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DNAJC6 과잉 및 억제 현상이 지질대사와 인슐린 신호에 미치는 영향

        손다정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내 비만 유병률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소아청소년기의 비만은 조기 성인병 발병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소아청소년 비만의 예방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비만의 원인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알려져 있으나 에너지 불균형과 관련된 유전자 추적 및 기전 규명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실에서는 소아비만 코호트를 기반으로 유전체 연구(GWAS)에서휴지기 대사량(RMR)과 비만(BMI)과의 연관성에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이는 유전자 DNAJC6를 도출하였다. DNAJC6 유전자 변이가 신경 퇴행성 질환(파킨슨병)과 관련이 있고, 전사자리를 공유하는 LEPR promotor와의 유전자 결손이 소아 비만을 유발시키며, DNAJC6가 암호화한 auxilin이 transferrin, GLUT4 등 endocytosis 기능을 억제한다는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DNAJC6의 유전자 발현 차이가 adipogenesis 혹은 thermogenesis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3T3-L1 지방전구세포에 DNAJC6 유전자를 과발현(over-expression, Tg+ 군) 혹은 억제(siRNA, Tg- 군)했을 때 지방세포의 생리학적 기전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DNAJC6 유전자를 과발현 혹은 억제한 3T3-L1 preadipocyte의 adipocyte 분화 과정에서의 생리적 기전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분석을 수행하였다. 3T3-L1 세포에 DNAJC6 유전자를 과발현하거나 억제할 때 사용되는 항생제 농도와 transfection reagent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세포생존율 실험을 하였으며, RT-PCR과 western blotting analysis로 DNAJC6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지질 축적 및 세포 핵 손상 정도(DAPI/BODIPY staining, Oil Red O staining), 지질 분해(TG/free glycerol excretion), 지질 합성 및 분해 관련 인자, adipocytokines 인자, insulin-GLUT4 cascade signals 인자(Western blotting analysis), 미토콘드리아 기능(mitochondria stress test) 등 생리적 기전을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3T3-L1 세포에서 DNAJC6 유전자를 과발현 할 때 분화 8일차에서 DAPI/BODIPY staining과 Oil Red O staining에서 지방구 염색이 되지 않았고, adipogenesis 인자인 PPARγ , C/EBPα, aP2 발현이 대조군 분화 8일차 대비 Tg+ 분화 8일차에서 78.18%, 89.76%, 99.52%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readipocyte 인자인 Pref-1 발현이 2.45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lipolysis 인자인 pHSL(Ser563), HSL 발현이 대조군 분화 8일차 대비 Tg+ 분화 8일차에서 73.53%, 88.10%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세포 배양액에서 TG와 free glycerol 농도가 72.19%, 90.84% 감소하였다. 지방 세포에서 분비하는 아디포사이토카인인 LEPR, leptin, adiponectin 발현이 대조군 분화 8일차 대비 Tg+ 분화 8일차에 98.55%, 79.83%, 99.94%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인슐린-GLUT4 신호체계인 insulin receptor β , pIRS(Ser307), pAkt(Thr308), AS160, GLUT4의 발현이 순차적으로 억제되었다. 세포 내 에너지 결핍 상태에서 Akt의 다른 downstream인 mTOR 활성이 Tg+ 세포에서 대조군 대비 억제되며 autophagy 인자인 LC3Ⅱ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조절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토콘드리아 기능 바이오마커인 PGC1α와 UCP1 발현이 대조군 8일차 대비 78.31%, 31.99% 감소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의 산소 소비량과 ATP 생산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3T3-L1 세포에서 DNAJC6 유전자를 억제 할 때 분화 4일차에서 DAPI/BODIPY staining에서 지방구가 대조군에 비해 강하게 염색되었으며, Oil Red O staining에서 흡광도 값이 대조군에 비해 1.18배 높았다. 그리고 분화 8일차에서 leptin, insulin receptor β, GLUT4 발현이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미토콘드리아 기능 인자인 UCP1 활성도 지방세포로의 분화 시에 대조군과 비슷한 발현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의 최대호흡량과 예비호흡용량이 대조군 대비 48.97%, 243.28%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DNAJC6 유전자가 과발현된 3T3-L1 세포는 지방 합성과 분해, 아디포사이토카인 발현, 인슐린-GLUT4 신호체계가 억제되며 미토콘드리아 증식 및 기능 등이 억제되었다. DNAJC6 유전자가 억제된 3T3-L1 세포는 대조군에 비하여 분화 중반부에 높은 지방 합성을 보이고, adipocyte 상태에서 정상적인 인슐린-GLUT4 체계를 보이며 UCP1 활성도 대조군과 비슷한 증가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DNAJC6 유전자를 과발현하거나 억제한 3T3-L1 세포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DNAJC6 유전자 억제 효과는 분화 중반부(분화 4일차)부터 증가함에 따라 지방세포의 대사가 빠르게 나타날 것이므로 향후 이를 기준으로 추가실험이 필요하다. 또한 DNAJC6 유전자 과발현 혹은 억제 transgenic mice를 대상으로 기관 간 상호기전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에너지불균형과 관련된 유전자인 DNAJC6 발현의 차이가 지방세포의 대사를 조절하는 기전을 확인하였으므로, 향후 에너지 불균형에 따른 비만연구와 관련된 전임상(in vivo) 및 임상(clinics)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In particular,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at high risk of developing early-onset adult diseases, so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besity are essential. The cause of obesity is known as an imbalance in energy intake and consumption,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gene tracking and mechanism identification related to energy imbalance. In this lab, we derive gene DNAJC6 that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sting metabolic rate(RMR) and obesity(BMI) in genomic studies(GWAS) based on childhood obesity cohort. Studies have been published that DNAJC6 gene mutation is related to neurodegenerative diseases(Parkinson’s disease), gene deficits with LEPR promoters that share transcription sites cause childhood obesity, and auxilin encoded by DNAJC6 inhibits endocytosis functions such as transferrin and GLUT4. However, no mechan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 of gene expression differences in DNAJC6 on adipogenesis or thermogenesi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physiological mechanism of adipocytes when the DNAJC6 gene is overexpressed(Tg+) or inhibited(Tg-) in 3T3-L1 preadipocyte cells. The experiment conducted an experimental analysis to confirm the physiological mechanism in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cess of 3T3-L1 preadipocyte in which DNAJC6 was overexpressed or inhibited. Cell survival rates were confirmed to determine the antibiotic and transfection reagent concentration in 3T3-L1 cells was confirmed when DNAJC6 was overexpressed and inhibited, and DNAJC6 gene expression was confirmed at the level of mRNA and protein. Physiological mechanisms such as lipid accumulation and cell nuclear damage(DAPI/BODIPY staining, Oil Red O staining), lipid degradation(TG/free glycerol extraction), adipogenesis and lipolysis, adipocytokines, insulin-GLUT4 signals related protein expression(western blotting analysis), mitochondrial function(mitochondria stress 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ontrol group. When the DNAJC6 gene was overexpressed in 3T3-L1 cells, lipid staining was not stained in DAPI/BODIPY staining and Oil Red O staining at day 8 of differentiation, and the expression of PPARγ, C/EBPα, and aP2 of the adipogenesis factor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78.18%, 89.76%, and 99.52% on the day 8 of Tg+ compared to day 8 of control. Futhermore, Pref-1 expression of the preadipocyte fact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2.45time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pHSL(Ser563) and HSL of lipolysis factor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73.53% and 88.10% on day 8 of Tg+ compared to day 8 of control, and TG and free glycerol concentrations in cell culture medium were decreased by 72.19% and 90.84%. The expression of LEPR, leptin, and adiponectin of adipocytokine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98.55%, 79.83%, and 99.94% on day 8 of Tg+ compared to day 8 of control. The expression of insulin-GLUT4 signaling systems(insulin receptor β, pIRS1(Ser307), pAkt(Thr308), AS160, and GLUT4) was sequentially suppressed. In the state of intracellular energy defici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 mTOR activity, another downstream of Akt, was suppressed on the Tg+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re was a regulatory action tha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LC3Ⅱ, an autophagy factor. The expression of PGC1α and UCP1, which are mitochondrial functional biomarkers, decreased 78.31% and 31.99% on day 8 of Tg+ compared to day 8 of control, and the oxygen consumption and ATP production of mitochondri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f the control group. When inhibiting the DNAJC6 gene in 3T3-L1 cells, adipocytes were stained strongly in DAPI/BODIPY staining at day 4 of differentiation, and absorbance values in Oil Red O staining were 1.18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And on day 8 of differenti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ptin, insulin receptor β, and GLUT4 ex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UCP1 activity also showed a similar expression to the control group when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However, mitochondria’s maximal respiratory and spare respirat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48.97% and 243.2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overexpression of the DNAJC6 gene in 3T3-L1 cells inhibited glucose inflow into 3T3-L1 cells, inhibiting adipogenesis and degradation, adipocytokines expression, insulin-GLUT4 signaling system, and mitochondrial proliferation and function at day 8 of differentiation. Inhibition of the DNAJC6 gene showed higher adipogenesi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middle of differentiation. In addition, Tg- on day 8 of differentiation, the normal insulin-GLUT4 system was shown, and the UCP1 activity was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experimented with 3T3-L1 cells that overexpressed or inhibited the DNAJC6 gene. As the DNAJC6 gene inhibition effect increases from the middle of differentiation(day 4 of differentiation), the metabolism of fat cells will appear quickly, so additional experiments are needed based on this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nter-organizational mechanisms targeting DNAJC6 gene overexpression or inhibition transgenics. However, si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mechanism by which differences in DNAJC6 gene expression, a gene related to energy imbalance, control the metabolism of fat cell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 vivo and clinical studies related to obesity studies.

      • 소아대상 진료대기공간의 사인과 그래픽요소에 관한 연구

        손다정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사회변화에 따라 병원이용객들의 문화수준과 의료지식이 높아지면서 병원이 단순한 진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소아대상 진료대기공간의 환경을 더욱 풍요롭게 해주는 그래픽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어린이병원의 수는 부족하며, 어린이환자의 감성과 특성에 맞는 어린이병원이 거의 없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 소아대상 진료대기공간의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국내의 소아대상 진료대기공간 6곳의 사인과 그래픽요소에 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래픽의 양이 상대적으로 과다한 서울대·부산대 어린이병원과 그래픽 양이 적은 해운대백병원에서 보호자와 어린이를 대상으로 소아대상 진료대기공간의 사인과 그래픽요소에 대한 의식조사와 사인에 사용된 서체에 관한 가독성과 그래픽요소에 대한 1차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1차 실험조사와 무관한 소아대상 진료대기공간에서도 유효한 결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지역 종합병원 2곳에서 2차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현황 분석에 이은 5명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결과, 대부분의 조사대상공간에서 낮은 채도 혹은 파스텔 톤의 색을 사용함으로 어린이들에게 차분한 분위기를 제공하거나, 테마와 캐릭터 등의 다양한 색상과 그래픽적인 요소를 사용함으로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인은 대부분 시각적으로 무리가 없는 고딕체의 흰색글씨를 사용하였고, 다중언어를 표기하였으며, 캐릭터와 조화를 이루어 디자인하였다. 그러나 특징적으로 분석된 부분은 서울대 어린이병원과 부산대 어린이병원의 경우 높은 채도의 색채사용이 어린이에게 강한 자극을 주고 있었으며, 부산대 어린이병원의 경우 사인에 잘 사용하지 않는 순수체의 사용이 정보를 쉽게 인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두 번째로, 사용자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병원 환경만족도는 대부분 만족하지만, 응답자의 의견 중 서울대·부산대 어린이병원의 경우 복잡하며, 해운대백병원의 경우 단조롭다는 의견이 있어 전문가와의 시각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하지만 전문가 의견에서 지적이 있었던 부산대 어린이병원의 순수체 사용은 보호자와 어린이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응답되었다. 어린이와 보호자 모두 편안한 환경을 선호하며 과도한 이미지의 표현보다 통일되고 적절한 환경을 원하고 있었다. 그래픽이나 색채가 아이들의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것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병원의 바닥, 벽, 천장, 사인의 모든 시각 환경 요소들은 전체적인 통일성과 함께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질서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실험조사를 실시한 결과, 그래픽요소 조사에서는 적은 양의 캐릭터와 저채도로 구성된 샘플들의 선호도가 가장 높아 이용자들에게 영향을 주는 대기공간의 요인정도가 커질수록 캐릭터의 적절한 사용에 따라 선호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인에 사용된 서체의 가독성에 관한 조사에서는 윤고딕 서체가 가장 내용을 읽기에 적합한 서체로 조사되어 장식적 측면보다는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서체의 선택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구를 통해 소아대상의료공간이 더욱 어린이환자에게 친근함과 편안함을 주는 장소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할 것이며 소아대상 의료 공간 계획 시 디자인 요소를 효과적으로 적용 시킬 수 있는 참고 자료가 되길 바란다.

      •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손다정 연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eacher's view on the school environment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Under the trends toward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from a highly standardized curriculum,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began to receive attention as an important principle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It is expected to decrease the level of uniformity and inflexibility on school curriculum system and encour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s: (1) to observe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the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o examine whethe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eachers make a difference (2) to identify the effect of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teacher's view on the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the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 Total of 347 teachers answered to the online-survey questions, and after excluding missing values, 332 responses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is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using statistic tool SPSS 23.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re is a wide gap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Teachers showed the high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but the low level of teacher's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Especially, the section of the evaluation had the most discrepancy between the need and actual implementation level. Also, teachers showed the highest scores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eaching Method and the lowest scores in Objectiv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ccording to graduate experience, status and school district. On the other hand, teacher experience, main subject one teaches, graduate experience, school leve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eachers'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Third, two stag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with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and the level of implementation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The effect of school climate turn out to be relatively weaker than that of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influenced by utilizing method of textbook,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facility. Furthermore, teacher's knowledge, utilizing method of textbook,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teacher's collaboration and teacher's autonomy variables influence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In this case, teacher’s knowledg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eacher's ability and manner are crucial to promotes teachers's curriculum reconstruction. Also, more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to enhance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을 분석하고 교사 개인 변인과 학교 환경 변인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 재구성은 중앙 집중형 교육과정 체제의 획일성과 경직성을 극복하고, 교육과정 내용의 적합성 확보, 교사와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중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과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을 살펴보고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밝히며, 둘째, 교사가 지각한 교사 개인 변인과 학교 환경 변인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이며, 온라인 설문을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47명의 응답을 수집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을 제외하고 332명의 응답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및 분산분석,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을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교육목표 요소의 재구성 필요성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고 재구성 수준 역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교육방법 요소의 재구성 필요성 인식 재구성 수준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가방법은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재구성 필요성과 실제 재구성 수준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성별, 교직경력, 교과영역, 대학원 재학 경험, 직위, 학교급, 소재지)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교육과정 필요성 인식은 대학원 재학 경험, 직위, 학교 소재지에 따라,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는 교직경력, 주 담당 교과, 대학원 재학경험,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개인 변인(교사의 지식, 교과서 활용방식, 교사효능감, 교사만족도)과 학교 환경 변인(교사 간 협동, 교장의 지도성, 교사의 자율성, 학교 시설에 대한 만족도)을 포함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 개인 변인이 상대적으로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교과서 활용방식, 교사효능감, 교사만족도는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특히 교사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는 모든 교사 개인 변인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교사의 지식이 가장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 환경 변인 중 학교 시설에 대한 만족도만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교사의 자율성만이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활성화를 위해 교사의 능력과 태도 등 교사 개인 특성이 중요함을 밝히고 있으며, 단위 학교의 환경 조성 역시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단위학교와 시·도교육청은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수준과 양상을 진단하고, 교사 개인의 특성과 학교 환경 환경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 애기장대 히스톤 아세틸전이효소와 DAWDLE 단백질에 의한 miRNA 생합성과 Pseudomonas syringae에 대한 식물면역반응 조절 규명

        손다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진핵세포에서 히스톤 단백질의 N-terminal 말단은 다양한 변형인, acetylation, methylation, ubiquitination, ADP-ribosylation을 하게 되고, 이는 타켓 유전자의 발현을 후성학적으로 조절한다. 히스톤 acetyltransferase와 deacetylase 에 의한 히스톤 단백질의 acetylation은 잘 알려진 히스톤의 변형 중 하나이다. 애기장대의 P300/CBP family에 속하는 HISTONE ACETYLTRANSFERASE1 (HAC1) 은 식물의 면역에 있어서 양성 조절인자로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우리 실험실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식물의 면역 반응에 HAC1은 음성조절인자로 밝혀졌다. 모델식물인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 hac1 돌연변이 식물은 Pseudomonas syingae 감염에 증가된 초기 방어 대응과 강한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보아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은 조건에서의 HAC1은 기초 방어반응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miRNA 생합성 과정에 역할을 하는 DAWDLE은 HAC1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hac1-3 ddl 이중돌연변이 식물은 애기장대 Columbia-0 (Col-0) (Wild type, WT) 에 비해 짧은 잎자루, 많은 로제트 잎, 낮은 수정률, 지연된 개화의 표현형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virulent P. syringae 계열에 대해서는 WT 식물과 상당한 차이가 없는 병 반응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식물의 면역과 발달에 있어서의 HAC1과 DDL 사이의 기능적인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WT 식물과 hac1-3 및 hac1-3 ddl 돌연변이 식물에서에서 microRNAome 분석을 진행 하였다.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을 통해 WT과 돌연변이에서의 서로 다르게 발현이 되고 있는 miRNA 분포 정도를 알 수 있었으며, Differentially expressed miRNA 분석을 통해 HAC1과 DDL에 의해서 조절이 되어지는 31개의 알려진 miRNA와 8개의 새로운 miRNA을 동정 하였다. 병원 감염 후, HAC1과 DDL에 의해서 조절이 되고, hac1-3 ddl 에서 각각 증가 또는 감소되는 miR159b, miR171b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병원균 감염 후 발현량이 증가하는 miR159b와는 다르게 miR171b는 감염 전과 후의 상당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histone acetylation이 식물 면역 반응 동안 miRNA 생합성을 조절에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종결 어미 연구 : 초급을 중심으로

        손다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종결어미 항목을 선정하고 배열해 학습자의 숙달도(proficiency)를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에서 제안한 여러 종결어미의 개념과 체계를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종결어미의 개념과 체계를 정리하였다. 문법 항목 선정과 배열을 위해 의사소통 기능과 사용 빈도, 일반화 가능성과 학습자 기대 문법을 준거로 하여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종결어미의 항목을 선정, 배열하였다. 초급 학습자에게 꼭 필요한 의사소통 기능을 제시하여 기능에 해당하는 종결어미를 실제 한국어 구어 말뭉치에서 빈도 분석하였다. 배열 과정에서 일반화 가능성과 학습자 기대 문법, 그리고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하고 있는 초급 교재의 의사소통 기능과 종결어미의 배열 순서를 고려하여 말뭉치 분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려고 하였다.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종결어미 교육 과정에서도 의사소통 기능과 종결어미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제시한다면 의미있는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손다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을 분석하여 한국어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의 특징을 찾고 교수의 실패를 유발하는 교수학적 변환의 유형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방향으로 문법 지식을 변환하여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교육은 교사, 학습자, 교육 내용으로 구성된다. 교육 내용은 일반적으로 내용 지식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연구에서 교육 내용은 종종 배제된다. 그렇지만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지식이 교육 내용으로 선택되거나 불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을 경우에 교육은 성공적으로 실시되기 어렵다. 교육 상황에서 지식은 맥락 속에서 학습자가 개인화할 수 있도록 할 때 학습자의 지식이 될 수 있다. 지식이 존재하는 맥락을 무시하거나 학습자가 지식을 개인화할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으면 이 역시 교육을 실패하게 한다. 이처럼 교육을 위해 지식이 교육 내용으로 선택되고 구성되며 맥락화, 개인화하여 학습자에게 제시될 때 교수학적으로 변환하게 된다.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지식의 본질이 파손되어서는 안 된다. 교육에서 교육 내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식의 파손성을 경계해야 할 것을 주장한 학자가 바로 프랑스의 수학 교육 학자인 셰바야르(Chevallard)이다. 지식은 ‘학문 지식→가르칠 지식→가르치는 지식’ 등의 단계로 교수학적 변환을 하여 학습자에게 전달된다고 설명하였다. 교과 교육에서 학문 지식이 가르칠 지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외적 교수학적 변환이라 하며 이 변환은 교실 밖에서 실시된다. 외적 교수학적 변환의 결과는 교육 과정 및 교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가르칠 지식에서 가르치는 지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내적 교수학적 변환이라 한다. 이 변환은 교실 안에서 교사가 학습자에게 교육 내용을 가르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국어 교육에서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에서도 문법 지식은 교육 내용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렇지만 한국어 교육과 국어 교육의 교육 체계의 차이로 인해 교수학적 변환 단계가 달리 나타난다. 한국어 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이 강제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기관 수준의 교육 과정에 따라 교재가 개발되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지식은 ‘학문 문법→교재의 문법→교사의 교수 문법’의 단계로 변환된다. 학문 문법이 교재의 문법으로 변환한 결과는 교재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은 교실 밖에서 완료되는 변환으로 외적 교수학적 변환에 해당한다. 교재의 문법이 교사의 교수 문법으로 변환한 결과는 교사의 교실 수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교실 내에서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적 교수학적 변환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지식이 교수학적으로 변환되는 양상을 분석하여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의 특징을 찾고 교수의 실패를 유발하는 교수학적 변환의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3종의 교재와 3인의 교사가 진행하는 문법 수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문법 지식은 선택, 구성, 맥락화, 개인화의 교수학적 변환 과정별로 각각 문법 체계의 변환과 제시 형태의 변환, 내용 구성의 변환과 설명 내용의 변환, 맥락의 변환과 맥락 형성 방식의 변환, 연습 내용의 변환에 따라 학습자에게 제시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을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의 결과 문법 지식은 문법 형태를 중심으로 체계화되었다. 일부 문법 범주나 어휘가 문법 항목으로 포함되기도 하였지만 대체로 문법 형태가 문법 항목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제시 형태는 교재별로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이형태를 함께 제시하거나 이형태를 제시하지 않는 경우, 형태가 같더라도 의미에 따라 항목을 나누어 제시하는 경우와 하나의 항목으로 함께 제시하는 경우 등이 있었다. 문법 항목별로 기술된 내용은 형태, 의미, 사용 차원의 정보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재나 항목에 따라 사용 차원의 정보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지만 형태, 의미 차원의 정보는 대부분 포함되어 있었다. 구체적인 설명 내용은 교재별, 숙달도별, 문법 항목의 유형별로 크게 차이가 났다. 형태 정보와 결합 정보, 의미 정보는 대부분 포함되어 있었지만 사용 정보는 용법, 제약 정보, 문장 구성 정보, 관련형 등이 제각각 나타났다. 또한 문법 항목은 특정 의사소통 상황을 맥락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문법 항목이 특정 의사소통 상황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므로 문법 항목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는 다양한 맥락이 제시되는 경향을 보였다. 맥락의 형성을 위해서는 대화쌍 제시, 문장 제시의 방식뿐만 아니라 고급 숙달도로 갈수록 보다 확장된 텍스트에서 문법 항목을 맥락화하여 제시하는 방식도 나타났다. 그에 반해 지식의 개인화를 위해 제시되는 연습 활동은 단조롭게 나타났다. 결합 정보와 형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연습,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연습 등이 주를 이루었으며 실제로 문법 항목이 사용되는 확장된 텍스트에서 문법의 사용을 연습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거의 없었다. 교실 수업을 분석한 결과 문법 항목의 선택은 교재를 거의 따르고 있었다. 그렇지만 설명 내용 구성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교재에 제시된 내용 중 일부만 설명하거나 교재에 제시되지 않은 내용을 추가로 설명하는 경우를 찾을 수 있었다. 맥락화의 경우에는 교재의 맥락화를 그대로 따르는 경우, 교실 상황을 활용하거나 학습자 혹은 교사 자신의 이야기를 맥락으로 하는 경우 등으로 나타났다. 개인화를 위한 연습은 초급의 연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교재의 연습을 그대로 따르는 양상을 보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지식은 문법 형태를 중심으로 체계화되며 문장 구성에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항목화되었다. 또한 숙달도별로 의사소통을 위해 문장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지식이 구성되었다. 교재에서 문법 항목은 특정 맥락과 연계하여 제시되기는 하지만 특정 맥락과 상관없는 다양한 맥락을 함께 제시하려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사 역시 학습자가 더 흥미를 가지고 교육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맥락화하였다. 이에 반해 개인화를 위해 제시되는 연습은 대체로 한정적으로 나타나 개인화 과정에서 교수한 지식 대부분이 누락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분석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문법 지식을 변환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mphiphilic copolymers with zwitterionic and cardanol moieties for antifouling and antibacterial coating applications

        손다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A series of copolymers [PSH#s, where # means a mol % of sulfobetaine methacrylate (SBMA) unit in the polymers] with zwitterion and cardanol moieties were synthesized via free radical polymerization of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DMAEMA) and plant-derived monomer, 2-hydroxy-3-carbonylpropyl methacrylate (HCPM), followed by betainisation with 1,3-propane sultone. Cross-linked PSH# (PSH#C) films were prepared through spin-coating or drop-casting method and then UV light irradiation, and their surfac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PSH#C films showed high transparency to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a water static contact angle of their surfaces decreased when the amount of hydrophilic SBMA unit in the copolymers increased. Antifouling characteristics against both Escherichia coli (E.coli) and bovine serum albumin (BSA) of the PSH#C films were enhanced as the SBMA moiety in the copolymers increased. All of the PSH#C films were non-cytotoxic against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and the amount of HDFs attached to the surfaces decreased when the zwitterion moiety in the PSH increased. Furthermore, the PSH#C films exhibited high antibacterial property against E.coli because of a presence of the bactericidal HCPM moiety in the PSH. Consequentl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PSHs have good anti-adhesion and bactericid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SBMA and HCPM respectively, and non-cytotoxicity. Especially, PSH42 having proper amount of the SBMA and HCPM units exhibited excellent antifouling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is expected to be a candidate for coating material in anti-biofouling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