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졸업앨범 작품분석 : 백승현의 자작곡 ‘Hi’, ‘구름’, ‘꽃타령’의 음악 분석을 중심으로

        백승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95

        본 논문은 백승현의 자작곡 ‘Hi’, ‘구름’, ‘꽃타령’ 3곡의 작품 분석을 통해 곡에 사용된 작곡 기법을 연구하고 곡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의 구성은 제1장 서론, 제2장 본론, 제3장 결론으로 구분한다. 본론은 3개의 절로 나뉘며 각각 한 곡에 대한 분석을 다룬다. 곡에 대한 분석은 작품 배경, 형식 구조, 화성 분석 및 선율 전개, 악기의 구성 및 편곡 구조로 이루어진다. 곡마다 특징은 서로 상이하지만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 연구한다. 분석 방식을 세부적으로 나누면 작품 배경에서는 곡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주요한 아이디어를 설명하고, 형식 구조에서는 곡의 조성(Tonality) 조성(Tonality) : 악곡 전체 또는 일부에 설정된 토닉(으뜸음)을 중심으로 한 음의 조직과 그 영향력을 가리키며, ‘토낼리티’라는 용어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일반적인 악곡에서 토닉의 영향력은 일종의 심(芯)과 같이 느껴지는데 이를 조성감(調性感)이라고 하며, 조성감의 유무에 따라 조성 음악과 무(無)조성 음악으로 구분한다. 조성의 중심은 토닉 코드(으뜸 화음)에 둘러싸인 토닉으로, 그 주변에는 도미넌트(딸림음)와 서브도미넌트(버금딸림음) 등을 조합하여 코드로 배치한다. (후략..)(파퓰러음악용어사전, 삼호뮤직, 2002년) , 박자(Time signatures), 음악의 형식 구조와 가사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성 분석 및 선율 전개에서는 각 곡에 쓰인 화성(Harmony)을 분석하며 특징적인 코드 진행(Chords Progression)을 사용한 이유와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선율(Melody)에 쓰인 각 동기(Motive) 모티브(Motive) : 음악의 주제를 형성하는 멜로디의 최소 단위를 모티브(동기)라고 한다.(파퓰러음악용어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91년) 가 어떻게 반복, 발전하는지 설명한다. 악기의 구성 및 편곡 구조에서는 곡에 사용된 악기의 종류와 연주 기법, 전개방식을 분석하여 설명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각 작품들에 사용된 작곡 기법과 화성 이론, 가창법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ing and to analisys the work of three original song ‘Hi’, ‘Cloud’, ‘Flower Taryeong’. This thesis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 Introduction, Main subject, Conclution and Main subject is diveded into three part of anaisys of each songs. Each song analized by the following methods, which are the background, the formal structure, the harmonic analisys, melody development, composi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structure of arrangement. Three songs analyzed same method although each song is different with the others. In detail, the background explains what is motive of each songs and how each song was created. The formal structure describes the tonality, time signatures, the structure and the lyrics of the song. The harmonic analisys and melody development is to analize every characteristic harmonic progression, the effect that progress makes and theory of composing melody. The composi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structure of arrangement describes what musical instruments were used and how and why they used in each so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help to understand the work of three original songs for the graduation album.

      • 일과성 운동 후 회복기 스포츠 마사지가 근 기능, 심혈관계 기능, 혈중 피로물질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백승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exercise physiology about sports massage treatments in recovery period. The study which measures a rest recovery and a sport massage recovery for identical objects after an acute exercise observes repeatedly about the change of the level of muscle tension and fatigue by electromyography analysis. In addition, it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sports massage treatments about the function of cardiovascular, lactate and the change of electrolytes. The identical objects are consisted of sixteen university students and they are participated at a week interval in the study. We use a maximum heart rate through Treadmill in an acute exercise. Also, we operate a maximum exercise to 80% of a target for a heart rate. Each a rest recovery and a sports massage recovery are performed for 20 minutes in recovery period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 from those recovery. Consequently, we can get these conclusions. 1. After an acute exercise,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change of RMS of the lumbar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However,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1) statistically. Also,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result of RMS of the sura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However,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1) statistically. 2. After an acute exercise,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change of MEF of the lumbar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However,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statistically. Also,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result of MEF of the sura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However,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statistically. 3. After an acute exercise,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change of a maximum blood pressure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lso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However,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change of a minimum blood pressure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but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statistically. 4. After an acute exercise,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change of a heart rate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However,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1) statistically. 5. After an acute exercise,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change of lactate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However,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statistically. 6. After an acute exercise,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change of N^(+)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However,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1) statistically. Also,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change of K^(+)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However,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1) statistically. Also, there is not a difference about the change of Ca^(++) according to a rest recovery and sports massage treatments between before doing an exercise and after the exercise. However, after the recover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5) statistically. In conclusion, after an acute exercise, a sport massage treatment is better than a rest recovery for relieve on muscle's fatigue and the recovery of blood pressure, heart rate, lactate, electrolytes density. Nevertheless, we cannot examine the recovery within 20 minuets. Therefore, we suggest a further research on an effective way to recover for player's fatigue.

      • 히카마 분말을 첨가한 우동면의 최적화 레시피에 관한 연구

        백승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consumers live busy lives, breaking down time by the minute. Because of this reality, many problems have been arising in ‘clothing’, ‘food’ and ‘shelter’ that have most intimate and important relationship with human life. Of these, the importance of ‘food’ has come to the fore. A major change in the dietary habits of consumers is eating in the midst of a busy life, and many problems have been emerging because of this. Therefore, consumers are looking for delicious food that is simple to prepare.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HMR foods, the diversification of related menus have been pursued, and many menus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accordingly. Instead of the rice, the staple food of Koreans, the consumption of flour is increasing, and with the increasing consumption of flour, the consumption of food made with flour is increasing proportionately. It is no exception that the preference of flour-based food is also increasing for HMR products. Korea has been experiencing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and it is expected that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 around 2100 AD, the temperate climate with distinct four seasons will gradually change to a subtropical climate. In 2011,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elected 14 types of subtropical crops and distributed to farms, and has now selected areas that ar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subtropical crops and are sharing cultivation techniques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subtropical crops. In the past, subtropical crops were generally thought to be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from overseas, but with the increasing cultivation of subtropical crops in Korea, consumers have been sharing more information and the consumption is increasing gradually.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jicama, a subtropical crop,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through its dietary function, and the increase of income for farms. We also aim to find the optimal recipe for jicama udon noodles for healthy consumption. Design expert 10 (Stat-Easy Co. Minneapolis, MIN, USA)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optimal mixture ratio of jicama udon noodles. Flour and jicama were set as two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udon noodles with added jicama, and appearance, flavor, texture,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Upon measuring the color, sweetness and pH of udon noodles with added jicama powder through a physicochemical experiment, the value of brightness, red chromaticity, yellow chromaticity, sweetness and pH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control group without added jicama powder was found to be 6.51%, and the group with added jicama powder was 6.88%.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control group without added jicama powder was 1.76mg GAE/g, and 2.09mg GAE/g in the optimal recipe of udon noodles with 10.53g of added jicama powder, which shows that the total phenol content in the udon noodle with added jicama powder was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e udon noodles without added jicama powder. In the sensory test, the amounts of flour and jicama powder were varied, and the appearance, flavor, texture,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tested. The highest preference was in the sample of flour 85g and jicama powder 11g. This study aims to not only develop popular food with jicama, but also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income for farms cultivating subtropical crops, as well as developing products using subtropical crops. Furthermore, in preparation of the change in agricultural environment due to the rising temperature caused by global warming that is induced by the sudden climate change, we also hope to improve the profit of cultivating farms with new high-profit crops, and that the interest of consumers will also increase. 현대사회는 급속도로 진행되어 온 경제 발전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바쁜 시간을 쪼개어 생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가장 밀접하고도 중요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의’, ‘식’, ‘주’에서도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중 ‘식’의 중요성이 대두 되어지고 있는데 소비자의 식습관의 큰 변화로는 바쁜 생활 속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부분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는 것도 심심치 않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들은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맛있는 음식을 찾고 있는 추세이다. HMR식품들의 수요도가 높아지므로 그와 관련된 메뉴들의 다양화가 추구되고 있고 그에 맞춰 많은 메뉴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인들의 주식인 쌀을 대신하여 밀가루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밀가루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밀가루를 이용한 음식의 소비도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다. HMR식품에도 밀가루를 사용한 음식들의 선호도가 높아지는 것 역시 예외일 수 없는 상황이다. 지구의 온난화로 인하여 우리나라도 기후의 변화가 심해지고 있고, 앞으로 다가오게 될 21세기 말인 2100년경에 이르면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기후에서 아열대 기후로 점차 변화할 것으로 보여진다고 한다. 농촌진흥청에서는 2011년 14종의 아열대 작물이 도입 및 선정되어 농가에 보급되었으며, 현재는 아열대 작물을 재배하기 적합한 지역을 선정하여 아열대 작물의 원활한 생산을 위한 재배기술 방법이 보급되고 있다. 과거에는 아열대 작물이라 말하면 외국에서 들어오는 수입 농산물이라는 생각과 정보들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졌지만 현재 국내 아열대 작물 재배의 증가로 인하여 소비자들 사이에서 점차적으로 많은 정보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고 소비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열대 작물 중 하나인 히카마의 대중화와 식품적 기능성을 통한 새로운 제품 개발 및 재배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우동면의 기능성을 부여하여 건강하게 섭취할 수 있는 히카마 우동면의 최적 레시피를 연구하고자 한다. Design expert 10 (Stat-Easy Co. Minneapolis, MIN, USA) program을 이용하여 히카마 우동면의 최적화 배합 비율을 도출하였으며, 히카마를 첨가한 우동면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2가지를 밀가루와 히카마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첫째, 외관(Appearance), 둘째, 풍미(Flavor), 셋째, 질감(Texture), 넷째, 맛(Taste), 다섯 번째,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로 설정하였다. 이화학적 실험을 통해 히카마 분말을 첨가한 우동면의 색도, 당도, pH를 측정한 결과 명도값과 적색도, 황색도, 당도, pH가 통계적으로 유의적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 히카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6.51%로 히카마 분말을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각각 6.88%로 나타났으며, Total polyphenol 함량은 히카마 분말은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1.76mg GAE/g이고, 최적 레시피인 히카마 분말 10.53g이 첨가된 우동면은 2.09mg GAE/g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히카마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우동면 보다 히카마 분말을 첨가한 우동면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음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밀가루와 히카마 분말의 양을 달리하여 외관, 풍미, 질감, 맛, 전체적인 기호도를 관능 평가한 결과 전체적으로 밀가루 85g, 히카마 분말 11g인 시료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히카마의 대중적인 식품을 개발할 뿐 아니라 아열대 작물 재배 농가의 소득 증대와 아열대 작물을 활용한 제품을 개발 하는데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더 나아가 급격하게 찾아오고 있는 기후 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일어나는 기온상승에 따른 농업환경변화에 대비하여 새로운 고소득 작물로서 재배 농가의 이윤을 향상 시키며, 소비자들의 관심도 또한 커질 것이라고 기대하며 아열대 관련 작물을 재배하는 아열대 작물 관련 농가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3D 스캔을 적용한 행정박물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백승현 중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blic institutions' administrative buildings are a form of records generated during the agency's work process, and such administrative buildings can give a glimpse of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in addition to the institution's administrative evidence value. Since these administrative buildings have a large symbolic value as a form, unlike general records, they reveal artistry and realism, and furthermore, they have the effectiveness of being used in the promotion or exhibition of institutions. Compared to these values, administrative buildings are more difficult to preserve and utilize than paper or electronic records, such as ambiguous management plans, damaged or lost due to negligence in management. In Korea, it was difficult to find a case of using a 3D scan technique for administrative buildings, except for some institutions such as the Presidential Archives, the National Archives,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ost central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did not have internal management standard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for administrative museum management, and only images of the original were registered and managed through 2D scans in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RMS). Public institutions that conducted case studies were showing this appearance, and other institutions of similar size were also showing similar cases.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cases and current status of 3D fields related to administrative museums were investiga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is, 2D scanning also drew problems in terms of utilization.Recent domestic and foreign 3D scanning application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public institutions conducted an administrative museum awareness survey, and 3D scanning was studied on the domestic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Representative examples of domestic and foreign use include the restoration of Sungnyemun Gate in Korea, the Notre Dame Cathedral in France, Wongangseokgul Cave in China, the bronze gate of the Florence Baptist Hall in Italy, a replica of Michelangelo David, and Horus Temple in Egypt. Augmented reality is a technology that overlaps virtual objects in the real world that users see with their eyes. Examples of these include the Museum of London and the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New York. 공공기관의 행정박물은 해당 기관의 업무과정 중 발생한 기록물의 한 형태로, 이같은 행정박물은 기관의 행정적 증빙가치 이외에 역사적 문화적 나아가 예술적 가치를 엿볼 수 있다. 이러한 행정박물은 형상물로서의 상징적 가치가 크기 때문에 일반 기록물과는 다르게 예술성과 현장감이 드러나며, 나아가 기관의 홍보나 전시에 활용될 수 있는 효용성이 있다. 이러한 가치에 비해 행정박물은 종이나 전자기록에 비해 관리방안이 모호하거나, 관리에 소홀하여 훼손되거나 분실되는 등 보존과 활용에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행정박물 관련 3D분야 적용 사례와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기존의 2D 행정박물 기관을 조사하여 형상을 갖는 자료는 2D스캐닝은 활용성면에 문제점도 도출하였다.,최근의 국내외 3D스캐닝을 적용한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공공기관의 행정박물 인지도 조사를 실행하였으며, 3D스캔의 국내 현황 및 개선방향을 연구하였다. 국내에서는 대통령 기록관이나 국가기록원, 문화재청 등 일부기관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행정박물을 위해 3D 스캔기법을 사용하는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대부분의 중앙부처나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는 행정박물 관리를 위한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내부 관리기준도 부재할뿐더러, 기록관리시스템(RMS)에 2D스캔을 통해 원본에 대한 이미지만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었다. 사례 조사를 한 공공기관에서도 이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었으며, 비슷한 규모의 타 기관 역시 유사한 사례를 보이고 있었다. 국내외 대표적 활용 사례로는 국내의 경우 숭례문 복원사례 등이 있으며, 해외는 프랑스의 노트르담 대성당, 중국은 원강석굴, 이탈리아는 피렌체 세례당 청동문, 미켈란젤로 다비드상 복제품, 이집트의 호루스사원 등이 있으며, 3차원 디지털 복원을 거쳐 여러 조합을 하여 원래 형태에 가깝게 복원하여 일반인들도 볼 수 있게 특별 전시도 하고 있다.

      • Occurrence and Genotypic Analysis of the Intestinal Protozoan Blastocystis in Pigs : 돼지에서 장내 원충인 블라스토시스티스의 감염률과 유전형 분석

        백승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Blastocystis is most commonly detected genus of protozoan parasites in the intestines of humans and many other species such as pigs in several geographical regions worldwide.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Blastocystis in pigs in Korea. Methods: In this stud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experiments and sequencing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genetic diversity and zoonotic possibilities of Blastocystis using fecal samples from pigs. We obtained 585 stool samples from groups of piglets, weaners, growers, finishers, and sows from selected southern provinces in Korea (Gyeongnam). The fecal samples were extracted using a commercial kit, and then we performed PCR and phylogenetic analysis. Results: A total of 355 Blastocystis positive samples were obtained with an infection rate of 60.7%. Age and reg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our subtypes (STs) of Blastocystis confirmed using the phylogenetic analysis were ST1, ST2, ST3, and ST5, which indicated its genetic diversity in Korean pigs.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study of pig blastocysts in Korea. However, this study was limited to some southern parts of Korea and,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determine the nationwide infection status and identify genetic characteristics through further research. 서론: Blastocystis는 사람과 다른 많은 동물의 위장관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원생동물 기생충이며 세계 여러 지리적 차이가 있는 곳에서도 돼지의 장내 기생충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국내 사육 돼지에 대한 Blastocystis 감염 현황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실험방법: 돼지의 배설물을 통한 Blastocystis의 유전적 다양성과 인수공통 감염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CR과 시퀀싱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상남도에서 채취한 585 마리의 돼지 분변 샘플을 각각 포유자돈, 이유자돈, 육성돈, 비육돈, 및 모돈으로 분류한 후 수집된 분변 샘플에서 유전자를 추출한 다음 PCR을 수행하여 전체 감염률을 확인하였으며 양성 샘플에 대해선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유전형을 확인하였다. 결과: 총 585마리 중 355마리가 Blastocystis에 감염되어 60.7%의 감염률을 보였으며 연령과 지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계통발생 분석을 통해 Blastocystis는 ST1, ST2, ST3, ST5 4개의 유전형이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 사육 돼지에서 Blastocystis의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낸다. 고찰: 이 연구는 한국의 돼지에서의 Blastocystis 에 대한 첫 번째 연구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한국의 일부 지역에 제한된 데이터를 보여준다. 추가 연구를 통해 전국적 감염 상태를 확인하고 유전적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육환경과 감염률 사이의 상관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이동식 측정 장치를 활용한 대기환경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백승현 군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세계 92%의 주민들이 미세먼지로부터 영향을 피해갈 수 없으며 매년 600만 명의 사람들이 관련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 미세먼지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고 이를 대비해야 하나 미세먼지 수치와 무관하게 측정소가 설치되어 있다. 기존 시스템은 더 높은 미세먼지 농도를 기록하는 지역이 있음에도 측정되는 평균 미세먼지 농도 수치와 달리 인구 밀도와 비례하게 설치되었거나 상업용 미세먼지 서비스의 경우 자체 측정소의 수도권 밀집 규모가 과도하게 분포되어 있다. 또한, 상업용 미세먼지 서비스에서 각각 수집한 데이터는 자체적으로 가공할 뿐 외부로 공유가 되지 않는다. 다양한 데이터 표본으로부터 보다 의미있는 데이터를 얻을 기회를 잃어 더 효율적인 가시화 서비스나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위 한계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식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활용한 실시간 대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제안 시스템은 모니터링과 그 데이터의 수집, 중계, 공유에 목적이 있으며, 데이터의 가시화 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 기존 가시화 시스템에 추가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 고정형 측정소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대기환경 정보를 국소지역 단위로 실시간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환경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고 이를 DB에 저장하여 측정소와 측정소 간의 공백을 채울 방법과 실시간적으로 지역별/고도별 대기환경 예·경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통합 또는 다중 취합 시스템을 제시한다. About 92 percent of the world's residents are affected by fine dust. Every year, 6 million people die from fine dust-related diseases. People should quickly check and prepare for fine dust information. South Korea's monitoring stations ar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actual fine dust impact. There are areas where the existing system records higher fine dust levels. However, devices installed in proportion to population density or developed in commercial fine dust services are excessively distribu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data from commercial fine dust services collected separately are not shared externally. People lose the opportunity to get more meaningful data from a variety of data samples. It cannot be used as a more efficient visualization service or big data.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called 'A Realtime Atmosporic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Moving Measurement Terminal'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It is aimed at monitoring, collecting, relaying, and sharing its data. System users can choose how data is visualized and supply additional data to the existing visualization system. The proposed system intends to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that cannot be provided by static stations on a local basis. For this purpose it collects environmental data for real-time delivery and store them in the DB. Finally it presents a data integration or multiple collection system that enables real-time regional/altitude air environment preliminary forecasting/alerting as well as gives ways to fill gaps among monitoring stations.

      • MATLAB을 이용한 중성선 고조파 저감 장치 해석 및 접지 임피던스 모델링

        백승현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와 같은 비선형 부하의 증가로, 3상 4선식 배전계통을 채용하는 중성선에 많은 고조파 전류가 흐름으로써 변압기를 비롯 중성선 과열로 인한 기기의 오동작을 일으킨다. 또한 중성선은 접지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어 접지 임피던스가 중성선 고조파 전류에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고조파의 저감 대책으로서는 일련의 저항, 인덕터와 커패시터 소자로 구성되는 수동필터와 능동필터가 대표적이다. 또한 3상4선식 배전계통에서는 중성선에 흐르는 영상고조파 전류로 인하여 중성선의 과열 소손을 야기할수 있는데 이러한 영상고조파를 저감하는 장치로서 Zig-Zag변압기의 원리를 이용한 ZED(Zero-SequenceCurrent Harmonics Eliminating Device)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조파 저감대책으로써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ZED를 이용하였다. 영상 고조파 저감장치는 영상 임피던스를 작게 하여 영상분 전류를 ZED 로 잘 흐르게 하고 정상 및 역상 임피던스는 크게 하여 정상, 역상분 전류가 ZED로 흐르지 않게 하는 원리로 고조파를 저감 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측정한 값과 MATLAB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중성선에 연결되어 있는 접지 시스템을 해석하기 위한 접지 임피던스 모델링을 하였다. With the proliferation or nonlinear loads, high neutral harmonic currents in three-phase four-wire distribution system have been observed It has been also known that the ground impedance has an effect on the neutral currents of a system which operates with harmonics present. The most column solution of neutral harmonic currents reduction is a zero phase sequence filter using zig-zag transformer. This paper analyzes a commercially available neutral line zero sequence currents reduction device and applies the equipment to loads for eliminating harmonics.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numerically and graphically with simulation results through the use of MATLAB. Simulation results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tral harmonic current and ground impedance are presented. On-site measurements of harmonic currents and voltages according to the fall-of-potential method under case study system were made and the ground impedance modeling using the pattern search method for the harmonic analysis was developed. The ground impedance model obtained by the proposed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by field tests and has shown appropriate results, and would be applicable to evaluate the harmonic and 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system

      • 정유 및 화학공장 공정안전관리 수준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백승현 전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국내 정유 및 화학공장에 공정안전관리제도가 1996년부터 도입되어 이행되고 있으며, 공정안전관리 이행상태에 대한 평가인 등급심사를 통해서 공정안전관리 제도의 실행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공정안전관리 프로그램은 공정안전관리의 목적에 대한 이해부족을 포함해서 여러 가지 이유로 정체상태 이거나 퇴보하고 있으며, 아직도 중대산업사고는 크게 감소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해외에서는 제한된 인적·물적 자원을 위험의 정도에 따라 투입하는 새로운 공정안전관리 시스템인 “위험에 기준한 공정안전”이 이행되고 있다. 정유 및 화학공장에서 정해진 인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서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사고를 예방하려면 첫째, 공정안전관리의 각 요소별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취약점은 무엇인지를 정확히 인지 및 확인해야 하고, 둘째로 확인된 위험성 및 취약 요인을 그 위험도에 따라 분류해서 위험성이 큰 시나리오를 우선 개선하는 위험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유 및 화학공장의 중대산업사고 위험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구체적인 위험한 활동 및 내용을 확인해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위험요인들을 정리한 점검표를 마련하였다. 이 점검표를 이용해서 여수지역 근로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대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 정유 및 화학공장에서 확인된 위험요소를 제거해서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는데 필요한 개선책을 제시하였으며, 각 사업장에서 중대산업사고 위험요소를 제거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험에 기준한 공정안전관리” 20개 요소의 각 요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여 정유 및 화학공장에서 자체점검 및 감사 등의 안전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점검표를 준비하였다. 공정안전관리 이행등급 평가제도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넘어서 정유 및 화학 업체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Tool을 제공하였다. 준비된 점검표를 이용하여 여수 및 울산지역의 정유 및 화학공장 공정안전관리 이행실태에 대하여 위험에 기준한 공정안전관리 요소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선이 필요한 공정안전관리 활동을 확인하였다. 정체된 공정안전관리 활동을 개선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 하였으며, 각 사업장에서 공정안전관리 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고예방 방법을 법규준수 수순을 넘어 자체점검 및 감사를 통해 확인된 취약성에 우선순위를 정해서 사고발생 가능성이 많거나 가장 취약한 부분, 즉 위험도가 높은 활동에 인적∙물적 자원을 집중하여 투자효과를 극대화 함으로써, 공정안전관리 이행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면 사고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