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성능 자속 기반 토크제어를 이용한 8kW급 계자 권선형 동기 전동기의 차량용 BSG 시스템 개발

        손두일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친환경고안전자동차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현재 자동차 산업은 환경오염 및 에너지 자원 고갈로 연비 개선 및 CO2 배출량을 감축시키기 위해 자동차 부품으로 전동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중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가 큰 비중을 차지해왔다. 그러나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의 회전자인 자석의 주재료인 희토류의 가격 상승으로 경제적 측면에서 경쟁력이 낮아지고, 영구자석의 역기전력으로 고속 운전 영역이 제한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회전자의 자속을 전류 제어를 통해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계자 권선형 동기 전동기(WRSM : Wound Rotor Synchronous Motor)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8kw 급 계자 권선형 동기 전동기를 자속 기반 토크 제어를 이용해 BSG( Bent Driven Starter and Generator) system에 접목시켰다. 자속 기반 토크 제어 기술은 자동차의 배터리 변화에도 유동적으로 대응하며 고속 영역 운전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이를 MATLAB을 통해 구현하는 방법과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전류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8kw 급 BSG 용 계자 권선형 동기 전동기를 차량 엔진과 다이나모 시스템에 접목하여 자속 기반 토크 제어 전류 맵과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In the automotive industry, electric motors are widely used as automobile parts in order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reduce CO2 emissions. Of thes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have occupied a large proportion. However, economical competitiveness is lowered due to an increase in the price of rare earths, which is the main material of the permanent magnet of th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and the high speed operation region is limited due to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For this reason, Wound Rotor Synchronous Motor(WRSM) capable of flexibly changing the flux of a rotor through current control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his paper, an 8kw WRSM is combined with an BSG system using flux-based torque control. The magnetic flux-based torque control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the high-speed range operation to be flexibly responded to the battery change of an automobil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mplement through the MATLAB and a current control algorithm to verify it. Finally, flux-based torque control current maps and algorithms were verified by applying 8kw BSG field synchronous motors to vehicle engine and dynamo system

      • 층간 유동을 고려한 다중 저류층에서의 수평정 압력거동에 관한 연구

        손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823

        수평정은 탁월한 생산증대효과와 더불어 시추비용의 감소로 인해 1995년 세계적으로 3000여 개의 수평정이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도 지속적으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U.S. DOE, 2000] 이와 같이 수평정을 이용한 지하유체의 회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수평정에 대한 유정시험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평정에 대한 연구에서 다루었던 단일 저류층에서의 단일 수평정에 대한 시험이 아닌 보다 실제적 저류층 형태인 층간유동을 고려한 다중 저류층에서 수평정에 대한 압력거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은 수평정이 위치하는 층에 대한 이론해와 수평정이 위치하지 않은 층에 대한 이론해를 층간유동에서의 반사-전이법 (Reflection and Transmission method)으로 통합하여 다중 저류층에서의 수평정 압력거동에 대한 이론해를 얻었다. 이렇게 도출한 해를 이용해 다중 저류층에 위치한 수평정의 압력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체특성 및 저류층물성 등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수평정이 위치한 하부층과 수평정이 위치하지 않은 상부층의 각각에 대한 유체특성 및 저류층 특성을 상대적으로 적용하여 이에 따른 압력거동의 변화를 유동기간 별로 분석하였다. 특히 1차 원형유동의 해석 결과 다중 저류층 수평정 유정시험에서 이 기간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며, 또한 상부층의 유체 특성의 파악을 위해서는 유정시험이 장기간 실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In recent years, horizontal wells have been very successful in increasing productivity, adding reserves, and improving the overall cost-effectiveness of field operations.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horizontal wells, various pressure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in many wells with different geological conditions. However common feature of the reservoir is layering, mos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horizontal wells in single-layer reservoirs. Layered reservoirs are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s with different formation characteristics. Each layer can be a laterally and vertically continuous flow unit that may communicate vertically(formation cross-flow) with adjacent layers. Analytic model of this study can be expressed as the sum of two solutions: the point source solution for the source layer(k-th) and the homogeneous solution for the homogeneous layers and each solution is merged by means of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method which can account for the formation cross-flow. Parametric studies for the fluid properties and formation properties conducted to analyze behavior of pressure in multilayered reservoirs by the above solution. The first radial flow regime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the pressure test since most reservoir parameters can be determined in this time. And it is essential to test sufficiently long time to acquire later time data including upper layer fluid properties.

      • 카툰을 활용한 미술수업 연구

        손두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823

        Today's society provides people with many visual images. The ability to understand what visual information mean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refore, students must be educated to consume visual images in a proactive and active manner. Visu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necessary in secondary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and criticizing the process of creating visual images, you must be able to grasp the meaning inherent in visual culture and make judgments based on your own values. This treatise utilized comics for visu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ttempts to utilize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of meaning in education using cut cartoon. The research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of cartoon by knowing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artoon. Second, let's examine the concept of art subjects and discuss in depth why lessons using cartoon are necessary. Third, we will study teaching methods and lesson media that utilize cartoon, present a map plan, and derive and embody the educational value that art lessons give through cartoon. The reason why I chose cartoon as a material for the visual culture art class model is that it is a familiar visual medium that students can easily interact with in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interact with cartoon anytime and anywher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mart devices. Because it is. Secondly, since the majority of art textbooks present cartoon-related content,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proceed with lessons that utilize the content of the textbook. Third, you can learn about the process of making visual culture and the perspectives of various criticisms by producing and appreciating cartoon. The method of viewing comics is excluded and not valued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as a popular visual medium, comics have a great influence on students' thinking and lifesty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duce and critique from the standpoint of the viewer who accommodates the cartoon without criticality. It is necessary to 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or. It must be possible to actively interpret the text and pictures of the cartoon to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creator's intentions. Cartoon is a combination of images and sentences that visually conveys one's feelings and thoughts, so students are accustomed to expression, easy to prepare for lessons, and good to apply in real school art classes. Understand the process of how the meaning of information is visualized by attempting to produce comics directly using the access of friendly comic media, and diversify the meanings inherent in the visual media. Utilizing the lesson model of this study, students learn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of meaning, actively enjoy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school is not the knowledge separated from life, but the whole life. It will be an art class that can have a positive impact. 오늘날 사회는 사람들에게 수많은 시각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 정보들이 무슨 의미를 갖고 있는지 파악하는 능력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학생들은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시각이미지를 소비하는 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중등교육에서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필요하다. 시각 이미지의 제작 과정을 배우고 비평하는 과정을 통해서 시각문화 속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고 자신의 가치관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논문은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위해 카툰을 활용하였다. 카툰의 칸 연출을 사용해서 의미의 시각화 과정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화의 정의와 특징을 알아보며 만화라는 매체의 특성을 이해한다. 둘째, 미술교과의 개념을 알아보고 카툰을 활용한 수업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심도 있게 다뤄본다. 셋째, 카툰을 활용한 교수방법과 수업매체를 연구하여 지도방안을 제시하고, 카툰을 통한 미술수업이 주는 교육적 가치를 도출하여 구체화한다. 시각문화미술 수업모형의 소재로 만화를 선택한 이유는 첫째, 인터넷과 스마트기기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만화를 접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학생들이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친근한 시각 매체이기 때문이다. 둘째, 대다수의 미술 교과서에 만화관련 내용이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교과서의 내용을 활용한 수업의 설계 및 진행이 가능하다. 셋째, 만화를 제작·감상하며 시각문화의 제작과정과 다양한 비평 관점을 배울 수 있다. 만화의 감상법은 교육의 영역에서 배제되어 중요하게 생각되지 않는다. 하지만 만화는 대중적인 시각매체로서 학생들의 사고와 생활방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만화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감상자의 입장에서 제작과 비평이 가능한 창작자 관점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만화 속 글과 그림을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제작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비평할 수 있어야 한다. 만화는 이미지와 글의 조합으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표현방식에 익숙하고, 수업의 준비가 간편하여 실제 학교 미술수업에서 적용하기에 좋다. 친근한 만화 매체의 접근성을 이용하여 만화를 직접 제작해봄으로써 정보와 의미가 어떤 방식으로 시각화되는지 과정을 이해하고, 시각매체 속에 내재된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능동적인 감상 태도를 길러줄 수 있다. 본 연구의 수업모형의 활용하여 학생들은 의미의 시각화 과정을 배우고, 능동적으로 시각문화를 향유하며, 학교에서의 미술 교육이 삶과 유리된 지식이 아닌 실제 삶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미술 수업이 될 것이다.

      • 만 4세 유아가 약속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 관한 실행연구

        손두 경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on analyzing the meaning of a ‘promise’ from the view of 4 year old children and making class promises as a way of personality education to resolve conflicts in a classroom.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imed at helping the children participate in all the activities in a childcare center more actively and improving the teacher’s own method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terms of democracy by conducting a promise-making process as a homeroom teacher of the target class. In the following section, the result of this action research conducted at 3 phases is summarized and discussed. Before starting this action research, the children seemed to have a concept of a ‘promise’ which can be divided into 3 categories: ‘the one they should keep’, ‘not doing unfair acts’, and ‘the words they use to get along with other peers.’ By sharing thoughts through an individual, a small group and a whole class talking, the teacher-researcher found out that the children considered a promise as a rule for keeping the classroom orderly, protecting themselves in peer relationship, and maintaining or regaining their relationship with peers. Based on this categorization, the teacher-researcher conducted ‘promise-making’ which is required in the classroom with 4 year old children. In the first phase of the research, the teacher-researcher planned to suggest how to make promises and collect the children's opinions as a process of making promises. Thus, the activities carried out in the first phase are as follows: 'gathering in a circle', 'changing the way of taking snacks during snack break', 'giving the right for lottery to the children', 'revising the fixed number of partners at walking time', ‘remaking the promises on limitation for how many children can play in the interest section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y time.’ As a result, the teacher-researcher realized that the promise-making process in the class was teacher-centered and that she had difficulty in deciding between permitting and preventing, which had weakened the role of promises in the class. The action executed in the second phase included enhancing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in the process of making promises and the teacher's maintaining consistency in keeping promises. To encourage the children to get involved in making promises, the teacher-researcher decided to respect suggestions from the children by putting down authority and start making promises from conflicts they have in their daily lives. For this purpose, the teacher conducted activities like ‘deciding who is going to be the first through rock-paper-scissors’, ‘making promises of trust’, and ‘creating promises on problem behaviors and snitching.’ As a consequence, the teacher became aware of the fact that she was passing the responsibility to the children in the name of giving autonomy to them and they found the process of making promises not interesting at all. The third action focused on providing the children with meaningful experience of actively participating in making promises through absorbing ways, as well as responsibly managing the process by putting down authority but not neglecting responsibility. Thus, the teacher-researcher made it a goal to actively apply interesting ways the children suggested to the process and not to intervene in their judgement on what is right or wrong. In the third phase, therefore, the teacher progressed class activities such as ‘understanding violence and wounded hearts through songs’, ‘learning necessity of cleanup through educational drama’, ‘designating drama roles through the way suggested by the children’, and ‘making a promise board using pictures.’ Proceeding these three phases, the teacher-researcher experienced that the former teacher, who was too permissive and authoritative at the same time, changed into an indifferent teacher, and finally an ideal democratic teacher. The children in the research also experienced social and moral atmosphere where their various opinions and judgement are respected upon conflicts and problems in the classroom and eventually they could experience an active role of making promises departing from a passive role of keeping the ones decided by adults.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가 생각하는 약속의 의미를 분석하고, 학급에서 제기되는 갈등을 민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생활지도의 방법으로써 약속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실행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유아가 학급의 약속을 만드는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과 연구 참여 학급의 담임교사인 연구자가 반성적 성찰을 통해 민주적인 교사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만 4세 학급에서 2017년 3월부터 2017년 7월까지 5개월에 걸쳐 이루어졌고, 1차에서 3차에 이르는 실행과 평가를 순환적으로 반복하였다. 실행과정은 비디오로 녹화 하였고, 비디오 영상을 전사한 기록과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을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행연구에 앞서 살펴본 만 4세 유아들이 생각하는 약속의 의미는 ‘안 지키면 안 되는 것’, ‘반칙하지 않는 것’, ‘사이좋게 지내자는 말’로 구분 되었다. 연구자는 이야기 나누기 활동과 유아와의 개별적 대화를 통해 만 4세 유아들은 약속을 교실에서 필요한 질서를 유지하고, 또래 관계에서 자기를 보호하며, 좋아하는 친구와의 관계를 지속하거나 회복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한다는 것을 알았다. 연구자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만 4세 유아들과 함께 학급에 필요한 약속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 대한 실행연구를 시작하였다. 첫 번째 실행에서는 연구자가 약속을 만드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제안에 대한 유아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약속을 만들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1차 실행에서는 ‘동그라미 자리에 모여 앉기’, ‘간식 배식 방법 변경하기’, ‘제비뽑는 권한 넘기기’, ‘산책 짝지의 수 조정하기’, ‘자유선택활동시간의 흥미영역 인원 제한 약속 조정하기’의 활동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는 허용과 제한의 딜레마로 생활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자신을 발견하였고, 이로 인해 평소 학급의 약속이 유지되기 어려웠으며 약속 만들기의 과정 또한 교사 주도의 활동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알게 되었다. 두 번째 실행에서는 약속을 만드는 과정에서 유아의 참여를 높이고, 약속 유지를 위해 일관성 있는 지도를 하기로 하였다. 유아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권위를 내려놓고 유아의 제안을 존중하고, 유아들이 겪는 갈등에서부터 약속 만들기를 시작하는 것을 구체적인 방안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2차 실행에서는 ‘가위 바위 보로 우선권 정하기’, ‘믿음의 약속 만들기’, ‘나쁜 행동에 따르는 약속 만들기’, ‘고자질에 대한 약속 만들기’의 활동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는 교사가 가진 권위를 내려놓고 유아의 자율성을 인정하되, 그러한 이유로 유아에게 이전 보다 더 강한 책임을 전가하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이는 연구자가 교사의 권위와 책임 있는 역할 수행을 구분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었고, 그로 인해 유아들은 약속 만들기의 과정을 재미없고 지루한 것으로 여겼다. 세 번째 실행에서는 연구자가 교사로서 권위를 내려놓되 방임하지 않으며 갈등 상황에 대해 더욱 책임 있게 개입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흥미로운 방법으로 약속을 만드는 경험을 계획할 것과, 유아가 제안하는 재미있는 방법을 약속을 만드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것을 구체적인 방안으로 삼았다. 또한 유아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기 위해 연구자가 유아의 도덕적 판단 능력을 평가하거나, 옳고 그름에 대한 연구자의 가치 판단을 개입시키지 않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3차 실행에서는 ‘노래를 통해 폭력과 마음의 상처 이해하기’, ‘교육 연극을 통한 정리 정돈의 필요성 이해하기’, ‘유아들이 제안한 게임을 통해 동극 배역 정하기’, ‘그림을 활용한 약속판 만들기’의 활동을 실행하였다. 이상의 실행과정을 통해 허용적인 동시에 권위적인 교사였던 연구자는 무관심한 교사를 거쳐 민주적인 교사로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경험을 하였다. 유아들 또한 교실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문제에 대한 그들의 다양한 의견과 판단이 존중되어지는 사회·도덕적 분위기 속에서 약속을 지켜야만 하는 객체에서 약속을 만드는 주체로서의 역할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