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쓰인 연어 연구 : make, get, take 동사를 중심으로

        설유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Vocabulary is the foundation of learning language. Nevertheless, it's the 1980's that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was on the rise. On the other side, as the internet has come into wide use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we are living in a global village. This surroundings made the demand of increased authentic English ability. And at the same time, collocation is being on the rise a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English competence as well as learn vocabulary. Collocation was first introduced by Firth in 1957 and has been researched by many linguists, but it does not get attention until it's the end of the 20th century. Since then, the study of collocation has been on the increased greatly. This study is originated with the fact that the goal of CSAT is contributing to normalizing the school education by setting questions based on the fundamental notions to reflect substance and level which is suitable in the high school course. This is about the collocations included in SAET(Scholastic Ability English Test) to check whether reflecting substance and level of the high school course, whether setting questions to a usefully evaluative degree, and whether contributing to normalizing the school education especially in the vocabularied aspects as well. The source of this study is all SAET papers taken for an examination from 1994 to 2007 except all listening comprehensive tests. I examine which types vocabulary collocates with transitive verbs such as make, get, and take according to the sorts of collocation. In addition, I try to examine practical use and frequency of collocation according to yearly and educational course and according to two types which are standard and inflectional forms. The total number of examples is 341. The basic forms of make, get, and take are included 93 times, 76 times and 57 times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including the inflectional forms of them is 156, 99 and 86 time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make, get, and take, the most frequent type is 'Verb + Noun/Pronoun', which appears 72 times, 32 times, and 48 times respectively. Especially make is combined with 'Verb + Noun/Pronoun' 72 times, which shows the best frequency. Make and get collocate with various vocabulary every year, while take didn't collocate in 2005 and there may be the limit to collocate. The frequency of sort is separate that make verbs are included 8 parts, get ones are 12 parts and take ones are 7 parts, which means get verbs collocate variously in many sorts. The point that I must get attention to is that the frequency between make and get is complementary distribution. Here are two kinds of complementary distribution. First, only make verb can be included in 'transitive verb + object + a bare infinitive' sort, while only get verb can be included in 'transitive verb + object + to infinitive' sort. So when the causative function must be used grammatically, one of them is selected. Secondly two verbs can be included in 'transitive verb + object + a particle/adjective' sort, so both of them is chosen. That is, when get shows high frequency in some parts, make shows low one in the same parts. That is why two verbs have the grammatically same character and roles. However, two verbs have distinct lexical characters. That is, make and get collocate with different nouns in general, and they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lthough they collocate with the same words. Make and get have the same grammatical function such as 'transitive verb + object + a bare infinitive', 'transitive verb + object + to infinitive', 'transitive verb + object + a particle/adjective', which means that collocation doesn't have to be taught in the lexical class. That is, collocation can be used in the grammatical class. In case of applying it to the grammatical one, teachers must consider that the difficulty depends on the length of objectives and design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collocation is on the rise sharply to the listening comprehensive course as well as to the reading comprehensive one because collocation has the character which is very useful authentically. Therefore, teaching methods which are combined with listening and vocabulary or listening and grammar need designing.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어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휘의 중요성이 대두된 것은 1980년대의 일이다. 한편 20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인터넷의 보급은 21세기에 이르러 크게 확산되면서 지구촌을 몸소 실감케 하였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은 실질적인 영어 능력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켰다. 이에 어휘 학습과 실질적인 영어 능력의 향상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하며 최근에 각광받기 시작한 것이 '연어'이다. 연어는 Firth에 의해 1957년에 처음 소개 된 이후로 많은 어휘론자들에 의해 꾸준히 연구되어 오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언어학 전반에 걸쳐 효과적인 어휘학습으로 주목받으면서 연어에 관한 연구는 보다 활기를 띄게 된다.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평가의 목표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을 충실히 반영하여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한 고등학교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하는데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의 어휘에 있어서도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이 반영되어 있는지, 이를 측정가능한 정도로 출제하고 있는지, 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외국어 영역 지문에 등장하는 연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94년부터 2007년까지 시행 된 모든 대학수학능력평가의 외국어 영역의 지문을 대상으로 타동사인 make, get, take가 어떤 어휘들과 연어를 주로 이루고 있는지를 연어의 분류에 따라 살펴보았다. 더불어 각 연도별, 교육과정별 연어의 활용정도와 빈도수를 세 동사의 기본형과 굴절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나타난 예문은 총 341개로, 연구에 사용 된 동사의 기본형을 기준으로 보면, make가 93회, get은 76회, take는 57회이다. 약어휘 동사들의 기본형이나 굴절형에 상관없이 크게 세 동사로 나누어 분류별로 빈도수를 정리한 결과를 살펴보면, make가 156회로 get의 99회, take 86회와는 확연히 두드러지는 빈도수를 보인다.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연어 분류 항목은 'Verb + Noun/Pronoun'항목으로 make, get, take 각각 72회, 32회, 48회 등장한다. Make와 명사의 결합은 72회로 가장 많이 등장한다. Take는 2005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쓰이지만, make와 get 보다는 다양하게 활용되지 않는다. Make와 get 은 둘 다 매년 다양한 지문에 등장한다. 분류별 빈도수 중 각 동사의 기본형 빈도수는 make 경우는 8개 항목, get은 12개 항목, take는 7개 항목에서 포함되어 있어 굴절형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약어휘 동사는 get이다. 마지막으로 이 분석표에서 두드러진 사항은 make와 get이 빈도수에 있어서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두 종류의 상보적 분포를 볼 수 있는다. 첫째, '타동사 + 목적어 + 원형부정사'는 make 동사에만, '타동사 + 목적어 + to 부정사'는 get에만 해당하는 것으로 사역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고자 할 때, 주로 둘 중 하나가 쓰인다. 둘째, '타동사 + 목적어 + 형용사/분사' 의 경우는 make와 get 둘 다 사용가능한데 이 분류 항목에서는 make가 쓰였을 때에는 get이 사용되는 횟수가 적었고, make가 사용되지 않았을 때에는 get의 사용 빈도수가 늘었다. 이는 문법적인 면에서 두 동사가 비슷한 역할이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둘 중 하나가 쓰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어휘적 연어 중, 명사와 연어를 이루는 경우에는 의미 차이가 뚜렷해 연어를 이루는 명사가 대부분 서로 다르며, 같은 명사와 연어를 이룬다고 해도 그 의미는 명확하게 구별된다. 동사 make와 get이 문법적 분류항목에서 '타동사 + 목적어 + 원형부정사', '타동사 + 목적어 + to 부정사', '타동사 + 목적어 + 형용사/분사'와 같은 문법적 기능을 단어 자체에 포함하고 있다는 것은 연어를 가르칠 때, 어휘 수업을 통해서만 가르쳐 질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문법 수업을 통해서도 연어 수업의 진행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이 때 문법적 연어의 경우 목적어의 길이에 따라 학습 난이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수업 안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연어는 영어 사용에 있어 실제적으로 활용도가 높다는 점에서 읽기수업에서 뿐만 아니라 듣기수업에서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는 어휘학습이므로 듣기와 어휘, 듣기와 문법을 연계한 수업 지도안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 직장인의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운동 모바일 앱 디자인 : 그룹형방식의 걷기운동을 중심으로

        설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urvey of office workers on their physical condition and discovered a severe lack of exercise, 95.7% of office workers felt the need for more exercise. They also found that 70% of people are missing out on basic regular exercise. The most common reasons they received from office workers who felt unable to exercise were: a lack of time because of excessive work, stress due to financial concerns, fear that it would interfere with their workday, and a general feeling of laziness. With that in mind, this research proposes the use of regular walking exercise, which doesn't create much of a physical or time burden, as a concept, and suggests a mobile application design that will keep office workers motivated to exercise. The research has progressed by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it analysed office workers' real life situations in regards to exercise, and why they tend to abandon healthy exercise practices, and framed a hypothesis of an exercise patterns.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office workers are less motivated and have a lower inclination because of their irregular living patterns. To improve those situations, this research frames a hypothesis that exercising with friends could make them keep exercising. Taking those living patterns into consider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four categories - accessibility, social connectivity, interactivity, cost-effectiveness – and a mobile application was identified as a proper solution. This is because a mobile application related with health care would be simple, convenient, and provide useful feedback whenever needed. First, it analysed office workers' real life situations in regards to exercise, explored the reasons why they tend to abandon healthy exercise practices. and framed a hypothetical exercise pattern.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office workers are less motivated and have a lower inclination because of their irregular living patterns. To improve upon the situation, this research posits a hypothesis that exercising with friends could keep them motivated to exercise. With all of that information in mind, this research focused on four categories - accessibility, social connectivity, interactivity, cost-effectiveness – and a mobile application was identified as a proper solution. This is because a mobile application related with health care would be simple, convenient, and provide useful feedback whenever needed.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nstruction of an affinity diagram have provided evidence which verifies this hypothesis. It formulated a hypothesis that exercise with friends keep them motivated to work out. However some people may have difficulty exercising together because of a difference in goals or schedules. Moreover, they voiced a desire to participate in "enjoyable and engaging walking exercise with a slight competitive edge.”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se interviews and research was used to construct a behavior pattern of two basic personas, creating an imaginary scenario which determined the user's' primary demand; to provide strong motivation. Third, through the interviews and research, this design draws from the following three core concepts; benefits when they achieve their goals, a social activity with other users to establish competitive motivation, and an individual activity using a point system. Using those concepts, this research created a UI scenario, and obtained user testimony. The feedback received suggested the target for motivation was bit lacking, and the main page might be somewhat confusing in displaying buttons for challenges and racing together. Considering that feedback, the renewed application suggests changing the target to receive points from random users through a social competition, and it improves main page's layout by dividing the main pages into two separate pages. This research encourages interest through a healthy competition between the user and other members of his social network. By utilizing a point system users could receive points from, or lose points to, other users. This would promote a fun and competition spirit. In addition, the ease of use of this application would allow users to exercise with their friends simply and comfortably. This design will improve office workers motivation, and provide them with an opportunity for enjoyable walking exercise. 취업포털 커리어가 직장인을 대상으로 운동부족 실태를 조사한 결과 10명 중 7명이 운동부족인 것으로 드러났다. 운동하지 못하는 이유로‘과다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귀찮아서’,‘경제적인 여유 부족’, ‘운동 다음 날 업무 진행에 지장이 줄까 봐’의 순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인들이 운동을 쉽게 포기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부담이 적은 걷기운동을 컨셉으로 하여 지속해서 걷게 하는 걷기운동 모바일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하여 직장인의 운동 현황과 포기요인을 분석하였다. 그결과 적극적인 동기부여가 부족하였으며, 불규칙한 생활방식으로 인하여 운동을 지속해서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조사한 사례를 직장인 생활방식에 맞추어 나열했을 때 모바일이 다른 매개체에 비하여 접근성이 높고, 사용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피드백이 올 수 있어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적절하다는 점을 알아낼 수 있었다. 둘째, 문헌 조사를 통해 직장인들의 생활에 대해 몇 가지 가설을 설정하고 설정한 가설을 토대로 정량적 리서치를 통해 비교와 입증을 하였다. 가설과 달랐던 부분은 친구와 함께 운동하면서 지루하지 않고 즐겁게 할 수 있어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다고 예측하였으나, 운동의 목표가 일치하지 않고 시간맞추기가 어려운 점 등의 이유로 다소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정성적 인터뷰에서는 친구와의 경쟁보다는 익명의 다수와의 경쟁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셋째, 정량적리서치와 정성적리서치로부터 나온 메시지들을,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가벼운 경쟁심과 함께 즐거운 걷기운동을 하고 싶어요’라 는 사용자 메시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넷째, 정성적 리서치 인터뷰 대상자들의 행동패턴에 따라 두 그룹으로 구분지어 퍼소나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퍼소나들을 이용하여 가상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각 퍼소나에 상황에 맞는 요구사항을 나열하였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가 공통적으로 요구사항은‘강력한 동기부여’였다. 다섯째, 사용자의 니즈인‘강력한 동기부여’를 주기 위하여‘타인과의 경쟁을 통한 승부 내기’,‘알람을 이용한 동기부여’,‘목표 달성 시 주어지는 혜택’이라는 세 가지의 디자인 컨셉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컨셉이 반영된 UI와 메뉴 설계를 가지고 UI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여섯째, 정성적 리서치 인터뷰 대상자 중 3명에게 UI시나리오를 보여주고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진행결과 다른 사람이 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알림화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1:1 대결을 이용하여 상대 포인 트를 가져오는 방식에 대해서도 재미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첫 화면은 도전할 때 누르는 버튼과 참여도가 높은 레이스를 동시에 보여주어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었고 이는 인터랙션의 흐름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다. 또한 동기부여를 주는 미션에서 내용의 구성이 다소 진부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사용자 평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동기부여를 주는 미션에서는 1:1 랜덤 대결을 통해 30분 동안 대결을 통해 상대의 포인트를 가져오는 것으로 내용을 변경하였다. 처음 화면에 두 가지 기능을 담아 혼란을 주었던 레이아웃은 다시 재설계하여 도전할 때의 화면과 두 번째 도전 이후의 화면을 분리하여 사용성을 높였다. 본 연구는 직장인들에게 적극적인 동기부여를 줄 수 있도록 나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대결하는 구도를 설계하여 흥미를 유도하였다. 단순히 대결구도를 전개하는 방식이 아닌 포인트라는 방식을 활용하여 상대의 포인트를 가져오고 빼앗기는 방식을 주어 사용자들에게 자극을 주었으며, 핵심적인 기능만을 제공하여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직장인들이 적극적 동기부여를 제공하고 즐겁게 걷기운동을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보육교사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설유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반적인 인식과 수용태도 및 보육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위험 영·유아도 장애 영·유아와 같이 특수교육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 일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통합보육의 인식과 수용태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장애영·유아를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일반 보육교사는 32.6%, 장애여부가 판명되지 않았으나 전반적인 발달이 정상적인 발달수준에 이르지 못한 장애위험 영·유아를 지도해 본적이 있는 일반 보육교사는 62.9%로 높게 조사되었다. 그리고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의 긍정적인 효과가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수용태도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지원방안에 대한 의견으로는 현재 교사 1인당 법정 보육인원 수가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통합보육 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개별화된 보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사연수, 행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위해 국내 최초로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통합보육의 실제 담당자인 일반보육교사의 인 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통합보육에 대한 지원방안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aycare teachers serving at the nursery are perceiving the inclusive daycare of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risks, which attitude those teachers are having about the acceptance of such care and how they have been actually providing day care at their work, ultimately making suggestions for institutions or polices that would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services whose beneficiaries are infants or young children who have disability risks as well as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as its participants and surveyed 350 daycare teachers working for nurserie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Of the participants, 32.6% have ever experienced educating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le, the remaining 62.9% have had experiences in instructing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risks who are not diagnosed with disability, but less wholly developmental than normal.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bove all, teachers surveyed here were perceiving that the inclusive daycare of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risks would have a highly positive effect so that they are more willing to accept such daycare. Meanwhile, thos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number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for whom they are legally required to provide daycare services are higher than it should be. As far as supportive institutions or policies are concerned, in a similar vein, the respondents said that if the inclusive daycare of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risks is actually put into practice, it would need to be supported by more relevant education progra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aycare of infants or young children in an inclusive way should be more strongly propped by appropriate actions for inclusive daycare such as developing individualized daycare programs, training teachers and providing administrative suppor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wo respects. One is that it conceptualized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risk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order to suggest policies that would expect to maximize the effect of inclusive daycare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is that the research looked into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eachers as would-be actual practitioners of inclusive daycare and their opinions about what kinds of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an effective and proper implementation of such daycare.

      • 지역간 도로 네트워크의 수요가중 접근성 평가모형

        설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에서는 그동안 교통시설 투자계획을 하면서 도로망 연계성 강화를 위한 간선도로망 확충을 주요 정책 방향 중 하나로 채택하여 왔다. 국가의 간선도로망 확충을 계획할 때에는 기존 도로 네트워크를 지역간 접근성 측면에서 먼저 정확히 평가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고 지역간 접근성을 평가할 경우에는 실제 도로네트워크 사용자들의 통행패턴을 반영하여 한 지역에서 통행량이 많은 지역까지의 네트워크에 대한 충분한 고려를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네트워크 사용자들의 통행패턴을 반영한 지역간 도로 네트워크(Interregional Road Network)의 접근성 평가 모형을 구축하고 국내의 현재 및 장래 도로 네트워크의 접근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요가중 접근성(Demand-weighted Accessibility)을 기반으로 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Nguyen and Dupuis가 제시한 예제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모형을 검증한 후 실제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지역간 도로 네트워크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 지역의 접근성이 거리에 따라 구성되는 접근성 공간분포(Spatial Distribution)를 산출하고 접근성 개선이 필요한 지역의 접근성 개선이 광역적 또는 국지적으로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지역간 도로네트워크의 수요가중 접근성과 공간분포 결과는 기존 도로 네트워크를 접근성 측면에서 정확히 평가하고 향후 도로망 확충계획을 위한 기준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