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상시험 대상자가 지각한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만족도

        서미선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research nurses perceived by clinical subjects, thus providing basic data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ies and the quality of clinical trials through the enhanced satisfaction of clinical subjects.

      • 무용공연에서 공익연계마케팅 인식이 무용단이미지 및 무용이미지, 관객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미선 단국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공연 단체의 공익연계마케팅 활동이 대중의 무용단에 대한 이미지와 무용에 대한 이미지는 어떻게 변화하며, 더 나아가 무용에 대한 관객의 태도는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구조적으로 파악하여 무용단이미지 및 무용이미지 제고를 통한 무용공연 활성화에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일반인들이며 최종분석 506부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처리방법은 AMOS를 이용한 확인적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공익연계마케팅 인식은 무용단이미지와 무용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객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무용단이미지는 무용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객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무용이미지는 관객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공익연계마케팅 인식은 대중에게 무용단이미지와 무용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해 주고 있으나 공익연계마케팅의 영향으로 인해 대중이 무용을 직접 관람하거나 행하는 데에는 일부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용단이미지와 무용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시킬 경우 대중의 관객태도는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공익연계마케팅 활동으로 대중에게 무용단과 무용이미지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여 관객태도의 긍정적 변화를 꾀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버지니아 울프의 양성적 페미니즘 연구 : 『자기만의 방』(A Room of One’s Own)과 『3기니』(Three Guineas)

        서미선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버지니아 울프의 양성적 페미니즘 연구: 『자기만의 방』(A Room of One’s Own)과 『3기니』(Three Guineas) 본 논문의 목적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소설 『자기만의 방』(A Room of One’s Own)과 『3기니』(Three Guineas) 를 통하여 울프의 양성적 페미니즘을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는데 있다. 현대 페미니즘의 주된 논쟁은 “평등”과 “차이”의 대립을 바라보는 관점에 있다. 여성이 남성과 같아지기 위해서 투쟁해야한다는 입장과, 여성과 남성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야한다는 입장이 서로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대적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비록 제1세대 페미니스트로 분류되며, 제1의 물결 시대에 존재했던 버지니아 울프는 충분히 재검토되어야 할 대상이다. 울프는 평등보다는 ‘차이’에 주목했고, 여성의 권리를 찾을 수 있는 방향으로 양성성이라는 대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울프의 페미니즘은 ‘참정권’으로 대변되는 남성과 여성의 평등에 주목했던 당대의 페미니즘으로부터 페미니스트로 인정받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여성과 남성의 본질은 사회적인 차이일 뿐이며 서로의 반대 개념으로 의미를 얻는 상대적인 것임을 인정하고, 성차의 원인인 사회와 관념들에 대한 해체를 꾀함으로써 앞으로 준비해야할 미래의 페미니즘을 상정했던 울프의 페미니즘은 새로운 여성의 정체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울프가 미래의 새로운 페미니즘으로 제시한 것은 남녀가 다르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남성적 요소와 여성적 요소가 서로 보완적인 관계에서 공존하는 새로운 양성적(androgynous) 페미니즘이다. 이를 남성과 여성이라는 대립항을 설정하는 이분법적 접근이 아닌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관점으로 이해한다면 새로운 여성 정체성에 대한 논의로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당대의 시대적 상황을 비추어볼 때, 남성과의 관계성 속에서만 정의될 수밖에 없었던 여성의 정체성을 해체하여 남성성과 여성성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양성성을 바람직한 작가정신으로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울프의 페미니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울프가 양성성이라는 개념으로써 이루고자 했던 남성과 여성 사이의 조화와 균형의 양성적 페미니즘은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남성과 여성이 함께 공존하는 사회를 모색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 원예활동이 중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미선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the stress and the happiness of mother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a horticulture program was planned and execu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the parents?f association in a middle school in D city. Out of 24 applicants, 20 candidates were selected in the pretest to make the group considerably homogeneous and they were placed in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the study period from December 1, 2011 to January 19, 2012, total 15 sessions were performed 10 to 12 in the morning every Tuesday and Thursday. Horticulture program was divided into First, Middle and Latter Phase. To make them understand the program and norms of the group, build relationship and induce interest in gardening, orientation and simple and easy programs were performed. In the middle phase, Christmas related gardening program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ason in order to induce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family and friends, enhance the confidence and sense of achievements by completing works and reduce the stress and enhance the happiness through such diverse horticultural activities. In the latter phase, planting program was performed to maintain the attention and interest in the gardening even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In the stress tests executed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program,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stres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ig reduction. By sub?]items, they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social role and performance, depression, sleeping order and anxiety. In the happiness test executed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program, the control group showed little enhancement in the quality of life only and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other items. On the contrar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utonomy, quality of life and human relationship, and showed increase (though not significant) in other items as well. In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program, 70% answered that they had been satisfied much and the preferred program was in the order of Foliage Llant Assemble?]planting, Fleshy Plant Assemble?]planting, Flower Basket, and Terrarium and they preferred the works with higher degree of completion in the middle and latter phase.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the mothers with middles school students was effective in stress reduction and happiness improvement.

      • 초등학교 5학년 여학생 또래집단의 질적 특성

        서미선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여학생 또래집단의 질적인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친구관계의 질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또래집단의 특성이 두드러지는 하나의 또래집단 내 친구관계의 질을 심층 관찰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여학생들은 5~6개의 각자 또래집단을 형성했고, 의존성과 동조성, 희생성, 비밀성의 성향의 공통적 특성을 보였다. 여학생들은 혼자 지내는 것을 꺼려하고 같은 공간에 있으면서도 함께 행동하지 않으면 불안해하는 의존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또 자발적으로 그들의 욕구, 흥미, 느낌, 의견, 규범으로 또래 문화를 만들고 그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조성을 보였다. 그리고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그 구성원들에게 다양한 노력을 하는 희생성을 보이며 각 집단마다 은신처, 카페, 비밀일기를 통하여 비밀적인 성향을 가지면서 안정감과 소속감을 가졌다. 하나의 또래집단을 심층 관찰함으로서 탐구한 그들의 친구관계는 매우 복잡했다. 또래집단 내에서도 서로 비밀을 공유하며, 노력하는 정도에 따라 편이 갈라졌고, 친구관계의 긴밀한 정도도 달랐다. 또 사건에 따라, 시간에 따라 친구관계가 달라지고, 그들의 친구관계를 감추려하는 아이들의 비밀적인 성향은 외부사람이 그들의 문화를 이해할 수 없는 원인이 되었다. 다른 또래집단 역시 긍정적인 특징과 부정적인 특징을 동시에 가지면서 그저 평온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긍정적 측면이 많아지고, 부정적인 측면이 최소화 되어야 친구관계의 질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부정적 측면이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교사나 어른들의 인식이 중요하다. 아이들의 싸움에 ‘친구들과 싸우지 마라’와 같은 소극적인 조치는 상황의 악화를 가져오게 된다. 그들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이해해주고, 건강하고 바람직한 또래집단이 될 수 있도록 그들의 활동에 교육적 의미를 부여해주어야 할 것이다. 자신의 또래집단의 문화를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의견의 불일치나 갈등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girl's peer group. Girls are reported to have higher functions and satisfaction in friendship than boys. So,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girls only. For this purpose, the study begins with two research questions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girl's peer group of fif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Second, What are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girl's peer group? To answer these questions, children are asked to report about themselves using Qualitative Scale of Friendship which is divided into six friendship functions, conflict, competition and satisfaction toward friendship(based on study of Rhee & Koh). But it's not enough, so that teachers, parents and classmates are asked to investigate their habits, language, and behavior for a year.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 First, girl's peer groups of fifth grade had common characteristics of dependency, conformity, sacrifice and secrecy. Girls hated to be alone and they felt fear if they did not behave together even though they were in the same place. That is, they made culture of their peer group based on their needs, interest, feelings, and opinions. And those rules had influence on group members. And also, in order to keep their relationship, they made a secret through secret meetings, internet cafes, secret diaries. Second, teachers noticed indirect bullying though girl students were intimate and had frequent contact themselves. If they did not keep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or broke their rules, they spoke ill of their friends instead of talking or playing. This indirect bullying was noticed between normal girl students, and they were close friends and had frequent contact. These facts need to be cautious because it is not easily observed by their parents, teachers or classmates. Third, they encouraged each other and had peaceful days inspiring their peer groups with confidence. Though teachers and students were in the same place under the name of classroom, students were encouraged and felt security from their friends. They exchanged information, helped each other, and shared their secret or feelings about themselves. However, in spite of these positive functions, they often experienced disagreement and indirect bullying. They also competed and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one peer group, their friendship was very complicate. Sharing secret in a peer group, they were divided into two par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ir endeavors, and their degree of intimacy in friendship was different. Also, they had a tendency to hide their friendship, so outer people couldn't understand their complicate culture. Every friendship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des.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quality of friendship becomes higher as the positive sides become larger and the negative sides become minimized. In order to make positive synergy effect from the negative side, it is wrong just to say 'Don't fight' or 'Leave a quarrel as it is'. Teachers and adults should understand peer group's culture as it is. They have to prepare thoroughly to make healthy and desirable peer groups, and we should inspire students' activities with educational meaning.

      • 미용실 예약시스템 인식과 노쇼가 노쇼 패널티에 미치는 영향

        서미선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strategic measures for responding/preventing the no-show problem at hair salons,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reservation system and no-show on the no-show penalty. Th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for total 26 days from August 28th to September 22nd 2018, and total 59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Ver. 24.0 for the data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to understand each dimension of perception of reservation system, no-show, and no-show penalty, the perception of reservation system included three factors such as perception of reservation environment, perception of the rapidity of reservation procedure, and perception of reservation service while the no-show included two factors like payment of deposit and perception of no-show. In case of no-show penalty, only one factor was drawn. Second, the perception of reservation system and no-show had positive effects on the no-show penalty.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reservation system on the no-show penalty, when the satisfaction with atmosphere was higher, there were great effects on the no-show responding system. In other words, when the perception of reservation environment was higher like expecting to receive a procedure in the stable and comfortable atmosphere or receiving a satisfactory procedure compared to expenses, there were greater effects on the penalty system. Regarding the effects of no-show on the no-show penalty, especially, when the tendency to pay deposits was higher, there were greater effects on the no-show penalty. As these customers already had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ayment of deposit, they also positively thought about the no-show penalty. Third, regarding the type of prevention of no-show, ‘text message(SNS)(73.5%)' was the highest. In case of the notice of reservation, ‘three days before(42.1%)' was the highest, Regarding the number of reservation notice, ‘one time(48.4%)' was the highest. Regarding the intention to pay the reservation penalty, all the no-refund of deposit, payment of cancellation fee, restriction of period for the next use, and penalty system were ‘10%’ and ‘one month’, which showed the low level of payment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optimum payment range of consumers show that consumers should have the correct perception of no-show in the service area. In case when introducing the no-show penalty system in site, it would be important to provide a prior-guide of the system to customers, and also to establish consumers' correct perception of no-show, by displaying a short four-cut cartoons showing the great damage caused by no-show in waiting room. Second, just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the notice of reservation is sent through text messages three days before the reservation date in site, it would be helpful to prevent no-shows. Third, this study suggested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iverse strategic measures through diverse researches on no-show, customers' perception of reservation system, actual use status of hair salon, and actual use status of reservation system. As this study composed the samples of customer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types of reservation guide were limited, however, it could be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us,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more segmentalized researches targeting more expansive areas and diverse types of reservation guide. 본 연구는 예약시스템 인식과 노쇼가 노쇼 페널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살롱에서의 노쇼 문제 대응 및 방지를 위한 전략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는 것이 목적이다. 실증조사는 2018년 8월 28~9월 22일까지 총 26일 동안 이루어졌으며, 총 59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4.0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약시스템 인식, 노쇼, 노쇼 페널티의 각각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한 결과, 예약시스템 인식은 예약환경 인식, 예약 시술 신속성 인식, 예약 서비스인식 3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노쇼에서는 예약금 지불, 노쇼 인식 2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노쇼 페널티에서는 ’페널티 제도‘ 한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예약시스템 인식과 노쇼가 노쇼 페널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모두 정의관계로 나왔다. 예약시스템 인식이 노쇼 페널티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분위기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쇼 페널티에 높은 영향을 나타냈다. 즉, 안정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시술되거나 비용에 비해 만족할 만한 시술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등 예약 환경 인식이 높을수록 페널티 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쇼가 노쇼 페널티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예약금 지불 요인에 대한 성향이 높을수록 노쇼 페널티에 더 높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미 고객이 예약금 지불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노쇼 페널티 부여 역시 긍정적으로 생각하여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노쇼 방지유형으로는 ‘문자(SNS)’가 73.5%로 가장 높았으며, 예약 알림은 ‘3일전’이 42.1%, 예약 알림 횟수는 ‘1회’가 48.4%로 가장 높았다. 예약 페널티 지불의사는 예약금 환불불가, 취소수수료 지불, 다음이용시 기간제한, 벌점제 모두 ‘10%’와 ‘1개월’로 낮은 수준의 지불의사를 밝혔다.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번 소비자들의 지불적정범위 연구 결과를 통해 소비자들이 서비스 분야에서의 올바른 노쇼 인식이 필요함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이에 현장에서 노쇼 페널티 제도를 도입하고자 할 때 고객들에게 그에 대한 사전 안내를 확실히 하고 노쇼로 인한 피해가 얼마나 큰지를 스토리화한 짧은 4컷 만화 등을 대기석에 전시하여 소비자들의 올바른 노쇼 인식을 잡는데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추후 현장에서 노쇼를 방지하기 위해선 예약일로부터 3일 전에 한 번의 문자를 이용한 예약 안내를 실시한다면 노쇼 비율을 감소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노쇼에만 중점을 맞추지 않고 예약 시스템에 관한 고객의 인식 및 미용실 이용실태, 예약 이용실태등 다양한 조사를 통해 추후 미용실에서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조사지역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하였고 예약안내 유형들이 제한되어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는데 제한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넓은지역으로 조사대상 지역을 넓히고 다양한 예약안내 유형들을 가지고 더 세분화된 연구가 나오길 기대한다.

      • 항공사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안전문화의 조절효과

        서미선 韓國航空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의 경우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그 가운데 안전문화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여부에 대하여 연구해 보았다. 요인분석 결과 안전교육은 2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이들을 각각 교육방식과 내용, 교육효과라 칭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제시하듯이 안전교육은 안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안전교육의 2개의 하위요인인 교육방식과 내용, 교육효과가 각각 안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안전문화의 조절효과 분석에서 우선, 안전문화는 2개의 요인 즉, 조직안전문화와 개인안전문화로 구분되어 추출되는 결과를 얻었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안전교육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안전문화는 물론 개인안전문화 역시 조절효과를 갖는 결과를 얻고 있다. 개별 종사자의 안전행동은 본인의 안전은 물론 조직 전체의 안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조직전체의 안전행동은 개별 종사자 개인의 안전행동에 다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안전행동은 일차적으로 안전교육을 통하여 증진시킬 수 있다. 안전교육을 통하여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안전문화는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항공사는 안전교육을 치밀하고 부단하며 철저하게 시행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건전하고 우수한 안전문화 형성에 힘을 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모바일 활용 자율성지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서미선 대전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utonomy Support Program using Mobile for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 Aged Women Seo Miseon Dept. of Nursing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Directed by Prof. Park Young Im, PhD, RN) Middle-aged women have a variety of physical, mental, and psychosocial problems such as menopausal symptoms. It is due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female hormones.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are needed to prevent the metabolic syndrome before middle-aged women reach the menop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autonomy support program using mobile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o prevent the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women.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utonomy support program using mobile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utonomous motivation, health behavior, and metabolic syndrome indicator in middle-aged women. A quasi-experimental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Study participants were middle age women who had one or two symptoms of 5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hich are waist circumference, triglyceride, high density cholesterol, blood pressure and fasting blood glucose according to the standard index of metabolic syndrom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1th to May 30th, 2019. Autonomy support program using mobile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main strategies of the program are self-selection, proper goal settings and motivation, improving sense of ability, providing information for clear evidence presentation, perceiving internal conflict, providing positive feedback and emotional recognition of subjects.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was collected by a smart band, a kind of wearable device, which is linked by a bluetooth program of mobile. The researcher sent info-graphic images and health education videos within 10 minutes to the subjects, let them learn the information voluntarily and provided positive feedback to the physical activity data. The program effects were measured by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utonomous motivation, health behavior, and metabolic syndrome indicator(waist circumference, triglyceride, high density cholesterol, blood pressure and fasting blood gluco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ver. 22.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tonomy (t=3.01, p=. 004), competence (t=5.23, <.001), autonomous motivation (t=12.36, p=<.001), health behavior (t=9.41, p=<.001), circumference (t=­2.04, p=<.048), and systolic blood pressure (t=­2.65, p= .011)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latedness (t=1.73, p=.091), diastolic blood pressure (t=­1.36, p=.182), triglyceride (t=­1.04, p= .306), high density cholesterol (t=1.15, p= .258), and fasting blood glucose (t=­0.63, p= .529)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utonomy support program using mobile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middle-aged wome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autonomy support program using mobile provided the constant autonomous motivation which influenced satisfac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health behavior of middle-aged women. Also, the variations of physiological indicators like waist circumferenc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may positively influence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conclusion, the program provides the health care system for middle-aged women with accessibility to the local community and cost effective strategy.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program will be utilized as the nursing intervention in all aspects of nursing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