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배현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overall trend of work-family balanceand job satisfaction recognized by married child-care teacher and analyzes an influence of the work-family balanceon the job satisfaction after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rk-family balanceand the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resented objective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overall trend of the work-family balanceand the job satisfaction for married child-care teachers, and what i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2. What i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ork-family balanceand the job satisfaction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3.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balanceon the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72 married child-care teachers at a daycare center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a level of the work-family balancerecognized by teachers, using a Grzywawis (2002) as a questionnaire translated by Jung Soon Ae(2012). And to measure a level of the job satisfaction, using a questionnaire which is a revised version of the Jorde-Bloom(1989)'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 ECJSS, translated by Song You Jin(1993) and modified by Kim Eun Kyung(2014).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check the work-family balanceand the job satisfaction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Also, a t-verification and F-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ork-family balanceand the job satisfaction with married child-care teachers and conducted Scheffé verification for post-analysis. In addi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family balance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balanceon the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ork-family balanceand the job satisfaction ratings evaluated by married child-care were above average on a 5 point scale, with an average of 3.74 and an average of 3.54. The work-family balance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varied depending on their career.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career, daily average working hours, and the implementation of maternity leave among the working institution's work-family balancesupport systems Second, the work-family balance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Among sub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the work-family balance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as showed that having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director and colleague and satisfaction with the job itself. On the other hand,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pay and promotion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correlation. Third, the work-family balance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the work-family balance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director and colleague and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pay and promotion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influenc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work-family balanceand the job satisfaction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sh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tions and the work-family balance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The married child-care teacher is a performer and a beneficiary who takes care of others’ infants to support other’s work-family balanceand who also combines their own work and family. It is time for the government to come up with support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ystem and should make efforts to ensure that the married child-care teacher who play a central role in the work-family balanceare not excluded from the work-family balancesuppo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family-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to support the work-family balance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Also, regular information or labo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raise awareness of the work-family balancesupport system while strengthening the duty of implementing the work-family balancesupport system not only maternity leave and child-care leave, but also shorten working hours, and staggered office hour.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alternative teacher infrastructure is needed to minimize a child-care job vacancies caused by using of the work-home balancesupport system. Also, considerable, systematic counseling services and training program should be provided as a measure to support the work-family balancein accordance with the life cycle of married child-care teacher. 본 연구는 기혼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일·가정 양립과 직무만족의 전반적인 경향과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일·가정 양립과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일·가정 양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과 직무만족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하며,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2.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어떠한가? 3.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기혼 보육교사 2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교사가 인식하는 일·가정 양립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Grzywacz(2002)의 ‘일·가정 양립 척도’를 정순애(2012)가 번역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만족의 수준을 측정하기위해 Jorde-Bloom(1989)의 유치원 직무만족도검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 ECJSS)를 송유진(1993)이 번역한 설문지를 토대로 김은경(2014)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과 직무만족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기혼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일·가정 양립과 직무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을 위해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보육교사가 인식한 일·가정 양립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47점, 직무만족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54점으로 보통수준 이상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은 개인변인 중 경력에 따라, 직무만족은 교사의 개인변인 중 경력, 일일 평균 근무시간, 재직기관의 일·가정양립지원제도 중 산전·후 휴가와 육아휴직의 시행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은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원장과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과 직무자체의 특성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반면, 사회적 지지, 보수와 승진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원장과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과 직무자체특성에 대한 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가지는 반면, 사회적 지지, 보수와 승진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과 직무만족은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며, 일·가정 양립은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혼 보육교사는 다른 가정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영유아 보육을 담당하면서, 자신의 일과 가정을 병행하는 일·가정 양립 지원의 수행자이자 수혜자이다.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의 중심에서 본연의 역할을 다하고 있는 기혼 보육교사들이 일·가정 양립 지원에서 소외되지 않고 일·가정 양립을 통해 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해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산전·후 휴가와 육아휴직 뿐만 아니라 가족돌봄 휴가, 육아기 단축근무제, 시차출근제 등의 다양한 일·가정양립지원제도 시행에 의무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일·가정양립지원제도의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정기적인 정보제공이나 노무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보육교사의 일·가정양립지원제도 이용으로 인한 보육공백 최소화를 위해 체계적인 대체교사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며, 기혼 보육교사의 생애주기에 맞춘 일·가정 양립지원 방안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상담서비스, 연수 프로그램 등이 제공 되어야 할 것이다.

      •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여성독자노동조합 경험 연구 : 전국여성노동조합 대구경북지부 사례를 중심으로

        배현주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남성과 정규직 중심의 한국 노동운동의 역사에서 삭제되어 있는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의 여성독자노동조합 경험을 재해석한다. 사례는 연구자가 2001년 창립 때부터 2016년까지 활동가로 일했던 전국여성노동조합 대구경북지부의 조합원 13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여성주의 입장에서 재해석하고 정리한 것이다. 이 연구과정에서 연구자와 연구참여자가 동등한 상호소통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연대를 통해 집단적인 주체 형성을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자원으로 가야트리 스피박(2013년)의 ‘서발턴’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교차성 이론과 여성주의 역사쓰기의 연구들도 활용하였다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은 침묵을 강요당한 ‘서발턴’이었다. 여성이고 비정규직노동자로서 이중 삼중의 착취와 억압을 당하는 약자인 그녀들은 침묵을 강요당한 ‘서발턴’이었지만, 침묵하기만 하며 살아왔던 것은 아니다.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은 가만히 있지 않고, 전국여성노동조합을 통해 말하고 행동했다.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은 많은 경우 회사로 부터 그리고 남성노동자, 정규직노동자들로부터 억압받고 차별당하며 자신의 경험과 목소리가 삭제되는 경험을 했다. 이 논문에서는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라는 중첩된 억압의 상황에서 경험한 성차별, 비정규직 차별은 어떠했고, 이들은 어떻게 대응했는가라는 질문을 탐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의 목소리가 전국여성노동조합을 통해 어떻게 집단적으로 발화 했고, 말하는 주체가 되었는가가 주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이 여성들이 어떻게 때로는 침묵하면서, 때로는 주체적이고 역동적으로 살아왔는지를 드러내고, 여성독자노동조합 경험을 통해 어떻게 변화 했는지를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정리한다. 첫째, 여성독자노동조합 가입 전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삶, 둘째, 여성독자노동조합 가입과 활동, 셋째, 여성독자노동조합을 통한 변화와 어려움이다. 연구 결과,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은 여성독자노동조합 가입 전에 주변화 된 노동경험, 경력단절, 성차별의 여성노동자로서의 공통의 경험을 가지며, ‘말할 수 없는 서발턴’ 이면서 동시에 죽을 힘을 다해 ‘말해도 들리지 않는 서발턴’ 이었다. 여성독자노동조합을 가입하면서 사용자의 반대에 더해 “여자가 무슨 노조를 하냐”는 남편들의 반대를 넘어야 하는 이중의 억압을 경험한다. 노동조합 활동을 통해 노동현장의 차별과 어려움을 이야기 하고 말하고, 투쟁하고 일상화된 남녀차별 임금을 동일노동 동일임금으로 만들어 내고, 성희롱에 대응한다.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은 여성독자노동조합을 통해 ‘말할 수 없는 서발턴’에서 ‘우리의 목소리를 내는 서발턴’으로 변화하고, ‘우리가 해서 이겼다’는 자존감을 갖게 된다. 여성독자노조의 경험은 엄마, 부인으로만 불려온 종속된 존재로서가 아닌 주체적 존재로인 ‘말하는 사람’으로 변화시켰고, 스스로를 ‘엄마이기 전에 노동자’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인 자신의 주변부 위치를 인식하고, 주변에서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행동하게 했다. 그러나 여성독자노동조합을 하는 것은 여전히 많은 어려움 속에 있는데, 가부장제와 성역할 요구라는 이중 부담의 구조 속에서 여성노조 활동의 제약과 복수노조를 둘러싼 경쟁과 갈등 등을 경험하고 있다.

      • 자치구 지역문화시설 전시실 활성화 방안연구 : 해운대문화회관 중심으로

        배현주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1990 onwards, establishing municipal corporation with changing of policy in cultivation of cultural foundation were regarded, as a result, many of cultural facilities has been established all over the countries intending to gain competitiveness of between regions in the country. There are more than 160 of Culture and Art Centre were built in the country at present but they are not running efficiently owing to the absence of experts in the fields,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inefficiency of the system. To improve operation, frequent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and suggesting creative and cultural chances to local people have to be considered as particularly regarding regional Culture and Art Centre are utilised by a few number of people in reality. To study improvisation of local cultural facility, a case study will be presented first. Also, as regarded by researchers in statistic, a chosen case of introducing experts in the field, temporary exhibitions and various programs shall be studied. As the chosen cases, where experts are present and various program is active, were analyzed, distinction from others were clear but difficulties in participation of visitors were still an issue. To suggest resolving the problems, managing visitors; building visitor’s database and launching membership which would inform visitors all activities in centre, may be necessary. This suggestion, which might motivate visitors to participate and understand their desire in cultural activities, may help role and identity as a local cultural facility. Through the result of the case studies, a well-balanced culture and art development for Haeundae cultural center and spreading the benefits for the local people shall be proposed in this study. The proposals are divided into 5 categories, first, employ experts in the fields for creative and efficient operation, second, establishing appropriate systemically operation to the local condition, third, self-project ability and varied programs for various visitors, fourth, marketing and promotional strategy, finally, managing current visitors and building potential visitors. This proposal to help foundation of Haeundae cultural center and one expects well-balanced development as a cultural and art complex facility. 1990년대 들어오면서 문화기반시설 정책의 변화와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국 각지에 문화예술회관 등 많은 지역문화시설들을 건립하였다. 2009년 말 현재 우리나라는 이미 160여개가 넘는 문화예술회관이 운영 중이며 그 규모나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개관 이후 조직구조의 비효율성 및 전문인력 부재 등의 운영상의 문제로 인해 그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치구의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은 대부분이 소수 관람객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므로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민들의 참여 빈도를 높이고 지역주민의 문화복지와 예술창작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설정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 우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활성화요인으로 간주하는 전문인력 확보와 기획전시 및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는 자치구의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문화시설 전시실을 중심으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문인력들의 열정으로 타 자치구의 지역문화시설 전시실과는 차별성을 두고 운영하고 있었으나 관람객개발에 있어서는 운영상의 한계점을 보였고, 그에 따른 개선방향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각 기관들은 교육대상별 관람객관리가 필요하며 회원 제도를 도입하여 관람객데이터를 구축을 함으로써 높은 참여율을 유도하고 지역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파악할 때 비로소 지역문화시설로서의 역할 정립과 정체성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례분석의 결과를 통해 해운대문화회관 전시실의 균형 있는 문화예술발전과 지역민들의 위한 시각예술의 확산을 목적으로 전시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해운대문화회관전시실 활성화 방안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는 첫째, 전시와 관련된 전문 인력의 적극적 수용을 통해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도모, 둘째, 지역실정에 맞는 적정한 조직운영체계의 정착, 셋째, 다양한 관람객을 개발을 위한 자체 기획전시와 프로그램 활성화 넷째, 전략적 문화마케팅과 전시홍보, 다섯째, 잠재적인 관람객을 유치하고 고정관람객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관람객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위와 같은 활성화방안들은 해운대문화회관 전시실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의의를 두고 있으며 해운대문화회관이 복합문화시설로서 공연과 더불어 전시가 균형 있게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기대한다.

      • 실업계 고등학교 교과서 어휘 연구 : 상업계 전문 교과 3개 교과서를 중심으로

        배현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현행 제13차 교육과정에 따른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3개 교과서에 수록된 어휘 분포 상황을 분석하여 교육용 어휘 목록을 제시하고 어휘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어휘 분석 자료로 채택한 교과서는 상업계 고등학교의 학과별 필수 교과서인 <경영대요(1996)>, <자료처리(1996)>, <상업디자인일반(1997)>이다. 어휘 분석은 1차 선정 어휘와 2차 선정 어휘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1차 선정 어휘는 교과서에 수록된 어휘 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2차 선정 어휘는 1차 선정 어휘 중 3개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수록된 명사류 어휘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별, 품사별, 어종별 등의 유형 분류 방법을 사용하였다. 1차 선정 어휘 분석 결과, 조사된 어휘의 총 개별어휘수는 10,435개이며 연어휘수는 109,677개이다. 과목별로 살펴보면 <경영대요>의 개별어휘수 5,157개, 연어휘수 45,430개, <자료처리>의 개별어휘수 3,460개, 연어휘수 29,017개, <상업디자인일반>의 개별어휘수 5,978개, 연어휘수 35,230개이다. 빈도 분석에 의하면, 전문 교과 어휘는 국어 교과에 비하여 평균 빈도가 높게 나타나며, 상위빈도어와 하위빈도어 간의 차이가 크다. 이것은 전문 교과의 경우, 빈도가 높은 특정 낱말군이 국어 교과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고빈도 어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품사 분포에서는 명사의 비중이 높고 형용사, 부사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감탄사는 전혀 제시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이것은 전문 교과의 문체론적인 성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어종 분포에서는 한자어와 외래어가 두드러지게 사용되었다. 이것은 전문 교과가 특정의 전문적인 영역을 다루므로 의미 전달이 명료하되 사용에 경제적인 어휘를 요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문어는 <경영대요> 1,390개, <자료처리> 407개, <상업디자인일반> 960개이다. 전문어의 품사는 3개 교과 모두 명사에 치중되어 있으며, 어종은 한자어와 외래어에 치중되어 있다. 1차 선정 어휘 전체의 약 70%, 그리고 전문어의 약 80%는 일반적으로도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이다. 이것은 전문어의 상당수가 대중화되어 사용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국어 교과의 어휘 교육은 전문 교과의 고빈도 어휘를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전문어가 포함될 수 있다. 2차 선정된 어휘는 개별어휘수 799개, 연어휘수 44,154개로 평균빈도는 55.26이다 어종으로는 한자어가 90%이며, 의미영역별로는 추상적인 어휘나 관념적인 어휘가 많다. 전문어 중 2차 선정 어휘에 포함된 것은 <경영대요> 94개, <자료처리> 10개, <상업디자인일반> 27개이다. 2차 선정 어휘는 일상 생활에서도 사용률이 매우 높은 단어로 교육용 어휘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교과서의 문장 길이를 분석한 결과, 문장의 평균 어절 수는 17.34이다. 그리고 어절 수 50 이상 문장의 형식을 살펴 본 결과, 대등한 사실이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있어 문장의 길이에 따른 학습의 어려움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만, 어휘의 연결이 비문법적인 경우가 있으므로 교과서 제작시에는 어휘와 문장에 대한 고려가 각별히 요구된다. 그리고 문장의 의미관계는 형식과 긴밀한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문장의 형식 구조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입증해 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어휘 교육에는 의미의 다양성과 어휘간의 연결 관계가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어력이 높은 어휘와 한자어 교육, 그리고 외래어 사용 증가에 따른 발음 및 표기 교육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사 영역 및 방법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으나, 어휘 교육을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이라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onsists in analysing the distribution of vocabulary recorded in three industrial high school textbooks based on the existing 6th curriculum, suggesting a list of vocabulary for education, and then groping for a teaching method of vocabulary. The textbooks taken as data for vocabulary analysis were required course text books for commercial high school - An Introduction to Business Administration (19!36), Data Processing (1996), and General Commercial Design (1997). Vocabulary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sion into the first selection vocabulary and the second selection vocabulary. The former covered the entire vocabulary recorded in the textbooks, while the latter nouns recorded in common in the three textbooks among the vocabulary taken in the former. The analytic method depended on classification of patterns such as frequency, part of speech, kinds of words, etc.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first selection vocabulary reveals that the number of vocabulary examined totals to 10,435, and the number of compound words to 109,677. By courses, the total number of vocabulary in Introduction to Business Administration totals to 5,157, the number of compound words 45,430. The total number of vocabulary in Data Processing 3,460, and the number of compound words 29,017. And the total number of vocabulary in General Commercial Design 5,978, and the number of compound words 35,230. According to analysis of frequency, average frequency of vocabulary in the specialized course textbooks shows a higher mean value, as compared with that of Korean Language course textbooks, and a great difference is reflected between the upper frequency words and the lower frequency words. This implies that certain high frequency words are built in specialized course textbooks, as compared with those of Korean Language course textbooks, and that this indicates the need for more education for such a high frequency vocabulary. Furthermore, when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parts of speech, a higher gravity is shown in nouns, a relative lower frequency in adjectives and adverbs, but no exclamations are present. This can be ascribed presumably to the stylistic character of the specialized course textbooks. The distribution of Idnds of words represents a higher gravity in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of foreign origin. It seems that this propensity is disclosed in that specialized courses deal with a specialized domain and requires the communication of clear meanings and economic vocabulary for use. The number of technical terms comes to 1,390 in An Introduction to Business Administration, 407 in Data Processing, and 960 in General Commercial Design. The parts of speech in technical terms concentrate on nouns in all of the three course textbooks, and the kinds of words on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of foreign origin. Approximately 70% of the first selection vocabulary, approximately 80% of technical terms are those of high frequency in general use. This indicates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technical vocabulary is popularized in usage. In consequence, education for vocabulary in the Korean Language course may include high frequency vocabulary in specialized course textbooks, in which technical vocabulary may be comprised. The number of the second selection vocabulary totals to 799, that of compound words 44,154, and the average frequency showed 55.26. When viewed from the kinds of words, Chinese characters indicates 90%. And when seen from the domain of meanings, a number of abstract and ideal words are found. The number of technical terms included in the second selection Vocabulary comes to 94 in An Introduction to Business Administration, 10 in Data Processing, and 27 in General Commercial Design. And the second selection vocabulary consists of high frequency words used in daily life, thus may be included in vocabulary fo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length of sentences, the average number of phrases in a sentence represents 17.34. An observation of sentence patterns with more than 50 phrases points to the fact that equivalent facts are listed in a row, and no difficult is found in learning due to the length of sentences. However, nongrammatical connections of vocabulary require us to pay careful attention to vocabulary and sentences when publishing textbooks. Concurrently with his, meanings of sentences are found to be in a close relation with their sentence patterns, which explicitly awakens our need for education for sentence patterns and structures. The result of analysis leads us to perceive the need to include in education the linkage relation between the variety of meanings and vocabulary. And, further education is necessitated also for vocabulary of high coinage power, Chinese characters, pronunciation and expression of words of foreign origin. The present study has the limits to be confined to a certain domain and methodology in investigation but hopes to be meaningful in exerting an effort for building basic stratum for vocabulary education.

      • 고등학생의 부적응적/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감 간의 관계에서 강인성의 매개효과

        배현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Maladaptive/Adaptive Perfectionism, Hardiness, and Depression in a sample 434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of SEM show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Maladaptive/Adaptive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ere mediated by Hardiness. particulary, Hardi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lso Hardin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we could have each intervention to Maladaptive Perfectionists's and Adaptive Perfectionists's depression. that is, For Maladaptive Perfectionists, Depression was reduced strengthening Hardiness. Whereas, For Adaptive Perfectionists, not only strengthening Hardiness but also directly interventing to depression could be effective. Based on these findings, addition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 대학에서의 교육개발연구과제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배현주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가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육 부문의 투자는 교육의 전 부분에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교육 투자는 투자의 성과를 비교적 예측하기 쉬운 강의 환경 개선, e-러닝 부분과 특정 주제에만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교육개발연구 등 다른 부분에 대한 투자는 줄어들고 있다. 이와 같은 감소추세의 원인은 교육개발연구의 성과가 뛰어나지 않거나 혹은 그 연구결과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성과에 대하여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없기 때문이다. 교육개발연구의 연구계획서 심사와 연구결과의 평가를 위하여, 선문대학교 대학교육개발센터의 교육개발연구과제 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교육개발센터 교수연구모임 지원 프로그램과 한국연구재단의 대학교육과정개발연구(제3유형 교수학습법개선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여, 교육개발연구에 대한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은 2007∼2009학년도 교육개발연구과제 지원 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전반적인 구조―지원 규모, 지원 대상 선정 방법, 중간평가, 결과평가 등―를 분석하고, 교육개발연구과제 지원 프로그램, 교수연구모임 지원 프로그램과 대학교육과정개발연구 지원 프로그램의 신청절차, 선정방법, 중간평가, 결과평가 방법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2007∼2009학년도 교육개발연구과제 운영은, 총 18개 과제를 지원하였고, 경쟁률은 1.3:1, 공모기간은 평균 40.3일, 연구비 규모는 평균 750만원이었다. 교육개발연구과제 결과를 분석하면, ‘교수&#8228;학습 방법 개발’ 연구 분야에 총 18개 중 16개 과제가 편중되어 있고, 중간보고서&#8228;결과보고서 제출 기한은 비교적 지켜지고 있었다. 연구결과물은 20쪽 내외의 보고서 형식이 주를 이룬다. 교육개발연구과제 지원 프로그램은 신청절차, 선정방법, 중간평가, 결과평가 등에서 전반적으로 교수연구모임 지원 프로그램과 유사하였으나 보다 공식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대학교육과정개발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근간으로 선문대학교의 규모와 대학교육개발센터의 상황에 맞게 간소화하여 운영되고 있었는데 선정방법과 결과평가 도구가 완전하지 않아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교육개발연구과제 지원 프로그램의 공정성과 체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국연구재단의 대학교육과정개발연구 지원 프로그램의 연구계획서 심사기준을 참고하여 연구계획서 심사기준을 제시하였고, 일반적인 학술지의 논문 게재 심사기준을 기본으로 하여 결과보고서의 평가기준을 제안하였다.

      • 정암 조광조의 지치주의(至治主義) 사상 연구

        배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se days our society, by shouting innovation in each field of society along with politics, speaks out that only reformation is the way Korea shall be headed for in the era of globalization. However, when looking into the conditions of innovation and reformation conducted so far, the progresses tend to be focused on economic development mostly under the pretext, maximization of profit. As the society only seeks for getting rich, the government is nothing but a tool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rich, and only pursues conspiration for high profit. In such a reality, politics can no longer propose any higher ideology of life, and also there is no communication among subjects of politics. This study's objective was to look into what is the desirable politics like and what are the requirements of the subjects that lead the politics in light of the ultimate governing ideology(至治主義) proposed by Jeongam Jo Gwang-Jo(靜庵 趙光祖1482-1519) the chief of "sarim -- forest of scholars" to overcome such limitation. According to Jeongam, an example of ultimately desirable politics can be found from the politics in the days of the Chinese emperor Yao when peace and humanity were prevalently realized, the type of politics that facilitates the way of heaven only. He defined the foundation of politics as realization of justice and moral, and proposed collaboration and harmony based on ethical perception of political entities to that accomplishment. In addition, he emphasized that the internal innovation of consciousness of the entities that conduct politics should come first, and in particular, stressed politics of tolerance that accommodates an open space of communication to facilitate the justice of all. Therefore, according to Jeongam, ultimate politics can come true based on the moral realization of the political entities such as monarch, people and officers, and the goal of politics is not just on the stabilization of public peace but eventually on the construction of society where justice and morality come true as value the society shall pursue. In such perspective,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the ultimate governing ideology proposed by Jeongam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ideology of Jeongam emphasizes that the internal reflection of human is the foundation of humane behavior. Jeongam clarified that virtuous way(tao) is engraved within the heart(心) of human based in heaven(天) and can be realized only through faithfulness during daily life. Such perception of Jeongam suggests a potential that human is an existence that carries the morality of heavenly way within itself and personality can be culminated through realization of oneself. That leads us of today who are indulged with material and external values to look back what is true self development through realization on human the moral entity. Second, Jeongam stressed reform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political entity itself through inspection of oneself before reformation of external politics and in particular requested that politicians should set up desirable mindset beforehand. He attributed the foundation of the existence of government to the people, and stressed that monarch and officers should possess the idea that they are there for the stable life of the people. Furthermore, from his ideology,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for our society to grow mature, social leaders group should pay efforts to solve and change the unequal contradictions of our society rather than pursue their own success. Lastly, the ultimate governing ideology of Jeongam advocates open channel of opinion, emphasizes space of discussion to communicate and make public various thoughts and politics of tolerance. That is because reformation and policy that do not reflect people's opinions are after all occupied by self-righteousness and egotism of power group, and may not realize the essence of democratism. He figured that if various communications and discussions based on the spirit of tolerance are accommodated in the field of politics, the order of officers can be established in that course, and finally the authenticity of the politics may also stand firm as well. The discussion so far suggested that the philosophy of the ultimate governing political ideology proposed by Jeongam Jo Gwang-Jo still carries the same value for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society and our life as well. It is believed that the politics and ideology of Jeongam should be taken as example for answer to the questions "What is the desirable politics for our society to pursue change of new era, and what is the world with the most desirable humanity like?" 오늘날 우리사회는 정치를 비롯한 사회 각 분야에서 혁신을 부르짖으며 개혁만이 세계화 시대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동안 진행된 개혁과 혁신의 모습을 들여다보면 대부분 이익 극대화라는 경제적 발전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인다. 잘 사는 것만이 중요시되는 사회가 되다 보니, 국가는 가진 자들의 권리를 보호해주는 도구에 지나지 않게 되었고 최대의 이익을 얻기 위한 담합에 그칠 뿐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정치는 더 큰 삶의 이상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정치주체간의 소통과 참여 또한 수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한계에 대해 조선조 사림의 영수였던 정암 조광조(靜庵 趙光祖, 1482~1519)의 지치주의(至治主義) 사상을 통해 올바른 정치란 과연 어떠해야 하고 정치를 이끌어가는 주체들의 요건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정암에 의하면 지극히 훌륭한 정치(至治)란 요순(堯舜)시대의 화평하고 인륜(人倫)이 실현된 정치를 가리키는 것으로 오로지 천도(天道)가 행해지는 정치이다. 그는 정치의 근본을 정의와 도덕의 실현에 두었으며 그 방법으로 정치주체들의 도덕적 자각을 바탕으로 한 협력과 조화를 요청하였다. 또한 정치를 행하는 주체들의 내적인 의식개혁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모든 이들의 공의가 수용될 수 있는 열린 소통의 장이 구비되는 관용의 정치를 역설하였다. 그러므로 정암에게 있어 지극한 정치(至治)란 군주와 백성, 그리고 신료라는 정치주체들의 도덕적 각성을 전제로 하여 이루어지고, 정치의 목표가 민생의 안정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사회가 추구해야 할 가치로서 정의와 도덕이 실현되는 사회 건설에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다면 정암의 지치주의 사상에 담긴 현대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암의 사상은 인간의 내면 성찰이 인간다운 행위의 근본임을 강조한다. 정암은 도(道)라는 것은 하늘(天)에 근본하여 인간의 마음(心)속에 내재되어 있으며, 그것은 일상 가운데서 성실함(誠)으로서만 실현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정암의 이러한 인식에는 인간이 자기 안에 천도(天道)라는 도덕성을 가진 존재이고 스스로의 모습을 깨달아 인격을 완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도덕적 주체인 인간에 대한 자각으로, 물질적이고 외적인 가치에 탐닉한 오늘의 우리에게 진정한 자기 발전이 무엇인지 되돌아보게 한다. 둘째, 정암은 외적인 정치 개혁 이전에 수기(修己)와 근독(謹篤)이라는 자기 검열을 바탕으로 정치 주체들의 의식 개혁을 강조하고 특히 위정자들에게 올바른 마음자세가 선행되어야 함을 요청하였다. 그는 국가의 존립 근거를 백성에게 두고 군주와 대신이란 백성의 안정된 삶을 위하여 존재한다 생각을 가져야 함을 역설하였다. 또한 우리사회가 성숙하기 위해서는 사회 지도층이 자신의 입신출세보다는 불평등한 우리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고 그것을 바꾸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정암의 지치주의는 언로(言路)의 개방을 표방하며 다양한 생각을 소통하여 공론화될 수 있는 토론의 장(場)을 중시하고 비판적 여론을 개진할 수 있는 관용의 정치를 강조한다. 민의가 수용되지 않는 개혁과 정책은 결국 권력층의 독선과 아집으로만 이루어져 민주주의의 본질을 구현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관용의 정신에 바탕을 둔 다양한 소통과 논의가 정치의 현장에서 이루어지게 되면 그 과정에서 관리들의 기강을 바로 세울 수 있고 마침내 정치의 정통성도 바로 설 수 있다고 보았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정암 조광조의 지치주의(至治主義) 정치사상에 담긴 철학은 현대사회의 문제와 우리들의 삶에도 여전히 그 가치를 지닐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정암의 정치와 그 사상은 앞으로 우리 사회가 새로운 시대의 변혁을 추구함에 있어 과연 올바른 정치는 무엇이고, 가장 인간다운 세상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물을 때마다 귀감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