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F 전력증폭기의 효율 향상을 위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손정환 포항공과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기지국용 고효율 RF 전력증폭기 및 효율 향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송신단 에서 전력증폭기는 DC 전력을 가장 많이 소모하는 부분으로 낮은 효율의 전력증폭기는 매우 큰 냉각 시스템을 필요로 하며 전체 시스템의 수명을 단축 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효율 특성을 가지며 쉽게 구현이 가능한 class P 전력증폭기에 대해 연구하였다. 최근 큰 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 을 갖는 변조신호의 사용으로 최대출력 영역에서부터 많은 Backed-Off Power (BOP) 영역에서의 효율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큰 PAPR 신호에 대해서도 고효율 특징을 가질 수 있도록 도허티 전력증폭기 및 고효율 ET/HEER 전력 송신기를 위한 Bias Modulator (BM) 에 대해서도 연구 하였다. 2장에서는 clsss P 전력증폭기에 대해 소개 하였고 이를 class F 및 class F-1 전력증폭기와 비교하였다. 제안된 Class P 전력증폭기는 복잡한 정합구조 없이도 설계 및 구현이 가능한 전력증폭기이다. ADS 시뮬레이터을 통해 고조파 성분들이 내부 캐패시터에 의해 조절되며 포화영역에서 비선형적으로 동작하는 캐패시터에 의해 고효율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전압성분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Cree CGH40010 GaN HEMT 소자를 사용하여 class P 전력증폭기를 구현해 보았다. Class P 전력증폭기는 2.655GHz 의 Continuous Wave (CW) 신호에 대해 40.5dBm 에서 PAE 75% 의 고효율 성능을 보였다. 3장에서는 평균출력 영역에서 고효율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class P 도허티 전력증폭기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Class P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2장에서 설명한 2개의 동일한 class P 전력증폭기로 구성된다. Class P 전력증폭기는 포화영역에서 고효율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load modulation 된 carrier 전력증폭기가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는 평균출력 영역과 carrier 및 peaking 전력증폭기가 동시에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는 최대출력 영역에서 최대 효율을 갖는다. 이러한 동작을 증명하기 위해 2개의 동일한 class P 전력증폭기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Class P 도허티 전력증폭기는 2.655GHz 의 사인파 신호에 대해 최대출력 영역과 6dB 낮은 평균출력 영역에서 모두에서 약 74% 의 효율을 가졌으며 802.16e 모바일 WiMAX PAPR 8dB 변조신호에 대해서도 36dBm 에서 약 60% 의 고효율 drain efficiency 를 보였다. 반면 포화동작 영역에서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비선형성의 증가로 5.32 MHz offset 에서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s (ACLRs) -15.4 dBc 의 비선형적인 특성을 보였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Digital Feed-Back Pre-Distortion (DFBPD) 을 사용하여 선형화를 시켰으며 선형화 결과 23.6 dBc 증가 된 -39 dBc 의 비교적 만족스러운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심각한 비선형성을 보상하기 위해 효율은 약 4% 감소 하였다. 4장에서는 고효율 ET/HEER 전력 송신기를 위한 BM 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BM 은 크게 고선형 특성을 갖는 linear stage 와 고효율 특성을 갖는 switch stage 로 구성 된다. 제안된 BM 을 분석하기 위해 ADS 시뮬레이터을 통해 동작을 살펴 보았으며 높은 효율을 갖는 switch stage 에서 대부분의 전류를 부하에 공급할 수 있도록 최적화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약 70% 효율을 가졌으며 실제로 구현한 BM 의 경우에도 WiMAX 10MHz 8.5dB PAPR 변조신호를 인가하였을 때 10Ω 고정된 부하에 대해서 시뮬레이션과 유사한 70.5% 의 고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We have studied for efficiency enhancement techniques of high power amplifiers. The highly efficient PA design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most of DC power is consumed in PA. The PA with a low efficiency requires a very bulky cooling system and has a short life time. To improve the efficiency, a class P PA has been studied. The amplifier is driven into a saturated operation to self-generate harmonics, to enhance the efficiency. Due to self-generation, the amplifier dose not need any harmonic tuning circuit, resulting in a simple matching circuit structure. In addition, due to the modulated signal with a high peak to average ratio (PAPR), PA should be highly efficiency in an average power region as well as a peak power region. For this reason, we have studied the Doherty amplifier based on the class P PA and the bias modulator (BM) for Hybrid-Envelope Elimination and Restoration (EER) and Envelope-Tracking (ET) operations which can deliver the high efficiency for a high PAPR signal. Firstly, the class P PA is introduced and compared with class F and class F-1. The proposed class P PA is one of the possible easy design way to implement a highly efficient power amplifier without complicated harmonic matching circuit. Using the Advanced Design System (ADS) simulator, we have found that harmonic load impedances are determined by the internal nonlinear capacitor, which generates the required second harmonic voltage in saturated power level for making high efficiency. For a verification, the class P PA is implemented at 2.655GHz using Cree CGH40010 GaN HEMT device with the same matching topology analyzed in the simulation, and with a class AB bias. The implemented class-P PA delivered the expected performance with PAE of 75% at a saturated output power of 40.5 dBm for a 2.655GHz CW signal. Secondly, in order to achieve the high efficiency in average power level, class P Doherty power amplifier has been studied. Class P Doherty power amplifier is consisted of two symmetric class P PA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class P PA which maximizes the efficiency in saturated region, class P Doherty power amplifier could have high efficiencies at the average and peak power level where the load modulated carrier amplifier and peaking amplifier are in saturated regions, respectively. The proposed Doherty power amplifier is implemented using the two Cree CGH40010 GaN HEMT devices and consisted of the input power divider (hybrid coupler), carrier and peaking amplifiers, and output combining circuit (offset line and two quarter-wave transformers). For a 2.655 GHz continuous wave (CW) signal, the proposed Doherty power amplifier delivers the same efficiencies of approximately 74% at the 6dB backed-off output power and saturated power level. For 802.16e mobile WiMAX signal with 8.5dB PAPR to at the 0.01% level of the 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CDF), the class P Doherty power amplifier delivers the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s (ACLRs) at an offset of 5.32 MHz and DE at 7-dB backed-off power level of 36 dBm -15.4 dBc and 60%, respectively. To compensate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caused by the saturated operation, the proposed PA is linearized using the digital feed-back pre-distortion (DFBPD) linearization technique. The ACLRs at an offset of 5.32 MHz are improved to -39.0 dBc which is an improvement of 23.6 dB. However, the efficiencies are degraded by 4% because the peaking amplifiers are operated at with high PD signal in the middle power region to compensate the serious nonlinear AM-AM characteristic. Finally, we have proposed BM for Hybrid-EER and ET operations which can deliver a high efficiency for a high PAPR signal. The BM is composed of two parts: one is linear stag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as an independent voltage source with good linearity and the other is switch stage which plays a vital role of a dependent current source with high efficiency. The proposed BM has a high efficiency and linearity because the most of current which is needed to load is supplied from the switch stage. The behavior of the BM is investigated through ADS simulator using the same model with implementation components.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the optimized BM is implemented on the constant 10Ω load for a average 10W output power. The implemented BM delivers about 70% efficiency for WiMAX 1FA 10MHz envelope signal with 8.5dB PAPR. In addition, the BM shows reasonably linear and efficient operation for the modulated signal. The proposed method is very useful to achieve improving PA, especially, at a high frequency. We believe that the proposed BM is well suited for improving efficiency of base station PA.

      • 건설일용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손정환 대전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건설일용직근로자를 중심으로 건설일용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완화 및 해소하기 위한 미국 등 선진국 기업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사회복지프로그램 도입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건설일용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연구하기 위하여 건 33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근무기간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근무기간이 오래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관련 요인에서는 역할과다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역할이 과다하다고 느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요인에서는 상사관계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상사와의 관계가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 요인에서는 외상경험, 근로조건, 업무자율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외상경험이 높을수록, 근로조건이 낮을수록, 업무자율성이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건설일용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앞으로 경제성장과 함께 직업의 다양화 그리고 이에 따른 정규직 및 완전 월급제보다는 파트타임(part-time), 계약직, 일용직의 근로형태가 증가할 추세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근로형태에 따른 스트레스를 연구하는데 등한시하여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일용직근로자들을 정책적으로 보호할 필요성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건설업의 특성상 외상경험노출요인은 건설일용직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수시로 작업장소를 이동하며, 채용이 단기간이고 회사에 대한 소속감이 없는 건설일용근자에 대한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에 대한 정책적 관점을 제공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국가정책 뿐만 아니라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직업알선 프로그램, 기술교육 프로그램, 고용보조 등의 적극적인 산업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산업현장에서 사회복지사의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던 외상 발생률이 높은 근로 환경이 주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결국 EAP의 필요성을 입증한 것으로 사회복지의 보편적 가치에 대해서 근로자뿐만 아니라 사업주의 이해와 관심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법의 일환으로 산업복지사업의 EAP 프로그램 도입의 필요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사회적기업가의 리더십과 역할스트레스, 의사소통,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손정환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수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으로 2007년 7월 사회적기업육성법을 통해 사회적기업을 육성하였고 2019년 9월말기준 2,306개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은 경제적가치와 사회적가치를 추구해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기업 운영을 위해서 선행논문에서 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하나 혹은 두 개의 변수들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통합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사회적기업에 근무하는 임직원으로 한정하여 최종 306개의 자료가 수집되어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변수간 경로계수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해 분석하였고, 이 경로계수들을 통해서 변수간의 인과관계 및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기업가의 리더십이 의사소통, 조직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역할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역할스트레스, 의사소통, 조직문화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차별성은 사회적기업가의 리더십이 역할스트레스, 조직문화, 의사소통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경로분석으로 조직문화, 의사소통, 역할스트레스를 통해서 기업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기업가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선행요인의 시사점을 통해서 사회적기업의 장기적인 생존과 지속적인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비모수 추정 방법을 활용한 kNNDD기법의 임계값 결정

        손정환 高麗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class classification (OCC) is one of the recent growing areas in data mining and pattern recognition.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 a k-nearest neighbors data description(kNNDD) algorithm, one of the OCC algorithms widely used. In particular, we propose to use nonparametric estimation methods to determine the threshold of the kNNDD algorithm. A simulation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approach and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approach that determines the threshold. The results demonstrate the usefulness and flexi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 (A) donkey in a lion's skin : status spillover and alliance performance

        손정환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ho takes the value generated through alliance? Small firms have a hard time in appropriating value from alliance and this could even decrease market performance. Shedding light on the value appropriation research, this paper demonstrates how powerful partners appropriate value from smaller firms in alliances. More importa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smaller firms benefiting from prior partner’s status spillover, in this case driven by network centrality, can mitigate the value appropriation risk posed by the powerful partner in the present alliance. As a contingency of status spillover, small firms and prior partner’s resource relatednes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creases the value appropriation risk.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following results: 1) Partner firm’s relatively high bargaining power hampers the smaller focal firm’s relative market performance in an alliance portfolio, 2) the level of the prior partner’s network centrality in alliance network moderates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partner’s high bargaining power and the focal firm’s relative market performance. 3) product-market relatedness between the present and prior partner weakens the focal firm’s value appropriation risk

      • 소셜벤처의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민첩성과 디지털사회혁신의 매개효과 연구

        손정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외부환경과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하였으나 실패하면서 비영리기업이 주도적으로 활동하였으나 지나친 정부 의존도와 서비스모델의 동형화로 인해서 제4섹터인 사회적기업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사회적기업도 기업가의 고령화와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거나 새로운 사회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서 사회적목적과 경제적목적을 추구하면서 혁신아이디어와 기술기반으로 운영되는 소셜벤처가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소셜벤처도 하이브리드 조직으로써 이중성과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유의한 요인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선행논문은 소셜벤처기업가와 사례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이다. 이에 따라 소셜벤처의 특징을 통해 이중성과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소셜벤처는 지속가능목표에 따라서 경제적책임, 사회적책임, 환경적책임을 가지고 기업을 설립하기 때문에 지속가능경영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산업환경의 변화와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민첩성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과 인터넷 발달로 인해서 디지털사회혁신이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소셜벤처의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직민첩성과 디지털사회혁신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소셜벤처판별기준의 기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여 총 352부를 분석한 결과, 소셜벤처의 지속가능경영은 사회적성과, 경제적성과, 조직민첩성, 디지털사회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속가능경영과 경제적성과간에 고객민첩성, 운영민첩성, 새로운아이디어, 협력은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소셜벤처는 지속가능경영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책임활동은 비즈니스를 운영할 때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되며, 특히 지속가능경영활동이 강할수록 사회적성과가 낮아지는 것은 소셜벤처의 법적근거가 만들어진지 얼마되지 않았고, 경제적 성과를 위한 생존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을 구축하고 사회적기업과 같은 사회적목적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지속가능경영의 중요성이 커짐으로 이에 따른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책임을 위한 활동이 증가되어야 한다. 더불어, 소셜벤처와 사회적기업이 모두 환경적책임인 환경보호활동 및 캠페인이 단기간이 아닌 중장기적인 물리적 시간이 필요한 점에서 민첩한 고객대응과 산업환경에 따른 조직운영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사회적경제기업은 경제적책임이 고객민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에 비해 소셜벤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회적기업보다 규모화 되어 있는 기업 특성과 경제적 책임인 직원 보상과 고객 만족이 소셜벤처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핵심요소이며, 이를 통해 내부조직과 외부조직간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고 확인되었다. 소셜벤처에게 지속가능경영인 사회적,경제적, 환경적책임에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산업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주요 요인이다. 그러나, 사회적경제기업은 취약계층이 구체화되어 있고 해당 계층에 따른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운영되나 소셜벤처는 일반대중을 포함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속가능경영이 사회적성과에 부(-)의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조직의 유연성이 중요하게 나타나지 못했다. 사회적성과인 사회적영향력은 단기간에 나타나기 어렵고, 사회적경제기업과 같은 특정 수혜계층에 대한 비즈니스가 보다 활발하게 구축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사회적문제가 다양성이 늘어나지만 우선적으로 오래전부터 존재한 사회적문제를 먼저 해결해 나가는 것이 우선적이기 떄문에 꾸준한 소셜벤처의 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소셜벤처는 이중성과목표를 가지는 사회적경제기업과 동일하게 지속가능경영에 디지털 기반의 시민참여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사회적기업은 사회적기업가 중심의 Top-down 방식의 체계를 구축하면서 임직원의 보상과 지역사회 자선활동, 환경보호활동 등에 시민의 직접적인 참여를 만들어 가지 못하고, 소셜벤처는 사회적기업보다 하이테크 기반의 기술을 보유하고 기술의 전문성이 고도화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시민의 참여가 제한적 일 수 밖에 없다. 사회적문제가 국가적 차원의 광범위한 부분도 있지만, 소셜벤처기업가의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사회적목적활동을 하는 것도 시민의 참여가 부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우 시민주도성이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지만, 소셜벤처는 지역사회의 기여와 직원의 보상 및 소비자의 만족함에 있어서 소셜벤처기업가 개인의 경험과 지식을 통해서 주도되는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때문에 시민주도성은 사회적책임과 사회적성과간의 부분매개역할, 경제적책임과 사회적성과간의 완전매개역할을 한다. 더불어 사회적경제기업과 동일하게 디지털사회혁신의 새로운아이디어, 협력은 사회적성과에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문제를 해결하는 목표와 성과가 불일치를 보였다. 이는 이중적인 성과목표를 추구하는 하이브리드 조직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소셜벤처는 지속가능경영활동은 수혜계층이 다수의 이해관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품과 서비스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계층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고객만족 및 비즈니스 완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객이 직접적인 참여보다는 소셜벤처기업가 중심의 경영체계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시민주도성은 경제적성과에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제시하지만 향후 성장단계별 집단구분 연구와 지역별 소셜벤처의 특징과 방향성 그리고 사회적기업와 집단비교 등이 추가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took the lead in solving the rapid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and various problems, but non-profit companies took the lead in failing, but were replaced by social enterprises, the fourth sector, due to excessive government dependence and isomorphism of service models. However, new alternatives were needed as social enterprises were also aging entrepreneurs and more and more people were unable to enter new markets or solve new social problems Accordingly, social ventures operated based on innovative ideas and technologies emerged as an alternative while pursuing social and economic purposes. Since social ventures also have duality and goals as a hybrid organization, research on significant factors accordingly continues.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prior papers are studies focusing on social venture entrepreneurs and cas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dualit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ventures. Since social ventures establish companies with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according to sustainable goals, sustainable management is an essential factor, and organizational agility is important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industrialenvironment and diversified customer needs. Finally,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digital social innovation has been identified as a factor that can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agility and digital social innovation on the impact of sustainable management of social ventures on corporate perform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a total of 352 copies of a survey of executives and employees of companies based on social venture judgment, social venture sustaina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performance, economic performance, organizational agility, and digital social innov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customer agility, operational agility, new ideas, and cooperation mediate between sustainable management and economic performance. In social ventures,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sustainable management are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in operating a business. In particular, the stronger the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ies, the lower the social performance. However,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as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management increases, activities for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should be increased accordingly. In addi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and campaigns, which ar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for both social ventures and social enterprises, did not affect agile customer response and organizational operation due to the industrial environment in that they required midto long-term physical time.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social economic enterpris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agility, whereas social ventur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rporate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responsibilities such as employee compens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For social ventures, identifying customers' needs and responding flexibly to the industry in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which are sustainable management, is a major factor that can produce economic results. However, since social economic enterprises have a specific vulnerable class and operate mainly on businesses according to the class, social ventures often target young people,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sustainable management not only affects social performance (-) but also organizational flexibility does not appear important. It can be seen that social influence, which is a social achievement, is difficult to appear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business for specific beneficiaries such as social economy companies should be established more actively. In addition, although social problems increase in diversity, it can be seen that steady social venture activities are needed because first of all, solving social problems that have existed for a long time is a priority. Social ventures have confirmed that digital-based civic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ith various stakeholders are important in sustainable management, just like social economy companies with duality and goals. However, social enterprises establish a top-down system centered on social entrepreneurs, and citizens' direct participation in employee compensation, community charity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Although social problems are broad at the national level, citizens' participation in social purpose activities through the personal experience of social venture entrepreneurs has also been shown to be a negative result. In the case of social economic enterprises, civic leadership does not play a mediating role, but social ventures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 performance because social ventures play a leading role in community contribution, employee compens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In addition, like social economy companies, new ideas and cooperation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do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social performance, showing inconsistencies in goals and performances to solve social problems. Thi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of a hybrid organization that pursues dual performance goals. In social ventures,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ies consist of a large number of stakeholders,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business completeness are increased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various classes in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However, civic leadership did not pay attention to economic performance because customers were building a management system centered on social venture entrepreneurs rather than direct participation. This study presents these results, but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group classification research by growth stage,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social ventures by region, and group comparison with social enterpr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