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어 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 : 7학년 중심

        서영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글은 국어의 여러 영역 중에서 쓰기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쓰기는 일반적으로 글씨 쓰기와 짓기를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7학년-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 것으로 짓기에 해당하는 쓰기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실기 교육인 쓰기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다음의 순서로 연구를 하였다. II. 앞선 연구의 검토에서는 쓰기 교육에 관한 앞선 연구들을 2.1. 쓰기 이론에 대한 연구, 2.2. 쓰기의 교육 과정과 쓰기 교육 실태로 나누어 살펴 어떤 쓰기 이론이 있으며 쓰기의 교육 과정의 변화와 학교에서 보이는 쓰기 교육의 실태는 어떤지 살펴보았다. III. 교육 과정과 교과서 분석에서는 제 7차 교육 과정에 맞추어진 쓰기 영역의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쓰기 단원을 분석하여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IV. 쓰기의 교육 실태 분석에서는 일선 학교에서 어떻게 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학생과 교사로 나누어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는 현실에 맞는 쓰기 교육을 연구하기 위한 기본으로 삼았다. V. 쓰기 교육의 지도 방법론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 주체가 되는 자기 주도 학습과 학습 공간의 활용 면에서 융통성 있는 운영을 하고 학습 활동의 선택에 있어서 학생들이 스스로 선택하도록 하며 학습 자료를 풍부하게 제공하고 교육 과정은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대집단 수업보다는 개별적 또는 소집단 수업으로 운영하는 등의 제반 활동을 포함하는 열린 교육을 바탕으로 하여 쓰기 교육의 지도에 대한 방법을 찾아보았다. 이상에서 쓰기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내리면 간단히 말해서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를 갖게 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업의 형태를 소집단 활동으로 정했고 각 수업 때마다 열린 교육의 마음으로 교사와 학생들 이 주제를 정해 쓰기를 하는데 이때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수업을 이끌어 나가면 된다. This sentence is the research of how to do the education of writing. The writing is divided into the writing and the writing composition. In this part, this writing is the writing composition. (Middle school students became the help of this research). In this sentence, I studied to find how to do the writing education as a composition in the following. II. In the previous examination of research we considered 2.1. The research of writing theory, 2.2. The course of writing theory, and the real condition of writing educ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 of writing education as a result we know the change of writing course and the condition of writing education seen in school. III. In the course of education and the analysis of text book, I analysed the course of education in writing province and writing unit of text book conformed the seventh course of education. And I observed some connection of each other. IV. In the part of the analysis of real condition about the education of writing. To know how teachers have taught the class of writing in school the questions divided teachers and students are based on the research of real writing education. V. In the teaching theory of writing education there are the method about the teaching of writing education included the various whole activities. For instance, self-directed learning and making students themselves choose in the activities of study. Serving enough study data totally using the course of education, using small group class and individually than large group and so on. The answer about the education of writing is simply to make them interested in writing class. For the purpose of this, the form of writing class is made more smaller group activity. Having a open heart of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choose the topic and begin to write in every class. At that time students should take part in the class passively.

      • 아동의 놀이 활동과 음향과의 현황 분석 연구

        서영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린이 時節에 충실한 놀이의 體驗은 어른이 되고난 다음에 人生의 충실함과도 깊은 關係가 있을 것이며, 놀이의 原理 또한 자기의 興味나 計劃에 따라서 自生的으로 學習해 나가는 社會敎育의 原理와 接近되고 있다고 본다. 어린이의 놀이의 바탕이 되고 있는 것은 어린이들 自身의 신체리듬이다. 어린이는 自身의 신체發達에 따라 그 신체가 갖는 리듬의 자연스런 要求에 따라서 언제나 무엇인가를 하면서 지내고 있는데, 이것이 곧 놀이의 바탕이 된다. 어린이들의 生活에 있어서 놀이 活動은 어린이들의 想像力을 높일뿐 아니라, 社會性·情緖·知能·身體發達에 큰 影響을 주므로해서 놀이속에 充分한 音樂的인 要素를 끌어 들인다면 어린이들은 자연히 音樂을 좋아하는 풍요로운 마음을 가진 사람으로 자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 주안점을 둔 本 硏究의 對象은 서울市內 國民學校 公立二個校와 私立二個校, 學年別로는 中學生에서 高學生으로 넘어가는 3, 4, 5學年을 對象으로 했으며, 各學校 各學生 2學級씩 전체 24 學級 總 1,308 名을 對象으로 요즈음 兒童들이 가장 즐기고 있으리라고 생각되는 놀이를 7個의 項目別로 分類하여 그 중에서 가장 즐기는 놀이부터 그 順位를 알아 보았으며 그中 音樂이 차지하는 比重은 어느정도 인지를 알아 보았다. 그外 音樂敎育에 關係되는 問項을 만들어 질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그 結果를 통계처리 하였는데,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兒童들은 놀이 生活中에 「T.V를 본다」는 反應이 가장 높은 1順位 였으며, 全體應答者中 40.3%였다. 이것은 곧 「매스·콤」이 現代社會에 큰 影響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하겠으며, 그 다음으로 「音樂을 듣는다」는 反應은 전체 7個 의 項目中에서 男子兒童은 四位, 女子兒童은 三位라고 應答하였다. 둘째, 兒童들이 하루평균 音樂을 듣는 時間은 「30分 정도」가 가장 많은 應答이 나왔으며, 또한 「공부 때문에 들을 시간이 없다」도 상당한 反應이 나왔는데, 이것은 곧 現在 우리나라 學校와 家庭에서의 敎育이 지나친 偏差値至上主義에 대한 認識 때문인 것으로 풀이하며, 또한 兒童들이 音樂을 듣는 가장 좋은 時間은 「놀이시간」이라는 應答이 제일 높아서 놀이속에 充分한 音樂的 要素를 끌여 들여서 자랄때부터 音樂을 生活化 할 수 있는 어린이로 키워 나가야 되겠다. 셋째, 兒童들이 듣고 배우는 音樂은 「T.V를 통해서」라는 應答이 제일 높았고, 다음이 녹음기(카셋트) 였다. 現代人은 「T.V」의 奴隸가 되어 있으며 情緖敎育 또한 「T.V」에 의해서 큰 影響을 받고 있음이 드러났다. 넷째, 兒童들은 娛樂이나 消風을 통해서 音樂을 活用할 때 建設的이며 敎育的인 노래를 부르는 比率은 29.5%였고 아주 非敎育的인 漫畵映畵노래나 廣告노래등을 합친 比率이 70.5%를 차지했다. 兒童들의 놀이환경부터 無分別한 「T.V시청」에서 벗어나 健全한 놀이로 이끌어 주고 健全한 놀이속에 健全한 音樂을 더 많이 들을 수 있도록 指導해 나가야 되겠다. 다섯째, 兒童들은 音樂授業中에서 「노래부르기」를 가장 좋아하고 있었으며 高學生으로 갈수록 「음악감상」도 상당히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反面에 「국악」에 대한 興味는 적었으며 앞으로 우리의 民族音樂인 「국악」에 더 關心을 가지고 學校音樂授業에서부터 兒童들이 「국악」을 愛好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努力이 要望되고 있다. The experience of "Substantial play" in the Childhood is closely related with a substantial life when they grow-up. And also we can find the fact that the principle of play approach to the principle of social education what they learn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interest and program. The ground of theory of children's play is physical Rhythm. Children are always doing some what by the natural demand of Rhythm on progress of physical growth. - this is ground of the play. If sufficient Musical factor are given to play, children are growing up to the productive peoples who love music. Because, in the childhood, Activity of play does not only make imagination of children more, but also give much infuluence to social adaptability, emotion, intelligence and physical growth. In the view of above point, 1 study the object of important phrase of Music as a role in play as following method : Sampling 4 elementary Schools : 2 Public Schools and 2 Private Schools School year : 3rd, 4th, 5th year on progress to advanced course Numbers of Student : 2 classes each grade of school, total. 24 classes of 1308 Students Object of Study : among 7 items in that children are interested, the place of Music as play in order of importance. To the others. 1 make guestion of having relation with Music education to students and then classified answers. 1 Concluded as follows. : First rank : [Watching on T.V] among plays 40.3% from answers. This number gives evidence of influence of [T.V] on present. As 2nd point [To enjoy Music] ranks 4th place on answer of Boys and third place in girls among 7 questions. Second by the answer, Students enjoy music for 30 minutes per day. Many Students say they have no time to listen to music. This means that the interest of teacher and parent is placed on the result of examination on present method of education in our schools. Also upon checking this answer, student reply best time for enjoying music is at play time. Therefore we can find the fact that children must have the time to enjoy music in daily life from childhood. Third Answer of children : It is First portion to listen and learn music thru [T.V]. At 2 nd portion thru casette. In modern life [T.V] is main position and instrument to attract all life of people. Emotion Education is occupied by [T.V]'s influence. Fourth-29.5% of answer sing constructive, educational song for recreation or picnic. 70.5% of answer enjoy non-educational comic movies or C. M. Song. In light of above percentage, Teacher and parent should guide children to enjoy sound play out from thoughtless [washing on T.V] and listen to sound music more and more as play. Fifth, at hour of music education, student are fond of singing song. Up-grade student also like to listen to music. On the other hand, they express less interest in Korean-classical music. From now on, we should have more interest in importance of tradi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of our nation and try to give our endeavour for student to like and enjoy our traditional music in education of music in School.

      • 中學生의 學習樣式에 따른 學習習慣과 學習性向

        서영순 慶尙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learning style with learning habits and learning disposition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of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 have six sub­styles including independent, dependent, collaborative, competitive, participant, and avoidant. Learning habits have five factors including organizing and planning work, working with others and seeking feedback from them, handling the pressure and stress of academic work, preparation for assignment and expectations, and motivation. And learning dispositions have eight factors including curiosity, resourcefulness, communication, persistence, cooperation, problem solving, attitude, and goal setting.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34 3rd boys and 462 3rd girls students selected randomly from two middle school in Jinju city.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independent learning style demonstrated more learning habits of organizing and planning work as well as preparation for assignments and expectations than ones with dependent learning style. They also showed more learning dispositions of resourcefulness, communication, persistence, problem solving, attitude, and goal setting. Second, students with competitive learning style showed more learning habits of organizing and planning work as well as preparation for assignments and expectations than ones with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In addition, they showed more learning dispositions of communication and goal setting. Third, students with participant learning style had more learning habits of organizing and planning work, working with others and seeking feedback from them, preparation for assignments and expectations, and motivation than ones with avoidant learning style. They also had more learning dispositions of curiosity, resourcefulness, communication, persistence, cooperation, problem-solving, attitude, and goal setting.

      • 삼육대학교 신학과 여성 졸업생들의 진로 실태와 의식에 관한 연구

        서영순 삼육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도부인 양성을 목적으로 개신교에서 초기 여성 신학교육이 시작된 때는 장로교회 1888년,감리교회 1905년이었다. 교회 여성 교역자 출현은 여성 선교사들과 선교사 부인들이 그들의 보조자로 한국 여성을 전도부인으로 임명한 것이 그 시작이었다. 이들은 낮은 학력과 짧은 성경 지식에도 불구하고 초기 한국교회 교 회생활 전반에 걸쳐 지도자로 일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개신교 여성 교역자는 높은 학력과,훈련된 일꾼으로 소명감에 불타고 있으나 목사 보조자로 주로 일하고 있다. 교회는 제도적으로 그들의 역할을 제한,축소하기 때문에 이들의 능력과 에너지는 사장되고 있다. 삼육대학교 신학과 여성 졸업생 및 재학생은 200여 명에 이른다. 이들은 대부분(90%)본교회 지도자로 일했으며,그들 중 상당수는 목회자 부인이다. 여성 졸업생들은 신학을 전공 한 것에 절대 다수가 긍지를 느끼고,삶의 가치를 발견하게 해 주었다고 했으나,재학 시 여성이었기에 겪어야 하는 고충도 컸다. 재학 시 자신이 원하는 목회 유형에 따라 전문화되고 특성화된 교육을 받기를 원했고,여성 목회자로서의 비전과 준비 방법 등이 제시되기를 원했다. 그러나 신학과 교과목은 여성을 위한 교양 과목이나,여성 목회자를 위한 교과목이 결여되어 있다. 목회자 부인의 재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신학과나 기타 다른 교육기관에 사모학을 개설해야 한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여성 졸업생들은 목회채용이 불공평하고,교회 행정력이 남성에 의해 주도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악성 종양의 18F-FDG 섭취에 당부하가 주는 영향

        서영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당 부하 후 18F-FDG PET이 기존의 전통적인 18F-FDG PET보다 뇌종양이나 치료 후 생기는 재발성 뇌종양과 방사선 괴사를 구분하는데 유용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악성 종양의 18F-FDG의 섭취에 당부하가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당부하 방법에 있어 적절한 방법과 용량을 쥐 모델을 통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마우스에 종양 모델을 만든 후 종양의 직경이 약 1 cm 가량 되었을 때 FDG 섭취 실험을 하였다. 당 부하량에 따라 마우스를 당 부하를 하지 않은 그룹, 각각 0.01 mL/kg, 0.02 mL/kg로 당 부하를 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당 부하 전과 직후 혈당치를 측정하고 바로 18F-FDG를 주사하였다. 18F-FDG 주사 1시간 후 마우스의 종양과 뇌에서의 방사능을 측정하여 %ID/g을 구하고, 18F-FDG 섭취의 뇌에 대한 종양의 비율을 구하였다. 결과: 정맥을 통한 순간적인 주사를 하는 당 부하 방법은 균일하게 혈당치를 올리고 부하량에 따라 혈당치가 증가하였다. 종양에서 18F-FDG의 섭취는 당 부하를 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당 부하를 한 그룹에서 각각 23%, 40%, 뇌에서는 35%, 44% 감소하였으며, 뇌에서의 %ID/g 값만이 세 그룹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당 부하에 따른 각각의 그룹에서 뇌에 대한 종양에서의 18F-FDG의 섭취 비율은 각각 1.02±2.50, 1.23±1.96, 1.32±1.98로, 당 부하를 하지 않았을 때 보다 당 부하를 하였을 때 높은 수치를 보였고, 더 많은 양의 당 부하를 했을 때,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각 그룹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 론: 정맥을 통한 순간적인 주사 방법은 혈당치를 균일하게 올리고 부하량에 따른 혈당치를 잘 반영해 주었다. 당 부하시 뇌와 종양 각각에서 18F-FDG의 섭취는 모두 감소하였으나, 당 부하 전에 비해 당 부하시에 뇌에 대한 종양에서의 18F-FDG의 섭취 비율이 증가하였다. 당 부하시 뇌에 대한 종양에서의 18F-FDG의 섭취 비율은 당 부하량이 많을수록 더 증가하였다. Purpose: We have reported that 18F-FDG PET with glucose loading is useful in differentiating recurrence from radiation necrosis after radiotherapy or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brain tumor, compared to conventional 18F-FDG PE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ect of glucose loading to uptake of 18F-FDG in tumor and brain, and appropriate method and dosage of glucose loading by mouse model. Methods: Author made tumor model using CT 26 cells and started this experiment when the tumor size become to be about 1 cm. The mice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presence and dosage of glucose loading; no loading, 0.01 mL/kg, 0.02 mL/kg. We checked serum glucose level before and after glucose loading and injected 18F-FDG immediately after glucose loading and weighted syringes before and after 18F-FDG injection. After sacrificing mice after 1 hours of 18F-FDG injection, we weighted tumor and brain and measured %ID/g of organs. We also calculated the ratio of 18F-FDG uptakes in tumor against brain. Results: Glucose loading by bolus injection via tail vein evenly elevated serum glucose. Serum glucose level increased according to the dosage of glucose loading. 18F-FDG uptakes after glucose loading decreased by 23%, 40% in tumors and 35%, 44% in brains respectively, compared to 18F-FDG uptakes of tumors and brains in no loading group. 18F-FDG uptakes of brain among thre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umor-to-brain ratio of 18F-FDG uptake in each group were 1.022±2.501, 1.225±1.962, 1.322±1.976, respectively. Tumor-to-brain ratio of 18F-FDG uptake much more increased after glucose loading and became more prominent when more glucose was loaded. Although, there were not statistical significances (p>0.05). Conclusion: Glucose loading method using bolus injection via tail vein evenly increased serum glucoselevel. 18F-FDG uptakes in tumor and brain decreased after glucose loading. However, Tumor-to-brain ratio of 18F-FDG uptake after glucose loading increased, compared to no-loaded group. The ratio of 18F-FDG uptakes in tumor-to-brain increased much more when the more glucose was loa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