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의미역 유형에 따른 의미역 선호도 및 동사 선택 정확도 비교

        신수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어 문장은 주로 서술어를 중심으로 한 통사구조이며, 주어, 목적어, 서술어, 보어 등 7개의 성분에 의해 표현된다(원해영, 2013). 이 때 문장 속에서 서술어, 즉 동사가 나타내는 관계의 대상을 논항(argument)이라고 하며, 논항이 서 술어와 갖는 의미적인 관계를 의미역(thematic role)이라고 한다(조명한 외, 2003). 실어증 환자의 언어 결함은 개인의 뇌 손상 영역과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이해와 표현 영역 전반에 나타나며, 연관, 인출, 규칙 실행 등과 같은 구어 상징 조작에서 어려움을 보인다(McNeil & Pratt, 2001).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어휘 인출(word retrieval)이다(Berndt et al., 1997; Zingeser & Berndt, 1990). 실어 증 환자들은 명사보다 동사에서 더욱 인출의 결손을 보였다(Hillis & Caramazza, 1991; Jonkers & Bastiaanse, 1998; Kim & Thompson, 2000; Williams & Canter, 1987; Zingeser & Berndt, 1990).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은 논항에 관련된 의미 역의 의미 관계와도 관련이 있다(Thompson et al., 1997). Thompson et al.(1997)은 실어증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동사 표현 연구 에서 논항 수가 증가함에 따라 동사와 논항 간의 수행력 감소를 보고했다. Sung (2016)은 한국어의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동사 산출 연구에서 실어증 환자가 3항 동사 산출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동사와 의미역 간 관계를 살 펴보는 연구에서 의미역은 동사와 매우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McRae et al., 2005). 이와 관련하여 Jeong & Sung(2018)은 실어증 환자 집단과 정상 성인 집단 에게 행위자, 대상 의미역에 대한 동사 산출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어증 환자 집단은 행위자 의미역에 관련한 과제에서 더 낮은 정반응률을 보였다. 그러나 의 미역과 동사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 중, 대상과 도구 의미역에 관련한 연구는 전무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동사 제시 후 선택한 대상, 도구 의미역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두 의미역 간 위계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실어증 환자들의 의미역 유형(대상, 도구)에 따른 동사 선택 정확도, 실어증 중증 도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령 및 교육년수를 일치한 정상 성인 20명과 실어증 환자 18명이었다. 대상자에게 글자로 제시된 동사를 본 뒤 가장 연관이 깊다고 생 각하는 의미역을 선택하는 의미역 선호도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제시된 의미 역(도구, 대상) 어휘를 보고 가장 적절한 동사를 선택하는 동사 선택 과제를 실시 하였다. 의미역 선호도 과제는 대상자가 택한 경향성을 빈도로 측정하여 비율(%) 로 환산하였으며, 동사 선택 과제는 대상자가 정반응한 항목을 백분율(%)로 산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역(대상, 도구) 선호 비율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의미역(대상, 도구) 제시 유형에 따른 동사 선택 정반응률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미역 제시 유형에 따른 동사 선택 과제에서 실어증 의 중증도를 예측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단계 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동사 제시 후 의미역 제시 유형(대상 VS 도구)에 따른 선호도 비율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각 의미역 선호도 비율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대상, 도구 의미역에 관한 선호에 대하 여 그 차이가 유의하였다. 대상 의미역이 도구 의미역보다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 았다. 의미역 선호도 비율에 대한 집단 간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의미역 유형에 따른 동사 선택 과제에서 실어증 환자 집단과 정상 성인 집단 간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미역 제시 유형에 따른 동사 선택에 대한 주효 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각 집단의 의미역 제시 유형에 따른 동사 선택 수행력 간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실어증 중증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대상 의미역으로 약 74.5%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 모두 대상 의미역을 도구 의미역보다 선호하였고, 이는 선행 연구들과 일치한다. 그 원인으로는 하나의 논 항에 하나의 의미역이 들어가야 할 때, 한국어의 의미역의 위계에 입각하여 선택 하기(박철우, 김종명, 2005) 때문이다. 현 의미역 위계에 따르면 대상 의미역이 도 구 의미역보다 높은 위계에 위치한다. 따라서 두 집단 모두 대상 의미역을 도구 의미역보다 더 선호하였다. 동사 선택 과제 간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는 동사 이름대기 과제에서 실어증 환자가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Sung, 2016)의 결과와 일치한다. 실어증 중증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은 대 상 의미역으로, 약 74.5%의 예측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erb selecting accuracy of aphasia patients with normal group by verb thematic role preference, thematic role type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aphasia sever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 aphasia patients and 20 normal individuals who matched their age and years of education. In thematic role preference test, the preferred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alculated by chosen thematic role and converted into ratios(%). In verb selection test, the correct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accuracy(%). Both are performed by two-way mixed ANOVA. To investigate what the fact can predict the aphasia severity,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ratio of thematic role preferences between the aphasia group and the normal group. For the ratio of thematic role preference, the ratios of theme role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instrument role.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hematic role pre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aphasia group preferred the instrument than normal individual.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accuracy of verb selecting task by thematic role type between the aphasia group and normal group. In other words, the accuracy of the aphasia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The verb selection accuracy according to the thematic role ty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verb selection accuracy by thematic role ty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phasia severity and verb selection accuracy by thematic role type. For the verb selecting task, the variable which best predicts the severity of aphasia was the theme role and it predicted aphasia severity by 74.5%. It suggests that it was revealed that when two more argument matched with verb, it was dealt with based on the hierarchy of the thematic role. In addition, using thematic role by verb selection accuracy, especially theme role, should be considered fo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the aphasia group.

      • 남한강유역 원삼국시대~한성백제기 주거지 변화양상

        신수현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그동안 소홀하게 다뤄진 남한강 유역 원삼국시대~한성백제기 문화를 주거지의 평면형태와 취사·난방시설, 출토유물을 통해 단계를 설정하여 수계별 주거지 변화양상과 지역적인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남한강 유역은 남한강 본류, 섬강 유역, 평창강 유역, 동강 유역으로 나누었으며 지금까지 총 364기가 확인되었다. 평면형태는 주거지의 생활공간의 형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장방형→전벽오각형→후벽오각형→육각형의 시간성이 확인된다. 취사·난방시설은 노지와 부뚜막 쪽구들로 구분하였으며 분석결과 ㄱ자형 쪽구들에서 ㅡ자형 쪽구들로의 시간성이 확인된다. 남한강 유역의 원삼국시대~한성백제기 문화는 새로운 물질문화의 출현으로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단계에서 3단계까지 모든 평면형태가 확인되지만 단계별로 확인되는 주거지의 양상이 다르다. 또한 취사·난방시설에도 변화양상이 확인된다. 1단계에는 전벽오각형 주거지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노지가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섬강 유역과 평창강 유역에서만 아궁이식노지가 시설된다. ㅡ자형 쪽구들과 부뚜막은 확인되지 않으며 산발적으로 ㄱ자형 쪽구들이 확인된다. 경질무문토기가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소량의 낙랑토기가 확인된다. 타날문토기는 원저단경호가 가장 많이 확인되며 난형호, 대호(옹)가 확인된다. 철기는 도자, 철겸 등 농공구류가 확인된다. 1단계에 해당하는 유적은 남한강 유역 전역에서 확인되며 그중 섬강 유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유적들이 확인된다. 2단계에는 장방형주거지는 점차 줄어들고 후벽오각형 주거지와 육각형주거지가 증가한다. 여전히 노지가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남한강 본류에서만 아궁이식노지가 확인된다. 후벽오각형 주거지와 육각형 주거지에 ㅡ자형 쪽구들과 부뚜막이 확인되며, ㄱ자형 쪽구들은 확인되지 않는다. 경질무문토기가 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새롭게 심발형토기와 장란형토기가 출현한다. 철기는 삼지창, U자형 삽날, 환두소도 등 1단계보다는 다양하게 확인된다. 1단계의 유적들이 남한강과 섬강에 지속되며 평창강 유역과 동강 유역에 대규모 유적이 확인된다. 3단계에는 육각형 주거지와 ㅡ자형 쪽구들이 가장 많이 확인된다. 장방형 주거지와 후벽오각형주거지 거의 확인되지 않으며 ㄱ자형 쪽구들이 확인되지 않는다. 남한강 본류와 섬강 유역에 새로운 취락과 한성백제 토기들이 등장한다. 특히 남한강 본류에서는 경질무문토기가 확인되지 않는 한성백제 주거지들만 확인된다. 동강에는 영남지역의 영향을 받은 토기들이 확인된다. 철기는 농공구류 뿐만 아니라 등자, 소찰, 교구와 같은 무기류도 확인된다. This study sets stage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Hanseong Baekje Period culture of the Namhangang River Basin, which has been largely overlooked until now, through the plane type of habitats, cooking and heating facilities, and excavated artifacts to examine the mode of residential changes per water system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Namhangang basin was divided into the main stream of Namhangang, Seomgang basin, Pyeongchanggang basin, and Donggang basin, and a total of 364 pieces were confirmed. The plane type was analyzed by distinguishing in the form of living spaces of residents, and in result, the timeline was confirmed in the form of forward direction→front wall-five side type→real wall-five side type→six side type(Ⅰ→Ⅱ→Ⅲ→Ⅳ). The cooking and heating facilities were categorized as bare ground and furnace piece hypocaust, and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e time line from being a ‘ㄱ’type to a ‘ㅡ’typ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Hanseong Baekje culture of the Namhangang River Basin can be divided into thee stages with the appearance of a new material culture. In stage 1, all plane types were confirmed and the front wall-five side habitats(Ⅱ형식) accounted for the majority. Bare ground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furnace type (A4) was installed only in the Seomgang River Basin and Pyeongchanggang River Basin areas. ‘ㅡ’type were not found and‘ㄱ’type were found sporadically. Most were hard non-patterned earthenware and small amounts of Nakrang earthenware were found. For Tanal patterned earthenware, wonjeodangyeongho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 and nanhyeong-ho and daeho were also confirmed. For ironware, farming tools including potteries, iron sickles were found. Remains corresponding to stage 1 were found throughout the Namhangang River Basin, and among them, artifacts were confirmed in large scales around the Seomgang River Basin. In stage 2, forward direction houses gradually decreased, while rear wall-five sided homes and six-sided homes increased. Bare ground still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furnace-type bare ground was found only in the main stream of Namhangang. ‘ㅡ’type and furnaces were found in the rear wall-five sided homes and six-sided homes, but ‘ㄱ’type were not found. Hard non-patterned earthenware accounted for the majority, while center-cut earthenware and long-oval earthenware also appeared. There was a bigger diversity of ironware than the first stage with tridents, u-shaped shovel heads, hwandusodo, etc. Artifacts from the first stage continued in Namhangang and Seomgang and large amounts of artifacts were found in the Pyeongchangang river basin and Donggang river basin. In stage 3, six-sided homes and ‘ㅡ’type furnaces were found the most commonly. Very few forward direction homes and front wall-five sided homes were found and there were no ‘ㄱ’type furnaces discovered. New villages and Hanseong Baekje earthenware appeared in the main stream of Namhangang and Seomgang river basin. In particular, only Hanseong Baekje homes in which no hard non-patterned earthenware were found in the main stream of Namhangang. Earthenware influenced by the Yeongnam region were found in Donggang. For ironware, in addition to farming tools, stirrups, armor pieces, belt pieces and other weapons were also found.

      • 용서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집단의 분노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신수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코올 의존자들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들은, 이들이 일반인에 비해 높은 분 노수준과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다고 밝혀오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성향은 음주 의 촉발요인이 되거나 지속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의 분노를 해결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심리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부당하게 상처를 받은 사람들에게 용서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분노수준을 낮추고, 자아존중감과 용서수준을 향상시킨다는 결과가 다수의 연구에서 검증되 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알코올 의존집단을 대상으로 용서프로그램을 실시하 여 용서, 분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S정신병원과 H정신병원에서 입원한 환자 총 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치료집단은 S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참가자 12명 가운데 총 8명이, 통제집단은 H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참가자 11명 가운데 총 9명의 자료 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용서프로그램은 총 7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병원사정상 한 회기가 연기되어 주1회씩 총 8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Spielberger의 상태분노척도, Rosenberg의 자아존중 감 척도, Enright 의 용서척도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집단의 동질성을 평가하기 위해 참가자들에게 사전검 사를 실시하여 t-검증을 한 결과 두 집단이 동질집단으로 판명되었다. 효과의 검 증을 위하여 두 집단의 설문지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 시하였고,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에 따른 주효과와 검사 시기에 따른 주효과 및 집단과 검사시기의 상호작용 효과를 비교분석하였 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서프로그램을 실시한 알코올 의존 집단은 용서정도를 증가되었으며, 용서 하 위요인인 용서감정, 용서행동, 용서사고에서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 한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치료집단에서 유의미하게 증가된 결과를 보였 다. 그러나 분노는 치료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변화량을 보이지 않았 다. 위와 같은 결과는 용서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의 용서수준과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는 것에 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입원한 알코올 의존자들의 분노수준을 낮추는 것에 대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Studies on those who are dependent on alcohol have shown that they suffer from a higher level of anger and a lower level of self-esteem in comparison with ordinary people. And these tendencies become a factor to either trigger off drinking or go on drinking. Therefore, a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is needed which can resolve their anger and enhance their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a huge number of studies have verified that the level of anger can be lowered and a sense of self-esteem along with the level of forgiveness can be enhanced by conducting a forgiveness program for those who are unfairly hurt. So, this research intended to check out what effects the forgiveness program for a group of males who are dependent on alcohol will have on forgiveness, anger, and self-esteem. In order to do so, this research analyzed the materials of a total of 17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in the S mental hospital and the H mental hospital located in Seoul. While the experiment group consists of a total of 8 patients out of 12 participants who are hospitalized in the S mental hospital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a total of 9 patients out of 11 participants who are hospitalized in the H mental hospital, their materials were included in this research’s analysis. The forgiveness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seven sessions, but it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weeks because one session was put off due to the hospital-related reasons. The questionnaires this research used were the measurement of state anger by Spielberger, the measurement of self-esteem by Rosenberg, and the measurement of forgiveness by Enright.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First of all, to evaluate the homogeneity of the group,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for the participants and then t-verification was conducted, confirming that the two groups were homogeneous. To verify effectiveness, the before-and-after questionnaire test was conducted for both groups and then matching-to-sample t-verification was conducted. By conducting a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 of variance, the main effect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main effects according to test time,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groups and test tim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group dependent on alcohol for which a forgiveness program was conducted increased their level of forgiveness, and a meaningful improvement showed up in forgiveness subordinate factors like forgiveness emotion, forgiveness activity, and forgiveness thinking.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a meaningful increase in a sense of self-esteem showed up in the experim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in terms of anger, any meaningful change didn’t appear in the experim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uch results showed that the forgiveness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ing the level of forgiveness and self-esteem of those who are dependent on alcohol. But it was not effective to lowering the level of anger of inpatients dependent on alcohol. Finally, this research presented its limitations, suggestions, and meanings for the following studies.

      • 전해질 첨가제가 과충전된 리튬이온 전지의 양극 표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신수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다양한 휴대기기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는 최근에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전기자동차 (electric vehicle, EV)의 에너지원으로써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리튬이온 전지는 과충전 및 과열에 의해 폭발이 종종 발생하여 이런 문제가 중요한 연구 주제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폭발의 원인으로 충?방전 시 전극표면에 형성되는 solid-electrolyte interface (SEI) film의 절연성 물질에 의한 내부 단락, 전기화학반응에 의한 가스 및 열의 발생, 양극 활물질 구조의 붕괴, 음극에서의 리튬 수지상 (dendrite) 성장 등 다양한 이론이 제기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미미한 수준이다. 현재 과충전된 리튬이온 전지의 음극에서 형성되는 SEI film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폭발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양극에 형성되는 SEI film에 대한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양극 활물질로 LiCoO2를 이용하여 제조한 리튬이온 전지를 4.2∼4.5 V 범위로 과충전했을 때 양극표면에 형성되는 SEI film에 대해 분석하고, 전지의 안정성 및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한 전해질 첨가제가 양극 표면의 SEI film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 메커니즘을 밝히고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해질 첨가제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vinylene carbonate (VC), fluoroethylene carbonate (FEC)를 사용하였으며 전해질 첨가제 사용 전후의 리튬이온 전지의 전기화학 특성 분석을 위해 충?방전, 순환전압주사법, 임피던스 측정을 실시하였다. 전극표면에 형성된 SEI film은 라만, X-선 광전자, 이차원상관분광학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해질 첨가제를 사용하였을 때 높은 작동전압에서도 가역용량이 높게 유지되고 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광학 실험을 통하여 양극 표면에 형성되는 SEI film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고 이차원상관분광학을 통해 SEI film의 형성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전해질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리튬이온 전지 양극 표면에 형성되는 SEI film에서 나타나는 변화가 전지 성능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i-ion battery has generally been used as a power source for portable devices such as compact instruments, electric vehicle (EV),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d so on, because it has higher energy density, higher power, and it is much more lighter than the other batteries. However Li-ion battery has stability problem under high voltage condition due to distortion of cathode structure, formation of insulating film, and generation of gas and heat during charge-discharge process. Especially solid-electrolyte interface (SEI)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plays key role for the performance of Li-ion battery. Therefore an investigation for the formation mechanism of SEI film at high voltage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afety problem.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stability of Li-ion battery at high voltage, organic additives such as vinylene carbonate (VC) and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were used.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nd characterization of SEI film of Li-ion battery without and with these additives were examined by using charge-discharge curve, cyclic voltammetry (CV)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Also the formation mechanism of SEI film on the cathode surface without and with additives were studied by Raman spectroscop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X-ray diffraction (XRD) and two-dimensional correlation spectroscopy (2DCO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ion battery with additives was more improved than that without additives. The mechanisms for the formation of SEI film on the cathode surface were clearly determined by 2D Raman and 2D XPS correlation spectroscopy.

      • 보안기능을 탑재한 Routable GOOSE 기반의 Data Aggregator 개발

        신수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규모 전력을 생산하여 초고압 전력망을 이용해 공급·소비하는 기존의 단방향 전력 시스템 방식은 효율성 증대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변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변화는 변전소 계통의 변화도 추구하고 있다. 현재의 변전소 보호계전기는 자신이 위치한 내부 변전소의 데이터에만 의존하여 변화를 감지한다, 하지만 계통의 변화를 더욱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서 단일 변전소의 내부 데이터만이 아닌 마이크로그리드를 포함한 여러 외부 인접 변전소의 다양한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이렇듯 데이터 취득에 관한 외부 통신 기술은 차세대 변전소에 필수적인 기능이 되었다. 변전소 내부의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GOOSE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Data Aggregator가 개발되었지만, 외부 인접 변전소의 데이터 취득하는 것은 비용과 보안 측면에 어려움이 있어 내부 데이터에만 의존하는 한계에 있다. 본 논문은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고 공용인터넷망을 통한 외부 인접 변전소 데이터 취득을 위해 전력 자동화 국제 표준인 IEC 61850에 정의된 Routable GOOSE에 보안기술을 탑재한 외부 인접 변전소의 데이터 취득을 제안한다. IEC 61850 표준을 분석하고, MMS-lite v6.2 API를 사용하여 보안기술이 적용된 Routable GOOSE 기반의 Data Aggregator를 개발하여 공용인터넷망을 통한 데이터 취득 결과를 보인다. 데이터 취득을 위해 적절한 보안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성능, 요구사항 만족도 및 결과를 도출한다.

      • 트레드밀 걷기운동이 비만과 당뇨,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신수현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eradmaill walking exercise observe the change of insulin level, blood glucose level, HDL, LDL,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hematocrit during walking exercise with moderate intensity for 20 minutes to 10 women in each group. Summariz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 1.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obesity group on glucose level, but there was no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normal group. 2. Cholesterol 1) There was no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normal group on HDL-C, bu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obesity group. 2)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1) in normal group and obesity group on LDL-C. 3)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obesity group on Total Cholesterol level, but there was no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normal group. 4) There wa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normal group on TC/HDL-C level, bu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obesity group. 3.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normal and obesity group on triglycerides level, also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1) in normal group and obesity group. 4.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normal and obesity group on hematocrit level, but there wa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 5.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obesity group on insulin level, but there wa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normal group.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obesity group on glucose, triglycerides, LDL-C, total cholesterol, insulin and hematocrit level. Also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obesity group on body fat.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carry out the more continuous study about the role of diabetes on obesity in body during exercise under various conditions.

      • 일정 시간의 시각적 인지를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신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시간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우리는 시계를 통해 시간을 관리하며, 시계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형태는 시간의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숫자로 시간을 인지하는 방법에 비해 좀 더 시각적인 시간의 인지 방법과 그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과정에서는 시간을 ‘시각(時刻, present time)의 인지’와 ‘시간(時間, duration) 구성의 인지’ 2가지 주제로 나누고, 각 주제를 이론적 고찰, 사례연구, 표현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시각(時刻), 즉 현재 시간을 더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본 결과, 시간을 시각적인 물리량으로 인지하는 다양한 방법과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이 현재 시각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 간격 및 길이를 더 쉽게 인지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시간(時間), 즉 시각 사이의 구간의 구성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방법을 살펴본 결과, 시간의 구성을 자신에게 일어나는 사건(event)을 단위로 표현했을 때 시간을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더 작은 단위로 쪼개어 보는 관점이 아니라 일정의 전체적인 구성을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디자인한 인터페이스에서는 하루 중의 일정을 다양한 크기의 원의 연속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다음 2가지 기능을 통해 시간관리를 돕는다. 첫째, 시간 인지에 필요한 수 개념을 원의 크기와 위치로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시간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시간을 개인의 일정을 단위로 표현하여 시간을 계산하는 과정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일정 사이의 빈 시간도 개별적 원으로 표현하여, 하루 시간의 전체적인 구성을 인지할 수 있게 했다. 이 시계 화면은 스마트워치 화면을 위해 디자인하였으나 스마트폰, 데스크탑 모니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의 화면에서도 출력 (display)할 수 있으며, 이때는 넓은 공간을 활용하여 하루뿐만 아니라 일주일, 월 단위의 시간도 인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시계 화면의 형태를 주로 현재 시각을 알려주는 용도에만 맞추어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시계 화면의 새로운 디자인을 통해 현재 시각을 알려주는 기능에 전체적인 하루 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시간 인지를 개선하였다. 이 인터페이스는 향후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된 고도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더욱 유용하게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methods and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of time, and to design an interface for effective time management. We manage time through clocks, and the shape of the clock interface influences our perception of time. In this study, I explored a more visual method of time perception and its effects compared to the numerical method of time perception. In the research process, time was divided into two themes, 'awareness of present time' and 'awareness of structure of duration time', and each topic was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case studies, and expression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examining methods for perception of current time, I found various methods and effects of visually perceiving time through physical quantity. I also found that these methods help us easily recognize the current time as well as the passage, interval and length of time.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to visually perceive the structure of duration time, that is, the intervals between points of time, I found it is easier to manage time through units of personal events. In addition, I found that in order to manage tim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have a overview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your events, rather than a perspective that divides time into smaller units. In the final design of the interface, the schedule of the day is composed of a series of circles of various sizes, which makes it easier to perceive and manage time in the following two ways. First, the concept of number required for time perception was visualized as the size and position of a circle, so that the user could visually perceive time. Second, the process of calculating time was minimized by showing time in units of personal events. In addition, the empty time between events were expressed as individual circles, making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time of the day. Although this interface was designed for the screen of a smart watch, it can als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desktop monitors. Until now, we have focused on the shape of the clock interface only to indicate the current time. However, in this study, the user's perception of time was improved by adding the function to visually check the overall daily schedule in addition to perception of the current time through the new interface. This interface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further in a highly information-oriented society of the future,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developed.

      • NCS학습모듈 교육과정 핵심역량 연구 : -‐ 헤어컬러디자인 교과목 중심으로 ‐-

        신수현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기존교육과정과 NCS기반 교육과정의 절충식 교육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교재분석을 통해 기존교육과정의 체제에 대한 문제점과 개정사항을 파악하고 각 학급별 내용체계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2015개정 교육과정의 산출물로서 이·미용 NCS학습모듈이 이해중심 설계(개발매뉴얼)를 올바로 이해한 후 개발 하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하위교재를 아우를 수 있게 개발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이·미용 NCS학습모듈과 박명란(2013) 헤어컬러리스트 직무분석을 비교 분석하여 현장과의 일치성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하기 위해 이·미용 NCS학습모듈의 학습목표에서 도출한 지식, 기술에 대한 지식, 기술 문항을 도출하여 중요도와 수행빈도를 분석하였다. 이는 문헌연구를 뒷받침 하여 2019년 NCS개정 시 기초자료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는 기존교육과정으로서 교재 및 교과서 13권과 이·미용 NCS학습모듈 2권 총 15권의 교재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조사연구는 문헌연구의 타당성을 위하여 서울, 인천·경기, 전라도, 강원도 4개의 지역의 현장종사자 총 352명을 연구대상으로 2016년 12월 13일에서 2017년 2월 10일까지 약 두 달간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존교육과정인 검정형 교재와 고등학교 교과서는 국가수준의 내용체계와 A1 교재, B1 교과서가 근접하게 집필되었다. 그러므로 A1과 B1을 제외한 교재는 국가수준의 출제기준 내용체계에 맞도록 재구성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2·4년제 교재 간의 내용과 분량의 수준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교재인 검정형 교재와 고등학교 교과서에 비해 테크닉과 실제에 대한 단원분량이 많이 추가되었다. 셋째, NCS학습모듈을 NCS개발매뉴얼에 근거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E1이 E2에 비해 학습목표 진술과 내용요소 구성이 설계자의 의도와 부합되게 집필되었다. 넷째, NCS학습모듈과 박명란(2013)의 헤어컬러리스트 직무분석과 비교 분석한 결과, E1이 직무와 일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E1이 작업자 중심으로 개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문헌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산업현장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미용 NCS학습모듈의 학습목표에서 도출한 비공통 문항의 작업별 중요도와 수행빈도를 조사한 결과 기술에 대한 문항이 대부분 중요도와 수행빈도가 높은 유지강화로 많이 나타났으며, 지식과 기술에 대한 지식 문항은 중요도와 수행빈도가 낮은 점진개선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는 미용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학습도구를 만들기 위해 2018년까지 NCS학습모듈 수정·보완에 따른 개정 NCS학습모듈이 교육부의 2019교육과정 NCS기반 교육과정 적용 또는 이행 시 기초자료로 제언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