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초급 한국어 교재에 대한 영역별 비교

        백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해 최근에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초급 한국어 통합교재의 영역별 비교 분석을 통해, 양국 교재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향후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에 이바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고려대학교 한국어센터는 출판된 <고려대 한국어>와 북경대학교에서 출판된 <표준 한국어>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제1장은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한국어 교재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한다. 또한, 구체적인 연구 대상과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2장은 교재의 개념, 분석 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3, 4장의 교재 비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제3장은 한·중 양국의 초급 한국어 교재를 각각 분석하고, 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양국의 교재 비교 분석은 영역별로 분석하고자 하며,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으로 구분하여 각각 살펴보고자 한다. 영역별로 한국어 교재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인 발음, 읽기 텍스트, 어휘, 연습 등 방면에서 비교하고, 구체적인 내용 분석을 통해 두 교재의 공통점과 차이점, 차이점이 나타나는 원인 및 제시 방향에 대해 도출하고자 한다. 제4장은 한·중 양국의 초급 한국어 교재에서 문법 측면에서 구성과 예문 차원에 각자의 상황과 무슨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차이점이 나는 원인 및 제시 방향을 함께 제시한다. 제5장은 앞서 교재를 분석한 결과와 양국 교재에서 차이점이 나타나는 원인을 통해 각 교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먼저, 듣기⦁말하기 영역에서 처음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글에 대한 창제 원인과 역사 등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부족하다. 다음으로 교재에 나타난 한글 자모 제시 순서에 차이가 있다. 또한, 받침은 한국어에만 나타나는 언어적 특징인데, 중국에서는 받침과 음운 변동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받침, 음운 변동에 대한 학습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는 교재에도 차이가 있는데, 한국에서 개발한 교재보다 중국에서 개발한 <표준 한국어>에서 받침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차이로는 연습문제 설정에 있다. 이는 한국에서 개발한 교재의 연습문제가 더 많고 체계적이라는 차이를 보였다. 제언 측면에서 듣기·말하기 부분은 첫째, 교재에 한글 창제에 대한 원리, 이유와 관련된 내용을 추가해야 한다. 둘째, 발음 방법을 설명할 때는 한국어와 중국어를 같이 해야 하며, 발음 기관의 그림과 표 등 시각적 자료를 첨부하여 이해가 쉽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자음의 제시 순서는 발음 위치나 발음 방법에 따라 설정해야 한다. 더불어 받침에 대한 설명은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하는데, 구체적인 설명과 용례를 제시하여 이해를 돕도록 구성해야 한다고 본다. 음운 변동의 경우, 기존 교재에 나타난 특징을 좀 더 효과적으로 수정하기 위해서는 음운 변동을 설정할 때 제시할 수량과 내용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춰 적절해야 한다. 말하기 문제를 설정할 때는 더 많은 유형을 설정하고 읽기, 듣기, 쓰기 능력과의 통합이 필요하다. 한국어 교과서를 편집할 때는 말하기 비중을 적절히 높여야 한다고 제언한다. 읽기 영역, 먼저 <고려대 한국어>는 읽기 텍스트의 이해를 위해 그림을 함께 제시하지만, <표준 한국어>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텍스트만을 제시한다. <고려대 한국어>에서 단어는 실제성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단어 전체를 봤을 때 어휘 수량이 <표준 한국어>가 더 많았으며, 어휘 내용 및 어휘와 단원 주제 간의 연관성은 <고려대 한국어>가 더 대표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언은 첫째, 향후 교재 개발할 때에는 한국어능력시험의 매 등급 기준에 따라 학생의 수준에 맞게 어휘를 적절히 추가해야 한다. 또한, 명사, 동사, 형용사와 부사를 제외한 혼하지 않는 품사를 적절하게 추가하여 학습자들의 어휘 범위를 증가시키며, 어휘 설정은 단원 주제와 강한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를 반영해야 하며, 어휘를 제시할 때 중국어 해석과 품사, 특히 형용사와 동사의 경우 표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읽기 텍스트의 경우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 설계를 통해 어느 한쪽에 집중하지 않고 학습자가 본문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쓰기 영역,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표준 한국어>는 <고려대 한국어>보다 내용 구성이 많았다. 둘째로, <표준 한국어>에는 작문 쓰기와 번역 등 개방형 문제가 더 많이 제시되었고, 작문 쓰기의 대부분이 명제 작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로, 의사소통은 하나의 개별적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내용이 아니며, 다양한 언어 기능이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영역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다른 영역과의 통합교육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형상에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고려대 한국어>에서는 통합교육 관점에서 말하기와 쓰기를 결합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표준 한국어> 교재와 차이를 보인다. 제언은 한국어 통합교재는 쓰기 연습문제를 설정할 때 첫 번째, 쓰기 유형을 다양화해야 하고, 두 번째 글쓰기 주제는 단원 주제와 강한 관계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다른 기능과의 융합을 강화해야 하고, 넷째, 작문 장르를 다양화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문법 차원, 먼저 한국에서나 중국에서도 문법은 한 언어의 기초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보이지만, 중국에서 한국어 교육을 할 때는 이를 더 중시하고 초급을 대상으로 한 교재인 만큼 학습자의 기초를 닦기 위한 문법 항목의 수량 및 문법 종류의 설정에 중점을 두고 있다. <고려대 한국어>에서는 문법 예문의 설정에 대해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예문에서 나타나는 단어나 문장 구조가 일상생활에서 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표준 한국어>에서는 학습자들은 어휘나 문장 구조 등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예문의 내용이 초급 학습자에 맞지 않는 어려운 내용을 포함한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제언은 첫째, 한국어를 중국어와 한국어 이중언어 해석을 함께 표기하고 문법에 대한 설명을 좀 더 자세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법을 설명할 때 형태가 다를 때 문자 제시를 적용하여 표로 제시하여 쉽게 기억하고 학습을 보조할 수 있도록 제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재에서 학습자가 특정 문법의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문법 항목의 색인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문법 항목을 설정할 때 초급 학습자의 수준에 맞아 고려하고 수량을 설정해야 한다. 아울러 관용형이라는 유형에서 비도 강화해야 한다. 문법에 대한 설명과 예문에는 한국어와 중국어 이중언어 해석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하나의 문법에 예문을 많이 만들어서 문법의 다양한 형태와 사용법을 충분히 보여줘야 한다.

      • 중학생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을 위한 온ㆍ오프라인 혼합형 학습 활용 연구

        백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what and how much effects would the blended learning affect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peaking proficiency and attitude toward English. The participan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Jeonnam province. Most students are beginners in English, and their score of achievement tests ranked 67% from the high. This experimental class was conducted for 4 weeks.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learners were supposed to study the current unit individually that would directly affect to the activities in the classroom. In the classroom, the learners would do pair-work or group-work with their peers. They also would have an interview with the teacher and a simulation at the end of the unit. Right after finishing experimental class, the students would do a post-questionnaire and a post speaking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scored higher. A tool for measuring speaking proficiency evaluated five aspects which were vocabulary, pronunciation, fluency, the rate of speech and participation. The learners have the most visible improvement in accuracy such as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Second, students have shown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For more over, students who had been afraid of making any mistake while they were talking in English have changed their attitude. Once they've got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they enjoyed speaking English. Third, a homepage that supported blended learning encouraged students to self-directed learning. A group who worked for web activities often completed the online contents more. In the conclusion, blended learning affected positively on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as well. With well organized curriculum of online contents, teachers can lead the class more effectively. For students they have more chances to express their ideas supported by sufficien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They also can share what they know in classroom activities by using the web. According to the conclusion, blended learning assisted developing communication competence in English and it can be conducted in English classes at secondary schools. 2000년대 들어 국가적으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고, 국가교육과정에서도 음성 언어 중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교실 현장에서는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영어 말하기 수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이 대두되고 있다.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은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충분한 반복학습을 제공하고 양적으로 풍부하고 질적으로 높은 입력을 제공한다. 오프라인 학습에서는 온라인 개별학습에서 학습했던 것을 복습하고 교사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입력을 정교화 시킬 수 있다. 두 가지 형태의 학습을 혼합한 형태의 블랜디드 러닝은 발화 기회를 극대화 한다는 점에서 말하기 능력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콘텐츠 선정 기준을 마련하여 이에 적합한 콘텐츠를 선정하여 이를 중학교 현장에 적용해 보았다. 본 실험 연구에서 활용한 온라인 콘텐츠는 뛰어난 음성인식 기술을 바탕과 발음 파형의 제공으로 말하기 학습에 적합하다. 본 연구의 실험수업에서는 발음, 어휘, 유창성, 질의응답, 참여도의 5가지의 항목을 평가하였다. 말하기 평가는 사전·사후에 동형평가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는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홈페이지에서 활동량과 코스웨어 달성도를 파악하여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학습의 실태도 살펴 보았다. 연구 대상자들은 전남 소재 중학교 1학년 27명으로 교내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 실험 학습자 집단은 평균 점수 이하를 기록했다. 본 연구의 실험수업은 4주간 진행되었으며 총 12차시에 걸친 교실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습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온라인 컨텐츠를 통해 배울 내용을 미리 학습하도록 한다. 온라인으로 개별학습 하였던 내용을 바탕으로 교실 수업에서 개별 활동, 짝 활동, 그룹 활동, 교사와의 인터뷰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하도록 한다. 실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말하기 평가를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에 향상이 있었다. 다만 실험기간이 짧았기에 정확성에 해당하는 발음과 어휘 능력의 향상은 있었으나, 유창성과 의사소통 능력 측면에서는 눈에 띄는 향상은 없었다. 둘째,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을 활용한 결과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상승했으며,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에 대한 만족도와 참여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을 지원하는 웹 활동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학습이 활발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음성 언어 중심의 의사소통 능력을 학습하는데 있어,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이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이 중학교에서 충분히 활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외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EIPC) 벽체의 시뮬레이션 기반 생산성 분석

        백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건설 기능 인력의 부족, 노무자의 고령화, 인건비 상승 등의 문제가 연쇄적으로 심해지고 건설회사에서 공사기간의 단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전통적인 철근콘크리트 공법이나 철골 공법을 대체할 새로운 기술로 PC공법이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PC 공법은 건설업에서 발생하는 기능인력 부족 및 작업 프로세스의 복잡화 등의 단점을 현장 작업인원 및 프로세스의 최소화로 해결할 수 있고, 공장에서 면밀히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을 실시하기 때문에 공사품질과 공기단축의 효과를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초고층 구조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둥식 무량판 구조가 장수명 등을 이유로 공동주택에도 점차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기존 공동주택의 골조방식이 벽식 구조에서 라멘 또는 무량판 구조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되어 이에 적합한 커튼월 타입의 외피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기존 커튼월 방식은 대부분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어 패시브하우스 수준의 에너지 성능 기준을 만족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우수한 소재를 활용한 조립식 벽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외단열 공법은 건축물의 외부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식으로, 외벽 단열성능 확보와 건물의 에너지 효율 달성에 효과적인 공법이다. 외단열 방식은 기존에 활성화되었던 내단열 공법 적용 시 발생하였던 벽과 슬래브 사이의 열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 공간의 콘크리트가 축열 효과를 발휘하여 난방열을 지속시킬 수 있다. 공동주택 공사에 외단열 공법 적용 시, 내단열 방식 대비 연간 난방 에너지 요구량은 10.2%, 냉방 에너지 요구량은 1.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공법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기존 외단열 방식은 골조공사가 완료된 후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습식공법으로, 단열 및 마감 시공을 위한 곤도라, 비계 등 외부 가설시스템 설치가 불가피하며 이에 따른 공사기간 및 비용 증가, 안전문제 발생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외단열 공법 활성화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현재 공동주택의 단열공사 시 내단열 공법을 적용하여 에너지 손실 저감을 위해 단열재의 두께를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단열재 두께의 증가는 실내공간 감소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재료 차원의 보강만으로는 벽과 슬래브 사이에 발생하는 열교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없어 에너지 효율 달성에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정부 차원에서 공시한 공동주택의 에너지 의무 절감율 60%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외단열 공법 적용이 필수적인데, 건물의 에너지 절감 달성을 목표로 외단열 공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법 적용의 저해요소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까지 제시된 연구의 대다수는 저층 건물에 적합한 중단열 시공의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되었거나, 에너지 및 친환경 설비 등의 측면에서 외단열 공법을 접근하였다. 외단열의 시공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는 현재 미비하며, 특히 현장 작업인원 투입 및 작업공정의 최소화를 통한 최대 생산성 달성을 지원하는 기존 기술과 외단열 시공의 융합을 시도한 연구는 현재까지 제시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외단열 습식공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공법과 외단열 시스템을 결합한 ‘외단열 PC 벽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공장에서 제작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만 하는 공법으로, 현장 타설 공정 제거를 통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최소한의 인력 투입을 통해 최대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법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외단열 PC 벽체 시스템의 기본성능 및 적용성 검증과 더불어 시뮬레이션을 통한 생산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건설 기술 시장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부응하는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중등학교 기사문 작성 교육 방법 연구 : 제7차 교육과정 『생활국어』, 『작문』교과서를 중심으로

        백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s composition theory to reflect in 2007 Revised Curriculum is thought to require a different strategy according to each writing, not to have a strategy to be applied in common to all writings. Accordingly, also the learning of writing an article should be carried out by learning a unique strategy necessary for writing an article through the activity of actually writing an article. The composition strategy to be applied inherently to an article can be drawn from the property of an article differentiated from other writings. Thinking on the basis of the property of an article,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for writing an article is set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writing an article should be met according to the article aspect of today's news media. Second, the education for writing a straight article which has the highest percentage with degrees among articles should be conducted by placing emphasis on mastering the formal property of 'an Inverted Pyramid Structure'. Third, the education for writing an article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with publishing a newspaper. This article indicated the problems of the contents as follows by analyzing 『Living Korean』1-2 and 『Composition』 in which portray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writing an article in the existing Korean textbook under the recognition like this. First, the existing textbook deals with only the straight article which is only one article type among various article types contained actually in the existing textbook. As the result of classifying after actually counting the articles in major newspapers which are published at present, the importance of the straight article among newspaper articles was slightly more than half. However, the existing textbooks have hardly provided the contents on article types except the straight article. The textbooks are conducting the education for writing an article, bearing no relation to the realities of life. Second, the existing textbooks are not teaching effectively the method to write even the straight article. Because the straight article has 'an Inverted Pyramid Structure' which puts at the head the preamble, the sentence to contain the most important and interesting contents, and which enumerates the other information in the order of the important thing after that, the importance of writing a preamble is fully absolute in writing a straight article. Accordingly, the textbook for writing an article or the textbook for the department of mass communication which reporters or prospective reporters actually apply regards writing a preamble very highly. However, the existing textbook relegates a preamble as only a summary to inside pages in a straight article. Accordingly, writing a preamble is not attached importance very much in also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writing an article. Third, the existing textbooks hardly deal with the methods to publish a newspaper which is a medium to contain articles. It is necessary to deal importantly with publishing a newspaper in a Korean language schoolbook because publishing a newspaper itself has high educational values in the environment put stress on media education and because many textbooks apply actively the activity of publishing a newspaper as a means of a learning activity. Showing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textbook contents which deals with the method to write an article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mentioned above, it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also a feature article and an interview article which are other type of articles though being still on the basis of a straight article in connection with an article typ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al importantly with an interview article because an interview article is the type of the article applicable to an educational site.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on the basis of writing a preamble the textbook contents on writing a straight articl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 preamble and to write intensively preambles as many as possible. Third, it is necessary to deal importantly with publishing a newspaper a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a Korean language schoolbook from the stage of a middle school where the common fundamental curriculum is applied. 2007년 교육과정에서 반영하고 있는 오늘날의 작문 이론은 모든 글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전략이 있다고 보지 않고, 글에 따라 각기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기사문 작성법의 학습도 실제로 기사문을 써 보는 활동을 통해 기사문 작성에 필요한 고유한 전략을 익히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기사문에 고유하게 적용되는 작문 전략은 다른 글과 구별되는 기사문의 특성에서 도출될 수 있다. 기사문 작성 교육의 방향은 기사문의 특성을 중심에 두고 생각할 때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첫째로 기사문 작성 교육 내용은 오늘날 언론 매체의 기사문 양상에 맞춰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로 기사문 가운데 특히 비중이 높은 스트레이트 기사문 작성 교육은 ‘역피라미드 구조’라는 형식적 특징을 숙달할 수 있게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로 기사문 작성 교육은 신문 만들기와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인식 하에 현행 국어과 교과서 가운데 기사문 작성 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는 『생활국어』1-2와 『작문』을 분석해 그 내용의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지적하였다. 첫째, 현행 교과서는 실제 신문이 담고 있는 다양한 기사문 유형 가운데 오직 한 가지 기사문 유형인 스트레이트 기사만을 다루고 있다. 현재 발행되고 있는 주요 일간지들의 기사를 실제로 헤아려 분류해 본 결과. 신문 기사문 가운데 스트레이트 기사의 비중은 절반이 조금 넘는 수준밖에 되지 않았다. 그러나 현행 교과서들은 스트레이트 기사 이외의 기사문 유형에 대한 내용을 거의 제시하지 않았다. 교과서가 실제 현실과 동떨어진 기사문 작성 교육을 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현행 교과서는 그 스트레이트 기사조차도 그 작성법을 효과적으로 가르치지 못하고 있다. 스트레이트 기사는 가장 중요하고 흥미로운 내용을 담은 문장인 전문(前文)을 맨앞에 두고, 그 뒤로 나머지 정보를 중요한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는 ‘역피라미드식 구성’을 취하기 때문에, 스트레이트 기사 작성에 있어 전문 쓰기의 중요성은 가히 절대적이다. 그래서 실제 기자나 기자 지망생이 활용하는 기사문 작성법 교재나 신문학 교재는 전문 쓰기를 대단히 중시한다. 그러나 현행 교과서는 스트레이트 기사에서 전문을 전체 기사의 요약문 정도로 가볍게 다루고 있다. 그래서 기사문 작성법 교육 내용에서도 전문 쓰기가 그다지 중시되고 있지 않다. 셋째, 현행 교과서는 기사문을 담는 매체인 신문을 만드는 방법은 거의 다루지 않고 있다. 신문 만들기는 미디어 교육이 중시되는 환경에서 그 자체가 교육적 가치가 크거니와, 현재 여러 교과에서 학습 활동의 수단으로 신문 만들기 활동을 활발히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신문 만들기는 국어 교과에서 중시해 다룰 필요가 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기사문 작성법을 다루는 교과서 내용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사문 유형과 관련해 스트레이트 기사를 여전히 중심에 두되 다른 유형의 기사문인 피처 기사와 인터뷰 기사도 다뤄야 한다. 특히 인터뷰 기사는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기 좋은 기사문 유형이므로 중요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둘째, 스트레이트 기사 작성에 관한 교과서 내용은 전문 쓰기 연습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 전문의 중요성을 알게 하고 전문을 집중적으로 많이 작성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신문 만들기를 공통기본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중학교 단계에서부터 국어 교과의 교육 내용으로 주요하게 다뤄야 한다.

      • 성모승천수도회 창설자이신 임마누엘 달종 신부의 삶과 영성

        백호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는 지금 인류가 과거에 경험했던 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로부터 파생되는 온갖 사회적 모순과 파열음은 인간성의 근저를 뒤흔들며 전 지구적 재앙과 위기감을 높여가고 있다. 그것은 인종, 자원, 종교, 영토 분쟁에 따른 전쟁이기도 하며 산업화와 인간의 이기심에서 기인한 온갖 환경 파괴와 황폐화의 위기이기도 하다. 또한 빈부와 세대 간의 갈등에 따른 증오와 불관용이 드러나기도 한다. 점점 늘어만 가는 온갖 폭력들과 그 폭력 앞에 무기력하고 희생 될 수밖에 없는 무수한 다중의 고통은 마치 파라오의 발밑에서 하느님의 구원을 기다리던 유대민족의 상황과 크게 다를 바 없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성모승천수도회가 시대의 징표를 읽고, 이 시대에 하느님 나라의 기쁜 소식을 어떻게 선포할 것인가 하는 것은 특히 이제 막 뿌리내리기 시작한 한국의 성모승천수도회에 중요한 화두로 다가온다. 성모승천회수도회는 “하느님의 나라가 임하도록(Adveniat Regnum Tuum)” 자신의 삶을 헌신하겠다는 근본정신으로 19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창립된 수도회로서, 한국에는 1991년에 진출하여 현재 수도회로서의 기틀을 잡아가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성모승천수도회로서의 정체성을 밝히고 성모승천수도회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영성에 따라 수도자들을 양성하는 일은 이 시기에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바이다. 영성이란 하느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려는 인간 삶의 방식을 말한다. 인간 각자에게 알려진 하느님의 뜻은 한 분 하느님의 인격적 자기계시란 점에서 하나의 절대적 가치이지만, 그 뜻을 따라 살아가는 인간의 수만큼 다양한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로날드 롤하이저(Ronald Rolheiser)는 『거룩한 갈망(The Holy Longing)』에서 영성의 이러한 특징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영성이란 우리 내면에 지닌 불꽃으로 무엇을 어떻게 하는가에 관한 것이며 그 에로스의 불꽃을 어디로 이끄는가이다. 그것은 우리가 그렇게 살기 위해 선택하는 규율과 습관들이다.” 성모승천수도회 역시 위에서 설명한 현대세계의 수많은 도전들에 대해 나름의 삶의 방식 곧 성모승천수도회 전통에 따른 영성으로 응답한다. 그리고 한 수도회의 영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수도회 창설자의 정신을 이해하는 것이 무릇 첩경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성모승천수도회의 창설자인 임마누엘 달종(Emmanuel d'Alzon, 1810-1900) 신부의 생애와 그가 살았던 시대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달종 신부의 신앙과 그 신앙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모습들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우리를 다그치는 그리스도의 사랑”(2코린 5,14)처럼, 철저하게 교회의 길을 따라 살았던 달종 신부의 삶과 영성 또한 오늘을 사는 우리 신앙인들 특히 성모승천회원들에게 하느님의 나라가 임할 때 까지 우리 자신을 기꺼이 내어놓고 헌신하도록 재촉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Mankind’s experiences of the past cannot exactly be compared with the rapidly changing times of the day. We readily see, today, all sorts of social contradictions: humanity’s foundations shaken to the core; an intensified feeling all over the globe of a grave danger. We can see this in the controversies over what the nature of humanity is; controversies over natural resources, controversies over religion, controversies over territories; other warlike conflicts, in industrialization and human selfishness, in the complete breakdown of societal surroundings and the looming feeling of an impending devastating crisis. Add to this the divide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imbroglio between the generations, other hatreds, and intolerances. Also add to this the gradual increase in violence and the lethargic non-involvement before violence; an untold number of people suffering as if under the Pharaoh’s big foot like crushing power awaiting the salvation of the Lord and the feeling that nothing could be more felicitous. Being saddled with such a situation, the Assumptionists reading the signs of the times, ask themselves how to announce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of God , especially that just recently the Assumptionist charism has taken root on Korean soil, a news- worthy event. Assumption’s “Thy Kingdom Come (Adveniat Regnum Tuum)”, in Latin, is the life blood which was basically lived out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France. Since 1991, in Korea , Assumption is at a pivotal point in its development her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make the character of Assumption clear and mold it in a quiet way which faithful to the spirituality of the past. This seems to be a top priority. So we are talking about a formula of spirituality which follows the Lord’s directives in everyday life. To each individual is announced the Lord’s intention or “his will,” assured that the Lord values each person unconditionally and that this is carried out in a various multifarious fashion in each person. Ronald Rolheiser in his Holy Longing speaks of the special character of spirituality in the following manner: “Inner Life or spirituality is about a ‘flame,’ wherever this eros leads us. It determines the disciplines and customs of our lives.” The Assumptionists alias Augustinians of the Assumption, as to be expected, can respond to the great demands of the times, using Fr. D’Alzon’s bequeathed spirituality, each in his own way and each in his own life. Also the Assumptionist must know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and the founder’s spirituality, for this is the royal road, the short cut for them to bring about the Kingdom of God .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Augustinians of the Assumption and their founder, Reverend. Father Emmanuel d’Alzon (1810-1880), his life and his times; his faith and the particularity of his spirituality. Through this spirituality we can all in a similar manner “be overwhelmed by the love of Christ” (2 Cor. 5, 14.), and truly follow the Way of the Church, as Father d’Alzon did in his life and spirituality. We, who are living today through faith, as Assumptionists, can make the Kingdom of God advance even, gladly offering our lives in self-sacrifice.

      • 초등 과학 ‘동물의 생김새’의 코스웨어 구현과 효과 분석

        백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15

        학습용 코스웨어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기반으로 제작되고,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기능과 상호작용 기능을 강화하여 제작되어야한다. 특히, 과학과의 경우 실제를 대신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적 자료와 이를 활용해 볼 수 있는 상호작용 기능의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기능의 지원은 학습 진행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학업성취도의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과학교과의 ‘동물의 생김새’ 단원에 대한 학습용 코스웨어를 구현하였다. 구현한 코스웨어는 교육과정의 학습목표 및 내용과 일치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실제 자료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지원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적 자료와 상호작용 기능을 강화하여 기존의 코스웨어와 차별화하였다. 구현한 코스웨어와 기존의 코스웨어를 학습자에게 적용하여 얻은 결과물을 토대로 학업성취도와 유용성을 비교하였다. 이 두 가지 분석은 교육과정 내용의 반영 정도, 멀티미디어 자료 지원과 상호작용 기능 지원의 복합적인 효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고, 그 교과의 특성을 살린 실제와 유사한 멀티미디어 자료와 상호작용기능을 강화한 코스웨어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유용성 향상에 보다 더 효과가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It is purpose that learning contents is manufactured based on contents of curriculum, and learner progresses studying. Also, it should be reinforced with interaction and multimedia function for keeping learner's studying motive.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hat support multimedia data which can take the place of actuality and interaction in science subject. These function can have an effect on utilization and accomplishment. The this paper proposed learning contents about ‘animal feature’ unit of forth-year student science subject in primary school. It has a difference from traditional contents through composing to agree with studying target and contents of curriculum, and reinforcing multimedia data and interaction function so that support studying method that can support data similar to actuality and make use of this data.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at apply in class, compare with traditional contents and analyzed about assessment and utilization. These two analysis did because they can get by complex effect of reflection degree : contents of curriculum, support of multimedia data and interaction. Base upon the compared results, we are trying to show learning contents that include contents of curriculum and reinforce function with multimedia and interaction is more effective in side of improving assessment and utilization.

      • 창원시 3개 공원들에 있어서 계절에 따른 식물들의 잎 색소변화 조사

        백호 창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어서 대기 오염도를 포함한 환경조건들이 다를 것으로 예상되는 세 공원들(가음정습지공원, 창곡공원 및 반송공원)을 선정하여 대기 CO2 농도와 5종의 식물들(Prunus yedoensis, Zelkova serrata, Acer palmatum, Artemisia princeps, Taraxacum officinale) 잎의 엽록소 형광(chlorophyll fluorescence), 색소 함량 및 잎 반사율(leaf spectral reflectance)을 측정하여 지역 및 계절에 따른 변화를 2013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조사하여 본 바, 대기 CO2 농도는 전체적으로 가음정습지공원(408~470ppm)과 창곡공원(386~480ppm)이 반송공원(370~392ppm)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잎의 엽록소 형광에 있어서는 5종의 식물들이 독특한 형광값을 나타냈는데, 전체적으로 가음정습지공원과 창곡공원이 반송공원 보다 높게 나타나서 엽록소 형광이 대기 CO2 농도 변화에 대한 지표로 이용함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잎 반사스펙트럼은 기본적으로 545nm에서 정점을 보여주다가 가을 잎 노화기에 들어가면서 600nm 파장대에서의 증가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양상에 있어서 식물종과 계절 및 공원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는데, 반사스펙트럼을 사용해 대기 CO2 농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P. yedoensis와 Z. serrata의 사용이 가능하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가음정습지공원과 창곡공원이 더욱 높게 나타나 대기 CO2 농도 변화가 엽록소 형성에 영향을 줌을 보여주며 T. officinale을 제외하고는 조사된 식물종들 모두 CO2 농도 변화에 대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잎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생장기에는 가음정습지공원과 창곡공원에서 높게 나타나는 바 이 시기에 플라보노이드 증가가 CO2 농도 또는 대기 환경변화에 대한 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Study about depth location in multi-layer 3D display

        백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this paper, we analyze expressed depth location of images in multi-layer 3D display. For this, we explain our active type and passive type of lamina 3D display and try various experiments on the expression of depth by using the two types of lamina 3D display. Based on the actual experimental conditions, the expressed depth of images is also calculated and simulated by mathematically complicated formulas. To verify the validity of our simulation, we compare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simulation results. Through simulation and actual experiment, the feasibility of similarity is confirmed. As a result, our mathematically complicated formulas and simulation are expected to help for image analysis in multi-layer 3D displays. 본 논문은 멀티레이어 타입의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나는 영상의 깊이 표현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멀티레이어 타입의 볼륨메트릭 3차원 디스플레이의 일종인 패시브 타입과 액티브 타입의 라미나 디스플레이들에 대하여 설명하고 두 종류의 라미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영상의 깊이 표현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실험 조건들을 바탕으로 수식적으로 영상의 깊이 표현에 대해 계산하고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실험의 결과와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을 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실제 실험과의 유사성을 통하여 시뮬레이션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뮬레이션은 멀티레이어 타입의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의 깊이 표현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실제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이용할 경우 다른 종류의 멀티레이어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의 영상의 깊이 표현 분석에도 사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그에 대한 분석방법 및 결과를 작성하였다.

      • 土地의 效率的 利用을 위한 墓地政策에 관한 硏究

        백호 大邱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615

        Korean people has preferred to the propitious site for a grave under the influnce of theory of geomancy as adopting the burial system of the dead since the Chosun dynasty. The graves to lay such remains in state permanently shows the respectively different feature by the long-established custom, tradition, ceremony, and life style every nation and every times. Our system on the grave has been inevitably improved to block an increase of graves by population growth. Its problems can be solved by long-term sense of discrimination, because to change our traditional cemetery system by land utilization project in a short time may cause the many social opposition and resistance. Today,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land resource has been regarded as of great importance to lead life or existence of our people in a narrow national land, but the grave that is a restieng place of the dead has been disorderly increased, and it resulted in some problems due to the over-occupation of graves on the whole national land, with the spreading of millions of graves without any body in it. The problems that appea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ize of graves correctly, because our cemetery has many private graves over three generations ancestors due to the same family. special community, of families of the same clan-centered life style. Second, the cemeteries that located at place to develop and to use impede an efficiency of land utilization, but our people prefers a propitious site for a grave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eory of geomancy, though they have already known an occupaion of graves on the national land. Third, most of korean people wants to dispose a neglected grave without any relative by cremation, but they prefer to bury their bodies in the ground. In result, our actual situation shows the tendency for burial instead of cremation, as supporting the park cemetery with a reduction of grave size rather than to promote cremation. According1y, the reform measures on the cemetery policy have been continually suggested, but they haven't been actualized due to a lack of popular understanding and opposition. Our policy on the cemetery can't be easily changed as a product of long customs, but it will be desirable to gradually improve it in the direction of raising an efficiency of land for all the factors of policy improvement to the grave. The reform measures are as follows : First, the register of graves will be made up and kept like the statistical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es to grasp with the correct strategy of cemetery on the level of improving cemeteries all over the country. Second, the present grave size will be reduced by prescribing to provide the plane grave within the public or private collective cemetery, family cemetery, and same clan's cemetery as a matter of duty. Third, the collectivization of cemetery will be fulfilled for the efficient use of land as well as to prevent encroachment of national land. Lastly, the countermeasures of suppressing the palatial cometary that results in luxury and spendthrift trend will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