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교육재정의 배분에 대한 고찰

        백지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한정된 자원의 제약 속에서 무한한 자원의 가능성을 가진 인간자원 인적 자원에 대한 세계적 중요성은 이미 잘 알려진 바이다. 그만큼 인적 자원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 역시 더할 나위 없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교육은 어떠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내용 뿐만 아니라 교육활동에 투입되는 물자나 재화와 같은 교육의 외적 조건의 정비도 중요한데 이는 결국 교육재정의 문제로 살펴볼 수가 있다. 하지만 교육재정은 항상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가 왜 교육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의 이유이기도 하다. 한편 우리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항상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충분한 교육재정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에 최선을 다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교육재정의 배분 측면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교육 관련 종사자들의 관심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다소 복잡한 우리나라 교육재정에 관한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선행 연구들을 재구성하였고 더불어 각종 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재정의 구조와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 재정의 안정적인 재원의 확보와 합리적인 재정의 배분에 대해서 정리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을 보다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재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는 교육재정의 부족과 비효율적인 활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보다 더 다양한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교육의 질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교육재정의 현실에 대한 이해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족한데, 이에 따라 앞으로도 더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potential of the unlimited human resources is important in acqui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especially when material resources are limited. Since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relys mostly on th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well our educational system works. To achieve national goals of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have enough financial resources to support educational practices. However, it is true that educational budget is always insufficient. That is why we are interested in efficient alloca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properties. Although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s emphasized, we have not made a sufficient effort to acquire enough educational budget and do investment in education. This research aims to promote the interest of the people in educational sectors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finances by reviewing their present condition centering on the efficient allocation. To help understand overall structures and complex mechanism of educational finances, we have reviewed financial statistical data and several other researches. Based on the analysis. some ways of acquisition and reasonable allocation of the education finances are suggested, which would help to acquire objective view on the realities of our educatio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finances system is likely to give a good possibility to re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shortage and ineffective spendings of the educational finances. Although we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reality of Korean educational finance, it is far from enough yet. Further research is needed.

      • TV 사극드라마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궁중여인의 수발양식 조명

        백지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ole of costumes in a historial drama has a great cultural meanings that interprets and visualizes the historical facts of a nation, and disseminates the visualized cultural images through the world. The costumes in visualized images like dramas, consist of clothes, accessories, hair styles and etc. Among them, the study about hair styles is limited to the historical evidence with confined relics and records. This study has the purpose that builds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oposes the scientific facts-based references on the reproduction of hair styles in order to achiev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world visual art industry. So selected 3 pieces of Historical dramas that played from 2007 to 2008 and drawn with scenes of Chosun dynasty, the study focused on and analysed hair styles and accessories by major scenes, inquired the associated journals, and compared the collective photos from internet searching and data analysis of reference books, magazines, articles in newspapers, etc. The hair style shown on the historical dramas, featur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istorical period in each drama along with costumes, because the costumes and accessories in historical dramas play an important role to increase the emotional impacts integrated by historical changes and contemporary trends. However, lack of relics and records, this study have difficulties i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curate hair style in historical period. The study results in the following conclusion. At the first drama, The Great King, Sejong, a hair style(Muri), the Un-zeun Muri that is hair stringed, has a change in its style, and the Se-ang Muri that is hair done up to two locks, and the Gye-mit Muri that is hair braided behind the ears, show the similar reproduction with a relic. At the second drama, King and I, the U-yu-mi Muri that is hair piled up with two braided sets and a bridge-like accessory between the two, has the change in design, and the U-yum-jok-du-ri that is black crown-like headpiece, and the Mae-gae-daeng-gi that is pigtail ribbon and assists a big hair style, show a variety of colors. Accessories reappear differently in terms of social status. The third drama, Isan, revives the Chup-ji Muri that is for formal occasion, and the Jjock Muri that is for everyday life. The Chup-ji that is an ornamental hairpin worn on ceremonial occasion, and the personal ornaments appear differently by the social status, and the Jok-du-ri that is a crown-like headpiece reproduced.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directions to study costume suggested to encourage and develop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dramas are as follows. First, the sustained academic studies need to be performed on the historical researches of hair style. Second, visual arts like historical dramas requires the appropriate arrangement of history and contemporary, and researches more on the historical stories with specialists' historical evidences. Third, various cultural products that utilize traditional patterns and designs to hair style and accessories, will have opportunities to sell to people through the world as a cultural representative of Korea.

      • 한방전문간호사제도를 위한 예비조사

        백지영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방전문간호사제도를 위한 예비조사를 하기 위하여 한의사수련의 교육병원을 중심으로 서울, 대구, 부산, 광주, 강원도, 경북 지역 중 14개 병원을 임의 선정하여 2000년 7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한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94명에게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25-29세인 간호사가 40.7%였고, 미혼이 60.3%, 전문대졸이 71.6%, 한·양방 경력을 가진 자가 51.0%, 무교가 43.8%. 월평균급여가 100-149만원인자가 37.6%, 근무처가 병동인자가 86.6%, 병상 수 100-199병상에서 근무하는 자가 44.8%, 양·한방 협진체계가 88.7%로 각각 타 군보다 높았다. 2. 대학교육시 한방에 관련된 교과목 교육유무에서 교육받은 간호사가 24.2%, 받지 않은 간호사가 75.8%였으며, 교육받은 군에서 24세 이하 간호사가 43.8%. 미혼간호사가 29.9%, 한방경력만 있는 간호사가 32.6%, 200병상 이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45.9%로 각각 타군보다 높았다. 3. 한방에 관련된 교육 혹은 세미나 총 시간에서 10시간이하의 교육을 받은 간 호사가 33.5%, 11-30시간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26.8%, 없는 간호사가 23.2%, 31시간 이상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16.5%였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월급여가 많을수록, 병상수가 많을수록 교육시간이 많았다. 4. 침이 꽂힌 혈 자리 인지여부에서 거의 모른다로 응답한 간호사가 40.7%, 약간 안다로 응답한자가 30.9%, 전혀 모른다로 응답한자가 28.4%였다. 3세 이상에서,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150-199병상에서 지식정도가 높았다. 5. 뜸과 부항처치에 대한 간호업무로의 수행여부에서 뜸 처치를 수행하겠다로 응답한자가 41.8%, 수행하지 않겠다로 응답한자가 58.2%, 부항처치는 하겠다로 응답한자가 45.9%, 하지 않겠다로 응답한 자가 54.1%였으며 뜸, 부항에서 공통적으로 수행하겠다라고 응답한자는 기혼자, 한·양방경력자, 기독교인, 99병상 이하에서 근무하는 군에서 높았다. 6. 한방병원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중 활력증후측정, 간호기록, 의사보고(Dr.notify), 의료팀 및 관련 부서와 의사소통, 환자상태관찰 등이 수행시간 및 수행빈도가 많았고, 한방처치와 관련된 업무는 적었으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례를 실험 연구하여 확대 적용하여야 한다. 7. 한방전문간호사 교육과정 방식으로 1년간의 전문간호사과정방식을 원하는 간호사가 52.1%, 정규대학에 포함시키기를 원하는 간호사가 25.8%, 기타가 22.2%였으며, 교과과정이수 희망여부는 하겠다는 군이 39.2%, 생각해 보겠다는 군이 57.2%, 하지 않겠다는 군이 3.6%였다. 한방전문간호사를 제도화하는 것에 대한 의견은 찬성인 간호사가 68.6%, 보통인 간호사가 27.3%, 반대인 간호사가 4.1%였다. 8. 동일한 보수체계일 경우 양방병원으로 이직의사여부에서 예라고 답한군이 19.1%, 아니오라고 답한 군이 48.5%, 잘 모르겠다로 답한 군이 32.5%였으며, 한방병원 근무 만족도는 만족인 군은 28.9%, 보통인 군은 39.7%, 불만족인 군은 31.4%였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방간호사의 역할은 정립되어 있지 않고 한방이론에 관련된 교육과정 및 지식의 이해도가 매우 낮아 임상에서 매우 많은 문제점을 안고 근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연구가 필요하며 한방전문간호사 제도가 정립되어 한방간호사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한방보건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여 질병예방, 건강증진을 위한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간호협회 및 한의학계가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하겠다. 이러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추후 한방간호교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1. 임상에서 실시되었던 한방처치와 관련된 간호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실험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2. 한의사와 간호사의 역할영역을 역사적인 사례를 찾거나 문헌적인 근거를 통해 정립하는 작엽을 해야 할 것이다. 3. 한방전문간호사제도에 관련된 이론지식을 갖기 위해 표준화된 교과과정 개발 및 자격설정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nurses' role in Oriental medical hospital and the necessity of Oriental medical nursing system. Data were collected from 194 nurses in 14 Oriental medic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Busan, Daegu, Kwangju, Kangwon Province, Kyungbuk Province from July 1, 2000 to September 10, 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40.7% of them was twenty five to twenty nine years old: 60.3% 'single': 71.6% 'junior college graduate'; 51.0% 'experience in both Western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43.8% 'irreligious person': 37.6% 'average monthly salary of one million to one million. four hundred and ninety thousand won': 86.6% 'working in ward'; 44.8% 'working in the hospital of one hundred to one hundred and ninety nine beds scale'; 88.7% 'cooperative system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2. 24.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learned Oriental medicine when they were students at the school of nursing, while 75.8% of them replied that they did not learn it. In the proportions of experience in learning Oriental medicine, the groups of below twenty four years old(43.8%), single(29.9%), those who had experience in Oriental medicine(32.6%), and those working in the hospital of above two hundred beds scale(45.9%) displayed higher proportion than the other groups. 3. According to the numbers of hours for which they learned Oriental medicine, 33.5% of them learned it for below ten hours and 26.8% learned it for eleven to thirty hours. 16.5% of them learned it for above thirty one hours, while 23.2% never learned it. The groups of higher age, education level. and salary amount, and working in the larger hospital learned Oriental medicine more. 4. 28.4% of the respondents did not know acupuncture points at all, while 30.9% knew them a little. 40.7% of them did not almost know them. The knowledge level of acupuncture points was higher in the groups of above thirty five years old, higher education level, and working in the hospital of one hundred fifty to one hundred ninety nine beds scale. 5. 41.8%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would accept moxacautery as a nursing work, while 58.2% rejected it. 45.9% of them answered that they would accept cupping as a nursing work, while 54.1% did not accept it. The proportion of accepting them was high in the groups of the married, experience in both Western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Christian, and those working in the hospital of below ninety nine beds scale. 6. According to nurses' role in Oriental medical hospital, they did a lot of duty for measurement of vitality, medical record, Dr. notifying, communication with medical team and related departments, and observation of patients' conditions. They did a little duty for handling Oriental medical practice. 7. As the methods of curriculum for Oriental medical nursing, 52.1% chose training course for Oriental medical nursing, while 25.8% chose inclusion of the curriculum in the school of nursing. 39.2% replied that they would take the training course for Oriental medical nursing, while 3.6% answered that they would not take it. 68.6% of them thought that Oriental medical nursing system should be introduced, while 4.1% objected to introducing the system. 8. If the salary would be same as that of Western medical hospitals, 19.1% of them answered that they would move their job into Western medical hospitals, while 48.5% replied that they would not move into them. 28.9% was satisfied with the job, while 31.4% was dissatisfied with the job. The nurses in Oriental medical hospitals are working with many problems because of their role and low knowledge level of Oriental medicine. Therefore, systematic curriculum and research related to Oriental medical nursing are necessary. Oriental medical nursing system must be introduced in order to make nurses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in Oriental medicine. The nurses then can provide services of good quality for the patients. In such a present situa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nursing cases related to Oriental medical treatment must be explored in detail to prepare a scientific bas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 curriculum in order to make nurses have knowledge of Oriental medical nursing.

      • 직무도전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연구 : 정부출연연구기관 A의 위촉연구원을 대상으로

        백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Being different from other general organizations,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GFRI) has unusual attributes, of which include uncertain objectives and accomplishments, and tasks of often lack a relation between cause and effect. For this research institute to survive and develop in the competitive market, it is necessary to retain human resources that can deal with uncertainty in and out of the organization. Nevertheless, while a large number of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are immersed in investment expansion and increase of manpower, they are not really concerned about managing internal human resources and supplying at the organizational level. Moreover, presently, focus on the key component that influences research productivity of GRFI is shifting from research funds to research manpower, and a study is need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research assistants, who are half of the GRFI’s research staff, and the organization. Accordingly, in an unusual environment for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is research confirms the possibility of whether the improvement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of research assistants can make a better contribut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not, and aims at providing the implication of that possibility. The research hypothesis for the purpose of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is] 1. The Job Challenge of the research assistant, who is attached to GFRI, will anticipat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2.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of the research assistant, who is attached to GFRI,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of Job Challen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research, the Institute A, one of the GFRI attached to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as selected, and a survey for the research assistants in office was conducted. The data from 126 out of the 128 returned surveys were selected for the subjects of final analysis. Furthermor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Kenny’s Mediated Effect Verification(1986)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from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was finally confirmed through the Sobel test. The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are as follows: In connection with research hypothesis 1, the Job Challenge that is recognized by the research assistants attached to the institute A anticipat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This implies that Job Challen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tivating the research assistants to be immersed in research activities and providing intellectual stimulus constantly. In connection with research hypothesis 2,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of research assistants attached to the institute A play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Job Challen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again by the Sobel test. This implies that to improve the standard of the research assistants attached to the institute A, not only the Job Challenge but also improv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would achieve a greater effect. On one hand, 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differs from existingstudies in that this research consists of subjects from the research assistants at a GFRI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econd, while studies on the research assistants is insufficient for now, this study was performed amid rising interest and importance in research manpower, related to research productivity. Finally, the greatest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iscovering the role and possibility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s the key component for coexistence between the ‘organization’ of GFRI and the ‘individual’ of the research assistant.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limits. From a contextual aspect, this research has the insufficiency of generalizing results applicable to the whole situation of GFRI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ecause this research is limited to the results from the institute A, which is only one of the 26 GFRI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lso, the classification by group is available as the type of participating research subject, such as ‘basic research’ and ‘consignment research’, but because of the problem in the scale of the research assistants in the institute A, this research has proceeded without these classifications. Also from the methodical aspect, this study utilized the questionnaire by self-reporting method to collect the data. This has a problem that it can overlook the error between the level of self-recognition by the respondent and the real standard. Also, this research has a limit as it cannot anticipate the change followed by time progress and specific issue, because it limited to evidence from the attitude and recognition with a particular viewpoint, as data was collected from a one-time survey. This paper is going to suggest the next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e abov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results from preceding researches and this research, the conclusion is that if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support is precede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of the research assistants will be promoted and the possibility for more immersion in the organization will be increased. Thus, if Career Development Practice(CDP) can match the aim of GRFI and the research assistants, effects can be expected in the coexistence of both the organization and individual. Also, planning the Career Development Practice(CDP) for the research assistants can be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fulfilling the connection between ‘self-direction in learning’ and ‘learner’s self-direction’, related to the Self-directed Learning. At the same time, GRFI is an organization with high conformity in learning-labor, and it is a valuable environment for studying,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workplace. Also, as pointed out, the insufficiency in the preceding researches of how Knowledge Workers in the organization perform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and how features of Knowledge Workers affect knowledge creation, this paper suggests follow-up research about how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workplace influences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Also, a study on the factors that can mediat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research assistants, excepting the Job Challenge that is dealt with this research, is needed. First, additional researches about role clarity, which is discovered as preceding factor of Job Challenge by Walsh et al(1980),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fit of the research assistant, knowledge worker, is encouraged.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은 다른 일반적인 조직들과 달리, 목표 및 성과가 불분명하고 원인과 결과의 인과성을 찾기 어려운 직무가 주를 이루는 등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연구조직이 경쟁시장에서 생존하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안팎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인적자원의 보유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국책연구기관들은 연구를 위한 투자증대와 인력증원에 몰두한 반면, 내부인력에 대한 인적자원관리 및 조직적 차원에서의 지원에 관심을 두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출연(연)의 연구생산성을 좌우하는 핵심요소의 비중이 과거 연구비에서 연구인력으로 이동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출연(연) 연구직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위촉연구원 개인과 조직 간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문사회분야 출연(연)이라는 독특한 환경에서, 위촉연구원 개인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이 조직몰입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고, 그 가능성이 지닌 시사점과 논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 출연(연) 소속 위촉연구원의 직무도전성은 조직몰입을 예측할 것이다. 2. 출연(연) 소속 위촉연구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직무도전성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하나인 A 기관을 선정, 재직 중인 위촉연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128부의 응답지 중 126명 분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통계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모형을 활용하였으며, Sobel 검정을 실시하여 매개효과 검증결과의 유의성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을 통해 확인된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과 관련하여, A 기관 소속 위촉연구원들이 인지한 직무도전성은 조직몰입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는 위촉연구원들이 연구활동에 몰입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지적 자극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직무도전성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가설 2와 관련하여, A 기관 소속 위촉연구원 개인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직무도전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Sobel 검정을 통해 그 유의성을 재차 검증하였다. 이는 A 기관 소속 위촉연구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을 높이기 위해선 직무도전성 뿐만 아니라 그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함께 향상시키면 보다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인문사회분야 출연(연) 소속 위촉연구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다. 둘째, 출연(연)의 연구생산성과 관련하여 연구인력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추세를 보이는 한편, 위촉연구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 시점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출연(연)이라는 ‘조직’과 ‘개인’인 위촉연구원의 상생을 위한 핵심요소로써,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지닌 역할과 그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 본 연구가 지닌 가장 큰 의의라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인적자원 개발·관리체계가 비교적 취약한 출연(연)이,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한 위촉연구원 개인과 질 높은 연구결과물을 창출해야 하는 조직의 목적을 포괄하는 경력개발제도 구상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분야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내용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전체 26개에 달하는 인문사회분야 출연(연) 중 하나인 A 기관에 한정된 결과를 도출하였으므로, 이를 인문사회분야 출연(연) 전체의 상황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연구(기본연구)’‘사업(수탁연구사업)’등 참여하는 연구과제의 유형에 따라 집단별 분류가 가능하나, A 기관 위촉연구원의 규모 상의 문제로 이러한 구분 없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편 방법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을 위해 자기보고방식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는 응답자 스스로가 인식하는 정도와 실제 수준 간의 오차를 간과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일회성의 설문조사로 데이터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특정 시점에서의 태도와 지각에 근거한 바, 시간 경과 또는 특정 이슈에 따른 변화를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상의 한계점과 본 연구가 제공한 시사점을 토대로 다음의 후속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적 차원에서의 조직지원이 선행된다면 위촉연구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촉진되어 조직에 더욱 몰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출연(연)과 위촉연구원의 목적이 합치될 수 있는 경력개발제도를 개발한다면, 조직과 개인이 상생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위촉연구원 대상의 경력개발제도 설계는, 자기주도학습과 관련하여 ‘학습에서의 자기주도성’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의 연계를 실현시킬 수 있는 대표 사례가 될 수 있다. 동시에 출연(연)은 학습-노동 일치도가 높은 조직으로, ‘직장 내 자기주도학습’과 관련하여 연구해볼만한 가치가 높다. 또한 조직 내 지식근로자의 조직지식창출 활동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리고 지식근로자들의 특성이 지식창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출연(연) 내 자기주도학습이 조직지식창출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직무도전성 외에 위촉연구원의 조직몰입을 매개할 수 있는 변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우선 Walsh 외(1980)에 의해 직무도전성의 선행변수로 밝혀진 역할명확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지식근로자인 위촉연구원의 전문적 정체성과 직무적합도를 함께 고려하는 것을 권장하는 바이다.

      • Program annotation : Program AnnotationA. Vivaldi <Arsilda, regina di Ponto RV 700> ; F. Schubert <Der Hirt auf dem Felsen Op.129> ; G. Faur? <Cinq M?lodies de Venise Op.58> ; J. Turina <Poema en forma de canciones Op.19>

        백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프로그램인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의 오페라 <폰토의 여왕, 아르실다, Arsilda, regina di Ponto RV 700>의 아리아“명예의 기쁨(Col piacer della mia fede), 나는 자스민 나무라네(Io son quel gelsomino)”, 프란츠 슈베르트(Franz Schubert, 1797-1828)의 가곡 <바위위의 목동, Der Hirt auf dem Felsen Op.129>, 가브리엘 포레(Gabriel Faurè, 1845-1924)의 연가곡 <베네치아의 5개의 노래, Cinq Mèlodies de Venise Op.58>, 호아킨 뚜리나(Joaquin Turina, 1882-1949)의 연가곡 <노래 형식의 시, Poema en forma de canciones Op.19>을 중심으로 작곡가의 생애와 곡들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이탈리아 베네치아가 낳은 위대한 작곡가 비발디의 오페라 <폰토의 여왕, 아르실다, Arsilda, regina di Ponto RV 700>는 비발디의 세 번째 오페라 작품으로“명예의 기쁨(Col piacer della mia fede)”은 1막 2장에 나오는 니칸드로의 아리아이다. 극중 아르실다 여왕의 부하로 적들을 물리쳐 승리의 기쁨을 안겨드리겠다고 아르실다 여왕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내용으로 니칸드로의 승리를 표현한 자신감 넘치는 음형들이 특징이다. "나는 자스민 나무라네(Io son quel gelsomino)”는 1막 12장에 나오는 리제아의 친구인 미린다의 아리아 이다. 그녀는 시냇가에 피는 순수한 하얀 자스민 나무로 자신을 묘사하였으며, 외로이 숨어있는 쟈스민 나무와 벌이 날아오는 모습 등 자연을 묘사한 음형들이 특징이다. 독일의 낭만적 예술 가곡의 창시자 슈베르트의 가곡인 <바위위의 목동, Der Hirt auf dem Felsen Op.129>은 뮐러(Wilhelm Müller, 1794-1827)와 쉐지(Helmine von Chézy, 1783-1856)의 시를 사용하여 사랑하는 연인을 그리워하는 목동의 심정을 그린 노래이다. 연인을 그리워하는 목동의 심리 변화를 선율과 화성, 형식과 반주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하는 슈베르트의 음악적 특징을 엿 볼 수 있으며 피아노와 성악, 그리고 클라리넷의 오블리가토가 돋보이는 곡이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위대한 작곡가 포레의 연가곡 <베네치아의 5개의 노래, Cinq Mèlodies de Venise Op.58>은 상징주의 시인인 베를랜느(Paul Verlaine, 1844-1896)의 시에 작곡된 5개의 연가곡이다. 이는 연인들이 사랑하는 과정을 그린 곡으로 프랑스 특유의 서정적 선율과 반음계적 화성 및 과감한 전조를 통해 시를 표현하는 포레의 음악적 특징들이 돋보이는 곡이다. 스페인의 20세기 민족주의 작곡가 뚜리나의 연가곡 <노래 형식의 시, Poema en forma de canciones Op.19>은 캄포아모르(Ramon de Campoamor, 1817-1901)의 4개의 시에 붙여진 작품으로 사랑에 관한 총 5개의 연가곡이다. 스페인 민속적 음악의 특징과 뚜리나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색채를 한껏 발휘한 곡이다. The thesis concentrates on the graduate recital program for the completion of the master’s degree. The study will examine the life of the composer and the musical features of the following works; Aria ‘Col piacer della mia fede’ and ‘Io son quel gelsomino’ from the opera <Arsilda, regina di Ponto RV 700> by Antonio Vivaldi (1678-1741), <Der Hirt auf dem Felsen Op. 129> by Franz Schubert (1797-1828), <Cinq Mèlodies de Venise Op.58> by Gabriel Fauré (1845-1924), and <Poema en forma de canciones op.19> by Joaquin Turina (1882-1949). One of Italy’s greatest composers, Vivaldi, made his third opera <Arsilda, regina di Ponto>.‘Col piacer della mia fede’is the aria sung by Nicandro at act 1 scene 2. Nicandro, a subordinate of the Arsilda queen, swears loyalty that she will defeat all enemies to give the pleasure of victory to its queen. The confident music figures that expresses the victory of Nicandro is one of the music features to examine.`Io son quel gelsomino' is the aria from act 1 scene 12 sung by Mirinda, a confidante of Lisea. She describes herself as a pure white jasmine tree growing along the brook, and the music figures that express the nature, such as a solely hidden jasmine tree and a flying bee, are som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Vivaldi. <Der Hirt auf dem Felsen, Op. 129> is an art song composed by Schubert, who is the creator of Germany’s romantic art songs. The song sets is lyrics based on the poem by Müller and Chézy, depicting the feeling of a shepherd boy who is yearning for its lover. The yearning heart of the shepherd boy is conveyed through melody, harmony, form, and accompaniment. Moreover, the piece stands out due to the trio with piano, vocal, and clarinet. Based on the 5 poems by Paul Verlaine (1844-1896), <Cinq Mèlodies de Venise Op.58> is made by a representative French composer, G. Fauré. Fauré described the process of a development between the two lovers by using French unique style of lyrical melodies, chromatic harmonies, and key shifts. <Poema en forma de canciones Op.19>, a song cycle composed with 5 love songs, is made by Spain‘s 20th century nationalism composer, J.Turina. The piece adopts the lyrics from 4poems by Ramonde Campoamor(1817-1901). This cycle well shows the charm of Spanish folk music along with the unique color of Turina‘s style.

      •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 결합된 아데닌 착이온의 토토머화 반응 연구

        백지영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4중극자 이온 트랩 반사판 비행시간 측정 질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전자 분무 이온화에 의해 생성된 포타슘 양이온과 결합된 아데닌 착이온의 자외선 광해리 스펙트럼과 자외선-자외선 홀 버닝 스펙트럼을 얻었다. 자외선 광해리 스펙트럼은 잘 분리된 진동-전자 피크들이 보여지고 자외선-자외선 홀 버닝 스펙트럼의 진동-전자 피크들과 일치하며 이는 약 10 K로 냉각된 Quadrupole Ion Trap (QIT)에서 단일 이성질체의 존재를 나타낸다. 아데닌의 가장 안정한 토토머는 9H-아데닌 (9HA)이지만 포타슘 양이온과 9-메틸아데닌 그리고 7-메틸아데닌 착이온의 이론 계산과 실험 결과들로부터 용액 상에서 가장 안정한 알칼리 금속 양이온과 아데닌 착이온은 M+7H-아데닌 (M+7HA)인 것을 발견하였다. 세 개의 물 분자와의 K+9HA 클러스터의 DFT 계산을 바탕으로, 우리는 K+ 이온이 9HA에 결합하는 것은 물 속에서 반응 장벽을 낮춰줌으로써 9HA에서 7HA으로의 토토머화 반응을 가속화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We obtained ultraviolet (UV) photodissociation (PD) and UV-UV hole burning (HB) spectra of adenine complexed with a potassium cation produced by electrospray ionization (ESI) using quadrupole ion trap reflectron time-of-flight (QIT-reTOF) mass spectrometry. The UV PD spectrum exhibits well-resolved vibronic peaks, which coincide well with those in the UV-UV HB spectrum,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single isomer in the QIT at ~10K. Although the most stable tautomer of adenine is 9H-adenine (9HA), we found that the most stable adenine complexes with alkali metal cations (M+A, M=Na and K) in water was M+7H-adenine (M+7HA) by theoretical calc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on 9-methyladenine and 7-methyladenine complexes with K+. On the basis of density functional theory calculation on K+9HA clusters with three water molecules, we suggest that the binding of K+ ion to 9HA accelerates its tautomerization to 7HA in water by lowering the reaction barrier.

      • 부모 이혼에 대한 청소년기 자녀의 갈등과 대응

        백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flicts of adolescents resulting from parental divorce and their coping process. Teens whose parents are divorced are bound to get hurt repeatedly due to not only parental divorce but the conservative family values of Korean socie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elected adolescents whose parents were divorced, especially who had ever committed juvenile delinquency and consequently had firsthand experiences to be exposed to social bias. It's specifically meant to look into their hurt triggered by conservative values, their conflicts and coping process by gender in consideration of the conservative family concept of our society and the specificity of the gender concept.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ut the posed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ere there any functional problems in their families before they underwent the structural change because of divorce? The parents of the adolescents had a frequent argument with each other due to debauchery, violence or personality difference before they divorced. None of the teens had a positive memory of their families before parental divorce. Divorce was the best option for their families, not an indiscreet choice. There were functional problems with the families of the teens before they went through the structural change due to divorce, and they suffered conflicts mainly because there was a functional hardship in their families, not because of the changing family structure caused by divorce. They suddenly lost one of their fathers or mothers without being explained at all about why their parents divorced and what change they would encounter due to that, and they consequently found it more difficult to fit into the new circumstances. There was a lasting change in the family members with whom they lived together,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ne side of their parents was cut off, which resulted in reinforcing their family dysfunction. 2. What conflicts did the adolescents experience due to parental divorce, ensuing personal and family changes and social prejudice? Were there any gender gaps in that regard? The teens faced difficulties because of the normal family ideology that implicitly dominated our society or themselves. Although parental divorce wasn't attributed to their own mistakes, being exposed to parental divorce was never an ordinary experience, which was often reconsidered in school, in their relationship with peers and in society. Such a social bias affected the way people looked at them, and that was personalized in themselves, and it was not eventually easy for them to accept the fact. The adolescent girls made more efforts than the adolescent boys to find out the cause of parental divorce to understand it. Knowing more about their own family problems made them feel more responsible for the problems. Specifically, the adolescent girls who attached more importance to relationship with parents internalized their family problems and suffered a lot of conflicts as a consequence. 3. How did the adolescents cope with and receive social bias? Were there any gender gaps in that aspect? Even though they got hurt because of social prejudice, they were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and receiving it. For them, parental divorce was not a mere passing incident but an ongoing experience that they had to confront, and there were gender gaps in the process of reception. The adolescent girls more actively responded to that by exploring the cause of it and more actively received it than the adolescent boys. The latter just had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parental divorce and received it in a more inactive manner than the former, and the amount of related information the latter acquired was far less than that the former di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re were marked gender gaps in experiences of parental divorce owing to the gender-conscious social structure, and that patriarchism was still prevailing in our society.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at the crisis and problems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by focusing on the conservative standpoint of society, not on themselves. In order for them to receive their family changes resulting from parental divorce in a positive manner, the conservative family values of society must be changed first of all.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을 경험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갈등과 대응과정을 알아보았다. 부모의 이혼 뿐 아니라 한국사회의 보수적인 가족가치관으로 인해 이중의 상처를 경험해야 하는 청소년들을 주체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이혼가정의 청소년으로서 비행의 경험이 있었던, 그로인한 사회적 편견을 직접적으로 경험하였던 청소년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보수적 가치관으로 인한 그들의 상처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또한 우리사회의 보수적인 가족개념과 젠더구조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성별차이에 따른 갈등과 대응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이라는 구조적인 변화 이전에 가족에게 나타난 기능적인 문제는 존재 하였는가? 이들의 가족은 이혼 이전에 외도, 폭력, 성격차이 등으로 인한 부모님의 잦은 싸움을 경험하였다. 연구의 참여자 누구도 이혼 이전의 가족을 긍정적으로 기억하고 있지 않았다. 이혼은 가족에게 있어 섣부른 선택이 아닌 최선의 선택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가족은 이혼이라는 구조적인 변화 이전에 기능적인 가족 문제를 경험하였다. 이들의 갈등은 이혼이라는 가족구조의 변화 보다는 이후로도 계속되는 가족의 기능적인 어려움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특히 이들의 이혼 경험은 이혼사유나 이혼으로 인해 일어나는 가족변화에 대해서 설명들은 바 없이 한쪽 부모의 갑작스러운 상실로서 경험하게 되어 적응을 더욱 어렵게 하였다. 더욱이 계속되는 동거가족의 변화와 한쪽 부모와의 관계단절은 이들에게 있어 계속되는 가족기능의 문제를 않게 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이혼경험이후, 가족과 개인의 변화, 사회적 편견에 어떻게 갈등하는가? 성별차이는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가? 청소년은 이혼경험 이후 사회적 또는 내적으로 작용하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자신의 잘못으로 인한 결과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이혼이라는 가족경험은 학교, 친구관계, 사회 속에서 한 번 더 생각해야 하는 껄끄러운 일이었다. 특히 이러한 사회적 편견은 외부적 시선뿐 아니라 청소년 스스로에게 내면화 되어 자기 검열에서도 용납되기 어려운 일이었다. 연구 결과 여자 청소년들은 남자 청소년들에 비해 이혼사유에 대한 정보를 더욱 많이 탐색하고, 또한 부모의 이혼에 대해 이해하기 위한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하고 있었다. 이처럼 가족 문제에 대해 더 많이 안다는 것은 가족문제에 더 많은 책임감을 느끼게 한다. 특히 양쪽 부모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여자청소년들은 가족의 문제를 내면화하며 더 많은 갈등을 하고 있었다. 셋째, 이혼경험 이후, 청소년들이 사회적 편견에 어떻게 대응하고 수용하는가? 성별차이는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가? 청소년들은 사회적 편견으로 상처를 받기도 하였지만 이혼을 극복하고 수용하였으며, 아직도 그 과정 중에 있었다. 그들에게 이혼은 하나의 사건이 아니라 이혼에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 속에서 계속해서 대항하거나, 타협하여야 하는 진행 중인 경험이었다. 수용과정에 있어서도 청소년의 성별차이는 드러났다. 여자청소년들은 이혼사유의 탐색부터 이혼의 수용 과정까지 남자청소년들에 비해 더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행동하였다. 남자청소년들은 이혼에 대한 표면적인 이해부터 부모의 이혼을 받아들이는 수용까지 정보의 양이 여자청소년에 비해 매우 적었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성별차이는 우리사회의 뚜렷한 젠더구조 속에서 여자청소년과 남자청소년이 부모의 이혼을 다르게 경험하고 있음을 나타났다. 이는 우리사회의 만연한 가부장성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혼가정 자녀의 위기와 문제의 시각을 청소년 자신이 아니라, 가족에 대한 보수적인 잣대로 이들을 재단하는 사회로 문제의 시각을 돌리고자 하였다. 이들이 부모의 이혼이라는 가족변화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사회의 보수적인 가족가치관이 변화해야 할 것이다.

      • 요가가 안정대사율, 신체구성, 체력에 미치는 영향

        백지영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요가를 일반 여성에게 적용함으로써 요가가 안정대사율과 신체구성,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었다. 피검자는 일반 여대생 20명을 대상으로 요가군(n=10), 대조군(n=10)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기간은 12주로 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 안정대사율, 신체구성, 체격 및 체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신체구성은 Biospace사의 Inbody 3.0 체성분검사기를 이용하여 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량을 검사하였고, 줄자를 이용하여 상완둘레, 가슴둘레, 복부둘레, 허리둘레, 둔부둘레, 대퇴둘레 등의 체격을 측정하였다. 또한 에너지 능력 대사 중 안정대사율은 간접 칼로리 측정(Indirect Calorimetry) 검사를 이용하여 일일 안정대사율를 측정하였다. 유산소성 운동능력 검사는 Sensor medics사의 대사분석 장치(Vmax229)를 이용해 점증적 운동부하 검사를 실시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을 측정하였다. 체력검사는 평형성, 유연성, 악력, 배근력, 순발력, 근지구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집단별 실험 처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요가군은 태양예배(Suryanamaskar) 동작 외 15개 동작을 주 5회 60분씩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특별한 운동을 실시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 각 종속 변인에 대해 2×2 반복측정분산분석(2×2 repeated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신체구성에 대한 측정시기 간 결과에서는 체지방률, 체지방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요가군에서는 제지방량을 제외하고 측정시기 간 결과에서 체중,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조군에서는 측정시기 간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 대사 능력 중 안정대사율은 상호작용효과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최대산소섭취량에서는 집단 간, 측정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최대심박수는 집상호작용 효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력검사 결과에서는 악력좌와 순발력을 제외하고 집단 간, 측정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요가는 신체구성, 에너지 대사 능력 및 체력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oga on the resting metabolic rat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0 general female college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e yoga group(n=10) and the control group(n=10). The duration of tne experiment was 12 weeks. Before and after the test were performed resting metabolic rate, body composition, physique and fitness test. Body compositions were tested on fat(%), fat mass, and lean body mass using Inbody 3.0 body fat testing machine of Biospace company, and using measuring tape were measured upper arm circumference, stomach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and thigh circumference. Also daily resting metabolic rates among energy metabolic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indirect calorimetry. Aerobic ability tests were measured on maximum oxygen intake amount through gradual exercise load test using metabolism analysis device(Vmax229). In fitness test, balancing ability, flexibility, grip strength, back strength, power, muscular endurance were tested. The tasks assigned for each group were specified below : The measured values of each group were as follows. The yoga group carried out the motions in Suryanamaskar and fifteen asanas 5 times for sixty minutes per week,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special exercise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in this research, 2×2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ANOVA) were carried out for each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from this study were shown below : First, on body composition were significant %fat, fat mass in between test time. In the yoga group, the results between test time did decrease on weight, fat mass, and fat(%).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between test time shown no difference. Second, resting metabolic rates among the energy metabolic abilities had improved only on interacting effects, in the maximum oxygen intake amount had improved between all in the groups, test times and interacting effects and in the maximum heart rate had improved only interacting effects. Third, in the fitness test results had improved in between group, test time and interacting effects except in the left grip strength and power.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yoga is judged to be of help in the improvement of body composition, energy metabolic ability, and physical fitness.

      • 협력교수를 통한 누리과정 활동 수정 중재가 통합된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백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nuri-curriculum adaptation intervention using co-teaching on activity participa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reschool inclusive class. An 7-year-old children, a 6-year-ol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 class of kindergarten participated for study. This study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conditions to determine if nuri-curriculum adaptation intervention using co-teaching would increase class participations and this study examined replication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baseline, intervention(include teacher training) and mainten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followed: First, Nuri-curriculum adaptation intervention through co-teaching increased the activity participation behavior of all two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reschool Inclusive class. Second, the increased activity participation behavior had been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had ended. Nuri-curriculum adaptation intervention based on co-teaching are effective enhancing activity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reschool inclusive class. This study provides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s for applying and extending a strategy of nuri-curriculum adaptation intervention using co-teaching in preschool inclusive class. 통합 환경은 장애 유아가 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일반 유아가 배치된 같은 환경 내에서 발달에 적합한 활동을 하도록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환경이다. 이러한 일반 유아교육과정의 흐름 속에 장애 유아의 개별화 교수를 지원하며 이러한 병합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통합교육 현장의 많은 교사들은 협력교수 실행이 어렵고 불편한 과제로 실행을 기피하거나 구체적인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협력체제 등이 실증적인 과정을 통해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통합학급에서 기존의 학교(유치원) 체제에서 좀 더 효율적이고 실행이 용이한 『누리과정』의 보충자료인‘장애 유아를 위한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용지침서’ 의 체계 및 단계별 절차에 근거하여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가 4단계의 협력교수 실행단계별로(교사연수 및 상황별 참여진단-누리과정 수정 활동안 계획-실행-평가 및 피드백) 수정·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유치원 통합 상황으로 일과활동의 놀이중심활동인 자유선택활동과 실외활동을 통한 바깥놀이, 정적인 활동의 대그룹활동시간인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제시된 활동에 장애 유아가 적극적인 참여 행동의 성과가 나타나도록 다차원적인 중재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외에도 협력교수를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해 동료 교사 간 상호협력의 시간적인 융통성을 가져 의사교환 및 검토, 조정 등의 시간확보에 따라 다양한 모임의 형태를 활용하였으며 각 상황별로 구성된 활동에 단일, 복합적인 형태의 협력교수 유형을 적용하여 교사 간의 역할 및 협력내용을 구분하여 계획-실행하였다. 평가는 참여 증진 교수 실시 여부 및 수행 여부를 기록하고 자기 평가 및 협력교수 실시 전반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다음 활동에 반영하였다. 유치원 일반학급 통합 상황 내에서 실시되었으며 두 명의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반복연구를 실시하였고 유치원 일과활동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세 가지 상황을 선정하여 상황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관찰 행동은 상황별 참여 행동에 따른 조작적 정의와 예시를 제시하여 전체 참여한 구간의 발생률로 계산하였다. 관찰은 기초선-중재-유지의 단계로 중재기간 중에 상황별로 다른 회기의 교사연수가 포함되었고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유지 검사는 중재가 종료된 지 각 4주(참여자 1) 및 2~3주(참여자 2) 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된 두 명의 장애 유아 모두 협력교수를 통한 누리과정 활동 수정 중재를 통해 세 가지 상황인 자유선택활동, 바깥놀이,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활동 참여 행동 발생률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통합된 두 명의 장애 유아의 세 가지 상황인 자유선택활동, 바깥놀이,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활동 참여 행동 발생률 증가는 협력교수를 통한 누리과정 활동 수정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협력교수를 통한 누리과정 활동 수정 중재가 세 가지 상황에서 통합된 장애유아의 활동 참여 행동 발생률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 어떠한 촉진이나 전략이 주어지지 않은 상황에서도 유지됨을 알 수 있어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많은 협력교수 연구들이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로 시행된 것에 반해, 취학 전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시행했다는 점과, 일반교육과정 접근의 누리과정 활동 수정 중재를 협력교수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 걸쳐 중재의 효과를 반복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참여율이 증가됨에 따라 장애 유아의 통합학급 활동의 참여 태도 형성과 비참여 행동에서 비롯되는 문제행동 감소도 있어났으며, 또래 간 상호작용이 나타나고 또래의 긍정적 인식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다양한 수준 제시와 다양한 참여 방법, 교재의 다양화 등의 계획된 활동으로 모든 유아가 교육적 성취를 얻어 일반 유아의 참여도 증가하였고 특수교육실무사의 통합학급 활동지원 방식에 있어서도 1:1 촉진의 지원방식이 아닌 교육과정 수정 등의 자연스런 방식으로 활동 참여 및 또래 간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협력교수로 인해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가 함께 진단하고 정보를 공유 및 교환하고 서로 의견을 나누어 다양한 교수전략을 적용한 참여 증진 방안 계획을 세워 활동별 협력교수 유형에 따른 역할, 방법에 따라 계획-실행-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현장실천적인 면에서 공동의 목표를 위한 협력교수의 과정과 중요성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