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 Chopin Ballade No. 1, Op. 23의 분석과 에디션 비교

        서지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프레데리크 프랑수아 쇼팽 (Frederic Francois Chopin, 1810–1849)의『Ballade No. 1, Op. 23』를 분석하고, 다양한 에디션에 나타나는 특징들과 차이점들을 쇼팽의 자필본, 초판본을 근거로 비교한 것이다. 발라드 1번의 분석과 에디션을 비교하기에 앞서 쇼팽의 ‘발라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쇼팽을 연주할 때 자주 사용하는 에디션들을 선정하여 각 에디션 별 특징을 기술하였다. 쇼팽은 처음으로 기악곡의 장르에 발라드를 도입한 작곡가로서, 총 4곡의 발라드를 작곡하였다. 그중에서 발라드 1번은 형식적인 면에서 명확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발라드라는 장르와 고전 소나타 형식의 틀이 결합된 작품이다. 곡은 서주부-제시부-발전부-재현부-코다의 구조를 가지나, 전통의 형식적인 관습에서 벗어나는 자유로운 요소들이 존재하며, 이들을 통해 곡은 아치형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은 요소들에는 첫 번째, 제2주제가 먼저 재현되는 재현부의 구조, 두 번째, 제시부와 같은 조성으로 구성되는 재현부의 조성, 세 번째, 원조(g단조)와 거리가 먼 조성(A장조)에서 등장하는 발전부의 절정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곡은 발전부를 중심으로 주제적, 조성적인 면에서 대칭적 구조를 이룬다. 선율적 측면에서는 제1주제의 주제선율인 동기 a와 b가 곡의 전반에 걸쳐서 변형, 발전되어 나타나며 하나의 주제선율이 곡의 중심을 이루는 모습이 나타난다. 또한, 쇼팽은 이 곡에서 잦은 템포지시어를 사용함으로써 템포루바토를 유도하였으며, 특징적 기법인 반음계적 선율 진행을 통해 구간들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이끌었다. 다음으로 쇼팽의 상이점이 보이는 에디션들의 비교를 위해 원전판인 에키어(Ekier), 헨레(Henle)와 해석판인 파데레프스키(Paderewski), 도버(Dover), 살라베르트(Salabert)를 사용하였다. 프레이징, 운지법, 아티큘레이션 등을 중점으로 비교하였으며, 에디션들 사이에 상이점이 나타나는 부분은 쇼팽의 자필본과 초판본에 근거하여 배경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nalyzes 『Ballade No. 1, Op. 23』 of Frédéric Francois Chopin (1810–1849), and compares with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that appeared in various editions based on Chopin’s autograph, and First edition. The overall contents of Chopin's ‘Ballade’ were studied, and the editions frequently used when playing Chopin were se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dition were described. Chopin was the first composer to introduce Ballade in genre of instrumental music, and composed a total of four ballades. Among them, Ballad No. 1 is a work that has a clear and simple structure in terms of form and combines the genre of ballad with the framework of the sonata form. Ballade No. 1 has a structure of introduction-exposition-development-recapitulation-coda, but there are free elements that deviate from formal customs, and through these, Ballade No. 1 forms an arch structure. These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structure of Recapitulation where Second-subject is reproduced first; second, the tonality of the Recapitulation consisting of the same tonality as the Exposition; lastly third, the peak of the Development that appears in tonality(A major) unrelated to tonic key(g minor), and etc. With this reason, Ballade no. 1 forms a symmetrical structure in terms of theme and tonality, centering on the Development. In terms of melody, motif a and b, which are the Thematic Melodies of the First-subject, are deformed and developed throughout the music, and one Thematic Melodies forms the center of the music. Chopin also induced Tempo Rubato by using frequent Tempo Markings in the music, and led the natural connection of sec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 technique 'Chromatic melody progression'. To compare the editions of Chopin which showing differences, Ekier and Henle are used for Urtext, and Paderewski, Dover, and Salabert are used for the interpretation versions. In addition, differences between the editions were confirmed the background based on Autograph and First editions.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서지혜 아주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외상과 외상 후 성장의 특성을 살펴보고, Joseph, Murphy와 Regel(2012)의 외상 후 정서-인지 처리 모델에 따라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하는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및 순차 이중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 29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과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탄력성,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 삶의 의미, 외상 후 성장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넷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사이에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과 삶의 의미의 순차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우울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서지혜 서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화 사회이며, 과거의 질병치료나 예방 및 건강유지의 개념에서 확대되어 수명연장보다는 건강수명 연장과 건강증진이 강조되고 있다.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수명의 연장을 위해 건강증진행위의 수행과 신체적 정신적 문제의 감소가 요구된다. 이에 건강증진행위와 우울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노인의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가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측정도구는 Walker 등(1987)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척도(HPLP)를 서연옥(1996)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였고, 우울은 송미순(1991)이 번역한 단축형노인우울 척도(Sheikh & Yesavage, 1986)를 이용하였으며, 생활만족도는 윤진(1982)이 개발한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를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K시와 S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98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7년 8월 10일부터 2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자와 연구보조자 4인이 가정이나 노인정 등을 방문하여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다음 설문지를 직접 읽어주고 대답을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평균평점, 표준편차, χ2-test, t-test, ANOVA, Duncan'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2.9점이었고,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은 대인관계 지지, 자아실현, 영양, 스트레스 관리, 건강책임, 운동 순이었다. 우울은 평균 6.3점으로 대상자의 68.2%가 우울하다고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는 38.3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종교유무, 교육정도, 동거인유무, 예전직업, 한 달 용돈, 주관적 경제상태, 여가활동유무가 건강증진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우울은 교육정도, 동거인유무, 한 달 용돈, 주관적 경제상태, 여가활동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생활만족도는 종교유무, 동거인유무, 한 달 용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건강관련 특성에서는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수준과, 우울은 건강수준, 보험형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건강증진행위는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생활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은 스트레스 관리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생활만족도와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생활만족도, 동거인유무, 종교유무로 나타났으며 건강증진행위를 30.6%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건강증진행위는 우울이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에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한 대책으로 노인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주요어 : 노인, 건강증진행위, 우울, 생활만족도

      • 유리섬유 복합재 피막을 가진 알루미늄 합금의 저주기 피로 거동 평가

        서지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Fiber metal hybrid laminate (FML), which manufactured by bonding fiber-reinforced plastic composite materials with metal materials has superior performance to individual conventional materials. In this paper, low cycle fatigue behavior of Al 6061-T6 alloy and the aluminum alloy with plain woven GFRP laminates, which is a type of FML, was evaluated using the number of stacked laminated compsite as a variable. Fatigue test was performed by applying sinusoidal strain wave with strain ratio R=0 using plate type specimens. The fatigue life was evaluated using the Coffin-Manson method, the total strain-life relation, and the total strain energy density method. The predicted fatigue life according to each prediction formula wa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life. The fatigue life of the laminated material in the low cycle fatigue area was improved than that of the single aluminum specimen, but the 3 ply laminated condition showed the largest lifetime improvement and the fatigue life did not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the given number of lamination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using the total strain energy density by the fatigue damage parameter, the 5 ply laminated condition in the long life area showed the worst life. The predicted fatigue life of Coffin-Manson equation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life at low life area but showed large error in long life area. The predicted life through the total strain - life relation and the total strain energy density method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actual life in the entire test area. Especially, the coincidence of the total strain - life relation was the best. 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료와 금속재료를 접합하여 각각의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을 강화한 섬유 금속 적층판(Fiber metal hybrid laminate, FML)은 개별적인 기존의 재료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Al 6061-T6 합금과 섬유 금속 적층판의 일종인 plain 직조 형태의 GFRP 피막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복합재 피막의 적층수를 변수로 한 피로시험을 수행하여 재료의 저주기 피로거동을 평가하였다. 판형 시험편을 사용해 변형률비 R=0의 사인파형 변형을 가하여 피로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피로수명은 Coffin-Manson 법, 전변형률-수명 관계식, 전변형률에너지밀도법을 사용하여 평가되었고 각각의 예측식에 따른 예측수명과 실험수명을 비교하였다. 저주기피로 영역에서 피막재의 피로수명은 단일 알루미늄 시험편보다 향상되었으나 3 ply의 적층조건이 가장 우수한 수명을 보였고, 주어진 적층수 증가에 따라 피로수명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다. 전변형률에너지밀도를 피로손상 파라미터로 수명을 평가한 결과, 장수명 영역에서 5 ply의 적층조건이 가장 열악한 수명을 보였다. Coffin-Manson 식으로 예측된 피로수명은 낮은 수명 영역에서는 실제 수명과 잘 일치하였으나 장수명 영역에서 큰 오차를 보였다. 전변형률-수명 관계식과 전변형률에너지밀도법을 통한 예측수명은 전체 시험 영역에서 실제 수명과 잘 일치하였고, 특히 전변형률-수명 관계식의 일치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서비스 품질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BC-SERVPERF 모형을 중심으로

        서지혜 숙명여자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components of service quality of online brand community,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upon the community loyalty and brand loyalty, and the effect of community loyalty upon brand loyalty. Service quality (eBC-SERVPERF) scale of online brand community, which is newly defined scale through this study, is offering information, interaction, responsiveness, reliability, tangibility, and assurance. Following is the consequence of actual-proof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ix preceding variables on community loyalty and brand. First of all, the community loyalty of online brand community service user is affected by in order, offering information, interaction,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tangibility. Secondly, the brand loyalty of online brand community service user is affected by in order, offering information, tangibility,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Similarly in the above two cases, offering information has the greatest impact above all component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actual-proof analysis that community loyaltys effect on brand loyalty. Community loyalty turned out to take effects on brand loyalty. This means that brand community activity, interaction among other users using the same brand, belongness and reliability help building positive attitude about that brand. Online brand community is a excellent place for company marketing. As can be seen through this paper, service quality influences community loyalty and brand loyalty. Also, community loyalty is an important standard for brand loyalty. Hence, service quality factors, as consequences of this paper, has to be considered for building and operation of online brand community site. 본 연구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서비스품질 구성요인은 무엇이며, 서비스품질이 커뮤니티 충성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커뮤니티 충성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정의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서비스품질 척도(eBC-SERVQUAL)는 정보 제공성, 상호 작용성, 반응성, 신뢰성, 유형성, 확신성의 6개 요인이다. 6개 요인의 선행변수가 커뮤니티 충성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서비스품질은 커뮤니티 충성도에 정보 제공성, 상호 작용성, 신뢰성, 반응성, 유형성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서비스품질은 브랜드 충성도에 정보 제공성,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도 커뮤니티 충서도와 마찬가지로 정보 제공성이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충성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커뮤니티 충성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 동일한 브랜드를 사용하는 다른 고객들과의 상호 작용하는 행위, 소속감, 신뢰감들이 그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넷의 발달과 확산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동이 활발 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는 기업들에 있어서 효과적인 마케팅 활용 공간이 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서비스품질은 커뮤니티 충성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커뮤니티 충성도는 브랜드 충성도의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입증된 서비스품질 요인들은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의 구축과 운영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라 할 수 있다.

      • 한국 전통창살문양의 국제적 활용을 위한 문양 디자인 연구

        서지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문화는 각 나라의 고유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통문화를 이용한 디자인은 나라의 우수한 문화를 알리기에 좋은 소재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전통문화를 외국에 알리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한국 전통문양 중에서도 전통창살문양은 한국 전통건축의 조형미를 나타내고 기원의 내적인 면을 담고 있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우수한 문화를 알릴 소재로서 손색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전통창살문양을 모티브로 한 문양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한국전통문화의 국제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 전통창살문양, 한국전통문화와 국제화, 문양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한국 전통창살문양의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기에 앞서, 한국의 대표 창살문양 10가지를 선정하고, 5편의 선행연구 논문과 1편의 월간지에서 한국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형용사 어휘를 추출한 후,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29개의 형용사 어휘를 추출하였다. 이미지 평가는 창살문양을 접해보지 못한 서양보다는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동양의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미지 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모티브가 될 창살문양을 선정하고, 외국인들의 시각에 맞춘 문양 디자인 안과 문양을 적용한 예를 제시하였다. 이미지 평가는 한중일 3개국의 20대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미지 평가의 요인분석의 결과, 한국과 중국의 요인Ⅰ은 기원 요인, 일본의 요인Ⅰ은 신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값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귀갑살, 중국은 꽃살, 일본은 띠살이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여 가장 좋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요인Ⅰ의 평균값에서도 가장 높은 값을 보여 높은 순위의 이미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비지 평가를 바탕을 띠살과 꽃살을 모티브로 한 문양 디자인을 실시하였다. 꽃살을 모티브로 한 문양 디자인은 꽃살의 꽃잎을 본떠서, 이를 120° 회전한 후, 이를 평행이동하여 회전된 꽃잎 모티브가 겹쳐지도록 하였다. 꽃잎 모티브에 채도가 낮은 노랑 계열의 색을 적용하고, 검정색 테두리를 둘러 디자인하였다. 이를 응용하여 노랑 계열의 색과 검정색의 두 개의 꽃잎 모티브를 120° 회전을 한 후, 평행이동하여 다른 하나의 문양 디자인을 하였다. 그리고 디자인한 문양을 바탕으로 창호 디자인 분야 중에서 창문과 미닫이문에 적용하여 예를 보였다. 띠살을 모티브로 한 문양 디자인은 회전이동의 기법을 이용하여 띠살의 살대를 X, Y, Z축을 기준으로 45°씩 회전하였다. 그리하여 바탕을 채도가 낮은 빨강 계열의 색상으로 하고, 회전 후 나타나는 살대의 옆면과 아랫면을 검정색으로 하여 음각의 느낌으로 디자인하였다. 또한 이를 응용하여 흰색의 바탕에 살대의 옆면과 아랫면을 빨강 계열로 하여 검은 테두리를 둘러 다른 하나의 문양 디자인을 하였다. 그리고 디자인한 문양을 바탕으로 공공 디자인 분야 중에서 펜스와 버스정류장에 적용하여 예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문화의 국제화를 위하여 외국인의 시각에 맞춘 문양 디자인 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