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송순옥 전남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은 유아들이 그림책을 감상하고 등장인물의 정서를 인식한 후에, 정서를 표현 할 수 있는 역할놀이를 통해 서로의 정서를 교류하며 정서의 조절과 전환을 경험하여 볼 수 있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선정하고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으로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단계를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평가 방법을 선정한 후,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에 대한 검토 및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능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K유치원 만 5세 2학급(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3명) 유아 46명이다. 연구도구는 우수경(2005)이 개발한 부모용「유아 정서능력 검사도구」와, 이은주(2010)가 개발한 교사용「유아 행복 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2014년 5월 28일부터 7월 18일까지 8주 동안 총 24회로, 실험집단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일반적인 유아정서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의 정서능력과 행복감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을 구성한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표현할 뿐만 아니라 정서교류를 통해 정서능력을 향상시켜 원만한 대인관계와 행복한 삶을 도모한다’를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표현한다’, ‘정서를 이해하여 공감하는 능력을 증진한다’, ‘정서를 조절하고 교류를 증진한다’, ‘즐거움과 긍정적인 마음 상태를 도모한다’를 선정하였다. 내용은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조절, 감정이입, 정서교류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단계, 교사의 역할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원리는 '놀이중심의 원리', '정서경험의 원리', '흥미⦁몰입중심의 원리', '정서교류의 원리'를, 교수-학습 전략으로는 '정서확인하기', '감정이입하기', '긍정적 정서연결하기', '행동으로 정서표현하기'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원리와 전략을 토대로 도입, 전개, 마무리의 교수-학습 단계를 구성하였다. 도입에서는 그림책을 감상하고 회상하기, 전개에서는 정서를 확인한 후 역할놀이를 통해 정서를 표현하고 정서확장하기, 마무리에서는 정리하기로 구성하였다. 교사역할은 '계획자 및 실천자', '정서지원자 및 상호작용자', '정서적 공감자', '사이드 코칭자', '자원제공자', '평가자'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교사평가와 유아평가로 구성하였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그림책을 활용한 일반적인 유아정서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정서능력과 행복감을 검사하였다. 분석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능력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행복감에서도 전체 행복감 및 하위영역인 몰입, 건강, 영성, 또래관계, 교사관계, 인지 및 성취, 정서, 생활만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관계에서는 사후 검사점수가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은 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표현할 뿐만 아니라 정서능력을 향상시켜 원만한 대인관계와 행복감을 도모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가 연계성 있게 구성되었다. 또한 유아의 정서능력과 행복감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순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 매체로서의 가치가 인정되고 있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구체적이고 단계적인 정서표현활동을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그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친사회적 행동과 그 하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M어린이집 만 5세 유아 20명(실험집단)과 B어린이집 유아 20명(비교집단)을 대상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14회의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에 참여 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그림책을 활용한 일반적인 표현 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 측정을 위해 Salovey & Mayer(1990)가 개발한 도구를 이병래(1997)가 수정, 번안한 정서지능 교사용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김영옥(2003)이 개발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표현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을 사후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정서지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유아의 자기인식능력,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유아의 타인인식능력, 유아의 타인조절능력에서도 실험집단이 그림책을 활용한 비교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을 사후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영역인 유아의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 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서도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친사회적 행동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주인공의 행동에 대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 나누고, 여러 가지 생각을 모아본 후, 대안제시를 통하여 의견을 나누고, 표현활동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미 있는 교수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ARCS 동기모델을 적용한 수업 전략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동기 및 학업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송순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양한 수업 자료의 동기적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 방법으로써 제시된 Keller의 ARCS 동기이론을 활용한 수업전략의 제공여부가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자아개념에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ARCS 동기모델을 적용한 수업과 일반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동기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둘째, ARCS 동기모델을 적용한 수업과 일반 수업은 학업자아개념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북 예천군에 소재 한 Y초등학교 3학년 1개 반 3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같은 학년의 다른 1개 반 3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로 ARCS 동기모델을 활용한 수업을 총 9주간에 걸쳐 38차시를 적용하여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평소대로 교사중심의 일반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학습동기 검사도구는 Keller(1993)의 코스흥미조사(Course Interest Survey)를 초등학교 3학년 수준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학업자아개념 검사도구는 김용래(1993)가 제작한 자아개념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 후 가설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다변량분산분석(MANOVA)으로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ARCS 동기모델을 적용하여 작성한 수업지도안에 따라 학습한 집단은 통제 집단의 학습동기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F_(1,58)=7.23, p<.01). 그러나, 주의집중과 만족감 요소에서는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 점수를 나타내지 않아 하위요소들 간에는 향상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Wilk's Lambda 값이 F_(1,58)=3.758, p<.01이므로 하위영역들 간에 전체적으로 상호영향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ARCS 동기모델을 적용하여 작성한 수업지도안에 따라 학습한 집단은 일반적 수업 집단의 학업자아개념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은(F_(1,58)=5.02, p<.05)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동기의 하위요소를 살펴보면 학업능력자아개념(F_(1,58)=6.04, p<.05)과 수업자아개념(F_(1,58)=9.63, p<.01), 학업성취자아개념(F_(1,58)=6.43, p<.05) 모두 평균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ilk's Lambda 값이 F_(1,58)=3.938, p<.01이므로 하위영역들 간에 전체적으로 상호영향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ARCS 동기모델을 적용한 수업전략은 아동의 학습동기와 학업자아개념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또한 하위변인별로는 향상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연구 대상과 적용 교과에 한계가 있으므로 차후 실험집단의 확대와 교과 등의 확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 using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strategy on development or maintenance of learning motivation and development of academic self-concept. The following hypothese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1.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Learning Motivation measur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2.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Academic Self-Concept measur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two third grade's classes of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echeon City, GyeongsangBuk province were selected and allocated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instruction using ARCS strategy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general instruction during nine weeks.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a CIS(Course Interest Survey) by a J. M. Keller and ASC(Academic Self-Concept) by a Kim, Yong-Rai.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 Manova to verify hypothesis Ⅰand analyzed by a Independent Sample t-test to verify hypothesis Ⅱ.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is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better improvement than control in Learning Motivation(F_(1,58)=7.23, p<.01). From the sub-variab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evence(F_(1,58)=13.03, p<.01) and confidence(F_(1,58)=7.03, 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ention(F_(1,58)=1.23, p>.05) and satisfaction(F_(1,58)=1.78, p>.05). Secon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better improvement than control in Academic Self-Concept(t(58)=-5.02, p<.05). From the sub-variab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bility concept(F_(1,58)=6.04, p<.05), lesson concept (F_(1,58)=9.63, p<.01), academic achivement concept(F_(1,58)=6.43, p<.05). Therefore, The instruction using ARCS make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Self-Concept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ARCS model's validity was accepted partially and ARCS model improve the Academic Self-Concept that is one of the elements of the study's achievement.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s that is one of the ways to verify validity of ARCS model.

      • 지역문화를 활용한 초등학교 미술 지도 방안 : 진주 지역의 문화재,축제를 중심으로

        송순옥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ome argue that art education needs to focus on helping figure identity of Korean cultu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other cultures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one of the latest trends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7th Education Course requests teaching regional culture that can help figure identity of Korean art culture through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s befitting each and every region, and revis ededucational course in 2007 also emphasizes it. If cultural resources located in Jinju area are used in art classes, their educational value would be great and educational methods would be diversified, However, it has been hardly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In this regard, the study suggested how to apply art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 use of culture in Jinju. It aims to provide edu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subjects, use websites and festivals, induce a visit to museums, apply appreciative work sheets and make the most of NIE so that students better understand art culture in their own areas and have more interest in them helping them have pride in their own community. The study aimed to restore traditional values by using regional cultural assets and festivals in an effort to localize elementary art education courses and help students who are members of local community figure their root and identity. Chapter 2 dealt with concept, characteristics, necessity and educational values. Chapter 3 contained main regional cultural materials in Jinju and examined how to include them into art text books.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to figure the contents, standard and methods of education befit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pter 4 aimed to figure art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 use of culture in Jinju and apply them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questionnaire research produced following research. First,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regional society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value of regional culture.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art culture in their own community and developed interest in it. Third,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appreciative ability and aesthetic expression ability that are required to figure historical facts, formative beauty and spiritual value in local culture. Fourth, students were able to have pride in local community. Fifth, students were able to enhance identity and creativity with regard to local culture. Sixth,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appreciate and understand traditional arts. Those who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raditional arts were able to approach them with interest by using local culture. In addition, students were able to have a chance to enjoy local culture through activities in the field and appreciation of cultural assets. 최근 미술교육의 한 흐름인 ‘다문화 미술교육’에서 다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시킬 수 있는 미술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를 그 지역 실정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가르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문화적 가치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진주지역에 소재한 문화 자원을 미술과 수업에 활용할 경우 교육적 가치가 크고 방법은 다양하지만, 아직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주의 문화를 활용한 미술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간 통합에 의한 지도, 둘째 Web을 활용한 지도, 셋째 축제를 활용한 지도, 넷째 박물관 관람을 통한 지도, 다섯째 감상용 Work Sheet에 의한 지도, 여섯째 NIE를 활용한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고장의 미술문화를 올바르고 쉽게 이해하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하며, 지역 사회에 대한 애착심과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문화재와 축제를 미술교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의 방안으로 활용하여 전통적인 가치들을 되살리며, 지역의 구성원인 학생 자신들이 문화의 뿌리를 알게 하며, 지역의 문화주체로서 주체성과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에 앞서 Ⅱ장에서는 지역문화의 개념·특성·필요성·교육적 가치를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진주의 주요 지역문화자료를 살펴보고 진주의 문화 자료의 미술 교재화 방안을 다루었다. 여기서는 학생들의 설문에 의해 조사된 내용과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기에 무리가 없는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의 내용, 수준, 방법 등의 교육과정을 설정하는데 주요한 준거로 활용하였다. Ⅳ장에서는 진주의 문화를 활용한 미술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설문을 통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지역사회를 바르게 이해하고, 지역문화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우리 고장의 미술문화를 쉽게 이해하고, 더욱 흥미롭게 접근하게 되었다. 셋째, 지역문화 속에 담긴 역사적 사실, 조형적인 아름다움, 정신적인 가치를 찾아낼 수 있는 감상능력과 미적 표현력이 길러지게 되었다. 넷째, 지역 사회에 대한 애착심과 자긍심을 가지게 되었다. 다섯째, 지역문화에 대한 정체성과 창조성 확립에 기여하게 되었다. 여섯째, 전통미술에 대한 감상과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 이전에는 어렵고 지루하게 생각했던 전통미술을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역문화를 활용함으로써 친근감을 가지고 즐겁게 참여하게 되었다. 또한 현장체험 활동, 문화재 감상활동 등을 통하여 지역 문화에 대하여 더욱 재미있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 광주광역시 유치원의 여성 경제활동 지원 실태 분석

        송순옥 한국교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유치원의 여성 경제활동 지원 실태를 조사하여 유치원의 여성경제활동지원을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각종 문헌조사와 유치원에 유아를 보내는 여성 400명, 유치원장(감) 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설문조사대상자 중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의 비율이 54.7%이고, 그 가운데 주로 M자형 경제활동참가율 형태를 유발시키고 있는 30세~34세의 비율이 58.3%로 유치원생 모의 높은 경제활동 참가율이 확인되었고, 또 유아를 유치원에 보냄으로써 자신의 경제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93.4%로 유치원이 여성의 경제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제활동결정과 종일제 이용에 대한 회귀분석을 한 결과, 종일제에 보내는 여성이 보내지 않는 여성에 비해 경제활동을 하고 있을 확률이 24.4% 높고,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이 하지 않는 여성의 경우보다 종일제에 보낼 확률이 26.81% 높아 역으로 추정해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시간연장제 또는 종일제에서 중요시하는 프로그램 중 ‘유아에 대한 안전교육과 보호’ 에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이 하지 않는 여성에 비해 2배 이상을 응답하였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장애 요인을 보면, 응답자의 70%이상이 육아문제를 들었으며, 육아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35.0%의 여성이 ‘취원유아의 보호자에 대한 경제와 사회활동 지원의 미흡’으로 응답하였다. 유아를 종일제에 보내는 여성이 인식하는 유치원에 관한 문제점으로는, 종일제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이 가장 컸고, 다음은 ‘종일제 담당 정교사와 보조교사 부족’을 지적하였다. 또한, 유아를 종일제에 보내지 않는 여성은 그 이유를 ‘장시간 유치원 생활이 신체적·정신적 부담이 되기 때문에’라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을 위한 유치원제도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육아부담이 가장 큰 연령대에도 경력단절 없이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유치원제도를 확대하되 유아에게 보호와 교육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이 유아를 장시간 맡기고도 마음 편히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치원의 환경을 집처럼 편안한 분위기로 꾸밀 수 있는 시설지원과 양질의 유치원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유치원이 여성경제활동을 지원하려면 유아전담교사 확충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등 인적·물적 투자가 요구되므로, 재정적으로 열악한 지방에는 범정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의 경제활동을 위해서는 유치원 제도 중 특히 종일제의 확대가 필요하므로, 유치원의 설립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공교육의 틀 안에서 동 제도를 확대하고 질 제고로 양질의 유치원 교육을 제공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whether kindergartens are supporting women's economic activ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area and to find better ways how kindergartens support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is research required a variety of documentary research, a survey of 400 women who have children currently attending kindergartens and 74 directors of kindergartens. From the survey, we draw the following result. The ratio of the female workers among the respondents amounted to 54.7 percent, the ratio of the female workers among those aged 30 to 34 who are assumed to cause "M" form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rate is 58.3 percent. 93.4 percent of the women replied that kindergartens are helpful for their economic activities. Also, according to a regression analysis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and of whether children are sent to all-day-long child-care system kindergartens, women who have their kids attend all-day-long child-care system have 24.4% higher chances of having jobs than those who don't, and the female workers have 26.81% higher chances of using all-day-long child-care system than the non-working women. Among the valued programs of the time-extending system or all-day-long child-care system, the female workers responded two times more preferably for 'safety education and protection for kids', compared with the non-working women. Among the factors of keeping females from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over 70% of the respondents singled out parenting problems, and a survey on our government's supporting policies about parenting showed that the 35% women blamed the lack of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supporting for parents to take care of their kids. Problems of kindergartens that women who use all-day-long child-care system recognize are lack of various programs and lack of eligible teachers in charge of all-day-long child-care system. Also, mothers who don't use all-day-long child-care system point out as a reason for not using the system that long-term kindergarten life tends to be physical and mental burden for their children. Several ways to improve kindergarten system to support women's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of all, government has to make systematic arrangement of providing both care and education for kids so that young mothers who are under the most stresses from parenting can keep their economic activities without career interruption. Secondly, providing high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facilities that can make the atmosphere of kindergartens as comfortable as home is necessary, so that working mothers can feel comfortable when they have their kids in kindergarten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rdly, as employing more full-time kindergarten teachers and developing more diverse programs are required, the provinces which have financial difficulties need more financial subsid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Finally, as the expansion of all-day-long child-care system is necessary for mothers's economic activities, the same kind of system has to be expanded and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should be upgraded systems regardless of establishment subjects within the range of public education.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송순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치료의 요소로써 청소년들에게 희망감을 길러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 은 성별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과 인터넷 중독은 상관이 있는가, 셋째,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 레스, 희망감은 인터넷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소재한 1개 중학교 1,2,3,학년 학생 총 304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과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과 인터넷 중독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 정도는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하위 요인중에서는 긍정적 기대요인과 일탈행동 요인, 내성 요인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관계를 부-자녀관계와 모-자녀관계로 각각 나누어 인터넷 중독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양쪽 모두에서 인터넷 중독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는 정적인 관계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감과 인터넷 중독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자녀 관계에서 어머니-자녀 관계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주었고, 학교생활 스트레스 하위 요인중 수업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인터넷 중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의 하위 요인중 경로사고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이 인터넷 중독의 원인에 관심을 두었던 반면,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희망감을 제시한다는 점과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한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미를 둔다.

      • 罰이 兒童의 自我槪念에 미치는 영향

        송순옥 全南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硏究는 兒童이 知覺하고 있는 罰의 실태 및 兒童의 自我槪念을 조사 분석하고, 罰과 自我槪念과의 관계를 밝혀 罰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敎育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硏究의 目的에 따라 수행된 硏究 問題는 첫째, 學校(學級)生活에서 兒童들이 받는 罰의 유형별 실태는 어떠하며, 이에 대한 兒童들의 知覺은 어떠한가? 둘째, 兒童들의 自我槪念 수준은 어떠한가? 세째, 兒童들이 知覺한 罰에 대한 하위 요인과 兒童의 自我槪念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로 정하여 광주직할시에 있는 국민학교 6학년 兒童을 가급지 學校 3개교에서 165명, 나급지 學校 3개교에서 136명 다급지 學校 4개교에서 13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 조사하였다. 조사로 얻어진 자료는 기초 통계량을 산출한 후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ANOVA -tukey 검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兒童들이 받는 罰의 유형은 매 벌서기, 주의 가운데 매가 가장 많고 벌서기가 가장 적으며, 대체로 罰의 필요성을 긍정하고 있다. 男女學生간에 罰의 量에는 차이가 없으나,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罰을 자주 받고 敎師가 罰을 많이 가한다고 知覺하였다. 또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담임을 할수록 罰이 더 필요하고, 남교사가 담임일 경우 罰이 더 부당하다고 知覺하였다. 둘째, 兒童의 自我職念 하위 요인 중 家庭的 自我만이 평균이 높게 나타났고, 自我評價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점수가 의미있게 낮았다. 셋째, 罰에 대한 知覺과 兒童들의 自我槪念과는 매우 약한 상관을 보였다. 그래서 罰의 量과 罰의 頻度에 대한 知覺을 기준으로 罰 소집단과 罰 다집단으로 나누고 自我槪念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罰의 量과 自我槪念과는 道德的 自我와 性格的 自我만이 의미있는 상관을 보였을뿐 전체자아와 自我槪念의 나머지 하위 요인들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罰의 頻度에 대한 知覺과 自我槪念과는 전체자아는 물론 自我槪念의 하위 요인 모두 의미있는 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actual status of punishment and the self-concept of children, reveals the relations between punishment and self-concept and then is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due to the punishment and to devise the methods which can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s. The research problems according to these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punishments do children receive in their classroom and what perceptions do they show? Second, what level of self-concept do children show? Third, what relations between sub-factors of punishment and the self-concept of children do exist? With these questions, the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165 students of 6th grade in 3 elementary schools of "A" Type, 132 students in 3 elementary schools of "B" type, and 132 students in 4 elementary schools of "C" type and then the results are examined.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urvey are estimated for basic statistics an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t test and ANDVA - TUKEY test are us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punishment children receive are whipping, penalty and warning and among them, whipping is most common and the penalty is most rare and generally children affirm the necessity of punishment.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punishment between girl and boy students, they perceive that boy students are more frequently punished than the girl students and so do men teachers. And it is perceived that women teachers in charge of class need more punishments than men teachers and in the case of men teachers, the punishment is unreasonable. Second, among sub-factors of self-concept of children, only family-self shows high average and in the self-criticism, the score of girl student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oy students. Third, perception of the punishment and self-concept of children show very weak correlations. So the punished and non-punished groups are divided on the basis of the amount and frequency of punishment and its relation with self-concept is analyzed. As a result,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ral self and personal self bassed on the amount of punishment and self-concept and there is non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otal self and the remanining factors. And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ption of punishment and self-concept as well as total self in sub-factors of self-conce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