 2-1 '이용 동기는 사진에 대한 만족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와 가설 2-2 '사진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 동기에 대한 만족으로 이어질 것이다'는 상관관계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이용 동기와 이용 동기에 대한 만족도, 이용 동기와 사진에 대한 만족도, 사진에 대한 만족도와 이용 동기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었다. 자세한 사항은 본문에서 알 수 있다. 이것으로써 수용자는 섹션에 따라서 보도 사진의 이용 동기를 다르게 갖고 있으며 사진을 통해 이용 동기에 대한 만족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에 포토 저널리즘이 수용자에 관한 이론과 어울려 논문이 된 것은 몇 개 되지 않는다. 게다가 '이용과 충족 이론'을 바탕으로한 연구는 기존에 없었다. 보통 신문 보도 사진을 보는 이유는 '신문에 있기 때문에' '기사 옆에 있으니까' '눈에 띄니까' 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실제로 연구해 본 결과 신문 보도 사진을 이용하는 동기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으며, 섹션에 따라 다른 내용의 사진이 나오기 때문에 이용 동기 또한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 천연 및 합성 고분자 재료의 재생의학적 응용에 관한 특성연구

        신유나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55

        Regenerative medicine holds great promise as away to repair or replace portions of whole tissues from defective or damaged organs. Engineered tissue or regenerative medicine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1) various cells such as stem or precursor cells or harvested from donor tissue, (2) artificial structure called scaffold, and (3) biochemical and physiochemical factors to improve cell adhesion, proliferation, mig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se, the biomaterials that serve as scaffold substrates plays central role. To achieve the goal of tissue reconstruction, scaffold or surface of biomaterials have some specific requirements; high porosity, injectability, synthetic manufacture, biocompatibility, non-immunogenicity, nano size and resorption rates. Because most mammalian cell types are anchorage dependent, the biomaterials have to provide a suitable surface for cell attachment,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Therefore, cell-biomaterial intera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mplantable scaffold for regenerative medicine.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havior of cells and various biomaterials in terms of shape or chemical structure or origins of materials. First, we used collagen microspheres to assess the ability of human adipose stem cells(hASCs) to proliferate and differentiate into adipocytes on microspheres for repair of depressed or damaged soft tissue. hASCs were seeded onto microspheres and differentiated with adipogenic differentiation condition. The growth of cell,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were evaluated by EtBr/Acridine Orange, Oil Red O, Nile Red staining. Through results of this study, hASCs attached and proliferated well on the collagen microspheres and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 Second, the purified alginate microcapsule and PLGA scaffold modified with hyaluronic acid were evaluated whether modified scaffold are suitable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or modification method is appropriate. The microcapsuls and disc like HA/PLGA scaffolds were fabricated by tissue engineered method. The porosity and morphology of these scaffolds was examined by SEM and fluorescence microscope. Moreover, MTT assay carried out for the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in capsules and scaffolds. Schwann cell and Annulus fibrosus cells attached better to modified scaffold than unpurified or non-modified scaffolds. The alginate microcapsules and HA penentrated PLGA scaffold can be very useful for application in the tissue engineering. Furthermore, we investigated how human bone marrow stem cells(hMSCs) respond to surface property of scaffolds. We prepared wettable polymer surface by exposing PE sheet to radio frequency plasma discharge, which gradually oxidizes the PE surface. As the surface wettability increased, that is moderate hydrophobic position. The modified PE surfaces were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water contact angle and viability of hMSCs on PE surface by MTT assay. Moreover, Cells on modified surface were observed by SEM. We found that hMSCs adhered better to highly hydrophilic and rough surfaces than to hydrophobic and smooth surfa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biomaterials such as chemical structure, synthetic or natural polymer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ell-biomaterials interaction for regenerative medicine.

      • 한국 모자보건법의 역사 : 제14조 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를 중심으로

        신유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법은 만들어질 당시의 여러 사회 현상들이 맞물리면서 구성된다. 따라서 법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법리적 분석만으로는 부족하며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역사적 맥락을 함께 봐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모자보건법 제·개정이 어떠한 시대적 배경 속에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국민들에게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제14조(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1950년대, 식민지 해방 후 한국전쟁을 치른 이승만 정권은 ‘국력 강화’를 앞세워 인구증가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때문에 많은 여성들이 경제 곤란으로 인공임신중절을 선택하게 되는 상황이었음에도 형법에 ‘낙태의 죄’가 들어갔다. 하지만 현실을 완전히 외면할 수 없었던 정부여당은 추후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법안을 만들겠다고 언급하였는데, 그것은 모자보건법을 의미했다.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은 ‘경제발전’을 앞세워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했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인구증가를 억제하려고 했다. 이는 가족계획사업으로 구현됐다. 사업 초기에는 피임으로 인구억제를 시도하였지만 피임만으로는 한계가 컸다. 결국 정권 차원에서 ‘낙태’를 허용하는 방안을 모색했고, 일본의 우생보호법을 참고하여 모자보건법 초안을 만들었다. 하지만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에 포함된 ‘경제적 이유’가 걸림돌이 되어 여러 번 입안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안은 통과되지 못했다. 1970년대, 장기집권에 따른 비민주적 조치들에 대중들은 점점 불만을 표출하기 시작했고, 장기집권을 떠받치고 있는 버팀목이었던 경제 상황마저 악화되고 있었다. 당장의 정권 유지를 위해선 경제지표라도 유지시켜야 했고, 이를 위해선 더더욱 인구억제정책에 힘을 쏟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당시 정부여당은 정치위기 상황에서 지지기반이었던 보수층의 의견을 무시할 수 없었고, 결국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에서 ‘경제적 이유’를 삭제한 채 1973년 비상국무회의에서 모자보건법을 통과시켰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경제적 이유’를 포함시키려는 모자보건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되었지만 번번이 좌절됐다. 박정희 정권과 이후 이어진 군사정권에서는 낙태죄를 사문화시키는 방식과 강력한 피임정책을 통해 낙태죄 허용에 버금가는 인구억제정책 효과를 꾀했다. 1990년대 들면서 인구정책에 대한 관점이 변하였다. 저출생 현상이 나타나 노동인구가 감소할 수 있다는 의견이 대두되었고, 1996년 “신(新)인구정책”의 발표로 인구억제정책이 폐기되었다. 하지만 저출생 현상은 2000년대 들어서도 지속되었고, 2005년 정부는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하기에 이른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인구억제정책에서 인구증가정책으로 바뀌었지만, “경제발전”을 위해 국가가 “인구정책”을 활용해야 한다는 맥락은 동일하게 유지됐다. 오히려 인구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기조가 강화되면서 여성의 입장을 고려한 접근은 이루어지지 못한 채 ‘낙태 예방’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진보정권에서조차 낙태죄를 존치시키고, 모자보건법 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에 사회경제적 이유도 포함시키지 못했던 역사는 결국 이명박 정부의 낙태에 대한 보수적 접근과 만나며 2009년 진오비(프로라이프 의사회)의 ‘불법 낙태 중단 선언’으로 터져 나왔다. 제한적인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를 지닌 모자보건법 하에선 형법의 낙태죄가 언제든지 그 존재를 과시할 수 있었던 것이고, 결국 2010년 진오비(프로라이프 의사회)가 낙태수술을 한 동료 산부인과 의사들을 고발하면서 그러한 우려가 현실화된 것이다. 하지만 2010년을 전후해 촉발된 낙태죄 논쟁은 반작용으로서 여성운동의 성장을 가져왔다. 임출넷(임신·출산결정권을위한네트워크)을 중심으로 여성의 임신·출산·양육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이루어졌고, 여성이 주체가 되어 낙태의 허용사유에 ‘사회경제적 이유’를 포함시키자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한 번도 공식 적용된 적은 없지만, ‘사회경제적 이유’가 과거 인구억제를 위한 국가의 정책적 수단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위한 운동의 수단으로 변화한 것이다. 진오비의 불법 낙태 고발 사건 이후 한동안 낙태 논쟁은 잠잠해지는 듯했으나 2016년 박근혜 정부의 정치적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다시 쟁점화됐다. 보건복지부가 낙태수술을 비도덕적 진료행위에 포함시키는 의료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 것이다. 그러나 시대가 변한만큼 대중들은 이런 후진적인 접근을 좌시하지 않았다. 특히 2010년 이후 급부상한 여성단체는 ‘검은 시위’를 벌이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결국 정부는 낙태수술 처벌과 관련된 개정안을 재검토하겠다며 한발 물러서야 했다. 과거와 달리 여성주의 운동이 급성장한 가운데 발생한 이러한 보수적 접근은 오히려 반작용만 부추기는 결과를 낳았다. 정권까지 교체시킨 개혁의 움직임이 낙태죄 폐지 운동으로까지 이어진 것이다. 여성주의 운동은 새로운 정부의 청와대 국민청원 제도에 올라온 “낙태죄 폐지와 자연유산 유도약(미프진) 합법화 및 도입을 부탁드립니다”라는 글을 이슈화시켰고, 이에 대중들도 크게 호응했다. 이러한 개혁의 흐름 속에 진행된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위헌소송은 ‘헌법불합치’로 종결되었다. 2019년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선고는 국가주의에 매몰된 인구정책의 역사를 반성하고 여성의 입장을 고려한 모자보건법 제정의 필요성을 인정한 것이다. 이제 새로운 모자보건법을 통해 진정으로 대중들, 특히 여성들의 삶을 반영한 인공임신중절의 합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최소한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에 ‘사회경제적 이유’를 포함시키는 개방적 접근이 필요하며, 시대의 흐름에 맞게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보다 충실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 사회적 언어기술의 향상을 위한 연극치료프로그램 개발 :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신유나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사회적 언어기술의 향상을 위한 연극치료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의 문제 해결 능력과 화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성 또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자가 1년 전부터 연극치료 작업을 진행하여왔던 아동들 중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인 8세 여아 참여자 A와 9세 남아 참여자 B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각의 아동에게 같은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로서 언어 문제 해결력 검사를 사용하여 원인, 결과, 추론에 점수를 평가하였으며, 화용 능력 체크리스트는 의사소통 의도와 비언어적 의사소통 영역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회기 분석방법으로는 감정과 움직임을 관찰하기 위한 연극치료 기법 중 하나인 조각상을 활용하여 자신의 감정과 역할의 감정에 대한 비언어적 표현에 중점을 두고 이야기 속 역할 관계 안에서 감정과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 단계는 사전 검사, 적응기, 중심 이야기, 투사 활동, 사후 검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주 2회 40분씩 총 12회기와 주 2회 50분씩 8회기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언어 문제 해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언어 문제 해결력 검사 결과, A는 원인이유의 원점수가 9점에서 14점 상승했으며, B 역시 이 영역에서 8점에서 9점으로 상승했다. 해결추론 영역은 10점에서 17점으로 B는 7점에서 9점으로 상승했다. 단서추측 영역에서 9점에서 19점으로 향상되었으며, B는 7점에서 9점으로 상승하였다. 둘째,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발화 방향 범주에서 상대중심과 자기중심의 균형을 맞춰준다. A와 B 모두 사전평가에서는 상대중심 항목이 없었지만 사후평가에서는 상대 중심 항목이 1가지씩 선택되었다. 셋째,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화용기술에 향상에 도움이 된다. 4가지 영역 중 비언어적 의사소통 문항에서 1점씩 상승되거나 동률로 측정되었다. 넷째,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관계 맺기를 건강하게 하며 감정의 확장 향상을 돕는다. 연극치료 작업은 역할을 수행하고 감정을 공유하며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화를 주고받은 경험들이 건강한 관계 맺기를 위한 과정이었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 뿐 아니라 타인의 감정 확장까지 변화가 있었다. 프로그램 내용은 ‘주고받는 대화 형식의 경험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언어적 소통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움직임에 반응 향상을 위한 warm 프로그램’으로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추어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을 하였다. ‘감정 표현 향상을 위한 투사 작업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적인 감정보다 간접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투사 작업을 하여 감정의 확장을 도왔다. 더 나아가 ‘이야기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중심 이야기 안에서 역할을 연기하며 타인의 존재를 수용하고 감정을 받아들이며 건강한 관계 맺기를 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언어기술의 향상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개발을 토대로 다른 접근법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연극치료 프로그램 개발 활성화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research has been done in order to develop the dramatherapy program and figure out the influence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i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pragmatic competence. An 8-year-old girl (participant A) and a 9-year-old boy (participant B) who have ha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has been chosen among the children who have been applied by dramatherapy for several years. The examination for language problem-solving ability has been used as a measuring tool with grading in cause, result and reasoning. Also the check list of the pragmatic competence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change of motivation and area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transfer exactly their emotion and message through relationship within a given story, the session-analysis of program has been used. Body statue as a method of dramatherapy has been applied in the session-analysis focused on the non-verbal behavior expression about their own feeling and emotion as an actor. These steps were carried out in the order of pre-test, adaptation, center story, projection activity, and post-test. Twice a week for 40 minutes during 12 analyzes, and twice a week for 50 minutes for 8 analyzes have been done for nine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the developed programs in this research have shown good positive impact for solving abilities of language problems for both participants A and B. As the test results of the solving ability of language problem, participant A has been improved from 9 to 14 points while the point of participant B has been also increased from 8 to 9 points for the cause and reason. And also the points of solution reasoning have been enhanced from 10 to 17 for participant A and from 5 to 9 for participants B. In addition, the points of clue guessing have been improved for both A and B too, 9 to 19 for A, and 7 to 9 for B. The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balances the centered on others and the self centered mind in the area of pragmatic competence. Both A and B didn't have any items of the centered on others in the pre-evaluation but one item was selected each in the post-evaluation. And the third, improving of pragmatic competence is also shown in this research also. In non-verbal communication questions among the four areas, one point was increased, or measured as same. As the last, this therapy has been useful so much to improve for making healthy relationship and extending emotion. Since this method has been including the process doing play role, sharing emotion each other and also communicating appropriate situations, the experience has given the good outputs understanding other's emotion. There was a change in the emotional expansion of others as well as their own emotions.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including a program for exchanging conversational experiences, which helps students to experience linguistic communication and provides opportunities to recognize non-verbal communication as a warm program for improving response to movement. Through the research program for enhancing emotional expression, it was helped for the expansion of their emotions by projecting process to express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Moreover, by the method of using stories, they have been enhanced to make healthy relationship accepting other's existence and emotion as acting roles,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dramatherapy program has been developed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Several good results has been achieved as described above, and also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 Two-photon Near-membrane Calcium Ion Probe, Red-membrane Probe 및 사중극자 형광물질의 합성과 물성연구

        신유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Two-photon microscopy (TPM) employing two photons of lower energy light is gaining much interest in the investigation of living systems. The advantages of TPM over the more conventional one-photon microscopy include the capability of deep tissue imaging and prolonged observation time among others. However, the progress in this field is limited by the lack of efficient two-photon probes for specific applications. We recently reported an efficient two-photon probe that can visualize the calcium ions in the plasma membrane. In this work, we extend our previous work and present a series of TP probe (ACa1CL) that can be excited by 800 nm photons, show 5.8-fold two-photon excited fluorescence enhancement (TPEF) in response to Ca2+, dissociation constants (KdTP) of (0.061?0.003) ?M upon complexation with Ca2+. Unlike the previously available probes, these novel probes can selectively detect dynamic levels of membrane free Ca2+ in live cells and living tissues without interference from other metal ions and from the membrane-bound probes. Moreover, these probes are capable of monitoring the calcium waves about >100 mm depth in live tissues for longer than 4,000 s using TPM with no artifacts of photo-bleaching. The lipid rafts hypothesis claims that plasma membrane has rigid compartments [liquid-ordered (lo) phase, termed as lipid rafts] enriched with glycosphingolipids and cholesterol floating in the sea of glycerophospholipids [liquid-disordered (ld) phase]. Recently, we reported a new two-photon fluorescence turn-on probe (CL2) that is designed specifically for visualizing lipid rafts in living cells and tissues. This probe emits much brighter two-photon excited fluorescence in lipid rafts than in non-raft domains, and allows direct visualization of the lipid rafts in the live cells. To develop membrane probes that are preferentially located in the Id phase, we have synthesized red-color probes (RM) that emit at longer wavelengths than CL2. These probes permit dual-channel images using CL2 to investigate lo/ld phases relationships during the biological events by two-photon microscopy.

      • The Weil Representation and Its Application : 베이유 표현과 이의 응용에 관하여

        신유나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is thesis, we survey the Weil representation constructed by Andre Weil in 1964 and discuss its application to the transformation behavior of theta series. 이 논문에서 우리는 앙드레 베이유에 의해 소개된 베이유 표현을 연구히고 이의 응용인 세타 급수의 변환 공식에 대하여 논의한다.

      • 덕후의 향유방식과 긍정 정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신유나 대구사이버대학교 휴먼케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덕후 활동을 향유하기 방식으로 볼 수 있을지, 덕후들의 향유방식이 긍정 정서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이 있는지, 어떠한 향유방식이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덕후 활동을 하는 남성 72명(45.9%), 여성 85명(54.1%)이었고 연령 범위는 만 16세 이상 65세 이하, 평균 연령은 36세(SD=2.5)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덕후 활동을 평가하는 전체 활동 지속 기간, 주당 활동 횟수, 1회당 비용, 1회당 시간 등 네 가지 요인 중의 어느 것도 단독으로는 향유방식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그러나 네 가지 요인을 합한 덕후 활동의 총 점수와 향유방식 총 점수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덕후의 향유방식은 긍정 정서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10가지 향유방식 중, 공유하기, 추억하기, 비교하기, 몰입하기, 세밀하게 느끼기, 일시성 인식하기 등 6가지 방식이 탈락하였다.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4가지 향유방식은 ‘자축하기가, 행동으로 표현하기, 잠시 냉각하기, 축복으로 여기기’였고, 이 중 잠시 냉각하기는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덕후의 향유방식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은 축복으로 여기기, 자축하기, 일시성 인식이었다. 이 중 일시성 인식은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 외 공유하기, 추억하기, 비교하기, 몰입하기, 세밀하게 느끼기, 행동 표현하기, 잠시 냉각하기 7가지 방식은 탈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의 사례 수가 부족하였으며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덕후라는 집단을 향유를 추구하는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조명하였고, 어떤 향유방식이 긍정 정서와 삶의 만족도를 증진 시키는지 알아보는 데 의미가 있다.

      • 노인바우처 맞춤형 운동서비스 사업의 성과와 향후 과제

        신유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바우처 맞춤형 운동서비스 사업의 성과를 살펴보고, 나아가 수정.보완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사례연구를 채택하였다. 연구환경은 D광역시 S구에 속해있는 H기관의 아쿠아로빅 실행장소 A센터와 유산소 운동 실행장소 B센터를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표집법에 의해 A센터 아쿠아로빅 이용자 6명, B센터 유산소 운동 이용자 4명과 보조 정보제공자 3명으로 총 13명의 연구참여자들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Creswell(2013)이 제시한 질적 연구 자료분석 방법 6단계 중 5단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바우처 맞춤형 운동서비스의 성과는 노인의 건강유지 및 증진, 스트레스 해소와 정서적 안정, 대인관계 및 유대성 형성, 의료비 절감, 노인 소외계층의 복지실현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들이 나타났으며, 병원 방문 횟수가 줄고 신체가 건강해짐으로써 의료비가 절감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소외계층인 노인에게 운동을 시켜줌으로써 복지를 실현하였다. 둘째, 노인바우처 맞춤형 운동서비스 사업의 향후 과제는 더 많은 노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홍보계획이 필요하며, 대상이 노인인 만큼 사고 위험에 대한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서비스 종료 후에도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노인들의 운동 수준 상승을 위해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이 편성되어야 하며, 서비스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 이용 간편화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elderly voucher customized exercise service project and further to suggest revision and complementary points. For this, this study employed a case study,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earch environment, this study selected the A center as a place for the execution of the aqua-robic in the H institution located in S district of D city and selected the B center as a place for the execution of the aerobic exercise.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13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ing of six people who use A center aerobics, four people who use B center aerobic exercise, and three auxiliary information providers.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utilized participation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content analysi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in five stages among the six stage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method proposed by Creswell (2013).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of the elderly voucher customized exercise service was found to include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health of the elderly, stress relief and emotional st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ood formation, reduction of medical expenses, and realization of welfare of the elderly underprivileged. It is found that most participants had positive physically,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positive effects, and that the number of visits to the hospital was reduced with the body healthier, which reduced the medical expenses. It also realized welfare by giving exercise to the elderly who are in the underprivileged class. Second, the future task of the elderly voucher customized exercise service project needs a systematic publicity plan so that more elderly people can participate, and as the subject is an elderly person, measures should be taken to establish safety measures against accident risk and to continue the exercise after the end of service.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elderly's exercise, the lesson should be organized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we proposed simplification of the servi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ervice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