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의 발생에 체질량 지수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진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pulmonary disease (NTM-PD) have been increasing worldwide and the social burden is increasing. Malnutrition is frequently found in NTM-PD and is presumed to be a risk factor for the disease. Herein, we tried to elucidate the impact of body mass index (BMI) and its change on incidence of NTM-PD.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analyzed South Korean people who underwent biennial health checkups in both 2005 and 2009 or 2006 and 2010. We monitored study populations from the cohort enrollment date until the diagnosis of NTM-PD or December 31, 2017. By stratifying the population group based on the BMI at the start of the cohort, the incidence and hazard ratio (HR) of NTM-PD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cohort composed of 5,670,229 individuals with age > 40 years. Compared with the underweight group, the incidence of NTM-PD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ed BMI: adjusted HR (aHR) 0.38 (95% confidence interval [CI] 0.35–0.42) for BMI 18.5–22.9, 0.17 (0.15–0.19) for BMI 23–24.9, 0.1 (0.09–0.11) for BMI 25–29.9, and 0.1 (0.07–0.13) for BMI ≥30. A BMI decrease of ≥1 kg/m2 over 4 year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NTM-PD (aHR 1.08, 95% CI 1.01–1.16) whereas a BMI increase of ≥1 was associated with the decreased of NTM-PD incidence (0.77, 95% CI 0.71–0.83). In conclusion, low BMI and weight loss were related to development of NTM-PD.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used clinically to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through the BMI of the patient with risk of NTM-PD.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pulmonary disease, NTM-PD) 의 발생률과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며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영양 불균형은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환자에서 자주 발견되며,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추정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양불균형을 평가하는 수단인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BMI) 와 체질량 지수의 변화가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건강검진을 2005년 및 2009년에 받았거나, 2006년 및 2010년에 받은 40세 초과 한국인 인구집단으로 후향적 코호트를 구성하였다. 코호트 관찰 시작 시점은 2009년 혹은 2010년 건강검진일로 하였으며, 2017년 12월 31일까지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의 발병 여부를 조사하였다. 코호트 시작일 당시의 체질량 지수를 기준으로 인구 집단을 층화 분류하여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발생률을 비교 분석, 위험비 (hazard ratio, HR)를 도출하였으며 체질량 지수 변화에 따라서도 비교 분석하였다. 코호트에는 총 5,70,229명이 포함되었다. 체질량 지수가 18.5kg/m2 미만인 집단에 비하여, 체질량 지수가 높아질수록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의 발생률은 낮아졌다. 다변량 보정 위험비 (adjusted hazard ratio, aHR)는 체질량 지수 18.5-22.9 인 집단에서 0.38 (95% confidence interval, CI 0.35-0.42), 23.0-24.9 인 집단에서 0.17 (CI 0.15-0.19), 25-29.9 인 집단에서 0.10 (CI 0.09-0.11), 30 이상인 집단에서 0.10 (CI 0.07-0.13) 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4년 간격으로 시행한 건강검진 조사에서 체질량 지수가 1kg/m2를 초과하여 감소한 경우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나 (aHR 1.08, 95% CI 1.01-1.16), 1kg/m2 이상 증가한 경우 발생률은 감소하였다. (aHR 0.77 95% CI 0.71-0.83) 이 연구를 통해 기저 체질량 지수가 낮을수록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의 발생률은 높아지며, 4년의 관찰기간 동안 체질량 지수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환자의 영양상태의 악화가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 예술 전공 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송진화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Supportings for startups has quantitatively increased by legislation of “Act on Special Measure for the Venture Business Nurturance.” Business startup has been through numerous discussion for being a factor for economic growth, job creation evolution stimulation, and a social stabilizer(Hyunbong Yang·Han Chang-yong·Jinsoo Kim, 2018). President Moon Administration has been actively supporting all industries’ startup by expanding their budget by 25% year-on-year. (MSS, 2020) But the annual report from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shows that ministries like MCST, MOIS and MOF had to cut their budget for startup support, while MCST had to decrease budget the most by 9.4 million won, when budgets for whole other industries has increased. (MSS, 2020) Also considering that supporting art startup is more likely to take investment form, which become alternative to the original supporting by subsidy, there should be more supplements to be accomplished since supplying method is undergoing a major transition in the period(Jongeun Jeong, 2017). Preceding research on startups has studied major factors that create willings of starting up for the normal college student, while it does not show factor affecting willings of startup by art major students or artists. It concludes that not only startup supporting for the art industry is inadequate, but also the research for it is. My research is based on the preceding data which is prove the theory that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and the entrepreneurial support program affecting entrepreneu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o sugges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directions for the follow-up study of the artist’s entrepreneurship .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First, how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it is verified the thesis whether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upport program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the effect was to prove whether social support plays a controll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startup support program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set based on those ques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rt. our team send out a questionnaire for 30 day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A total of 299 people were surveyed, 297 students responded, and 2 did not respond. First summary for the research shows that direct variables affecting motivation for the start-up were innovative mindset and risk sensitivity of individuals, which were actually showing solid positive effect. Result has concluded that more innovative mindset and risk sensitivity leads to solid motivation for building the startup. Second result was that self-efficacy causes mediate effects on in some cause-and-effect cases. Among the causality of innovative mindset and risk sensitivity on start-up motivation, it appeared that self-efficacy functions as valid parameter with positive impact. Third result was that social support causes moderation effects on in some cause-and-effect cases. Among the causality of innovative mindset and risk sensitivity on start-up motivation, it appeared that social support cements positive effects of them. As per such result from our research, we concluded that basic studies of startup analysis for artists’ start up supportive research is established, by theoretically analyzing variables related to willing of bachelors & master’s degree students. We suggested that improvement of art colleges’ startup support program is necessary in political manner. It is support on education for startup that is the most necessary among all the other program, and changing field study to be based on art-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rather than bases theoretical study. 1997년에 제정된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시작으로 창업에 대한 지원은 양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창업은 경제성장, 고용창출, 혁신촉진 등 시장의 역동성뿐 아니라 사회적 안정성 측면을 중심으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는 2019년 대비 창업지원 예산을 29.8% 증가시키면서 모든 산업의 창업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다. 그러나 2020년 중소기업벤처부의 보고서를 분석해보았을 때, 전체창업지원 예산은 증가하였으나,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해양수산부는 2019년 대비 창업지원예산이 삭감하였으며, 특히 문화체육관광부는 9.4억원이 감소되면서 가장 많은 창업지원 예산이 삭감되었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창업지원 방식은 보조금 지원방식에서 투자적 지원방식으로 전환되는 과도기 시점에 있어 여전히 많은 보완이 필요하다. 창업에 관한 선행연구는 일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에 대해 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예술 전공 학생 혹은 예술인 대상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즉 다른 산업과 비교하였을 때, 여전히 문화예술산업의 창업지원은 미흡하며, 이에 대한 연구 역시 다른 산업과 비교하였을 때 부족하다는 점을 볼 수 있다 때문에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기존의 창업 연구에서 다뤄져 왔던 선행연구 요인을 토대로 예술 전공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어떤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사회적 지지가 어떤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규명하여, 이를 통해 예술인 창업의 후속연구를 위한 이론적 시사점과 정책적 방향성을 시사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본고는 아래와 같은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과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개인적 특성, 창업지원프로그램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셋째, 개인적 특성, 창업지원프로그램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질문을 바탕으로 설정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약 30일 동안 전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서 예술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299부를 설문하여 299부를 회수하여 부실한 2부를 제외한 297부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창업의지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는 변수는 개인적 특성의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정(+)의 효과가 있었다. 즉 혁신성,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일부 인과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었다. 개인적 특성 중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인과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수로서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의 경우, 사회적 지지는 일부 인과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 중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인과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으로는 예술전공 학생의 창업의지에 관계된 변수들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여 예술인 창업의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적 예술 분야 창업 연구 자료를 구축하였다는 점을 시사할 수 있었다. 정책적으로는 예술 대학교 창업지원프로그램의 개선이 필수적이며, 창업지원프로그램 중 창업 교육 지원을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점과 창업 교육 지원을 직무 이론 교육과정이 아닌 예술 기업가정신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실습교육과정 형식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 아유르베다에 의거한 약용식물 속새 추출물이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에 미치는 영향연구

        송진화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양의 전통의학에 비하여 현대의 서양의학은 비교적 짧은 역사를 통하여 급속하게 발달해왔다. 그러나 현대 서양의학은 주로 대증요법(對症療法)을 중심으로 발달해왔기 때문에, 질병의 원인을 치료하기 보다는 그 증상을 완화하는 처방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심지어는 지금까지 서양의학에서 사용된 항생제나 진통제는 오히려 인체의 면역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반성도 있다. 이와 같이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서양의학에서 사용되어온 약(藥)이 오히려 독(毒)으로 판명된다는 것은, 서양의학체계 자체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 서양의학이 2-3세기 안에 그 한계를 드러낸 것과는 달리, 아유르베다의 치료법들은 그 본고장인 인도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여전히 별 무리 없이 통용되고 있다. 아유르베다의 원리와 방법들은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유용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아유르베다가 단순히 과학적 발명을 토대로 한 약물에 의존하기보다는, 불변하는 우주의 법칙에 대한 이해에 바탕을 두면서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특히 아유르베다는 "인간과 자연의 동일"을 근본원리로 하며, 자연의 산물인 약초는 인간과 세계의 동일을 회복하는 가장 중요한 치유 수단으로 간주했다. 아유르베다의학의 중심 경전인 <차라카상히따>(Caraka-Saṃhitā)에는 인체의 생리적, 해부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고, 여러 질병들에 대한 식이요법과 약용 식물을 이용한 치료법을 상세하게 소개되고 있다. 치료법에 관한 부분은 약용 식물들과 그 특성, 허브 조제법, 그리고 정화법과 같은 치료의 절차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포함한다. 아유르베다는 주로 자연의 한결같은 법칙에 근거하여 대부분의 치료를 약초(herb)에 의존한다. 차라카(Caraka)는 주로 허브를 이용해 치료 하는 내과 의사들의 아트레야(Atreya)학파를 대표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포괄적인 의학인 아유르베다 의학에 기초하여 속새의 피부 항산화활성과 피부주름에 효과가 있음을 조사하고, 각 추출 방법에 따라 효과 차이가 있음이 연구되어 우리 생활에 적합한 천연 항산화제 및 주름개선에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속새속(屬, Equisetaceae) 쇠뜨기추출물이 주름과 항산화에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어, 이미 제약회사에서 항염제(抗厭制) 또는 항균제(抗菌制)의 원료로 쓰이고 있으며, 화장품 회사에서 세안제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속(屬)의 국내종인 속새 추출물이 지니는 피부항산화와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실험연구 하였다. 또한 전통의약에서 많이 이용하는 추출법인, 열수추출과, 주정추출방법을, 일반적인 생약추출에 활용하는 70%주정추출과의 추출법에 따른 비교 연구를 수행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대산지역 해발 700미터 지역에서 자생하는 속새를 사용 하였으며, 속새의 지상부와 뿌리에 대해 항산화 및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 기존에 화장품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다른 천연물 소재들에 비해 월등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적 이용이 용이한 속새의 지상부에 대해 민간 전통적인 추출방법인 열수추출, 주정추출, 일반적인 생약추출에 활용하는 70%주정추출과의 추출법에 따른 추출물을 비교 연구를 수행한 후,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열수추출물과 주정추출물도 70%주정추출물에 버금가는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속새 지상부를 열수추출한 속새 지상부 열수추출물이 산업적으로 활용도 용이하고, 피부항산화와 주름억제 능력도 있어서 기존의 쇠뜨기 추출이나 다른 천연소재들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Comparing with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Modern Western medicine relatively has been improved in a short history. But western medicine was developed based on Allopathic medicine that treatment to relieve the symptoms not the way cure disease after finding out what is causing. Even now, there is self-reflection for the Antibiotics and pain reliever resulted in weakening the immune system of the human body in the medical world. Unlike modern Western medicine is reveals the limits in two or three centuries, the Ayurveda treatments are still being accepted in the word without big issues as well as its home to India. It means The Principle and Method of Ayurveda will be very useful contiguously. Because it's develop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laws of the universe, rather than simply rely on medications of scientific invention. Especially, The Ayurveda, Identification of human and nature into a fundamental principle were regarded natural herbal products as the most important treatment. The main scriptures <Caraka-Samhita> of Ayurvedic medicine describe the physiological and anatomical structure of the human body in detail and has been introduce the dietary cure and treatments using medicinal plants for several diseases. The part of therapy include detailed description of medicinal plants and each specificity, herbs recipe, purification. Ayurbeda therapy used herb for cure. Caraka is mainly representing to Atreya school of physician group to treat with herbs. In this study, I chose the way of the collecting time and extraction procedure of main specimen Equisetum hyemale from Ayurveda which is based on the world's oldest and most comprehensive medicine. Equisetum hyemale is a perennial plant of the Equisetaceae family which is grown in the high mountain regions of north eastern Asia, Siberia, and north Europe. In this research, we evaluated the skin anti-oxidative and anti-wrinkle activity of Equisetum hyemale extract based on Ayurveda. The 70% ethanol extracts of its aerial and underground part were tested its anti-oxidative and anti-wrinkle activity, which was harvested at the 700 meter altitude mountain area(Odaesan) in eastern Korean.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were tested along wit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ABTS and DPPH for its anti-oxidative activity. The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was evaluated for its anti-wrinkle activity. The Hot water extract and ethanol extract of its aerial parts also were studied on its antioxidative activity and HPLC chemical profiles comparing with the 70%EtOH extracts. Our results suggest that Equisetum hyemale could be used as the natural antioxidative and anti-wrinkle agent for cosmeceutical uses. Specially, its areal parts water extract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cosmeceutical industry.

      • 꽃차의 자연치유적 활용에 관한 연구 - 메리골드꽃차를 중심으로

        송진화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메리골드꽃차를 중심으로 꽃차의 자연치유적 활용을 모색하고, 이를 토대로 기능성 메리골드꽃차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생명 에너지가 함축된 꽃의 자연치유적 활용에 대하여 고찰하고, 기능성 메리골드꽃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말린차, 덖음차, 발효차를 제조하여 우림물에 대한 색, 맛, pH에 대한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또한 메리골드꽃과 발효메리골드꽃의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폴리페놀함량,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NIH3T3 cell, HeLa cell, HCT116 cell 실험을 통하여 대장암 및 자궁경부암에 대한 메리골드꽃차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류 역사의 시작과 함께 공존한 질병의 치료를 자연의 식물에서 해답을 찾아온 고대 약용식물에 대하여, 인도 아유르베다(Āyurveda)의 약초학과 중국 전통한의학의 본초학 그리고, 기독교 성경에 나타나는 약용식물을 살펴봄으로써 동서양의 약용식물과 인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였다. 둘째, 꽃과 잎의 의학적 의미와 특징, 그리고 아유르베다의 관점에서 꽃을 바라볼 때 작용하는 감각기능과 마음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집중하여 바라본다는 것은, 잠들어있는 차크라(cakra)를 각성시켜 신체는 물론 생리, 심리상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생꽃과 말린꽃, 덖은꽃과 발효꽃 등 꽃의 자연치유적 활용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특히 생꽃이 지니는 응집된 생명력은 파동의학의 힐링 도구로 이용된다. Bach flower remedy는 38가지의 꽃으로 인간의 감정이나 정서적 장애의 치유는 물론 나아가서 영성치료의 일환으로 사용된다. 말린꽃은 허브티로 알려져 있으며 서양에서는 주로 허브티를 즐겨 마시고 있다. 최근 꽃을 이용한 블렌딩 꽃차 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블렌딩 꽃차로는 캐모마일 허브티가 가장 인기가 있었다. 덖음꽃은 우리나라 꽃차의 제다법으로 주로 이용되며, 최근 건강에 관심이 커짐과 동시에 기능성 꽃차인 발효꽃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외에도 꽃의 비물질적 에너지 즉, 기(氣)는 우리의 의식이며 이것의 집중은 에너지도 되고 물질로도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 꽃차의 아름다운 수색(水色)과 향기를 활용한 컬러테라피와 아로마테라피는 비침습적이고 전인적인 치료법이다. 꽃차명상은 꽃을 제다하는 과정과 우려서 마시는 일련의 과정이 마음을 집중하는 하나의 수행과정이다. 넷째, 자연치유적인 기능성 메리골드꽃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메리골드꽃을 말린차, 덖음차, 발효차로 제조하여 우림물에 대한 색, 맛 및 pH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말린꽃 메리골드꽃차를 마실 경우 대체로 풋풋한 향이 났으며, 100℃에서 우림물의 향과 색이 가장 선명하고 깊은 맛을 느낄 수 있었다. 덖음꽃차는 말린 메리골드꽃차보다 맛이 더 깊고 구수하다. 덖음온도 180℃에서 우림물온도 100℃일 때, 진노랑의 수색과, 최적의 향과 맛을 느낄 수 있었다. 덖음온도가 60℃로 낮을 경우는 풋내와 비릿한 맛이 남아 있어 꽃차 제다로 적합하지 않았으며, 덖음온도 220℃가 넘으면 탄내가 나고 고유한 향이 없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발효 메리골드꽃차는 우림물 100℃일 때, 연주황색의 구수한 단맛이 어우러졌으며, 말린차, 덖음차, 발효차의 pH는 모두 약산성이므로 적합하였다. 메리골드꽃차의 우림색인 노란색은 요가의 7가지 차크라 중 마니뿌라(manipura)차크라와 관련되며 간(liver), 췌장(pancreas), 소화계통(digestive system), 담낭(gallbladder)에 큰 영향을 준다. 이 차크라는 배꼽(navel)과 흉골(sternum) 사이에 위치하여 신체의 에너지 균형을 맞추어 주고 우울감을 해소시켜 행복하고 낙천적인 느낌을 준다. 기능성 면에서 우림물의 노란색 꽃차는 카로티노이드(carotinoid)가 풍부하여 레티놀(retinol)로 전환될 수 있다. 이 성분들은 체내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되며,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티노이드는 활성화산소를 제거하고 안구 건조증 예방 등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므로 메리골드꽃차를 즐겨 마시면, 이러한 질병에 대한 자연치유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메리골드꽃과 발효 메리골드꽃의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산화효과(폴리페놀,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및 환원력)와 독성, 자궁경부암 및 대장암 세포주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메리골드꽃은 발효메리골드꽃보다 폴리페놀함량이 1.62배, DPPH radical 소거능이 1.3%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시판 ascorbic acid보다는 1.05% 낮았다. ABTS+ free radical은 1.88% 높았으나 시판 ascorbic acid보다는 1.21%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발효와 비발효 메리골드꽃 모두 우수한 항산화 능력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환원력은 메리골드꽃이 발효메리골드꽃 보다 1.38배 높고, 시판 BHA보다 1.09배 낮지만, 모두 우수한 환원력이 있으므로 자연치유 기능성 차로서 구비조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메리골드꽃과 발효메리골드꽃의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과 대장암 및 자궁경부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메리골드꽃과 발효메리골드꽃 추출물은 NIH3T3세포에서 대조구보다 전 농도에서 세포증식을 보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HeLa cell은 대조구에 비하여 시료 추출물 실험에서, 100 ug/mL 농도에서 가장 세포생성율이 낮았으며, 메리골드꽃(1.44%)과 발효메리골드꽃(4.71%)의 세포생성율이 감소하였으며, 발효메리골드꽃은 메리골드꽃보다 3.27% 자궁경부암 저해효과가 높았다. HCT 116 세포에서 시료 추출물의 400 μg/mL 농도에서 세포증식률이 가장 낮았다. 메리골드꽃(25.02%)과 발효메리골드꽃(11.95%)의 세포생성률이 감소하였다. 메리골드꽃은 발효메리골드꽃보다 13.07% 대장암 저해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차로서의 적합성과 기능성 메리골드꽃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여러 제다법을 활용하여 제조한 제품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차로서 적합하였으며, 항산화 기능이 우수하고 항암물질도 내포하며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꽃차로서 개발이 가능하다고 사료 된다. 메리골드꽃 추출물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제다법으로 다양한 차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자연치유 기능성을 가진 다양한 꽃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 꽃차, 약용식물, 꽃요법, 메리골드꽃, 발효차

      • 중국, 한나라 칠기의 조형 연구

        송진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Han Dynasty (B.C.202~A.D.220) was an important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ancient Chinese culture, which had a profound impact on later generations, especially the Han Dynasty lacquerware was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mod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Han Dynasty lacquerware, explore the advantages of its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follow-up research of Han Dynasty lacquerware. At present, the research of Han Dynasty lacquerware modeling design and decorative art is still limited, lacking systematic research results. Theref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find out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Han Dynasty lacquerware and the advantages of lacquer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around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Han Dynasty lacquerware and explore the advantages of its production technology through the modeling analysis of Han Dynasty lacquerware. In addition, it also provides basic data for the follow-up study of Han Dynasty lacquerware. The research scope is based on 359 lacquer artifacts collected by 25 Chinese museums and cultural relics and archaeology department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y.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Han Dynasty lacquerware i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culture, material production and other fields. The development of lacquerware in the early of former Han Dynasty was the result of many factors, such as the policy of recuperation, the influence of Huang Lao aesthetic thought(黄老美学思想) and Chu culture, the aesthetic requirements of the aristocratic class, and technological changes in iron smelting. Lacquer ware in the middle period of the former Han Dynasty, influenced by aesthetic ideas such as 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yin and yang, as well as aristocratic aesthetic need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such as iron making, has been developing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economic, handicraft and commercial prosperity. In the late of former Han Dynasty, centered on the Confucian decorative aesthetics, with the change of consumption concept and the maturity of lacquer decoration techniques, the artistic style of emphasizing ornate decoration was displayed. After lacquerware was gradually replaced by ceramics in the Later Han Dynasty, dominated by various religious aesthetic ideas and practical aesthetic concepts, the production of lacquerware changed from aristocratic to folk, with commercial characteristics. Han Dynasty lacquerware was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artistic forms, such as portrait stones, portrait bricks, tiles, furniture, lighting appliances, murals and silk paintings. Therefore, in terms of pattern material, composition method, pattern composition method, expression method and creation concept, it shows the common ground with lacquer ware.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lacquerware in the Han Dynasty was mainly operated by the state, and a special lacquerware industry management department was established to stabilize production and management. The division of labor in the production department is reasonable and efficient. This kind of active management system, which is dominated by the production environment and state-owned enterprises, may be the reason why the Han Dynasty lacquerware formed the golden age of Chinese lacquerware history. The lacquerware of Han Dynasty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art of later generations in China. Later porcelain design was influenced by Han Dynasty lacquerware in terms of aesthetics and craftsmanship. In terms of functional protection and beautification of artifacts, the lacquerware of Han Dynasty is obviously pioneering. The materials and types of lacquer patterns in the Han Dynasty,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individual patterns and two side continuous patterns, had a great impact on the design of later generations.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Han Dynasty lacquer and furniture improved the durability and decoration of lacquer furniture. The composition and the form of expression of lines had a great impact on the painting of later generations in China. Investigating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lacquer materials and techniques is one of the important ways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lacquer 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tial reason for the birth of the Han Dynasty lacquerware techniqu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terial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lacquerware. The materials used to make Han Dynasty lacquerware include paint, auxiliary materials, abrasive materials and body materials. The specific lacquering materials include natural paint, dry oil, pigment, metal, beam charcoal, tile ash, etc. The matrix materials mainly include wood, linen, clay, etc. The wooden body is mainly made by carving, lathing, rolling, splicing, mortise and tenon. Ramen crafting is the method of removing the mold from linen. painting technique of lacquer(髹涂技法) mainly include thick material painting, Decoration technique of lacquer(髹饰技法) mainly include color painting, carving and filling, metal inlaying, and paint stacking.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in dealing with these materials and various techniques has become the background for Han Dynasty lacquerware to have excellent production technology. In order to analyze the shapes of lacquerware in the Han Dynasty, 359 pieces of lacquerware in different periods of the Han Dynast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varieties and period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ypes, shapes, carcass material, carcass making technique, pattern materials, pattern layout, pattern expression forms, pattern painting techniques, and lacquer colors of lacquerware, the modeling features are sorted out. From the time point of view, most of the lacquerware in the Han Dynasty is from the pre Han Dynasty. In the Later Han Dynasty, due to the development of ceramics and the change of funeral customs, the number of lacquerware was small. However,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observe the overall distribution and modeling characteristics of Han Dynasty lacquerware. As for the types of lacquerware in the Han Dynasty, boxes (35.9%) were the most popular, followed by plates, basins and bowls (16.4%) and cups (12%), while pots, furniture, toys and spoons were few, rare weapons, ladles, tools, funeral utensils, pots, stationery and musical instruments, most of which were practical tools for daily use. In addition, the number of types of some types of artifacts has increased and decreased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indicating that with the advent of lacquerware required by the society, some lacquerware that cannot adapt to the times gradually naturally withdrew and was eliminated. In morphological analysis, most of the boxes were round (50.4%). Followed by cylindrical, quadrangular, etc. The lid and body of the box in the Han Dynasty were both closed from top to bottom. In plates, basins and bowls, the bottom is mostly arc-shaped. Cups are almost all ears. Pots and cans are mostly round bellied. It is believed that the number of other types of lacquerware is small, and there is no significance of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The shapes of lacquerware in Ha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articles for daily use, bronze imitation, biological imitation, etc. The daily necessities (58.5%) are the most, which can be divided into daily necessities, living room supplies, entertainment supplies, etc. according to the use function. Biomimetic types are animal type, plant type and human type. The body of lacquerware are mainly wood (67.1%). This is because wood is cheap, easy to get and easy to process. The second is the ramie and linen. There are few other materials. In terms of the techniques for making body, the wood body is usually made by planing, chipping, digging and chiseling. In addition, lathing technology and coiling technology are also used. This woodworking techniqu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tensil. The materials of patterns mainly appear in the order of natural patterns, animal patterns, and geometric patterns, while other patterns have less themes. The main patterns are mainly cloud, persimmon, phoenix, dragon, etc. Most of the patterns of natural phenomena are moire. This seems to be the materialization of the immortal thought of the Han Dynasty. The patterns of animals are mostly birds, phoenixes, dragons, tigers, deer, etc. In the layout analysis of the pattern, the main pattern widely uses the separate pattern of the S- type construction technique. Dependent patterns are mostly two consecutive patterns. The expression form of patterns is mostly abstract deformation techniques (73.5%), and there are few 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The painting technique of patterns mainly uses the line painting technique (30.9%), followed by the compromise technique of line painting and flat painting (17.6%), the form without pattern (15.9%)。Other painting methods are rarely used. The base color of lacquerware is black on the inside and outside (56.3%), followed by black (27.3%). The color of lacquer patterns is mainly red (57.4%), followed by black. Other colors are less and more used for color matching.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s of lacquerware in the Han Dynasty were diverse, with different practical forms and unique decorative features.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Han Dynasty lacquerware formed the golden age of ancient Chinese lacquerware culture. In addition, the stable produc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national professional lacquerware industry management department was the factor that the Han Dynasty lacquerware had excellent production technology with various production methods as the center. I hope that I can continue to make specific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lacquer craft of the Han Dynasty in the future.

      • 디지털 아트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Hypertext) 문제 : 리좀(Rhizome)적 특성을 중심으로

        송진화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발전이 인간의 삶과 사고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디지털 테크놀러지는 단순히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도구나 표현 수단으로의 전환 단계를 넘어서 인간이 이야기하는 내용, 심지어는 인간이 사고하는 방식도 변화시킨다. 컴퓨터와 네트워크 구조를 바탕으로 하는 디지털 매체는 기존의 예술 작품이 지니던 성격과 특성 그리고 그것의 수용방식까지 바꾸어 놓았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디지털 매체로 가능해진 디지털 아트가 다른 기존의 예술과 구별되는 지점을 찾아보고, 새로운 예술로 평가받을 수 있는 가능성의 근거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특히 하이퍼텍스트의 구조적 기능이 강조되는 네트워크 내에서의 디지털 아트의 특성을 고찰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의 단계를 거친다. 첫째, 디지털 아트 및 하이퍼텍스트에 관련된 제논의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하이퍼텍스트 구조를 지닌 디지털 아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예술활동의 중심에 자리잡음으로써 예술의 새로운 유형이 정의된다. 하이퍼텍스트 구조를 이용하여 동시성과 다양성을 가지는 디지털 아트는 컴퓨터 네트워크가 없으면 존재할 수 없으며 기존의 장르와는 확연히 구별되므로 새로운 예술형태라 할 수 있다. 둘째, 네트워크의 연결구성방식인 하이퍼텍스트의 개념과 특성을 이론가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살펴본다. 하이퍼텍스트는 인터넷과 네트워크의 구성 원리이자 구성체계이다. 하이퍼텍스트는 시작과 끝을 가지지 않는 비연속적인 텍스트로서, 기존의 인쇄 텍스트의 특성인 선형성, 완결성, 단일성 등을 벗어나 비선형적, 무경계적, 상호작용적, 다매체적 성격을 지닌다. 셋째, 하이퍼텍스트의 탈중심적 의미를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이론과 연결하여 접근한다. 중심이 없고 시작과 끝도 없는 리좀의 사고방식·구성방식은 비선형적, 무경계적 특성을 지니는 하이퍼텍스트의 특성과 매우 흡사한 면모를 지닌다. 하이퍼텍스트는 끝없이 접속하고 이어지는 리좀의 특성을 지님으로써 네트워크 공간 속에서 사용자에 따라 그 형태와 구성을 달리하는 역동적이고 풍부한 생산력을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하이퍼텍스트 구조는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이미지의 유동성과 네트워크 사용자들 사이의 창조적인 상호작용과정에 중심을 두는 디지털 아트와 접점을 이룰 수 있는 요건을 갖추게 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아트와 하이퍼텍스트의 관계 그리고 그 관계로부터 나아가 디지털 아트의 새로운 예술의 출발점으로서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특히 전통적 예술개념의 변동이라는 측면과 상호작용기능 강화라는 측면에서 디지털 아트의 예술적 중요성을 살핀다. 디지털 이미지는 완전복제가 가능하고, 디지털 네트워크 속에서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유동성을 지닌다. 고정적이고 영원한 가치를 지닌다고 여겨졌던 작품의 형태와 이미지는 그 틀을 깨고 언제나 변화의 과정에 놓여있게 된다. 기존의 물리적 시공간의 개념은 가상의 네트워크 속에서는 적용될 수 없으며, 네트워크 속에서 참여자는 하이퍼텍스트 구조를 따라 자신만의 고유한 내러티브를 가지게 된다. 전통적인 가치는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디지털 아트는 주어지는 작품을 감상하는 수동적인 형태가 아니라 상호작용적이다. 디지털 세계는 작품 참여자에게 반응하고 그를 끌어들이고 참여를 유도한다. 그 결과로 만들어지는 것은 단순히 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진 '작품'이 아니라 참여자들에 의해 규정된 가능성들 사이의 상호작용이다. 네트워크 내 하이퍼텍스트 구조를 통해 역동적으로 생성되는 디지털 아트에서는 그 누구도 다른 사람과 동일한 작품을 경험한다고 할 수 없다. 다양한 가능성의 영역에서 만들어지는 참여자의 고유한 경험은 서로 유사성이 없는 것이다. 디지털 아트 작품은 항상 새롭게 출현하며 참여에 열려진 노정 속에서 일어나는 끊임없는 과정이다. 디지털 아트는 그 어떤 매체예술보다도 하나의 열린 작품으로 작품 참여자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미적 감동을 준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참여와 소통을 통해 디지털 아트는 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pproach digital art, which is progress on the network and internet by the name of net art, web art, or communication art, on the matter of hypertext. By attempting to analyze the interrelation between digital art and hypertext on the network, this dissertation is aim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digital art as new kind of art. Endless extension of network is possible by the system of hypertext. 'Hypertext' is a system of electronic text and one of new information technology outcome, which composed of blocks of text or lexias and electronic links that join them like a web. A term of hypertext was originated by Theodore H. Nelson in the 1960s and he explains it as "a nonsequential writing-tekt that branches and allows choices to reader, best read at an interactive screen" and "a series of text chunks connected by links which offer the reader different pathways". George P. Landow, the hypertext theorist, describes that hypertext is an open-ended text linked electronically by multiple paths, chains, or trails. Hypertext differs from unified and linear text and gives nonlinear, multi-linear text according to user's taste, intention, and spatio-temporal position. With its nonlinear, borderless, interactive, multimedial characters, hypertext can be compared with "Rhizome", the term is developed by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on the book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enis 2』. The followings are the six principles of rhizome which are introduced by Deleuze and Guattari. The first two principles of the rhizome are the "principles of connection and heterogenity." These two principles require that any point of a rhizome system can be connected to any other point. In other words, the rhizome is not hierarchical in structure. It is the anti-hierarchical: no point must come before another, no specific point must be connected to another point, but all points are and can be connected. The third principle of the rhizome is that of "multiplicity". The best way to understand this principle of the rhizome is by looking at the actions of a puppet and its master. According to Deleuze and Gattari, it is not the will of the puppeteer that controls the actions of the puppet, it is a "multiplicity of nerve fibers." It is not the points of contact between the string and the puppet or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hands of the puppeteer and the wooden frame to which the strings are attached that are important when thing rhizomatically, it is the lines between the points that are important. The fourth principle of the rhizome is called the "principle of asignifying rupture."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rhizome may be "shattered at a given spot, but will start up again on one of its old lines, or no new lines." The fifth and sixth principles state that the rhizome is not a tracing mechanism, but is a map with multiple entry points. Tracing is not creating new, it is representing old - following lines that are already there. Mapping, on the other hand, "constructs the unconscious" by orientation "toward an experimentation of contact with the real." That is, the maps can exist as themselves without need for anything outside of the map to exist while tracings can only exists as representations. To summarise the key aspects of the rhizome as described above, Deleuze and Guattari state that, "The rhizome is an accentered, nonhierarchical, nonsignifying system without a General and without an organizing memory or central automation, defined solely by a circulation of states." Any computer, if it has been given with networking capabilities, can go on-line. When using browser software, which is software that displays World Wide Web pages, computer users can connect to any computer on the Internet that they wish to connect to. But the users does not follow a specific hierarchical path. Hypertext has no primary axis, hence it does not have fixed beginning and ending of text but also its border. By this reason, the network, which is using hypertext system, can be a real world example of rhizome. With digital art's appearance on the network, existing traditional notion of art has been much changed. In this thesis, 'transition of traditional notion for art' and 'reinforcement of interactivity' in digital art are dealt with some instance of artistic practice on the network. Originality and genuineness of artwork, which were thought as the most important quality at the traditional art, lost their position by perfect reproduction system of digital technology. Also there is no obvious and linear narrative at the digital art on the network. All participants can contact with open system of network and make their own narrative by choosing their pathway. And network as an hypertext space is a virtual space to which spatio-temporal dimension of actual world is not applied. All users are both clients and servers, and authors and readers, they are just communication actors on the network. It evokes reconfiguring of the author or the matter of multiple subjects and emphasizes not author's power but reader's power. Now the interaction between users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By this interaction quality on the network, artwork refuses its permanent and fixed images, opens its endless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and variety for its users. Artworks are producing from digital matrix, network, interactivity, and collaboration process. As stated above, this thesis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hypertext on the network and to verify the application of rhizome to this network system. Also it is noticed that the digital art on the network with its hypertextual quality changed the traditional notion of art and has its meaningful possibility as new kind of art.

      •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사업 개선방안

        송진화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공연예술인 창업의 개념과 공연예술인 창업지원에 대한 내용을 문헌고찰 하였으며, 국내 외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사업의 사례를 창업지원의 4단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비교 분석한 차이점을 바탕으로 국내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사업의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교육훈련 단계는 국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해 교육대상 중심으로 세분화된 교육과정 기획과 교육주제의 구체화를 차이점으로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국내 공연예술인 창업지원의 교육훈련단계는 공연예술의 특성을 살린 경영직무 교육과정을 기획해야 한다. 둘째,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아이디어 창출 단계는 국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해 지원 프로그램의 기간 연장과 외부기관을 통한 경쟁력 있는 지원프로그램 기획을 차이점으로 보았다. 따라서 국내 공연예술인 창업지원의 아이디어 창출 단계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지원기간을 최대 5개월까지 연장하고 외부기업 전문가와 협업을 통해 기업 연계 지원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한다. 셋째,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사업화 및 사업 확장 단계는 국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해 맞춤형 지원기간과 후속지원을 차이점으로 보았다. 그러므로 국내 공연예술인 창업지원의 사업화 및 사업 확장 단계는 간접지원의 기간 조정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후속지원으로 구축해야 한다. 넷째,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재도전 단계는 폭 넓은 지원대상, 다양한 유형의 지원사업, 외부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정기적 지원사업 기획을 차이점으로 보았다. 따라서 국내 공연예술인 창업지원의 재도전 단계는 중 장년 공연예술인들을 지원대상으로 확장, 멘토링 지원사업의 증설, 외부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정기적 교육지원사업의 기획을 해야한다. 이러한 단계별 국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해 국내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재도전 단계는 다른 단계에 비해 가장 열악한 상황임을 알 수 있었으며, 다른 단계들의 후속지원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공연예술인 창업지원 사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른 단계보다 재도전 단계의 집중적 발전이 필요하다. This study has literately reviewed the concept of performance artists' startups and how they can be supported not only in theoretical basis, but also through case studies (both domestic/foreign) those were analyzed upon 4 different sequential steps. Specific plans to improve artists' startup launching process are studied based on comparing domestic systems to those are foreign, and concluded deliberate analytic procedures. Our suggestion is as below: Our first stage is motivated by that foreign educational system's procedures for artists' startup launching are organized upon segmented planning, and detailed object. Thus, we suggest that domestic education system should also focus on establishing well organized business study course for performance arts Secondly, foreign cases advise that the creation stage to support performance artists' startup launching is suggested to be more competitive, by operating longer and building more organized system by cooperating with external resources. Thus, we suggest that domestic education system to allow extension of the program (maximum 5 months) and to cooperate with expert consultants to plan detail program of support. For third, foreign cases suggest that the expansion stage of the supporting business for the artists' startup, should come up with more organized/flexible operating period and following up support. The domestic education system should not only make supporting period to be more flexible for the artists, but also setting the mentoring program as follow-up services. Fourthly, the re-trial stage for performance artists' startup launching should be composed of expansion of different subjects, creation of more variable supporting business, and constant supporting activity through external resources. Thus, this stage should be focusing on expanding subjects to senior class artists, creating mentor-supporting business, and cooperating with external resources to plan constant supporting business for the performance artists' startup launching. These step-by-step comparison analysis of ours, has concluded that the re-trial stage might be the poorest, but could be directly supporting the other stage at the same time. Therefore, we should focus more on supporting this re-trial stage.

      • 한국 기획영화 제작현장의 특성연구 : 영화 <싸움>을 중심으로

        송진화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천안캠퍼스)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0년대 후반, 영화시장 개방을 기점으로 한국 영화의 기획 및 제작시스템과 영화 인력에 큰 변화가 시작되었다. 작품성과 흥행의 두 측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이 이루어졌고, 기획, 제작, 유통, 마케팅 등 영화산업 전반에서 각 분야의 인력들에게 이전과는 수준이 다른 전문성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기획영화의 제작시스템은 웰메이드 영화라는 수식어가 붙는 2단계로 자연스럽게 발전해 가면서 한국영화의 전반적인 제작경향이 되었다. 본 논문은 웰메이드 기획영화 제작의 거품이 꺼지던 2007년에 제작된 영화 <싸움>을 중심으로, 이러한 웰메이드 기획영화가 만들어지는 전반적인 시스템과 그 전문 인력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개괄적인 수준에 머물지 않고, 현장에서 실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제작현장의 상황과 특성을 면밀하게 살펴보아, 한국기획영화제작의 관행과 그 이면에 숨겨져 있는 소프트웨어적 문제점을 보다 밀착해서 정성적으로 살펴보고, 제작비 정산서 같은 정량적 자료들에서 그러한 이면을 읽어 내보는 사례연구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영화 <싸움>은 신선한 기획, 스타캐스팅, 전문 인력구성으로 새로운 장르 개척을 시도한 시네마서비스의 작품이다. 한국영화계에 투자위축 바람이 불었던 2007년 당시, <싸움>은 로맨틱 코미디 장르계열임에도 불구하고 50억 이상의 제작비를 투자하고 빅 시즌 개봉을 계획하는 등 작품성과 흥행성에 모두 기대를 걸었다. 그러나 흥행과 평단에서 모두 저조한 결과였다. 물론, 캐릭터의 적합성 여부와 시나리오의 완성도, 개봉시기의 변화, 마케팅의 실패 등이 원인으로 제기됐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한국 기획영화의 제작관행에서 비롯되는 시스템의 문제가 큰 것이었다. 먼저, 개봉시기를 맞추기 위해 프리프로덕션을 충분히 갖지 못했다는 것이다. 투자-제작-배급의 수직구조는 웰메이드 영화를 위한 안정적인 장치지만, 투자자본의 시장논리를 맞추기 위해 추석개봉에 억지로 제작스케줄을 맞추려던 것이 오히려 웰메이드의 초석을 흔들었다. 음으로는, 투자 및 제작사에서 중요한 결정권을 감독에게 과도하게 부여 한 점이 문제였다. 한국 영화산업은 전문 프로듀서가 아직도 안착되지 못한 시점이라 상당부분의 결정권이 감독에게 주어진다. 때문에 투자자와 제작자는 신뢰할 만한 감독을 선임하고 그 감독에게 전권을 주는 시스템이 아직도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다. 완성도와 제작비의 균형에서 갈등하는 감독은 결국 완성도를 택하게 되고 이렇게 늘어나는 제작비는 고스란히 제작사와 투자사의 리스크로 돌아온다. 본 연구자는 위에서 언급한 시스템의 문제가 어떻게 제작비 정산서를 통해 객관적으로 입증이 되는지를 <싸움>의 프로듀서로서 현장에서 직접 접한 상황을 토대로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보게 된 여러 가지 제작의 관행들을 정성적인 입장에서 기술하였다. 결론에서는 책임프로듀서의 부재, 충분하지 못한 프리프로덕션이 미치는 프로덕션의 한계, 그리고 스태프들의 전문화를 저하시키는 계약관행이 제작시스템 안에서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특히 책임프로듀서의 부재는 감독 중심형 제작현장으로 이어지면서 감독에게 주어진 과도한 결정권을 견제할 만큼의 프로듀서의 역량이 미치지 못 했다는 한계성을 언급하였다. 감독과 프로듀서 그리고 전문 스태프의 조화는 영화 제작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방식이지만 한국 영화계에서는 여전히 감독과 프로듀서의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힘의 불균형이 이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영화산업에서의 핵심적인 요소는 바로 인력의 변화에서 온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기획영화의 발전적인 미래상을 위해 영화 인력들이 상호 어떤 균형을 이뤄야 할지에 대해서 미력한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the late 1980s, since opening film market, Th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in Korean film industry have grown along with the advent of mor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There has been a remarkable growth in both production value and box office success. It demanded another level of professionalism from every field of manpower in the overall movie industry like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marketing, etc. High-concept movie in the new production system naturally evolved to a well-made movie; thus, it led to a general production trend in Korean film industry. This paper is based on the movie “Venus and Mars” produced and released in 2007, the year that bubble in Korean film market bursted. This study looks on the production system and the character of staffs working in the well-made movie not just in overall level, but thoroughly examines the realistic situation and the attributes of the field. It is a case analysis in cultural study on Korean high-concept movie production. This paper attempts to comprehend the hidden side as a case study by gathering the quantitative references, such as statement of accounts. The movie “Venus and Mars” is a work by Cinema Service that attempted a new genre with unconventional planning, A-list casting, and special manpower organization. Even with the investment downswing in Korean movie industry in 2007, despite it being a romantic genre, “Venus and Mars” invested more than 5 billion w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lm and planned to release it during Korean Thanksgiving Day. However, the results went under in both box office and criticism. Character convincing, the script, the releasing schedule, and the market collapse were raised as reasons for the failure, but the main reason was due to the system problem of quasi Hollywood Korean film industry. First, not enough time was given for pre-production due to the haste to meet the movie release schedule. Although the vertical structure of investment-production-distribution is a good method to create a well-made movie, rushing into the production schedule just to conform with the market coherence of the investment capital shook up the basis of it. Secondly, the problem was that the investors, as well as the production company, overly granted the decisive power to the director. Because there are not many producers in Korean film industry, majority of the decision is given to the director. Therefore, in most cases, the investors and the production companies appoint a director they can trust and allow him with full authority. This leads to the director focus on the quality of the movie rather than the keeping under the budget of the production; thus,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cost is ended up the responsibility of the investors and the production companies. To prov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I analysed the total cost of production statement and by doing so, I believe the system has more space to be improved. As a result, due to the lack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director, the limit of production with insufficient pre-production, the absence of the individualized contract which affects the staff's professionalism. Even though, the harmony among the director, producer and the crew is important, unfortunately, there is still imbalanced power among the director and the producer make it hard in some Korean movie production. Through my case study of "Venus and Mars", I hope this will be helpful to develop the better quality of movie in Korean movie industr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