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속도 관측기에 기반한 철도차량 구동용 IPMSM의 가속구간에서의 새로운 속도 제어 기법 연구

        신원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운송 시스템의 전기 화는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EV뿐만 아니라, 철도 시스템은 최근 몇 년간 전기 견인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요구되는 에너지 관점에서, 철도 시스템은 운송 분야에서 에너지 사용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전기로 견인되는 철도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은 설계자가 견인 모터 및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은 열차의 가속 기간이 초 단위가 아니라 몇 분이 걸린다는 사실에서 기인하였고, 이 가속 구간에서의 전반적인 성능이 무시할 수 없다는 가정하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논문은 IPMSM을 위한 속도 제어 기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소개한다. 기존 방식은 위치, 속도 및 전류 제어의 3 중 폐 루프 (closed loops)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제어 기법은 위치 및 속도 제어기를 가속도 제어기로 대체하여 가속 구간 동안 시스템 측면에서의 성능을 기존의 속도 제어 방식과 비교하게 되는데 가속도 지령 값과 상태관측기로부터 구한 추정된 모터의 실제 가속도 값을 적용한 PI 제어기를 통해 가속지령을 추정하도록 한다. 제안 된 제어 방식은 MATLAB / Simulink 환경에서 모델링하여 가속 제어 성능 및 전류소비량 관점에서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안 된 제어 기법은 기존 제어법과 비교하여 동등한 속도 추정 성능을 보임과 동시에 에너지사용(전류) 측면에서 더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제어기의 주파수 및 대역폭 등 디지털 제어변수들에 조정하여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적외선 광학계 설계

        신원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적외선 광학계는 산업 전반에 걸쳐 우리의 생활에 이용되고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군사 장비이다. 군사 분야에서 사용되는 목적은 감시 및 탐지인데 용도에 따라 고정식과 탑재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중 탑재식에서는 차량 또는 항공기 등의 진동에 의해 영상의 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그에 따른 보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적외선(3.7μm~4.8μm) 파장대역에서 20:1의 줌 비를 갖는 3중 배율 FLIR용 적외선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또한 진동으로 인한 상의 흔들림의 크기를 Real Ray Trace로 구하여 Gyro등을 이용, 상의 흔들림을 최소로 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스마트폰 기반 발효 모니터링 센서 개발

        신원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mand for fermented foods is increasing due to effects such as liver function protection, immune function enhancement, antioxidant activation, and anti-cancer effect. Due to the advantages of these fermented foods, interest in them is high not only in human food but also in the livestock industry. Microorganisms that can proceed with lactic acid fermentation in food include L. acidophilus, L. casei, and Biffid bacterium species. The aforementioned microorganisms produce lactic acid as a result of the metabolic process. The concentration and pH value of L-lactate change as fermentation progresses. However, even if the conditions of fermentation are well controlled, it is not reliable to always achieve the same level of fermentation due to variations in the initial conditions of the product. In particular, there is a high risk of causing deca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unnecessary bacteria and contact with air during ferment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e change in lactic acid and pH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to predict the quality and decay of fermented products in adv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a smart phone based on on-chip platform that can monitor the fermentation process of fermented products and analyze the quantity of lactic acid on-site using L-LDH-based lactic acid sensors and chemical diets. Methyl red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H indicators and has a very strong advantage in pH analysis. Rapid response speed and vivid color changes reduce analysis time while increasing accuracy. Enzyme-based biosensor using L-lactate dehydrogenase (L-LDH) was used to quantify lactic acid. L-LDH enzymes return L-lactate and NAD+ to L-pyruvate and NADH+ respectively. At this time, NADH, which occurred here at 340 nm of ultraviolet wavelength, generates fluorescence at about 460 nm, and its fluorescence intensity is analyzed to quantify the concentration of the lactate. The smartphone based on on-chip platform was produced using a 3D printer. Smartphone-based optical modules are designed to measure fluorescence of NADH and Arduino-based antioxidants are designed to provide optimal temperature conditions for enzyme-substrate reactions. Using these platforms, we can monitor the quality and fermentation process of fermented products in the field and further predict corruption caused by changes in the storage environment. Using this platform, we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lactic acid in lactobacillus drinks and monitoring and quality prediction of the fermentation process of TMR feed in which fermentation is carried out.

      • 유전체 광결정의 에너지 밴드 연구

        신원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광 결정의 특성과 응용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의 데이터 비교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평면파 전개방법(Mathematica)을 이용하여 밴드 다이어그램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과 동일한 조건의 구조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Network Analyzer와 Antenna를 이용한 전자기파 실험을 하였다. 격자 배열과 편광에 대하여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 한 상담학과 석사과정 학생의 만성화된 수치심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신원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가 만성화된 수치심으로 인해 대학원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그것을 의미화하는 과정을 기술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이다. 만성화된 수치심은 Deyoung의 저서 「만성화된 수치심의 이해와 치료: 관계적, 신경생리학적 접근」에서 소개된 개념으로 역기능적 수치심의 만성적이고 전-언어적인 측면을 다룬다. 연구는 연구자가 만성화된 수치심을 경험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진행되었다. 상담학을 공부하기 위해 많은 이들이 대학원에 진학한다. 대학원에 진학하고 학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이는 자기 자신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다. 또 어떤 이는 훌륭한 상담전문가가 되어 다른 사람을 치유하고 싶은 열망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가능성을 그리며 상담학과에 진학하는 현상은 고무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상담전문가로 성장하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 하나 생각해보자면, 내담자로서의 정체성과 상담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혼동하는 문제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학생들이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상담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지만 어떤 이들은 내면의 상처를 치유 받기 위해 상담학과에 진학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것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대학원에서 관계 맺는 이들, 가령 지도교수나 동료, 선후배들과의 관계에서의 과도한 기대가 자칫 실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상담전문가로서 발달하는 데 어려움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양상이 드러나는 경우 중 하나인 ‘만성화된 수치심을 경험한 연구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관계 외상의 후유증이라고도 볼 수 있는 만성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에서 회피 혹은 고통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병리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만성화된 수치심이 자리 잡은 연구자가 관계성의 깊이를 다루는 상담학을 전공하고 대학원 석사과정까지 진학한 데에는 개인의 치유적 동기가 자리 잡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자의 경험을 의미화하는 것이 소정의 학술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만성화된 수치심으로 인해, 상담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타인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좌절이 드러났다. 또한 그러한 좌절 속에 조절되지 않는 정동의 경험이 드러났다. 그리고 스스로의 조절되지 않음에 대해 과도한 수치심을 경험하고 물리적 정신적으로 도망가는 현상이 드러났다. 이후 지도교수를 포함한 대학원 공동체와의 지속적인 조절 경험을 통해 스스로의 만성화된 수치심을 바라보고 다룰 수 있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그렇게 하여 내담자로서 회복되고자 하는 욕구를 관계 속에서 객관화하고 상담전문가로서 발달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자의 회복과정은 한 개인이 상담학과 대학원에서 상담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안전한 혹은 나를 조절해 줄 수 있는 관계 혹은 공동체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여기서 말하는 안전함이란 공감과 수용을 통해 나의 존재가 온전히 받아들여지는 경험뿐만 아니라 상담전문가로서 냉정하게 평가받고 비판받아도 괜찮은 혹은 덜 두려운 관계 경험이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즉, 안전하게 좌절하고 성장할 수 있는 관계 혹은 공동체의 경험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학원에서, 특히 상담전문가로서의 첫발을 내딛는 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담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연구자와 같은 혹은 비슷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이 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자의 치유 경험을 기술한 연구결과가 비슷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다른 이들에게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란다. 주제어: 만성화된 수치심, 석사과정, 상담학과, 상담전문가, 관계, 정동조절, 자문화기술지 This study is an autoethnography that describes the narrative of a researcher's struggle in graduate school life due to chronic shame and making meaning of it. Chronic shame is a concept introduced in Deyoung's book 「Understanding and Treating Chronic Shame: A Relational and Neurobiological Approach」, which deals with chronic and pre-verbal aspects of dysfunctional shame.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e that the researcher has been experienced chronic shame. Many enroll at graduate school to study counseling. There will be various reasons for entering to there and conducting studies. For example, someone might go to graduate school to understand themselves better. Another may have aspirations to become a good counselor and heal others. The phenomenon of entering the counseling department while drawing various possibilities seems to be encouraging. However, it seems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tudying counseling and growing as a professional counselor. Among them, it see ms that there is a problem of confusion between the identity as a client and the identity as a counselor. Some go on to graduate school in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to become Professional Counselor, but it seems to be common to see students go on to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to heal their inner wounds. Whe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t can lead to excessive expectations and disappointments in relationships with those who, in graduate school, such as advisors, colleagues, and seniors and juniors, which can cause difficulties in developing as counseling expert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one of the cases in which this aspect is revealed, 'researchers who have experienced chronic shame'. Chronic shame, which can be seen as an aftereffect of relational trauma, can be seen as a pathology that is highly likely to experience avoidance or pai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Nonetheless, it was seems that personal healing motives were in place for the researcher with chronic shame to major in counseling, which deals with the depth of relationships, and advance to the master's course at graduate school. And it was thought that the meaning of such a researcher's experience would be able to derive a certain academic meaning.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due to chronic shame, excessive expectations and frustration for others were revealed in the master's course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disregulated affect was revealed due to such frustr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experienced excessive shame about their own uncontrollability and ran away physically and mentally. However, through continuous regulating experiences with the graduate school community, including the advisor, I experienced the process of being able to look at and deal with my own chronic shame. In this way, it was possible to objectify the desire as being a client to recover in the relationship and develop an attitude to develop as a professional counselor. This researcher's recovery narrative suggests the need for a safe or regulating relationship or community for an individual to grow as a professional counselor in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he safety includes not only the experience of being completely accepted through empathy and acceptance, but also the experience of a relationship where it is okay or less fearful to be evaluated and criticized calmly as a counseling professional.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experience as a relationship or community that can be safely frustrated and grow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students who has been experienced the same or similar problems as the researcher in graduate school, especially in the master's course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which is a first steps as professional counselor.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can results describing the researcher's healing experience will be of some help to others who has been experienced these difficul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