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증 장애 자녀 자립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모의 신념과 역할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중심으로

        박희성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55

        중증 장애 자녀 자립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모의 신념과 역할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중심으로 박희성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 전공 본 연구는 성인기 중증 장애 자녀를 둔 부모들이 자녀 자립 과정에서 어떠한 신념 과 장애인식을 가지고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그 과 정에 나타난 부모들의 신념과 역할 변화에 주목하여 장애인 자녀 자립 과정에서 나 타난 부모의 자립 신념과 역할에 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기 위하여 근거이론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국의 다양한 장애 유형을 가진 만 20세 이상 중증 의 자립한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 15명이었다. 자녀 자립의 기준은 1년 이상 경제적 자립과 물리적 자립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자료는 2023년 8월부터 2024년 2월까지 대 면과 비대면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은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 거이론 연구의 절차와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총 146개의 개념과 37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범주들을 배열하였다. 인과적 조건은 ‘중증 장애 자녀와의 동행’, ‘자녀의 성인기 도래’, ‘부모 사후 돌봄 문제’로 구성하 였고, 맥락적 조건은 ‘자립의 계기’, ‘부모의 자립 신념’, ‘자녀의 자립 의지’, ‘합심하여 이룬 분가(分家)’로 구성하였다. 중심현상은 ‘습관화된 부모 역할과 혼 재된 정서’로 구성하였다. 중재적 조건은‘자녀의 자립생활 적응’, ‘가족에 대한 인식변화’, ‘자립 이후 부모의 성찰’로 구성하였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복 지 인프라 활용’, ‘역할 변화 전략’, ‘자립 신념 굳히기’로 구성하였다. 결과는 ‘자립 유지의 확정’, ‘자녀 자립 후 부모의 과업’으로 구성하였다. 축코딩의 두 번째 단계인 과정 분석에서는 물리적 자립 지원 단계, 자립 적응 관여 단계, 부모 역 할 축소 단계, 자립 신념 보강 단계, 정서적 자립 지지 단계의 5단계로 참여자 경험 과정이 구성되었다. 선택 코딩에서는 먼저 핵심 범주를 구성하고 이야기 윤곽을 기술한 후, 유형 분석 과 상황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체이론인 핵심 범주는 ‘각자도생의 신념으 로 자녀의 자기결정을 지지함으로써 부모의 성장과 가족의 화합 및 자녀의 행복을 찾아가는 여정’으로 도출되었다. 유형 분석에서 도출된 참여자들의 실제 유형은 주 도적 추진형, 합의적 진행형, 존중적 보조형과 같이 세 가지로 나타났다. 상황 모형에 서는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개인 수준, 가족 수준, 사회 수준, 국가 수준으로 나누어 각 상황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개인 수준에서의 상황적 요인은 혼재된 정서, 습관화된 부모 역할, 부모의 성찰, 자립 신념 굳히기, 부모 역할의 축소와 변화로 나 타났다. 가족 수준에서의 상황적 요인은 장애 자녀의 적응과 변화, 형제 돌봄에 선을 그음, 명확한 가족 경계, 가족 화해로 나타났다. 사회 수준에서의 상황적 요인은 사회 적 인식개선 효과, 장애인 가족 자조 모임, 장애인 당사자 지지 모임으로 나타났다. 국가 수준에서의 상황적 요인은 자립 지원정책의 효과, 자립 유지 정책의 필요성, 복 지 인프라 활용, 활동지원사와 연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녀 자립의 의미와 본질, 부모 자녀 간의 자립 합의, 장애 정도와 유형에 따른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거쳐서, 정책적 및 실천적 제언 을 하였다. 주요어: 장애 자녀의 부모, 중증 장애인의 자립, 부모의 신념과 역할, 질적 연구, 근 거이론

      • R. Schumann Faschingsschwank aus Wien Op. 26, C. Debussy Suite Bergamasque L. 75 에 관한 연구

        박희성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Robert Schumann (1810-1856)의 Faschingsschwank aus Wien, Op. 26은 다섯 개의 곡을 하나로 묶는 성격소곡의 특징과 Sonata form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Faschingsschwank aus Wien Op. 26은 자신의 음악에 특정한 제목을 붙인 성격 소곡 (character piece) 중 하나이다. 제 1곡 Allegro 제 2곡 Romanze 제 3곡 Scherzino 제 4곡 Intermezzo 제 5곡Final로 구성되며 Schumann이 Wien에서 경험한 사육제의 분위기를 묘사한 곡이다. 각 악장은 빈 사육제의 서정적인 분위기와 생동감 넘치는 모습을 잘 표현하였다. 프랑스 인상주의의 대표적인 작곡가 드뷔시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의 초기 피아노 작품인 Suite Bergamasque는 4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Prelude는 서구적이고 즉흥적이며 화려한 오프닝 악장의 면모를 보인다. menuet는 고전적인 menuet와 trio로 구성되며 다양한 rhythm을 구사한다. Clair de lune은 낭만적인 분위기로 가득 차 있으며 화성을 통해서 달빛이 비추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Passepied는 주로 세박 계열의 빠른 menuet 형태이며 staccato와 분산화음의 사용이 두드러진 곡이다. Faschingsschwank aus Wien, Op. 26, composed by Robert Schumann (1810-1856), shows the structure of a sonata form and a feature of character piece, which binds five works together. This work is the one of character pieces that the specific title is named on the composer’s own work. It is composed of five movements: Allegro, Romanze, Scherzino, Intermezzo, and Final, to depict the mood of the carnival which he experienced in Wien. Suite Bergamasque, the early piano work of Claude Achille Debussy(1864-1918), the representative songwriter of impressionism in France, consists of four pieces. Prelude remains splendid characteristics of the openeing movement. Menuet, structured as a form of trio, has a command of various rhythms. Clair de Lune is filled with romantic emotions and illustrates a moonlit scene using a harmony. Passepied shows the form of fast menuet, and Staccato and broken chords are frequently used in this piece.

      • Molecular cloning, characterization,and expression of 3-Hydroxy-3 -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gene from tomato : 박희성

        박희성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 State Univ 1990 해외박사

        RANK : 248655

        HMG-CoA 환원효소는 식물체내의 아이소프레노이드생합성에 관련한 중요효소이다. 동물의 HMG-C- oA환원효소에 관한 연구를 밑받침으로하여 식물로 부터의 HMG-CoA환원효소유전자분리, 특성및 표를 실시하였다. .효모 및 동물의 HMG-CoA 환원효소유전자를 프로브로 사용하여 토마토의 Genomic을 분리하여 확인하였다. 토마토에는 네개 정도의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믿어지며 본연구에서HMG2 유전자는 그 중 하나이다. HMG2는 네개의 엑손과 세개의 인트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602개윰諭綬�단백질정보로서 지니고 있다. HMG2의 단백질은 아미노종단쪽으로두개의 막횡단지역이 있으복시종단에는 다른 종류의 HMGR과 높은 유사성을 지니고있다. HMG2의 mRNA는 2. 7kb로서 곰팡이련喪銖�유발물처리시에 토마토세포배양체에서관찰되며 또는 잎,줄기,뿌리에 상해를 가하면 mRNA수준 표현된다.

      • 학령인구의 변화와 교원 수급의 예측

        박희성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hanges in the school-age population would have influences on the supply and demand for teachers in the future. The birth rate continues to drop, and such a trend is expected to diminish the school-aged population. According to the projection releas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age of 6 to 18 will be half as large as the current one in 2050, which will affect supply and demand for teachers. The demand for teachers will be lagging and the entrance quota of colleges of education will be diminished. Various variables have an impact on the demand for teachers, but it is not realistic to deal with each of them in full detail.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class size and student/teacher ratio are two major variables to have the biggest impact. In July 20, 2000,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nounced a medium-range project to improve the educational conditions as equal as those of OECD member nations, and have pushed ahead with it since that time. The project primarily aims at making class size and student/teacher ratio respectively to the average numbers for the OECD member nations. This has already produced satisfactory results and will continue to be promoted in the future as well. When and to what extent class size and student/teacher ratio will be reduced depend on the government budget for education, and three hypotheses were made in this study: First, how many teachers would be in demand and supplied was projected on the assumption that class size and student/teacher ratio will respectively the average levels of OECD member nations till 2015 and reach the lowest levels of OECD member nations till 2050. Second, how many teachers would be in demand and supplied was projected on the assumption that class size and student/teacher ratio will reach respectively the average levels of OECD member nations till 2015 and remain the same until 2050. Third, how many teachers would be in demand an supplied was projected on the assumption that class size and student/teacher ratio will reach respectively the average levels of OECD member nations on a long . term basis until 2050. According to the model projections, the demand for teachers is projected to be on the rise for the time being. Since the Educational Condition Improvement Project is under way, both class size and student/teacher ratio are on the decrease, which causes a sharp increase in the demand for teachers. Especially, it will be hard to secure a sufficient numb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plans to give higher admission quota and transfer quota to colleges of education on a short-term basis. However, the school-aged population that shows a large decrease is inevitably expected to curtail the demand for teachers in and after 2015, though there will be some minor differences among the schools of different grade. In the long run, the demand for teacher will he diminished, and the numher of newly appointed teachers will be smaller than a half of the current size. As a consequence, admission quota of colleges of education wher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trained will have to be diminished by half in the long ru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should adjust admission quota on a long-term basis since there is a wide gap in the number of newly appointed teachers every year.

      • 국소구역 재발 유방암 환자의 예후 예측 모델

        박희성 울산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목적 본 연구는 국소구역 재발(Locoregional recurrence, LRR) 유방암의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LRR 후 원격전이(Distant metastasis, DM)와 사망과 관련된 인자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하여 LRR 환자의 예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9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1,236명의 유방암 환자 중 2014년 12월까지의 외래 추적 결과로 LRR이 확인된 512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에 대한 진단 당시의 임상병리학적 데이터와 수술적 치료 및, 항암치료, 항호르몬치료, 방사선치료 등 다양한 보조 치료에 대한 세부 데이터는 전향적으로 수집되어 익명화 되어 보관 중인 서울아산암병원 유방암센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였다. 또한 LRR 시의 재발 양상과 임상병리학적 특징에 대한 세부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LRR에 대한 국소 혹은 전신 치료 방법과 치료 이후 경과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였다. LRR 당시와 그 이후의 데이터 추출은 개인식별정보없이 임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Asan Biomedical Research Environment (ABLE)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중앙나이는44세(21-81), 중앙 관찰기간은 114.7개월(12.1-303.5) 이고 512명 환자의 42.6%인 224명에서LRR 발생 이후 DM가 확인 되었다. 33명은 DM 발생을 관찰하지 못하였으나 국가 자료를 통해 유방암에 의한 사망이 확인되어, 두 형태를 합하여 DM 발생군으로 구분하였다. DM 발생이 확인된 환자224명의 DM 발생까지 중앙 발생시간은 24.1개월(3.32-174.42)였다. 287명이 원발암의 치료를 위해 유방전절제술을 시행 받았고, 222명이 유방보존수술을 받았다. 병기 상으로 볼 때 2기 이상이 환자가 344명(67.2%)으로, 1기 환자에 비해 많은 구성비를 가지고 있었다. 원발암과 재발암에서 호르몬 수용체의 상태 변화가 확인된 환자가 72명(19.6%)이었고, HER2 과발현의 변화는 58명(18.6%)에서 확인되었다. 국소재발(local recurrence alone; LR)군 (264명)에서 추가 재발이 발견되지 않은 환자는 136명이었고, 구역재발(regional recurrence +/- local recurrence; RR)군 (248명)에서는 99명이었다. 각 군에서 추가적인 첫 재발이 DM로 나타난 경우가 LR군에서는 71명, RR군에서는 113명으로 추가 재발 형태의 다수를 차지하였고 이들의 5년 DMFS rate는 각각 10%, 8%였다. Cox regression 을 통한 다변량 분석 결과, DMFS에 관련된 요소로는 원발암의 림프절 전이 존재(p-value <0.001, HR 2.732; 95% CI, 1.702-4.385), 림프혈관 침윤 존재(p-value =0.002, HR 1.861; 95% CI, 1.264-2.739), 첫 재발이 RR(p-value=0.026, HR 1.577; 95% CI, 1.057-2.354), 재발병변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미시행(p-value =0.034, HR 1.830; 95% CI 1.045-3.203), 2년 미만의 DFI(p-value =0.018, HR 1.573; 95% CI, 1.082-2.287)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나이, 수술 방법과, 원발암의 T stage, 조직학적 등급, 호르몬 수용체 유무, 세부타입의 차이, 항암 치료 시행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value = 0.184, 0.809, 0.954, 0.600, 0.239, 0.328) 다변량 분석 상 유의한 독립인자를 매개로 하여 DM 발생과 관련한 위험을 점수화하고 점수에 따라 4개의 군(0,1~2,3~4,5~6)으로 나누어 DMFS 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점수 그룹에 따른 DMFS 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p-value<0.001) 재발 형태에 따라 이러한 경향은 차이가 있어, 동측유방내종양 재발(ipsilateral breast tumor recurrence; IBTR)군에서는 점수 그룹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p-value =0.230), 나머지 3개의 재발 형태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value<0.001, 0.019, 0.001) 특히 비 IBTR군에서 점수 그룹에 따른 DMFS 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 LRR 환자의 DMFS 에 악영향을 주는 독립적인 인자로는 원발암의 림프절 전이, LVI, 첫 재발이 RR, 2년 미만의 짧은 무병생존기간, 재발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 미시행이 있고, 이 인자들의 발현에 따른 점수에 따라DMFS의 차이를 예측할 수 있다. 점수의 따른 DMFS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은 재발의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IBTR인 경우가 다른 재발형태에 비하여 전반적인 예후가 좋고, 다른 3가지 재발군과는 달리 IBTR 군내에서의 인자 발현 점수에 따른 DMFS과의 상관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 SWMM 모델을 이용한 인구밀집도 및 차집비율 변화에 따른 CSOs 발생특성

        박희성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우천시 높은 오염물질이 공공수역으로 유입되면서 수질오염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합류식 하수관거에서의 강우시 발생되는 월류수(Combined Sewer Overflows, CSOs)는 발생원이 비점오염원 특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유해물질이 단시간에 급격한 오염부하를 야기하기 때문에 하천수질 및 생태계의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청천시 및 우천시 수질 및 유량을 측정하여 CSOs 발생특성을 분석하였으며, CSOs 발생특성을 지역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청천시 시간최대오수량의 3배를 차집하는 것이 아니라 차집비율을 이보다 증가시켰을 경우 CSOs 발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우수유출모델인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인구밀집도, 강우시 차집비율 등을 변화시키면서 이로 인해 변화하는 합류식 하수관거내의 월류부하량과 월류횟수를 분석하였으며, 계획차집비율의 변동에 따른 CSOs의 발생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차집비율과 인구밀집도 변화에 따라 월류부하량과 월류횟수가 변동함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이 지역의 특성에 따른 차집비율 결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Recently, water pollution has been brought into a pending issue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Korea, especially pollutants for first flushing in combined sewer system have impacted badly into water body for public health. Because Combined Sewer Overflows (CSOs) carries the sources of hazardous substances or non-point pollutants that can suddenly rise pollution load in the short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by using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under the condition of intercepting ratio increased more than 3 times of design hourly maximum sewage flow, not when just 3 times of design hourly maximum sewage flow was intercepted in dry weather period without considering condition of area. In order to consider it, real data of combined sewer overflows and frequency of overflows were monitored and analyzed, while population density of subject area, intercepting ratio in wet weather period, etc were calculated in SWMM. Also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of CSO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planned intercepting ratio. The result shows that the changes of combined sewer overflows and frequency of overflows have a relation to intercepting ratio and population density. It is considered that this approach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decide intercepting ratio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 창의성경영 측정도구의 구성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 창의성경영의 5대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박희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이제 창의성은 조직이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자원이 되고 있다. 그리고 창의성에 대한 인식도 관리가 어렵다는 기존의 생각에서 ‘관리 불가능한 것을 관리하는 것’이라는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이에 조직은 창의성을 관리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손태원 등(2002, 2003)이 제안한 창의성경영의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일반 기업 및 조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경영 측정도구를 개발한 후 구성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창의성경영의 구성요인 확인을 위하여 조직 수준의 창의성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주장한 구성요인을 정리한 후,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5대 구성요인(다양성, 자율성, 중첩성, 연결성, 유연성)과 비교하였다. 검토 결과 선행연구들은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창의성경영의 5대 구성요인과 대부분 일치하거나 5대 구성요인과 유사한 구성요인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창의성경영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은 본 연구에서 주장한 것과 같이 다양성, 자율성, 중첩성, 연결성, 유연성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창의성경영 측정도구의 문항 개발을 위해 최종 확정된 요인별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세웠다. 다양성에 관한 문항개발을 위한 기준은 구성원의 출신배경, 개성이 얼마나 존중되는지 정도, 조직 구성원들이 의견을 얼마나 개진하는지 등이고, 자율성관련 문항개발을 위한 기준은 자율적인 의사결정, 자발성, 중첩성의 문항개발을 위한 기준은 자원(시간, 정보, 인력)의 충분성, 업무 외 휴식의 지원 정도, 연결성의 문항개발을 위한 기준은 조직 내부 교류 활성화, 조직 외부 교류 활성화, 구성원 간 지식 공유, 그리고 유연성의 문항개발을 위한 기준은 문화․관행의 유연성, 구조․제도의 유연성이다. 이 기준에 따라 총 65개 문항을 개발하였고, 200명이 참여한 예비조사를 통해 최종 5개의 구조개념과 25개 문항이 선택되었다. 본조사에서는 측정모델의 전반적인 적합도를 평가하였고 수렴타당성, 판별타당성, 법칙타당성을 통하여 구성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창의성경영의 개념적 구성요인은 다양성, 자율성, 중첩성, 연결성, 유연성 등 5개의 요인으로 구조화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창의성경영 측정도구의 수렴타당성을 평가한 결과 다양성, 자율성, 중첩성, 연결성, 유연성에 대한 표준화 요인적재량이 1개 문항을 제외하고 0.5이상이었으며, 분산추출의 값은 0.5 이상, 개념신뢰도가 0.7 이상으로 나타나 수렴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창의성경영 측정도구의 판별타당성을 평가한 결과, 5개의 개념 모두 평균분산추출 값이 개념들 간 상관계수의 제곱값을 상회하여 판별타당도가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창의성경영 측정도구의 법칙타당성을 평가한 결과, 창의성경영은 창의성성과와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이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성경영의 구성요인을 재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창의성경영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본 측정도구는 기존의 교육학, 심리학 등에서 사용되어 왔던 측정도구와 달리 창의성을 관리적 입장에서 보고 있으며, 일반 기업 또는 조직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창의성경영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조직의 창의성과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따라 실험 수업에서 나타나는 탐구 수준 분석

        박희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따라 과학 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탐구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수원지역 S초등학교 6학년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과학 교수 효능감 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 2명, 낮은 교사 2명을 선정하고 과학 실험 수업 2차시를 해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대상 교사들은 학교교육과정상 진행되는 시기에 맞추어 수업을 하였다. 연구자는 해당 수업을 촬영하여 그 내용을 전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탐구 수준을 평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서 차이를 보이는 네 교사의 8가지 항목 별 탐구 점수는 ‘개념소개’ 항목을 제외하고는 7가지 평가 항목에서 대부분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네 교사의 탐구 수준도 ‘확인탐구’와 ‘구조화된 탐구’에 머물러 모두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다고 해서 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탐구 수준이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와 낮은 교사의 탐구 수준이 같게 나타나거나 과학 교수 효능감이 낮은 교사가 탐구수준 항목별로 볼 때 높은 점수를 받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 네 교사들 중 과학 교수 효능감에서 가장 차이가 큰 두 교사의 경우 탐구수준에서도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였으나 이것이 과학 교수 효능감에 의한 차이인지는 알 수 없었다.

      • 시간경과에 따른 온라인 브랜드 개성의 속성이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희성 강원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인터넷 기업들이 브랜드 애호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시점과 향후 미치게 될 사후시점까지 고려하여 브랜드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 연구된 적이 없는 시간변화라는 시점을 두어 사전시점(t)이 사후시점(t+1)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사전시점(t)과 사후시점(t+1) 각각의 동시간대에 온라인 브랜드 개성,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 간의 연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는 기존 연구의 확장개념으로 새로운 시간변화라는 척도를 가지고 브랜드 개성,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애호도를 측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실증분석을 통한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기업을 대상으로 동시간대 즉, 사전시점(t)에서의 온라인 브랜드 개성,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 간의 영향관계와 사후시점(t+1)에서의 온라인 브랜드 개성,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 간의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동시간대는 사전시점(t)과 사후시점(t+1)에 관계없이 온라인 브랜드 개성이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주고,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가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전시점(t)과 사후시점(t+1)의 시간차이를 두어 온라인 브랜드 개성,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가 각각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사전시점(t)이 사후시점(t+1)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사후시점(t+1)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영향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사전시점(t) 브랜드 개성의 속성들의 경로계수와 사후시점(t+1)의 경로계수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경과에 따라 온라인 소비자들에 주는 브랜드 개성 요소들의 가중치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사후시점(t+1)의 브랜드 애호도가 변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후시점(t+1)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는 사전시점(t)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의 영향을 받는 것 보다는 시간경과 후 사후시점(t+1) 온라인 브랜드 개성의 요소로부터 영향을 받은 사후시점(t+1)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 나타난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론에 대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기존의 연구 방법은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이미지에,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애호도에 영향을 준다는 단일차원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시간변화라는 변수를 두고 사전시점(t)과 사후시점(t+1)로 나누어서 각각의 영향과 사전시점(t)에서 사후시점(t+1)으로 영향을 주었을 때의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기에 다차원적인 연구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아직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인터넷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한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하여 인터넷 기업들이 온라인 브랜드 전략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를 높이기 위해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와 온라인 브랜드 개성 및 관련 속성을 중요시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 향후 영향을 받을 사후시점(t+1)의 브랜드 개성,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애호도까지 포함하면서 온라인 브랜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히는 바이다. 연구결과에도 나왔듯이 사후시점(t+1)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전시점(t) 온라인 브랜드 애호도 뿐만 아니라 사전시점(t) 온라인 브랜드 개성과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받는 사후시점(t+1)의 온라인 브랜드 개성과 온라인 브랜드 이미지에도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