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

        송새인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Research Question 2> Does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o this end, this study composed a questionnaire by selecting and modifying a measurement tool suitable for this study after analyzing and researching it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capital, job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types of superio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filling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office workers at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300 or more full-time work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305 valid samples were obtained and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ur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were a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some sub-elements. When the level of hope, which is a sub-element of psychological capital, is high, job performance increases, and when the level of controlled communication is high, their positive (+) relationship is stro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job performance, cooperative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levels showed a moder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optimism on job performance could be less strong i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optimism on job performance was stronger when the level of professional communication was hi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statistical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oss's communication ty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and practically analyzing that some sub-elements had a moderating effect. It will be possible to le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Key words: psychological capital, job performance, communication type, moderating effect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심리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 직무성과,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 및 조사 후, 본 연구에 적합한 측정도구를 선정 및 수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의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305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자본의 네 가지 하위요소인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력, 낙관주의는 모두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일부 하위요소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소인 희망 수준이 높을 때 직무성과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통제형 커뮤니케이션 수준이 높을 경우 그들의 정(+)적인 관계가 더욱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관주의와 직무성과간의 관계에서는 협력형, 전문형 커뮤니케이션 수준이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협력형 커뮤니케이션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낙관주의 수준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덜 강해질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전문형 커뮤니케이션 수준이 높으면 낙관주의가 직무성과로 향하는 영향력이 더 강해지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심리적 자본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일부 하위요소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음을 실질적으로 분석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제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연역적 문법지도와 귀납적 문법지도가 영어 문법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새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23

        연역적 문법지도와 귀납적 문법지도가 영어 문법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EFL 상황인 한국에서 영어를 배우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역적 문법교수와 귀납적 문법교수 방법이 문법과 쓰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연역적 문법 교수법과 귀납적 문법 교수법 중 문법습득과 쓰기능력 향상에 있어 더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둘째, 문법 능력 향상과 쓰기 능력 향상간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연역적 문법 교수법과 귀납적 문법 교수법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이다. 대상은 수원시의 한 남녀공학 중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44명을 각 22명씩을 연역집단과 귀납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참여자의 영어 수준은 학기말 성적 평균 90점 이상의 상위권 학생들이다. 문법은 어려운 난이도에 속하는 현재완료와 가정법 과거를 선정하였고 연역적 집단의 학습자들은 교사의 설명이 중심이 되는 강의식 수업으로 배우게 된다. 이와 달리 귀납적 집단의 학습자들은 교사로부터 제시된 여러 예문과 상황을 보고 모둠원들과 함께 규칙을 발견하였다. 또한 발견한 규칙을 활용하고 연습할 수 있는 다양한 의사소통중심의 활동들을 하면서 규칙을 습득하게 하였다. 실험 전 실시된 사전 평가와 실험 후 실시 된 사후평가, 그리고 4주 후 실시된 후속평가를 비교해 두 교수법에 대한 효과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법 성취도의 단기적 향상에 있어 연역적 문법교수와 귀납적 문법교수 둘 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납적 문법교수의 유의도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쓰기 능력 향상도의 측정을 위해 현재완료쓰기 점수와 가정법 과거 쓰기 점수를 합한 쓰기 총점을 비교해 본 결과 두 교수법 모두 단기적인 쓰기능력 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의 지속성 면에서는 귀납적 문법 교수법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법 향상과 쓰기 능력 향상에 별다른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문법채점 기준의 최하점수는 0점인 반면, 쓰기의 채점 기준의 최하점수는 5점으로 문법점수의 변화폭이 쓰기 점수의 변화 폭보다 커 상관관계의 강도가 낮게 나타난 것이라 판단되며, 쓰기의 만점 점수가 더 높고 점수변화폭이 더 크다면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법수업 후 실시한 쓰기 평가에서 사전, 사후 평가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문법이 쓰기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연역적 문법 교수와 귀납적 문법 교수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 변화를 측정하고자 사전․사후 설문 조사와 함께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측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귀납적 집단은 문법에 대한 태도영역에서 다른 영역과는 달리 평균값의 차이에 큰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귀납적 문법 교수법이 문법학습과 쓰기능력 향상의 지속성에 있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귀납적 문법수업이 학습자의 문법에 대해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 자세를 가지게 하므로 문법학습을 더욱 촉진 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대부분 연역적 방법으로 문법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육현장에 귀납적 문법 교수법의 적극적인 도입 된다면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A comparative study on deductive versus inductive grammar instruction for improving English grammar and writing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more effective method in improving grammar proficiency and writing skills by comparing deductive versus inductive grammar. 44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proficiency levels are advanced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and taught by deductive versus inductive method in the lessons of the present perfect and second conditional for 8 weeks. One pretest and two post-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see any change in the learners’ attitude in grammar and English.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instructions showed meaningful increase in the post test. However, in the delayed test, deductive instruction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cond conditional whereas inductive instruction showed meaningful increase. In other words, both grammar instruction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grammar, but only inductive instruction was effective in grammar in a long term. Second,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instructions showed meaningful increase in the writing post test as well, but in the delayed test, both instructions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improvement in present perfect whereas inductive instruction showed meaningful increase in second conditional. In that, both grammar instruction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writing skills, but only inductive instruction was effective in writing learning continuity. Third, there was no corelation between grammar improvement and writing skills in both groups. However, since both groups made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writing skills in the post test after learning grammar, it’s safe to say that grammar learning had an influence on improving writing skills. Fourth, the survey indicated that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instructions did not influence on learners’ attitude. However, the inductive group showed the change toward grammar. It means inductive grammar instr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grammar learning. To sum up, the findings suggest that inductive instruction can be more effective in grammar lessons, particularly in learning continuity. Thus, inductive instruction should be more introduced in the grammar les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