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글쓰기프로그램이 중년여성들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배지현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s have been utilizing literature as a method expressing their emotions. Especially, "Poems" which are expressing human emotions and ideas are medias of revealing inner suppression and unconsciousness. There are many research findings released that linguistically exposing by "writing" reduces negative emotions and enhances cognitive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researching effect of the journal therapy for middle aged(also known as the second adolescence) women`s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nd improvement of self-wor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by recruiting volunteers among 40~50 aged married women - 7 office workers and 2 ordinary citizens. And the control group also composed by 10 middle aged women.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questionnaire produced by 김광룡, 최인자 (1994) on the basis of ‘나를 존중하는 삶’ by 강승규(1994) - which is translated of Branden`s 'The six of Pillars of Self - Esteem and The Power of Self-Esteem' and 6 items of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지 developed by 박아청(2003) on the basis of Dignan Ego-identity scale. Th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 search, in-depth interview and making them do emotional cognition & expression by suggest existing literary·artistic various texts with keeping existing consultation techniques - self-understanding, self-acception and self-open in mind. And so we proceeded 10 sessions handling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and reactions. By the result of this work, we could know that their emotional status changed and enhancements of self worth and self identity. Also, every sessional results we could identify their self-positive reaction. And this means literary expression and positively effects on their emotion control by clarifying their thinking. Furthermore, we could find possibilities of affecting their personal relationships by reducing their negative emotions. As a result, the effectiveness of literary journal method - grafted by various artistic media as a new opportunity of therapeutic program. In the future, we expect developments of various programs which enhances middle-aged women`s emotional ability whose confronting desires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autonomously.

      • 다중지능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에 관한 단기종단적 내러티브 연구 : 영화 프로젝트 중심으로

        배지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 맞는 MI(Multiple Intelligences)의 개인적 지능(Personal Intelligences)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와 아동 내러티브의 특징을 단기종단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개인적 지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1-1. 개인이해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2. 대인관계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3.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4.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장기적인 효과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에 나타난 아동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1. 아동의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2. 유치원 교사의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3. 후속 연구의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를 대상으로 한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 설계’는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과정’, ‘교사의 역할’, ‘평가’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해석’은 MI적 관점으로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MI’, ‘도입전략’, ‘실제 범위’로 해석하였다. 이를 햇빛유치원 만 5세 1개반 유아 21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적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단기종단적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 참여 아동 중 초등학교에 진학한 5명의 질적 사례를 평균 5주씩 참여관찰, 심층면담 하였다. 다른 2명은 담임교사 심층면담만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과정적 의미를 찾고자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질적 연구도구는 ‘개인적 지능 구성 요소’, ‘내러티브 분석 준거’, ‘참여관찰’, ‘심층면담’이었다. 타당도 확보를 위해서는 Lincoln과 Guba의 ‘진정성 요구’와 ‘신뢰성 준거’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효과’는 연구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사례를 통해서도 효과가 증명되었다. 초등학교 진학 후의 사례에서도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업 적응과 대인 관계 형성에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둘째,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내러티브는 ‘아이들의 이야기’,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후속 이야기’로 기술하였다. 다양한 차원의 관점을 통해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적 지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필요한 점을 논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적 지능의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단기적으로 밝힌 선행연구와 달리 ‘단기종단적’으로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개인적 지능 연구에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간편형 평가도구로는 밝히기 힘든 개인적 지능의 향상 과정을 다양한 내러티브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향상 과정’과 ‘향상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상의 제한점’으로, 본 연구는 주제 중심의 프로젝트 접근법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교사의 경력이나 학력 또는 유아들의 개인차에 따라 다른 교육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에 대비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상의 보완책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 여건상의 제한점’으로, 현재 유아교육기관의 한 반 아동수가 약 30명 정도이므로 개인 프로파일을 존중하면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는 제한점을 감안하여 후속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 효과의 개인차’를 들 수 있다. 개인차로 인해, 동일한 교실에서 같은 프로그램을 경험했지만, 교육적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을 감안하여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개인차를 존중한 ‘개인 프로파일에 맞는 지도’가 필요하다.

      • 군에서 발생하는 권력형 성범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남성 피해자가 다수인 집단에서

        배지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군대에서 발생하는 권력형 성범죄를 일반사회에서 발생하는 권력형 성범죄와 비교하여, 가해자 및 피해자, 범행, 수사과정상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6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보통군사법원에서 유죄선고를 받은 판결문과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지방법원에서 유죄선고를 받은 판결문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판결문은 보통군사법원에서 31건, 지방법원에서 79건이었다. 그 결과 군에서 발생한 권력형 성범죄는 사회에 비하여 남성 피해자의 비율이 높고 피해자의 연령이 20~30대에 제한되었다. 가해자는 피해자의 고용자(감독자) 뿐만 아니라 상급자의 비율이 일반사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범죄는 일반사회에 비해 장소에 상관없이 발생하였으며, 범행시에는 근무중 뿐만 아니라 회식이나 그 외 상황도 비율이 일반사회보다 높았다. 군에서 발생하는 성범죄의 행위태양이 사회에 비하여 경미하였으며 피해자의 수도 적었다. 또한 군에서는 일반사회보다 수사기간이 짧았고, 보통군사법원에서는 지방법원에 비해 형량을 낮게 선고하였다. 본 연구는 이처럼 군과 일반사회에서 발생하는 권력형 성범죄를 통계적으로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군 내의 권력형 성범죄 피해 실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여 군에서의 성범죄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power-based sex offences occurring in the military with power-based sex offences occurring in the general society,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erpetrators and victims, crimes, and the process of investigations. To this end, 31 rulings convicted by ordinary military courts from 2016 to 2021 and 79 rulings convicted by local courts during 2021 were collected. As a result, power-based sex offencs in the military have a higher proportion of male victims than society. For the perpetrators, the proportion of the victims' employees (supervisors) as well as their superior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society. In addition, the behavioral aspect of sex offences occurring in the military was minor and the number of victims was small compared to societ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statistically comparing and analyzing power-type sex crimes occurring in the military and general society, and establishing strategies for preventing and coping with sex crimes in the military by grasping the damage in detail.

      • 아동미술의 특성과 효과적인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취학전 아동중심

        배지현 대구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 are born with the desire of expression, among them all, drawing or sketching some kind of things is the first and representative behaviour. But, it’s not that easy to assess pictures which painted by infants or to teach them painting. To help infants’ growth by teaching them painting and understanding, assessing mental states of them scrupulously, the expression world of infants which appears on their paintings must be observed discretely and carefully. The expression activity of infaints itself is expressing their subjective emotion and is including much of the environments and living conditions of the times which they feel about as a member of a community. Infants are born and growing with many contacts with peripheral environments and that kind of experience is expressed outwards by means of paintings. To achieve desirable education by means of paintings, first of all, we must research development steps, expression types and the like according to infants’transition of growth. This paper analysed development steps, characteristics and mental states of infants’ paintings, and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based on research data. If learning has good influences on growth, suitable education of early age will have unimaginable education effects and influences. Because Painting education which has some influence in infant period, is conceived in wrong way and treated carelessly, even the infants who have interest and desire are getting away from art painting as they grow. And teaching infants paintings like other subjects result in abnormal effects like skill development which fits to certain frame than discovery of themselves and expression. Because the focus of infants’ painting education is expression activity which exposes themselves, we havet to put importance on the creation process rather than completed results. This paper investigated and researched in various aspects for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painting and the method of teaching suitable to development steps. And the outcome is as follows. First, we have to provide infants with psychologically convenient atmosphere to bring them up well by means of painting activity. Second, we have to recognize that what infants feel about paintings is different with what teachers do, and so do the aspects with which they see the world. Third, we have to educate the infant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ity and development level and provide them with painting activity and data suitable to their interest, requirement, development level. Fourth, we have to induct the infants to participate in the art painting activity. The infants are educated by experiences of everyday life and use the insight which they have got through previous experiences, in getting new experiences. Fifth, we have to provide the infants with data suitable to painting activity. The selection of data used in painting activity and the method of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method of teaching. The teachers have to choose what the infants like and want as possible as they can in painting data and tools. Sixth, we have to encourage the infants to do not only personal activity but also group activity according to similar subjects, objectives or interests. Seventh, we have to estimate the infants’ painting work properly. We must not compare an infant’s painting work with that of other infant and must not estimate it according to an adult’s standards. In the education of the future, it is desirable to teach the infants as early as possible and educate them by means of target achievement of painting education. And early education of the infants will be alternative plan for the education of future considering its importance. So this paper investigated and researched the method which fit to the objective of painting education and expect that the infants can do their work activity based on the effective coaching for them and grow to be a good person purifying complicated and suppressed emotion.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소와 음운 규칙 습득의 상관관계 연구 : 치조비음화와 유음화를 중심으로

        배지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베트남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비음과 유음 발음 및 치조비음화·유음화 발음 실험을 진행하여 학습자들의 오류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음소와 음운 규칙 습득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연구의 필요성을 밝힌 후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론적 배경과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설명했다. 2장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목표언어인 한국어와 모국어인 베트남어의 자음 체계, 음절 구조, 음운 규칙을 대조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게 될 치조비음화와 유음화, 그리고 치조비음화와 구분될 필요가 있는 비음 동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베트남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개별 음소, 연쇄 음소, 음운 규칙 발음 실험을 설계 후 진행하였다. 4장에서는 각 실험의 오류율과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개별 음소, 연쇄 음소, 음운 규칙 실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의 결론을 비롯하여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및 한계를 제시하였다. 베트남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음 양상을 살펴본 결과, 치조비음화와 유음화 모두 음운 및 음절 발음과 별개로 음운 규칙 습득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급 학습자가 중급 학습자보다 치조비음화와 유음화 산출을 더 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음화의 경우를 보면, 중급 학습자는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해 종성 유음 발음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고급 학습자는 발음의 숙달도가 상승하여 그렇지 않았다. 그런데 유음화 발음의 오류율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단순 유음·연쇄 유음 발음과 비교해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오류율의 상승이 나타났다. 이는 유음이 포함된 음절 및 연쇄 유음 환경이 포함된 단어의 발음을 오류 없이 할 수 있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라고 할지라도 유음화 규칙의 지각 및 산출 문제로 유음화 습득에서 오류가 발생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리고 고급 학습자의 유음화 발음 오류율이 연쇄 유음 발음 오류율과 달리 중급 학습자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을 고려하면, 고급 학습자가 중급 학습자보다 유음화 규칙의 산출을 더 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치조비음화와 유음화가 공유하는 ‘ㄴ+ㄹ’ 환경에서 발생하는 음운 규칙 오적용 양상은 학습자들이 ‘ㄴ+ㄹ’ 환경에서 어느 음운 규칙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혼란을 느낀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이는 한국어 교실에서 유음화 교육 이후로 치조비음화를 교육할 때 ‘ㄴ+ㄹ’ 환경에 대한 설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치조비음화가 일어나야 하는 환경에서 유음화를 적용시키는 발음 오류는 유음화 대신 치조비음화가 적용되는 단어 부류가 일정한 경향성을 지님을 짚어주기만 해도 교정이 어렵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치조비음화 발음의 높은 오류율은 학생들의 음운 규칙 발음을 평가할 때 비음 동화와 치조비음화를 구분하여 살필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베트남어에는 한국어의 비음에 해당하는 음소들이 모두 존재하기 때문에 치조비음화에서 적용되는 모국어의 간섭은 음운 규칙의 부재 및 음절을 끊어서 읽는 특성뿐이다. 즉, 치조비음화의 오류는 ‘음운 규칙’ 교육의 문제와 직결된다. 고난이도의 단어를 실험 단어로 사용했다고 해도 한국의 어학당 및 대학교를 다녔거나 다니는 중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치조비음화 발음 오류율이 이토록 높다는 사실은 학습자들이 학교에서 치조비음화를 충분히 익히지 못했음을 증명한다. 기존 선행연구 대부분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음운 규칙 오류를 검토할 때 비음 동화와 치조비음화를 ‘비음화’ 항목으로 묶어서 살펴보는 경향이 있다. 비음 동화와 치조비음화를 명확하게 분리하여 학습자들의 발음에서 나타나는 오류 양상을 살펴보지 않는다면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분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비음 동화와 치조비음화를 분리하여 바라보면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고급 단계에 이르렀을 때 한국어에서 유음화가 적용되는 경우와 치조비음화가 적용되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도록 가르칠 필요가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유음화의 발음 오류를 분석하면서 음운 발음 오류와 음운 규칙 습득 오류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던 선행연구들을 보완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learners’ error patterns to identify the different error patterns in the realizations of individual phonemes and phonological rules in pronunciation through experiments on nasal and liquid phonemes and on the realizations of the Korean phonological rules by Vietnamese learners.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n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study. In Chapter 2, we conduct a contrast analysis of the consonant systems, syllable structures, and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the target language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of Vietnamese (their native language). In addition, we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es of Alveolar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that will be the focus of this study, and of Nasal Assimilation, which must be distinguished from Alveolar Nasalization. Chapter 3 reports pronunciation experiments on individual phonemes, phoneme sequences , and phonological rules that were designed and conducted with intermediate and advanced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In Chapter 4, the error rates and error patterns of each experiment a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experiments of individual phonemes, phoneme sequences , and are identified. Finally, Chapter 5 pres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ends with the conclusion. Examination of the pronunciation patterns of Vietnam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of Korean reveals that errors of reflecting L1 phonology occurred separately pronunciations of phonemes and syllabification in both Alveolar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dvanced learners’ realization of Alveolar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was better than that of intermediate learne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ateralization, intermediate learners had difficulty pronouncing liquids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ir native language, but advanced learners did not, showing greater proficiency in this aspect of pronunciation. However, analysis of the error rates in Lateralization in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error rates than for simple liquids and , demonstratingthat even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who can pronounce syllables with singleton and geminate liquids without errors have errors ofLateralization due problems in the recognition and realization ofphonetic rules. Moreover, as the Lateralization pronunciation error rate of advanced learner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intermediate learners, unlike the geminate liquid pronunciation error rate, it can be seen that advanced learners are more proficient at Lateralization than intermediate learners. Moreover, the mispronunciations in the environment ‘ㄴ+ㄹ’ common to Alveolar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reveals that learners are confused regarding which phonological rules to apply in the environment ‘ㄴ+ㄹ’.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environment ‘ㄴ+ㄹ’ when teaching Alveolar Nasalization in Korean class after the completion of training on Lateralization. In addition, the high error rate for Alveolar Nasalization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Alveolar Nasalization and Nasal Assimilation separately when evaluating students’ patterns of speech errors. Since these processes both involve Korean phonemes that correspond to the nasals in Vietnamese, the only L1 interference that would apply in Alveolar Nasalization would be the non-realization of L2 phonological ru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syllables. Thus, errors in Alveolar Nasalization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roblems of training in L2 phonological rules. Even if high-level words are used as experimental data, the fact that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who attended or are attending Korean language schools and universities have such a high pronunciation error rate shows that learners have not been adequately trained regarding Alveolar Nasalization. Most previous studies classified Nasal Assimilation and Alveolar Nasalization together when examining the errors of foreign learners of Korean. This study shows that if Nasal Assimilation and Alveolar Nasalization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when examining the patterns of errors in learners’ pronunciations, the pronunciation errors of Korean learners will not be accurately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demonstr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Vietnames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to distinguish where Lateralization and Alveolar Nasalization apply in Korean. In addition, it supplements previous studies that did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pronunciation errors involving individual phonemes and phonological rules when analyzing Lateralization errors.

      • 경제위기가 국가부채에 미치는 영향

        배지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재정지출의 증대는 총수요진작을 위해 불가피한 면이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재정적자가 누적되고 심한 경우 이로 인한 국가부도위기의 가능성이 생긴다. 이러한 가능성을 분석하기 의해 위기로 인해 국가부채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위기가 국가부채의 움직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기존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위기 이후 국가부채의 움직임을 종속변수로 둔 패널모형을 통해 경제 위기가 국가부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모든 경제적 위기가 국가부채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며, 오직 은행위기와 통화위기만이 중앙정부부채 증가율과 중앙정부 부채의 GDP대비 비율변화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가 아일랜드를 비롯한 구제금융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각국의 국가부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위기 이후 국가부채관리의 필요성이 커짐을 의미한다.

      • 진단방법발명의 특허성에 관한 연구

        배지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edical technologies have been evolving in association with other disciplines such as electronics, optics and mechanics. However, despite the amended patent deliberation criteria for the diagnosis method inventions, the patents of such medical technologies are being limited due to the defects involving their availability of industrial 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egal criteria for patent of such medical inventions in terms of legal provisions and practical deliberations in comparison with the cases of such advanced nations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an nations.In particular, this study reviewed the cases, procedures and results of the judical cases regarding the patent litiga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diagnosis and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deliberation criteria and their contents and explored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All in all in, it is deemed necessary to set the criteria for judgement of the patent rights about the diagnostic inventions, and thereby, reform the deliberation criteria for the diagnostic inventions in terms of amendment of the criteria, rearrangement of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establishment of new provisions solving the contradictions with other laws. 의료분야의 기술은 생명공학기술 발달과 더불어 전자, 광학, 기계 등의 다른 분야의 기술과 접목되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진단방법발명에 관한 최근 특허 심사기준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의료분야 기술에 관해서 산업상이용가능성 흠결을 이유로 여전히 제한적으로 특허를 허여해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방법발명에 대한 우리나라의 특허성 판단 기준을 법조문 및 심사실무와 함께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미국, 일본, 유럽의 관련 특허제도 및 심·판결례를 살펴본다. 특히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진단방법 발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와 관련한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 특허법상의 취급 및 심사실무와 심·판결례를 함께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최근 개정된 진단방법 관련 심사기준의 배경과 주요내용을 분석하고 개선점은 무엇인지 살펴본다.우리나라 및 주요국의 진단방법발명에 관한 특허성 판단 기준 및 심?판결례를 기초로, 진단방법발명에 관한 적절한 보호방안으로 심사기준의 추가 개정, 법조문의 재정비, 타법과의 저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규정 신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을 적용한 수업지도안 연구 :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中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배지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문화 교육은 편견이 형성되어 지기 시작하는 어린 연령대부터 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학생들이 접하는 여러 교과들 중 다른 교과에 비해 훨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과목이 ‘음악’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과서가 정식으로 분리된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중 유럽지역의 악곡을 선택하여 다문화 음악교육을 적용한 수업지도안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 이사회 독립성이 최고경영자 교체에 미치는 영향

        배지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board independence affects CEO(Chief executive officer) turnover and the type of turnover.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the Board of Directors plays the role of appointing or dismissing the CEO on behalf of shareholders, but the Board, which lacks independence from the CEO, has difficulty performing these role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s whether companies with low board independence are less likely to dismiss CEOs than those who do not, and less likely to replace CEOs with professional and external personnel. Our sample includes list firms in KOSPI between 2008 and 2016. Our results are as follows: Companies that have a CEO concurrently serving as the 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companies with a long average reappointment period of outside directors, and outside directors with the tenure of more than six years were less likely to replace CEOs and CEOs with professional managers and outside directors. However, the ratio of outside directors and CEO turnover(and type of turnover) could not achieve significant results.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differences from previous prior studies. First, if the prior study only considered the position of the 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 ratio of outside directors as variables of the board of directors, this study considered the outside directors tenure. Second, in the preceding study, only the turnover of the CEO was considered, but in this study, the turnover of professional managers and the turnover of external personnel was further considered. In the last study, the variables processed by adding and averaging rawdata were used in the preceding study, but in this study, each rawdata was used as a variable to verify a more direct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It has shown that if the CEO concurrently holds the position of 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or the tenure of outside directors is extended, it is difficult for the board to play a role in appointing or removing the chief executive officer. This means that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board performs its original role well for companies where the CEO concurrently serves as the 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or those with a long tenure of outside directors. It also provided a basis for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mendment to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mmercial Act, which prohibits the reappointment of a company for more than six years, as the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may be weakened when outside directors hold office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연구는 이사회 독립성이 최고경영자 교체 여부 및 교체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이사회는 주주를 대신하여 최고경영자를 선임 또는 해임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최고경영자로부터 독립성이 결여되어 있는 이사회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사회 독립성이 낮은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최고경영자 교체가능성이 낮은지, 추가적으로 전문경영인 및 외부영입인사로의 최고경영자 교체가능성이 낮은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표본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최고경영자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는 기업, 사외이사 평균재임기간이 긴 기업, 재임기간이 6년 이상인 사외이사를 포함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최고경영자 교체가능성이 낮으며 전문경영인으로, 외부영입인사로 교체가능성이 낮았다. 하지만 사외이사비율과 최고경영자 교체 여부 및 교체 유형은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인다. 첫째, 선행연구에서는 이사회의 변수로 이사회 의장 겸직여부와 사외이사비율만을 고려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사외이사의 재임기간까지 검토하였다. 둘째, 선행연구에서는 단순히 최고경영자 교체 여부만 살펴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 전문경영인으로의 교체와 외부영입인사로의 교체까지 검토하였다. 마지막은 선행연구에서는 rawdata를 가공한 변수를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rawdata 각각을 변수로 사용하여 변수 간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데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최고경영자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거나 사외이사 재임기간이 길어지면 이사회가 최고경영자를 선임 또는 해임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힘들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최고경영자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고 있는 기업이나 사외이사의 재임기간이 긴 기업에 대해서 이사회가 본연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지 주의를 기울일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사회 독립성이 사외이사가 장기간 재임하는 경우 이사회의 독립성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회사 6년 이상 재임을 금지하는 '상법 시행령' 개정안의 실효성을 지지해주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