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청년창업가의 창업동기와 실패부담감이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 :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지향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선량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창업기회의 발견이라는 개별적 상황은 청년창업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개인 창업가에게 발생한 기회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그 기회가 어떤 과정을 통해서 인식되고 평가되는지도 역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청년창업의 경우 기회형 창업이 절실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창업교육에서 기회형 창업 비중이 작게 책정되어 있는데 창업기회역량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그 비중을 늘리는게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40세 미만 예비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지향성을 매개변수로 해서 창업동기와 실패부담감이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창업정책은 대부분 대학생과 청년층을 위주로 실시되고 있다. 창업교육 또한 청년창업사관학교 등의 제도를 통해 청년층 위주로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업을 지향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적 지원이 창업의지 등에 미치는 영향 관련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하여 창업동기와 실패부담감이 매개변수를 복수로 하는 연구모형에서 기회형 창업 추진에 필요한 역량과 관련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청년창업가의 창업동기와 실패부담감이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경기도 등 수도권 거주 예비청년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450부를 배부하여 수집된 자료는 총 412부로 집계되었으며 이중 결측값이 있거나 불성실한 응답 38부를 제외한 374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0과 Process macro v3.0을 사용한 분석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분석, 신뢰성분석, 상관분석 및 차이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관관계와 간접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Process macro v3.0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과관계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창업동기와 실패부담감은 창업기회역량의 하위변수인 기회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창업동기만이 기회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실패부담감이 기회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창업동기가 창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으로 나타났지만 실패부담감이 창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창업효능감은 기업가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기업가지향성중 혁신성과 위험감수성만 기회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진취성과 위험감수성만이 기회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를 매개하여 독랍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업동기가 혁신성, 창업효능감과 혁신성, 창업효능감과 진취성을 매개하여 기회인식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적이었다. 하지만 창업효능감 단독으로 매개하여 기회인식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동기가 창업효능감, 창업효능감과 진취성, 창업효능감과 위험감수성을 매개하여 기회평가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적이었다. 그러나 혁신성, 창업효능감과 혁신성을 매개하여 기회평가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을 매개하여 실패부담감과 기회인식 간의 간접효과만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 외 모든 경로에 대한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실패부담감과 기회평가간의 모든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창업효능감은 기회인식에 대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은 기회평가에 대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업동기 유형에 따른 창업기회인식 배양을 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지향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창업기회평가를 배양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지향성과 창업효능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핵심주제어 : 예비청년창업가, 실패부담감, 창업동기, 창업효능감, 기업가지향성, 창업기회역량

      • 멀티채널 CR 네트워크에서 단일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은닉 터미널 문제 처리방법에 관한 연구 : Handling Hidden Terminal Problems Using a Single Interface in Multi-Channel Cognitive Radio Networks

        선량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Cognitive radio networks will provide high bandwidth to mobile users via heterogeneous wireless architectures and dynamic spectrum access techniques. However, CR networks impose challenges due to the fluctuating nature of the available spectrum, as well as the diverse QoS requirements of various applications. Spectrum management functions can address these challenges for the realization of this new network paradigm. Cognitive networks enable efficient sharing of the radio spectrum. Multi-hop cognitive network is a cooperative network in which cognitive users take help of their neighbors to forward data to the destination. Control signals exchanged through a common control channel (CCC) to enable cooperation communication. But, using a common control channel introduces a new issue like channel saturation which degrade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network. Moreover, the multi-channel hidden terminal problem will be another important challenge in cognitive radio networks, in which the multi-channel hidden terminals can decrease the throughput, cause much overhead, and sometimes even make the whole network invalidated. In this thesis, a novel MAC protocol to resolve the multi-channel hidden terminal problem using a single interface which avoid using the CCC.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e throughput of our research is better than the CCC-MAC protocol.

      • 영화 속 PPL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선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103

        최근 쌍방향 디지털 TV방송으로 PPL확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PPL을 활용한 다양한 광고사례들이 늘어나면서 실무적, 이론적 관점에서 PPL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PPL효과에 관한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단순사례분석에서 벗어나 영화 속 PPL효과에 관한 요소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회상(recall)과 재인(recognition)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PPL효과 향상에 도움이 되는 브랜드 회상과 관련하여 제품배치가 상표회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여 가설을 세웠다. 이를 위해 영화 속에 삽입된 PPL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가운데 영화의 흥행도(popularity), 브랜드친숙도(brand familiarity), PPL effective size, PPL배치유형, 장면중요도, 영화 개봉시기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이들 변인이 PPL에 관한 최초상기와 보조상기의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최초 기억과 보조 기억으로 전이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영화 속 PPL효과에 관한 요인은 브랜드 친숙도, PPL배치유형, PPL size로 요인화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최초상기에서의 최초상기율은 보조상기율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의 친숙도 및 PPL size는 노출이 아주 큰 경우와 매우 친숙한 제품일수록 브랜드 재인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PPL배치유형 또한 광고노출과 시각적으로 뚜렷한 배치가 높게 나타났다. 브랜드 재인의 경우에는 먼저 나오는 PPL을 높게 감지한 Odrer Effect의 경우 미미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 같은 유형화 연구를 토대로 향후 효과를 측정하거나 PPL효과에 관한 연구 분야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본 연구의 학문적․실무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product placement (PPL) and increased usage of PPL in various advertisements due to the recent rise of two-way interactive digital TV broadcasting which led to a big growth in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PPL from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To increase the objectivity of PPL effect, this study is based on PPL effect-related factors in movies instead of simple case studie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n the recall and recognition by consumers. In addition, in relation to brand recall that helps enhance PPL effect, the study set a hypothesis after drawing the conclusion that product plac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recall. For this purpose, among factors that affect PPL effect in movies, popularity of the movie, brand familiarity, PPL effective size, PPL placement type, scene importance, movie opening date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tudy examined what effect the variables had on product recall and recognition rates and ultimately, verified whether it could be transferred to memory. To summariz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PPL effect in movies can be factorized by brand familiarity, PPL placement type, and PPL size. Meanwhile, recall rate for initial recollection appeared lower than secondary recollection rate while brand recognition rate appeared higher when brand familiarity and PPL size were bigger and also when PPL placement type was visually distinct like advertisement exposure. In the case of brand recognition, there was a minimal effect in terms of Order effect which calls for increased perception for PPL that comes first th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s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materials for other future typology studies on measuring the effect of PPL in research area.

      • 양방향 재하시험을 통한 풍화암(IGM)지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 분석

        선량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103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bearing capacity of drilled shafts socketed to the weathered rock ground through bi-directional load test by applying the calculation formula for the bearing capacity of drilled shafts socketed to bedrock and the calculation of IGM theory (FHWA, 1999). For this, the result of 6 drilled shafts socketed to the weathered rock being loaded up to 2 times of design load is used, and the calculation of drilled shafts socketed to the bedrock, and IGM theory suggested by FHWA (1999)'s design standard are applied to analyze the bearing capacity. As a result, the bearing capacity from the calculation of basic structure design standard and the other one from the calculation of IGM theory both are analyzed within the actual measurement values of the load tests. Although the calculation of IGM theory shows slightly higher bearing capacity than the existing calculation in this study, however, the factor of safety (F.S) of basic structure design standard applied to the comparison analysis is 3.0, and the F.S. of IGM theory is 2.0, which confirm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pplied safety factors.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calculation of IGM theory,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researches of safety factors considering properties of local ground and to carry out load test up to its ultimate load through constructing additional test shafts for more rational design. 본 연구에서는 암반에 소켓된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 산정식과 IGM이론식(FHWA, 1999)을 적용하여, 양방향 재하시험을 통한 풍화암지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풍화암에 근입된 6본의 현장타설말뚝을 설계하중의 2배까지 재하한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암반에 소켓된 현장타설말뚝의 산정식과, FHWA(1999)의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IGM이론식을 적용하여 지지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구조물기초설계기준 산정식과 IGM이론식에 의한 지지력의 값은 모두 재하시험의 실측치 이내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IGM이론식이 기존의 산정식에 비해 지지력이 다소 높게 분석되었으나, 이는 비교 분석시 적용한 구조물기초설계기준의 안전율(F.S)이 3.0이며, IGM이론식의 안전율(F.S)은 2.0으로, 적용안전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풍화암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에 대해 IGM이론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국내지반의 특성을 고려한 적용안전율에 대한 많은 연구와,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 별도의 시험말뚝의 시공을 통한 극한하중까지의 재하시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해안에서의 이안류와 유사이송 관계 해석

        선량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103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하여 가속화되고 있는 연안침식으로 인한 국토 손실이 심각한 문제이다. 따라서 연안침식의 주요 요인인 유사 이송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해안 공학에서는 중요하지만,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비회전류형 부시네스크 방정식은 해양에서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여 해류와 유사 이송관계를 동수역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전류 성분을 고려한 비선형 부시네스크 방정식과 유사 이송 확산 방정식이 결합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연안에서의 이안류와 유사 이송 관계를 분석하였다. 굴절, 쇄파, 처오름, 처내림 등과 같이 서프대 내에서 발생하는 파의 변형을 고려하였으며, 와도, 수평 밀도 변화와 침전물 수송에 의한 지형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수치모형을 이용함으로써 연안에서 발생하는 동수역학적 현상을 모의하였다. 해안선과 평행 방향으로 평행한 모래톱이 존재하는 해변 지형에서 수치모의하였으며, 파고 H = 1 m, 주기 T = 10 s인 정상파를 발생시켜 다양한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생성되는 이안류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이안류가 생성되는 시점과 생성되지 않는 시점에서의 쇄파대와 원해에서의 유사농도, 대류량비교 분석을 통하여 이안류와 해안선과 수직 방향의 유사 이송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쇄파대에서 발생하는 이안류가 원해까지 진행함에 따라 쇄파대에서 유사가 해양방향으로 이송됨을 검증하였다. In this study, we use a morphodynamic model coupled with a fully nonlinear Boussinesq-type model and a sediment transport model to investigate flash rip current driven sediment transport at nearshore area. Transformation of wave in surfzone such as shoaling, refraction, breaking, runup and rundown processes are considered. In addition, the vorticity, horizontal density variation and the bottom evolution by sediment transport are incorporated into a fully nonlinear Boussinesq-type model. A fourth-order finite volume method based on a MUSCL scheme with an approximate Riemann solver is used to solve the governing equations. Uniform and random directionally-symmetrically spread wave field are simulated on a plain beach with very small disturbance. The wave generator is perpendicular so that there is no constant longshore current is generated. From both tested cases, offshore directed strong current (of which wave averaged velocity > 0.5 m/s) appears in various locations. Turbid suspended sediment current is generated randomly by the waves and currents. The model results and analysis give insight into the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ransient rip currents and the associate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The sediment transport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transient rip current generated within surfzone propagated offshore. This observation indicates important engineering applications for the sediment transport in the nearshore area.

      •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공유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와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

        선량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103

        이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조직 내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헌신하는 조직시민행동을 도모하는 환경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인적자원 관리 방안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공유리더십, 조직시민행동, 직무배태성, 권력거리성향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공공기관에서 공유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직무배태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개인의 권력거리 성향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지방공기업법」,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운영에 관한 법률」에 해당하는 종사자로 설문조사를 실사하였고, 총 327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불성실한 응답 또는 불완전한 응답 등 이상치와 결측치를 제외하고 총 32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에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3.0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공유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본 결과, 독립변인인 공유리더십이 종속변인인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유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 결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이 높은 상황일 때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기관은 조직시민행동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의 공유리더십 제고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조직에 높은 수준으로 배태할 수 있도록 일터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유능한 인적자원 확보 지속성을 담보하고 이들이 보유한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공유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개인의 권력거리 성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개인 성향을 고려해야 한다. 권력거리가 높은 사람들의 조직시민행동은 공유리더십에 영향을 받으므로 조직은 권력거리가 높은 사람들의 공유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what environmental factors indu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members of public institutions voluntarily exhibit and to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embeddedness, and power distance orientation for public sector workers was examined. Accordingly, the study was intended to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 of an individual’s power distance orientation by setting job embeddedness as a parameter that influences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verify the set research problem and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public sector workers as defined in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and the Act on the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Invested and -Funded Institutions. The survey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27 respondents, with the answers from 323 analyzed, excluding abnormal and missing values, such as insincere or incomplete respons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 statistical program,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shared leadership,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dependent variable. Seco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and tha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embeddednes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ower distance orientation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increased further when the power distance orientation was hig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and tha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ublic institutions should prepare measures to improve shared leadership of their memb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securing competent human resources and operate them to maximize their capabilities by establishing a workplace environment where members can be embedded in their organization at a high level. Third, since the impact of shared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ar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power distance orientation, individual orientation should be considered. Sinc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eople with high power distance is affected by shared leadership, organizations need to study and apply ways to increase the shared leadership of people with high power distance.

      •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학년 수준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선량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10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유형의 어떠한 요인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진로발달 이론을 기초로 개인의 특수한 상황변인으로서 학년 수준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중요성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상담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성격유형에 따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학년 수준에 따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성격유형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4】 학년 수준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5】 성격유형과 학년 수준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 성격유형과 학년 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가운데 임의로 표집한 503명(1학년 207명, 2학년 121명, 3학년 93명, 4학년 8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Jung의 심리유형론에 근거하여 Myers-Briggs가 개발한 성격검사인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김정택, 심혜숙(1991)이 표준화한 한국판 MBTI(GS형)를 사용하였고,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Osipow 등이 개발한 진로결정검사(Career Decision Scale: CDS)를 고향자(1992)가 우리 문화에 적절한 문장표현으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진로준비행동 검사는 김봉환(1997)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차이분석, 상관분석, 단계적(Stepwise) 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가설은 유의 수준 '.05' 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설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유형에 따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1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성격유형의 하위요인별 상·하 집단 중에서 진로결정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t=-2.080, p<.05)이었고,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t=-3.161, p<.01)과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t=-3.323, p<.01)이었다. 둘째, '학년 수준에 따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2는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학년 수준에 따라 진로결정수준에서는 '.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진로준비행동에서는 '.0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격유형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3은 긍정되었다. 진로결정수준에서는 인식기능을 제외한 3가지 성격유형의 하위요인과 '.05'수준에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각각 에너지방향(r=-.092), 판단기능(r=-.100), 생활양식(r=-.106)으로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에서 가장 높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에서는 에너지방향과 생활양식에서 '.01' 수준의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각각 에너지방향(r=-.185), 생활양식(r=-.197)으로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이 진로준비행동과 가장 부적상관이 높은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 수준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4는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진로준비행동만이 학년 수준과 '.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r=.292)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수준과 진로결정수준은 '.05'수준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성격유형과 학년 수준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5는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중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Beta=-.108)과 에너지 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Beta=-.092)이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년 수준은 진로결정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에 의해 1.2%가 설명되고, 그에 이어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에 의해 0.8%의 변량이 추가 설명되고 있다. 두 요인의 공동 설명력은 2.0%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격유형과 학년 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6은 긍정되었다.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중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 (Beta=-.019)과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Beta=-.0183)이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학년 수준 중 4학년 (Beta=.286)이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1학년(Beta=-.0127)이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4학년에 의해 8.2%가 설명되고, 그에 이어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중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이 3.6%의 변량을 추가 설명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에 의해 3.3%의 변량이 추가 설명되고, 마지막으로 1학년에 의해 1.4%의 변량이 추가 설명되고 있다. 이들 4 가지 변인이 공동으로 갖는 설명력은 16.5%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중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과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 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진로결정수준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중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 중 내향형,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 중 인식형의 성격유형을 가진 학생들의 경우 학년 수준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진로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이 모두 낮은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성격유형을 가진 학생들의 경우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또한 학년 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진로 선택에 확신이 부족한 상태로 준비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방향 없는 진로 준비를 하지 않도록 진로 선택 및 준비에 대한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겠다. 다시 말하면 진로 지도 및 상담을 함에 있어서 성격적 요인을 고려한 상담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ype of personality and grade level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Hypothesis 1】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ype of personality. 【Hypothesis 2】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ade level. 【Hypothesis 3】 There will b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ype of personal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ypothesis 4】 There will b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grade level,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ypothesis 5】 Type of personality and grade level will be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Hypothesis 6】 Type of personality and grade level will be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which set up this study sampled randomly 502 university students(freshman 207, sophomore 121, junior 93, senior 81) in Seoul, Korea. The measurement scales used were the Myers-Briggs' MBTI, the Career Decision Scal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he data analyzed by difference 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stepwise method) using SPSS/WIN 10.0 program. All statistical values were tested in the level of significant p<.05.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ly(p<.05)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type of personality. Only life style is significantly(p<.05)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level. Direction of energy and life style was significantly(p<.05)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ly(p<.05)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level by grade level. But, there were significantly(p<.05)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 level. Third, there was significant(p<.05) negativity correlations among type of personal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rection of energy, function of judgment and life style showed significant(p<.05) negativity correlations in career decision level. Direction of energy and life style showed significant(p<.05) negativity correlation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p<.05) correlations among grade level,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no significant(p<.05) correlations among grade level and career decision level. But, grade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howed significant(p<.05) positive correlation. Fifth, type of personality had partially significant negativity effect(p<.05) on career decision level. Direction of energy and life style had significant negativity effect(p<.05) on career decision level. But Grade level had no significant effect(p<.05) on career decision level. Sixth, type of personality and grade level were partially significant negativity effect(p<.05)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rection of energy and life style had significant negativity effect(p<.05)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enior and freshman had significant positivity effect(p<.05)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research are discussed.

      • 청소년 성태도에 따른 성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선량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10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성에 대한 태도를 유형화하고 성태도 유형별로 성교육 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성태도 유형에 따라서 성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기도에 중학생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총 400부 질문지를 배포하여 393부를 수집하였으나 그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3명의 질문지를 제외한 390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를 Window Ver10.0에 의한 통계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에 대한 태도를 보수형, 허용형, 쾌락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성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허용적이거나 쾌락적이고,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보수적이었다. 둘째, 청소년의 성에 대한 태도를 보수형, 허용형, 쾌락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성교제 유무에 따른 성에 대한 태도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이성교제를 하는 청소년이 이성교제를 하지 않는 청소년보다 허용적이었다. 셋째, 청소년의 성에 대한 태도 유형과 성교육 요구도와의 관계를 보면, 보수성이 강한 집단과 보수성이 약한 집단 사이에는 성교육 요구도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넷째, 청소년의 성에 대한 태도 유형과 성교육 요구도와의 관계를 보면, 허용성이 강한 집단이 허용성이 약한 집단보다 성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성에 대한 태도 유형과 성교육 요구도와의 관계를 보면, 쾌락성이 강한 집단이 쾌락성이 약한 집단보다 성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보았을 때 성에 대한 태도 유형는 성별과 이성교제 유무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허용형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태도에 따른 성교육 요구도에서도 허용형과 쾌락형이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성교육 실시전에 성태도를 조사해서 학생들에게 맞은 성교육을 실시하면 더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Youth sex attitude accord the difference of desired. The subject of this survey was questions at Kyung-Gi Do middle school student. Total of 400 questions related to sex was distributed randomly. So, 393 questions collected however 3 insincerity questions were discarded. The data was processed by SPSS Window Ver l0.0 statistically. Major findings was, First, the Youth attitude toward sex divided three subcategories : conservative type, approval type, sensual type. The subjects were distinguished by gender to analyzed the difference of the 3 types of attitude. The result were men were more approving of sensual sex than women. Women were more conservative toward sex than men. Second, attitude of Youth toward sex divided conservative, approval, sensual sex type.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are more open to the idea of sex than singles.

      • Screening of Cell Division Cycle-related Genes of Pleurotus Mushroom using Yeast Mutant Strains

        선량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103

        A yeast expression system was used to screen the cell division cycle-related genes from Pleurotus mushroom genomic DNA. Mushroom genomic DNA library was established and antibiotic-resistance and rescue ability of yeast temperature sensitive strains for each gene were used as screening methods. 15 different yeast temperature-sensitive strains including 7 strains with the arrest at mitosis and a wild type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used as host in the work. Hundreds of antibiotic-resistant yeast transformants were first selected under elevating temperatures. The plasmids form the transformants which can survive over 30°C were rescued and transformed back into their host strains. Then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each transformants were tested under from 25 to 37 degree. 13 DNA fragments from Pleurotus eryngii and 3 DNA fragments from Pleurotus ostreatus which showed rescue ability for yeast temperature sensitive strains were screened. The sequencing results showed some homology of screened genes to known or unknown proteins. The screened genes were then induced into a haploid of Pleurotus eryngii. The functions of screened genes were researched with integrated mushroom mut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