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배소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학생 5, 6학년의 PAPS 등급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에 차이가 있음을 제공하고, PAPS의 체력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항목과의 관계성이 있음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지역 4개의 학교에서 각각 5, 6학년 4개의 반을 선택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PAPS 측정결과와 설문지를 가지고 학년 및 성별 집단별로 PAPS 등급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PAPS의 체력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 항목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관회귀분석(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의 경우 PAPS 2, 3, 4등급에 따라 5학년에서는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지구력, 신체전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6학년에서는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신체활동, 지구력, 신체전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둘째, 여학생의 경우 PAPS 2, 3, 4등급에 따라 5학년에서는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자기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6학년에서는 스포츠 유능감, 지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PAPS의 체력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 항목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많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심폐지구력은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근력․근지구력은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건강, 유연성, 근력, 신체전반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유연성은 스포츠 유능감, 신체활동, 유연성, 신체전반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순발력은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외모, 신체활동,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체지방은 체지방, 신체활동, 근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대체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 중 스포츠 유능감은 성별, 학년에 관계없이 PAPS 등급이 낮아질수록 신체적 자기개념이 낮았다. 외모, 건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오는 학년과 성별이 거의 없었고, 지구력은 5학년 여자를 제외하고 나머지 학년과 성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왔다.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 완벽주의와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배소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Academic procrastination action means the inability to perform the task within the time specified in the class scene and an act of procrastinating while having anxiety being due to that. It shows deteriorated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action if the parents are oppressive rearing attitude in preceding research or they use the parenting style that governs their children psychologically.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s that are thought to cause more maladjustment problems. Moreover, the necessity of explanatory power through mediating variables were brought up in that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had affected the multilateral effec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ctions in the previous study.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inspected the relationship of them considering with perfectionism and emotional regulation being known to influence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of children affected by parents. Consequently,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m (self-oriented, other-orientation, social imposi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ction.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560 students in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Mplus 7.0, it's for analysis of mediation effect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par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ther-oriented perfectionism, social impos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ction,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significant in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ction statistically. In addition, other-directed perfectionism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ction and social imposed perfectionis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was significant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c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in order to grasp the structural relations of between variable factors, the direct rout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o self-directed perfectionism and the direct route of self-directed perfectionism to emotional regulation were shown as all significant excluding the direct route of social imposed perfectionism and emotional regulation to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mong them, it's shown that the direct rout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o social imposed perfectionism was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Third, the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erfectionism (self-oriented, other-oriented, social imposi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ction. As a result, other-oriented perfectionism is showed a simpl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parents and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it showe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leading to the social imposed perfectionism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meaningful. In conclus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develops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 imposed perfectionism, and when other-oriented perfectionism is high,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can get higher, whereas if social imposed perfectionism is high, emotional regulation can be higher. Through this, we can be see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can be lowered. In other words, it is expected that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will be utilized to establish a counseling strategy for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s, according to being verified in ahead as the perfectionism and emotional regulation that affects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s. 학업지연행동은 학업장면에서 정해진 시간 안에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는 것과 그로 인한 불안을 가지면서도 미루는 행동을 뜻하며, 선행연구에서 부모가 강압적 양육태도를 보이거나, 심리적으로 통제하는 양육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강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부적응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고 생각되는 학업지연행동에 있어 부모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학업지연행동에 있어 다각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매개변인을 통한 설명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영향을 받으며 자녀의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완벽주의와 정서조절을 함께 고려하여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자기지향, 타인지향, 사회부과)와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고등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0과 Mplus 7.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비롯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학업지연행동과의 정적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정서조절과 정적상관, 학업지연행동과 부적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학업지연행동과 정적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정서조절과 정적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정서조절은 학업지연행동과 부적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기지향 완벽주의에 미치는 직접경로,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정서조절에 미치는 직접경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서조절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직접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가는 경로가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자기지향, 타인지향, 사회부과)와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지연행동 사이에서 타인지향 완벽주의가 단순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서조절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타인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발달시키고, 타인지향 완벽주의가 높으면 학업지연행동이 높아지는 한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으면 정서조절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학업지연행동은 낮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완벽주의와 정서조절에 선행하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학업지연행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위한 상담전략을 세우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1 교과서의 창의성 문항 분석 : 기하 단원을 중심으로

        배소라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21세기의 지식정보화 사회가 시시각각 엄청난 속도로 변화를 하고 있는데, 이에 세계는 미래를 대응하기 위해서 새로운 지식을 잘 습득하고, 창출해 내는 인재를 바라고 있다. 즉,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알맞은 창의성을 가진 인재를 필요로 하며, 창의성의 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자연스럽게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1 교과서의 기하 단원을 중심으로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문항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창의성의 의미와 수학적 창의성의 구성요소,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문항 기준에 대해 알아보고, 교과서에 있는 문항들을 창의성 문항에 맞게 선별하여 임선하의 DESK 모형 중 창의적 사고 기능에 나타난 하위요소들로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1 10종의 교과서를 분석 결과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문항이 총 581문항이 있었고, 기하 단원에 수록된 전체 문항의 약 26.5%이다. 교과서별로 창의성 문항이 가장 많은 교과서에는 80문항이 있었고, 가장 적은 교과서에는 43문항이 있었으며 평균적으로 약 58문항이 있었다. 단원별 창의성 문항 분포를 살펴보면 기본도형과 작도 단원에서 247문항이 있었고, 평면도형과 입체도형 단원에서 334문항이 있었다. 소단원으로 살펴보면 기본도형 단원은 159문항, 작도와 합동 단원은 88문항, 평면도형 성질 단원은 160문항, 입체도형 성질 단원은 174문항으로 작도와 합동 단원이 가장 적게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항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융통성에 대한 문항이 전체의 51.3%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정교성은 24.4%, 유창성은 18.8%, 독창성은 5.5%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하위 요소들의 분포를 비교해보면, 유창성의 하위 요소 중 (유-1)인 ‘특정 대상(현상)과 관련된 것을 자유롭게 떠올리기’에 관한 문항이 38%, 융통성의 하위 요소 중 (융-1)인 ‘대상에 대한 시점을 변화시켜 숨겨진 면 파악하기’에 관한 문항이 26.8%, 독창성의 하위 요소 중 (독-3)인 ‘기존의 생각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여 생각하기’에 관한 문항이 62.5%, 정교성의 하위 요소 중 (정-4)인 ‘생각이나 아이디어의 형성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기’에 관한 문항이 31%로 나타났다. 교과서에 실린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문항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독창성을 증진시키는 문항이 현저하게 적음을 알 수 있다. 융통성이 51.3%로 가장 많은데 비중을 좀 줄이고 독창성 문항의 비중을 늘려서 학생들이 다양한 유형의 문항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독창성 관련 문항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중학교 수학1 교과서를 활용하여 창의성 수업을 한다면, 문항에서 학습할 수 없는 요소들에 관련된 자료 개발이나 교수·학습 방법 연구를 통해 창의성의 각 요소들을 고르게 접하여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기회가 있으면 한다.

      • 체육수업의 정서체험 구조 탐구 : 초등예비여교사를 중심으로

        배소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여교사들의 체육교과 지도에 관심을 갖고 좋은 체육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초등예비여교사들의 체육수업에서 체험한 정서의 구조를 탐구하고자 한다. 초등예비여교사들이 체육수업에서 어떤 경험에서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가 발생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초등교원양성과정에서 긍정적 정서를 함양할 수 있는 체육수업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교육대학교 재학 중인 여학생을 대상으로 체육교과를 선호하는 6명과 체육교과를 선호하지 않은 6명을 선정하여 3회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논의한 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여교사들이 체험한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체육수업의 특징은 체육교육과정과 상관없이 교사의 편의에 의해서 내용이 선정되며, 체육교사는 수업에 관심이 없어 학생지도에 소홀하며 수행능력이 우수한 학생을 위주로 수업이 진행된다. 노력보다는 능력에 기초한 평가 방법, 학생들이 납득하지 못한 기준이나 방법으로 평가의 공정성을 의심하게 만들어 부정적 정서를 느끼게 된다. 초등예비여교사들은 자신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극복하기 위해 교사에게 도움을 청하지만 체육교사의 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 결국 초등예비여교사들은 체육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체험하면서 체육은 잘하는 사람이 따로 있고 노력으로 극복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체육에 대해 관심조차 없어지게 된다. 둘째, 초등예비여교사들이 체험한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체육수업의 특징은 체육수업의 주도권이 학생에게 있다는 것이다. 교사는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역할을 부여하는 체육수업, 학생들이 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 환경을 제공하려고 노력한다. 평가에 있어서도 학생들이 납득할 수 있는 평가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평가를 실시하면서 능력위주에서 탈피하여 노력에 대한 보상을 고려한 공정한 평가를 진행되었다. 학생과의 관계에서도 교사는 먼저 적극적으로 다가가 학생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또한 친구들과의 관계에서도 교사가 서로 응원하고 격려하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주며 서로 동료교사가 되어 자연스럽게 서로 가르쳐주고 배우면서 체육수업을 즐기게 된다. 긍정적인 수업을 통해 성공경험이 늘어나면서 체육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게 되고 노력에 대한 보상을 받기 위해 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긍정적 정서를 가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초등예비여교사들은 체육보다 운동에 대해서 긍정적인 정서를 가지고 있다. 초등예비여교사들은 단순히 신체활동을 싫어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경험한 체육수업을 통해 부정적 정서를 가지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초등교원 양성기관에서는 초등예비여교사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성공경험을 많이 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해 체육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수업을 해야 한다. 또한 학생의 수준에 맞는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와 친구들과 협동과 협력을 통해 향상된 모습을 평가하여 수업의 만족도를 높여 긍정적 정서를 높일 수 있는 좋은 체육수업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체육수업에서 부정적 정서를 줄이고 긍정적 정서체험을 많이 하는데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예비여교사들이 체육수업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즐겁게 체육수업을 할 수 있도록 초등교원양성과정에서 긍정적 정서체험을 많이 할 수 있도록 반전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좋은 체육수업을 경험한 초등예비여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자신의 체험을 반영하여 더 좋은 체육수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바이오모픽을 응용한 세포 이미지 표현 연구

        배소라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구상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생물체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의 생명활동을 통해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며 생명을 형성하고, 자연 속에서 질서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세포는 생명의 기본 단위로 생명력을 체험하게 하고, 시각화된 세포의 이미지는 자연의 본질적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과학과 기술의 상호 발전은 현미경을 통해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웠던 세포를 가시화할 수 있었고, 유전정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세포의 생명활동을 탐구하여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사회·문화·철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과 변화를 모색하였다. 특히, 예술 분야에 있어 유기적인 생명형상과 생물형태는 작품의 새로운 표현 요소로 반영되었고 추상 예술로서의 한 형식으로 확장되어 바이오모픽(Biomopic)이라는 미술사조가 형성되었다. 베르그송의 철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세포에서 보이는 독특한 미적 요소는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며 창작의 소재로써 무한한 표현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연구자는 가시화된 세포 이미지에서 비정형적인 형태와 독특한 미적 요소를 통해 새로운 영감을 받았으며 세포를 텍스타일 패턴의 시각적 모티브로 활용하여 다양한 생물 형태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바이오모픽에 관한 이론적 고찰, 세포의 조형원리와 구성요소를 탐구하여 작품의 이론적 틀을 형성하고 텍스타일 디자인의 다양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세포의 구성, 형태, 컬러를 그래픽 기술과 연구자의 주관적 감성에 따라 변형하고 조합하여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사물의 외형적 형태로 재해석하였다. 자연물로 표현된 세포를 모티브로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에 2016년 S/S 시즌 테마와 컬러 트렌드를 적용하여 8개의 디자인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를 스카프의 패턴, 레이아웃, 컬러의 구성요소에 따라 32개의 스카프를 제작함으로써 트렌드에 따른 디자인 기획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세포의 미적 요소를 통해 자연의 본질적 아름다움을 시각화하고 생물 형태적 이미지를 작품에 적용하여 예술의 조형 요소로써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대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있어 트렌드 테마 분석과 컬러 기획을 체계적으로 시도함으로써, 차별화된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Visible and invisible organisms consist of cells. Through vital activities of cells repeating creation and extinction, lives are born harmonizing with nature and maintaining order. Cells, the basic units of life, provide vitality, and visualized images of cells show fundamental beauty of nature. Mutual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enabled visualization of cells that were invisible to the naked eye and identification of the flow of genetic information. Exploration of vital activities of cells has revealed the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 and enabled new possibilities and changes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ety, culture and philosophy. For instance, in the field of art, phenomena of organic life and life forms have been reflected in artworks, which has expanded to a new type of expression, abstract art, and resulted in the biomorphic forms. Based on the philosophic theory by Bergson, unique aesthetic factors of cells have opened up various opportunities for creation and expression for artists by providing inspiration. The study was given new inspiration from informal forms and unique aesthetic factors of visualized cell images, and aimed to explore expressive possibilities of various forms of life using cells as visual motifs of textile patterns. Its objective is to form theoretical frames of artworks by investigating theoretical backgrounds of biomorphic shapes and the formative principle and components of cells, and show various potentials of textile design. By changing and mixing components, forms and colors of cells with graphic technologies according to my subjective emotions, they were reinterpreted into physical forms of natural things. 8 patterns of scarf design were made by reflecting cell forms expressed in natural shapes in textile patterns and analyzing the 2016 S/S season theme and color trends. In order to try different ways of applying design plans based on trends, 32 scarves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components including pattern, layout and color. The study visualized fundamental natural beauty through aesthetic factors of cells and reflected the image of life forms in artworks. Furthermore, it identified various expressive potentials by utilizing cells as artistic design element. Through systematic trend theme analysis and color planning for development of modern textile design, it suggested a differentiated design metho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