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계상실 경험자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정신화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서보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관계상실 경험자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일반성인 355명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 외상 후 성장, 정신화, 경험회피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정신화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경험회피와는 정적상관을, 외상 후 성장과는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정신화는 경험회피와 부적상관, 외상 후 성장과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경험회피와 외상 후 성장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불안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변인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도 정신화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 두 변인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경험회피는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도 정신화와 경험회피는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불안정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경험회피가 외상 후 성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임임을 검증하였고, 정신화와 경험회피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ediated effect of mentalization and experience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to relational experience loss and posttraumatic growth. To that end, 355 data samples of ordinary adults currently resid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ere collected to measure insecure adult attachment, posttraumatic growth, mentalization and avoidance of experience. SPSS 21.0 and Amos 21.0 were used in data analysis, including the evaluation and mediation effects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xiety and avoidance attachm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ization, negative correlation with experience avoidance and positive correl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Mentaliz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ce of experi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 avoid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ntaliz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great mediating effect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mentaliz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also showed great mediating effect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mentalization and avoidance of experience have had considerable double interven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mentalization and avoidance of experience have also had considerable double interven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 attachment, insan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of insecure adults are variable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and made it clear tha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experience avoidance are related to the attachment of insecure adults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습관 및 편의점 편의식품 섭취 빈도 조사

        서보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emale college students for their dietary habits, eating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at the convenience store according to their residential types and thereby, provide some fundamental resources for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t transitional period from adolescents to adults for managing their diets independently. After preliminary survey with ten subjects college student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Chungchungnam-do. Two Hundred and forty surveys were obtain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calculating subjects' BMI, it was found that 71.2% of them were in normal range, while 8.8% of them were overweight. Thirty eight subjects (15.8%) were in underweight range, which was similar to the underweight rate (16.3%) of the women (aged 19 ~ 29) in 2015 National Health Statistics. In terms of subjects' dietary habits, their frequency of eating out was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residential types. Forty nine subjects (39.8%) who were living with their parents eat out less than once a week, 22.4% for those who were living in a dormitory or a boarding house, and 22.0% for those who were living alone, accordingly. Forty eight (92.3%) of those who were living alone, 88.7% of those who were living in the dormitory or boarding house and 73.1% of those who were living with their parents were skipping breakfast;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typ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Subjects’ eating behavior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types (p<0.05), 29.43 for those who were living with their parents, 28.1 for those living in the dormitory or boarding house, and 27.19 for those who were living alone. Especially, following eating behavior scores were higher in subjects living with their parents than other residential types; 'drink milk or milk products (yogurt, yoplait, etc.,) more than one bottle every day' (p<0.05), 'eat meat, fish, egg, beans or tofu 3 or 4 times every day' (p<0.05), ‘eat vegetables except Kimchi every meal (p<0.01), ‘take a serving of fruit or fruit juice every day (p<0.001), and ‘eat three meals a day' (p<0.05). The food frequency score at the convenience store was expressed as one when they consume them once a day. According to 2016 Korean Foods Standards Codex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foods at the convenience stores were classified as the 'ready-to-eat foods,' the 'instant cooking foods,' and the 'fresh convenience foods.' The ready-to-eat food frequency score was the highest among students living alone (p<0.001), while the fresh convenience food frequency score was the highest among students living with their parents (p<0.001). Among the 'ready-to-eat foods,' the food frequency scores of sandwich (p<0.01), packed lunch (p<0.001), hot-bar & hot-dog (p<0.01) and fish cake (p<0.01)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ubjects' residential types. In case of the ‘fresh convenience foods,' the food frequency score of fruits differed significantly (p<0.001) according to the subjects' residential typ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ood frequency score at the convenience store and the eating behavioral scores, it was found that the more frequently the subjects eat the convenience foods, the lower their eating behavior score was. (p<0.01), which indicates nutrition education needs on the convenience foods. As discussed above, female college students' dietary habits, their eating behavior scores and their food frequency at the convenience stor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residential types. As our society changes rapidly, increasing single-person households potentiates increasing independence in their diet. Younger generation become accustomed to eat alon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ir healthy diet and food purchasing at the convenience store. 본 연구는 거주 형태가 다른 여대생들의 식습관과 식행동 진단 점수, 편의점 편의식품 섭취 빈도를 조사하여 청소년기에 비하여 자신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과도기적 성격의 대학생들을 위한 영양교육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조사 실시 전,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에서는 서울 및 충남에 위치한 대학교 여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240부(회수율, 100%)였고, 이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신장과 체중을 바탕으로 체질량지수(BMI)를 산출한 결과 ‘정상’이 71.2%, 과체중 8.8%, 저체중 15.8%으로 2015년 국민건강통계 19-29세 여성의 저체중 비율(16.3%)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 식습관 측면에서는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외식 횟수 현황 중 ‘주 1회 미만’으로 응답한 비율이 부모와 함께 거주(39.8%), 기숙사 및 하숙(22.4%), 자취(22.0%) 순으로 거주 형태에 따라 여대생의 외식 횟수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식 시기 중 아침을 결식한다는 응답의 경우 자취(92.3%), 기숙사 및 하숙(88.7%), 부모와 함께 거주(73.1%) 순으로 거주 형태별로 결식 시기에 대한 응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거주형태에 따른 식행동 진단 문항 조사 분석 결과 총점은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군 29.43점, 기숙사 및 하숙 군 28.10점, 자취 군에서 27.19점으로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군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문항별 결과는 ‘우유나 유제품(요구르트, 요플레 등)을 매일 1병 이상 마신다’(p<0.05), ‘육류, 생선, 달걀, 콩, 두부 등으로 된 음식을 매일 3~4회 이상 먹는다’(p<0.05), ‘김치 이외의 채소를 식사할 때마다 먹는다’(p<0.01), ‘과일 (1개)이나 과일쥬스 (1잔)를 매일 먹는다’(p<0.001), ‘식사는 세 끼를 규칙적으로 한다’(p<0.05) 문항의 점수가 기숙사 및 하숙군, 자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거주형태에 따른 편의점 편의식품 섭취 빈도는 주 1회 섭취하였을 때를 1점으로 산출하여 나타내었으며 식품의약품 안전처 식품공전(2016)에 따라 편의점 편의식품을 ‘즉석섭취식품’, ‘즉석조리식품’, ‘신선편의식품’으로 분류하였다. 편의점 편의식품 품목별 섭취빈도 결과 즉석섭취식품은 여대생 자취군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p<0.001), 신선편의식품은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군에서 높은 섭취 빈도를 나타냈다(p<0.001). ‘즉석섭취식품’ 중 샌드위치(p<0.01), 도시락(p<0.001), 핫바·핫도그(p<0.01), 어묵(p<0.01)에서 거주형태에 따라 섭취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선편의식품’의 경우 과일의 섭취 빈도 결과 거주형태 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편의점 편의식품 섭취빈도와 식행동 진단 문항 점수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든 군에서 편의점 편의식품 섭취횟수가 높아질수록 식행동 진단 점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p<0.01), 편의점 식품 구매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라 식습관, 식생활 진단 점수와 편의점 편의식품 섭취빈도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독립적인 식생활을 영위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혼자 밥을 먹고, 혼자 무언가를 하는 것이 자연스러워지는 사회 풍토가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올바른 식습관 및 식품 구매를 위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서보미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서 보 미 지도교수 심 형 화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정도를 파악하고, 서번트 리더십이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하는 C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에 동의한 200명이며 자료수집은 2012년 11월 14일부터 11월 2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서번트 리더십, 임파워먼트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간의 차이, 관련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특성에서 평균연령은 30.3±7.44세, 여성(99.0%), 미혼(62.5%), 종교는 있음(72.0%), 3년제 졸업(60.5%), 평균 근무경력은 8.23±9.17년, 평균 현부서 근무경력은 4.86±4.92년, 현 간호관리자와 함께 근무한 기간은 3.49±3.33년, 일반간호사가 86.0%, 근무부서는 일반 간호계 57.0%, 특수 간호계 43.0%로 나타났다. 2)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정도는 점수 범위 1-5점에서 평균 평점은 3.67±0.44점이었으며,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정도 평균 평점은 3.58±0.47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서번트 리더십의 차이는 연령 36세 이상(p=.002), 기혼(p=.009), 종교 있음(p=.005), 총 근무경력(p<.001)과 현 부서 근무경력(p=.003) 6년 이상, 특수 간호계(p=.002)에 근무하는 간호사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차이는 연령에서 36세 이상(p<.001), 기혼(p<.001), 종교 있음(p=.002), 총 근무경력 3년 이상(p<.001), 현 부서 근무경력 6년 이상(p=.001), 책임/전문간호사가 높게 나타났다(p=.001). 4) 간호사가 인지한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r=.269, p<.001)가 있었다. 서번트 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하부요인 과업의미성(r=.282, p<.001), 업무영향력(r=.272, p<.001), 자기결정력(r=.220, p=.002), 역할수행력(r=.146, p=.039)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임파워먼트와 서번트십의 하위영역인 스튜어드십(r=.219, p=.002), 성장지원(r=.272, p<.001), 비전제시(r=.244, p<.001) 및 공동체형성(r=.280, p<.001), 팀워크(r=.165, p=.020)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5)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설명력은 7.2%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간호관리자는 간호현장에서 간호사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환자간호에서 더 많은 결정권을 발휘하여 최상의 간호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서번트 리더로서 역할을 담당하며, 또한 간호관리자의 인적자원 계발차원에서 서번트 리더십을 계발할 수 있는 간호관리 중재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주요어 : 서번트 리더십, 임파워먼트

      • 유아교사의 성격 특성 및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 창의성 간의 관계

        서보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자신의 인성 특성 및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과 생활지도, 학급 경영 등에서 전문성을 발휘하여 창의적으로 가르치는 것이다.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유아에게 창의적인 환경 및 교육활동을 제공해 주기 위한 교사로서의 역할 수행에 있어 중요한 능력이며 특성이다. 특히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유아의 창의성 발현에 있어 그 영향력이 입증된 바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창의성을 예측하는 변인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개인 내적 특성으로서의 성격 특성과 환경적 특성으로서의 조직풍토가 유아교사의 창의성을 유의하게 설명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창의성에 대한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력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11곳과 어린이집 17곳에 종사하는 유아교사 262명을 임의표집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정은이와 박용한(2009)의 교사 창의성 측정도구의 문항을 유아교사에게 적절한 문항으로 일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성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Goldberg(1990)에 의해 개발된 5요인 성격 특성 척도(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IPIP)를 유태용과 이기범, Ashton(2004)이 번안한 문항의 일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노종희(1990)의 학교조직풍토 측정도구의 문항을 유아교육기관의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먼저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문제에 맞추어 기술통계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성격 특성,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 간의 관계 및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성격 특성 중 개방성과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의 수준이 높을수록 창의성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의 경우에는 조직의 개방성이 높고, 원장의 지원적 행동 경향이 높을수록 유아교사의 창의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성격 특성 중 개방성과 성실성, 친화성이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의 경우에는 조직의 개방성이 유아교사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의적인 유아교사가 갖추어야 할 성격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지금까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이상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들의 창의성 발현을 위해 필요한 성격 특성과 교육 현장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 갖추어져야 하는 근무환경의 특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refers to creative teaching with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based on teacher’s personality traits, knowledge, and experience.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is an teacher’s important ability to provide the creative environmen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children. Also,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has been proven to be influential to the manifestation of children's creativity.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edicting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The participants were 26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11 kindergartens and 17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eacher Creativity Scale(Jeong & Park, 2009) was used to assess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IPIP) was used to examin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trait. Organizational climate of child education institution was measured with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Measuring Instrument(Noh, 1990).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frequenci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ty traits, the higher the level of creativity. With respect to organizational climate of child education institution,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openness and the higher the director's supportive behavior, the highe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is.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openness,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of their personality traits and the organizational openness of organizational climate. The findings above suggest that there are personality traits necessar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manifes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orking environment to exert his/her creativity in education fields. Key words: early childhood teacher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rganizational climate, teacher’s creativity

      • 1인가구의 범죄예방을 위한 홈시큐리티 모바일앱 디자인

        서보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1인가구 거주자들의 거주안전 대책의 일환으로, 스마트폰 시큐리티 어플리케이션의 효용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내 1인가구는 1980년대에는 4.8%에 불과하던 것이, 현재는 403만 세대로 총 가구의 23.3%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2030년대가 되면 470만 세대로 무려 34.4%까지 커질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을 문헌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이들 1인가구의 안전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범죄피해 현황을 조사해 보았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0년도 주거침입 피해 대상자의 31.2%가 1인가구 거주자인 것으로 파악되어 이들이 범죄피해에 가장 크게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과 서울시 건축사회여성위원회가 공동으로 실시한 ‘여성을 위한 주택환경 및 정책 수요 설문조사’에 따르면, 혼자 사는 여성의 경우, 거주범죄를 직접적으로 경험한 경우가 있다는 여성이 무려 12.6%에 이르렀다. 이 조사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대부분의 응답자가 사회적 대응시스템 부재를 지적하였고, 참고 그냥 살거나, 거주지를 옮겨서 회피하는 등 수동적인 대책밖에 없다고 한계점을 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후 현재 시중에 어떤 시큐리티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고, 대표적인 서비스 업체로 국내사례로는 삼성에스원과 ADT캡스, KT텔레캅을, 해외사례로는 Canary, Piper, Alyt를 조사하였다.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의 특징과 1인가구 거주자들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따른 불편함과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 서비스는 1인가구들을 위한 홈시큐리티의 세부적인 서비스 보다는 여러 가지 서비스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1인가구 거주자들이 안전에 대한 기대에 부합하는 시스템과는 거리가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이에 앞서 조사한 1인가구 거주자들의 실태와, 현재 시중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시큐리티 상품들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실제로 사용하게 될 1인가구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우려하는 보안 문제는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새로운 시큐리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어떤 기능들이 제공되기를 원하는지, 그리고 개발될 시스템의 사용성을 위해서는 어떤 요구조건들이 있는지를 사용자 인터뷰 조사를 통해 도출하였다. 인터뷰는 사전조사와 심층인터뷰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사전조사는 심층인터뷰를 할 때 어떤 내용들을 중심으로 할 것인지를 설계하기 위함이었으며, 심층인터뷰는 설계된 인터뷰 조사 양식을 갖고 일대일 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를 취합하고 분석한 결과, 그들은 혼자 거주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도록 할 것, 방문자가 있을 경우 방문자를 사전에 인지하거나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 외부에서도 자기 거주지 상황을 언제든 확인해 볼 수 있을 것, 그리고 안전상의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손쉽게 경찰이나 지인에게 도움을 취할 수 있을 것 등을 요구기능으로 제시하였다. 이들 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의 구체적인 사양을 설계하고, UI를 디자인한 후 앞서 심층인터뷰를 했던 예비사용자들에게 UI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여 사용자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에 참여한 예비사용자 대부분은 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부분적으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 제안 점을 반영하여 최종적인 스마트홈 시큐리티 어플리케이션, 일명 “안심홈” 시스템의 UI를 확정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at UX design would increase efficiency of its application for the plan to utilize Smart Phone security application. It has shown that single households in domestic reached 23.3% of total households with 4.03 millions of them, which was just 4.8% in 1980s, and it is presumed that it will be increased to surprising 34.4%. with 4.7 million households in 2030s.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crime damages to find out the safety practice of single household residen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by Korea Criminal Policy Research Center, 31.2% of housebreaking damages in 2010 was single household residents, which means these people are most exposed to crime damages. In particular, the 'Question survey for household environment and policy demand for women', which was jointly executed by Seoul City Women Family Foundation and Architect Society Women Committee, said that women who in person experienced residential crimes were surprisingly 12.6%. According to this survey, most of respondents to this survey pointed out the absence of social response system, and appealed limitation that there are only positive measures, which means they just have to tolerate or avoid by moving their places. After that this study examined which security services are bing provided, and examined representing service company in domestic, such as Samsung S-1, ADT CAPS, KT Telecop, and Carary, Piper, and Alvt for overseas cases. And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m as well as what inconveniences and insufficiencies are when single household residents use these services. The result showed that these services are different from the system which meets expectation of single household residents by providing combined service functions. Thus, this study deducted the practice of single household residents and current service in the market based on analysis result of security products, and what's the security issues they worry and what functions they want to be provided for new security application, and what demanded conditions are for usability of the system to be developed. Interviews were executed by dividing into prior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and prior survey was to design what details would be focused on in-depth interview, and face-to-face in-depth interview was executed with designed interview survey forms. When results of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t was suggested that they want the function not to be seemed as if they live alone, that they can secure security by recognizing visitors in advance, that they are always able to check their residence status from outside, and that they can easily get help of police or acquaintances i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se requirements, this study designed detailed specification, and executed UI design that contains such specification, by suggesting UI prototype to preliminary users who had in-depth interview earlier. Most preliminary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st showed satisfactory response, along with pointing out of some improvements. By reflecting this suggestion point, this study confirmed final Smart Home security application called "Safe Home" system's UI.

      • 朱熹 예술관 연구 : 예술과 도덕가치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보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양 전통에서는 예술 작품을 평가할 때 도덕가치가 끼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예술과 도덕가치 간의 밀접한 관계는 유학 예술관의 가장 큰 특징이며, 이는 특히 북송 신유학에서 두드러진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북송 신유학의 집대성자로 불리는 주희(1130년-1200년)의 예술관에 주목하며, 주희의 예술관에서 제시되는 예술과 도덕가치의 관계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