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전통 건축의 배색특성에 관한 연구

        박효철 中央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전통 건축의 배색은 조형적으로 우수하며, 자연의 색과 잘 조화된다`고 정성 적으로 평가한바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한국 전통 건축에서 지각되는 다양한 배색이 조화되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들의 내.외면적 배색특성을 밝혀서 한국적 색채 구성을 요구하는 현대의 색채 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있는 국가 또는 지방 문화재로 지정된 궁궐.불교.유교.주거 건축 등 총65개 대상지에서 126채 건축물을 대상으로 관찰 조사하였다. 현장 조사는 2001년 9월 11일부터 2002년 5월 18일 사이에 10,000 lux 이상의 쾌청한 날 일출 3시간 이후부터 일몰 3시간 이전에 연구자가 직접 조사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채 보수 중인 것이나, 조선시대 건축색채로서 대표성이 부족한 것 등은 제외시키고, 각 용도별 15채 내외의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용도별 분석대상 건축물들은 지각위치별로 Photoshop6.0에서 Filter/Pixelate/Mosaic(cell size;10 square)과정을 거쳐 평균 색을 구하여, 면적을 고려한 배색 팔레트를 구성하였다. 배색 팔레트 가운데, 용도별 대표적인 건축물의 지각위치별 배색 팔레트를 시감측색법으로 측색하여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용도별.지각위치별로 촬영된 사진자료를 컴퓨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측색된 결과와 비교하면서 색채지각이론, 색조체계 그리고 전통색채 관련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 전통건축의 내.외면적 배색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전통건축의 배색은 색채조화 특성, 시각적 보정 특성, 내면적 조형의식의 내재 특성, 다양한 배색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건축에서 지각되는 다양한 배색은 잘 조화된다. 채색한 건축물과 채색하지 않은 건축물의 원경.중경.근경.접경의 배색 팔레트와 계절별 배색 팔레트에 대한 미도(aesthetic measure)를 문과 스펜서(Moon & Spencer)의 색채조화이론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든 배색 팔레트들은 색채조화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채색이전의 단청에 대한 미도보다는 탈색이 진행 중인 현재의 배색 미도가 월등히 높게 평가되었다. 둘째, 한국 전통건축의 배색은 조형미를 잘 드러나게하고, 시각적 안정감을 주는 시각보정 특성이 있다. 한국 전통건축에 대하여 색채지각 이론과 색조체계에 의해 용도별.지각위치별 배색을 분석한 결과, 한국 전통건축의 배색은 인접부재나 자연환경색채와 색채지각 효과에 의해서 부재들의 경계를 확실히 구분한다. 특히 지붕 선, 처마 선, 기둥 선은 주변 색들과 대비되어서 명확히 구분되며, 인접색과 구분된 선들은 결국 전통건축의 균형잡힌 조형미를 잘 드러나게 하는 시각보정 특성이 있다. 또한, 한국 전통건축의 큰 회색기와 지붕은 저명도이기 때문에 시각적 안정감 면에서 불리하지만 경사지붕의 기와 면에서 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가볍게 지각되고, 깊은 처마 때문에 그림자진 하부 벽면은 무겁게 지각된다. 따라서 입면의 전체적인 배색이미지는 색의 중량감면에서 시각적 균형을 이룬다. 더구나 적색계열 기둥은 팽창?진출하는 색이므로 강하고 견실해 보이며, 기둥을 비롯한 주요 구조재들은 주변 배경색과 색채지각효과에 의해서 강조되는 특성이 있어서 큰 지붕의 무게를 견디기에 넉넉해 보이는 시각 보정특성이 있다. 셋째, 한국 전통건축의 배색은 시대정신과 주술적 의미의 내면적 조형의식이 내재되어 있다. 유교건축과 주거건축은 물론이고, 궁궐건축도 화려하지 않은 단청법으로 채색하였는데, 이러한 채색법은 용도가 다르지만, 검약정신을 기본으로 하는 당시의 유교사상이 색채로 표현된 내면적 조형의식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한국 전통건축의 전체적인 배색이미지는 용도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상록하단(上綠下丹)의 배색 이미지를 갖는다. 이것은 오래 전부터 내려오고 있는 민족의 회화와 문학작품에서 계절과 관계없이 푸른빛을 띄는 소나무에 대한 은유적 표현과 같이, 건축물이 지속적으로 보존되기 원하는 주술적의미로서, 자연의 내.외면적 배색 이미지를 동일시하여 인식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 상록하단의 녹색과 적색은 양(陽)의 색이므로 한국 전통건축의 배색은 전체적으로 양의 색 이미지이다. 특히 주요 구조부는 모두 양의 색으로 배색되고, 음(陰)의 색들은 양의 색이 돋보이도록 하는 배색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의 배색은 음기인 악귀를 쫓고 건축물을 지속적으로 보호?보존코자하는 주술적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또한 지붕기와의 검은 색은 물에 약한 목조건축의 단점과, 춥고 비가 많은 우리 나라 기후특성, 당시 대외적 정치적 상황 등으로부터 피해를 막기 원하는 주술적 의미가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한국 전통건축의 배색은 건축물에 대한 성격과 위계를 표현하려는 내면적 조형의식이 내재되어 있으며, 다양한 배색 팔레트를 제공한다. 한국 전통건축의 처마 밑에 걸린 현판들은 주변 색과 색채지각효과에 의해서 사용자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동일한 용도 전각들 사이에는 전각에 따라 배색의 위계가 나타난다. 궁궐건축은 「입면에서 공포부의 채색 면적비」면에서 정전, 편전, 침전의 순으로 위계를 보이며, 불교건축은 「단청의 종류」,「색상」,「입면에서 공포부의 면적비」등 모든 면에서 본전(本殿)이 그 외의 전각들보다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위계를 보인다. 또한, 유교건축은 배향(配享) 공간의 전각이 강학(講學) 공간의 전각보다 위계를 구분하는 모든 면에서 상위를 보인다. 한편, 용도별 본전의 배색 이미지는 보는 시각에 따라 차이가 있다. 「단청의 종류」면에서 불교건축은 금단청, 궁궐건축은 모로단청, 유교건축은 가칠단청으로 채색하므로, 불교건축이 가장 화려한 배색이미지 특성을 보인다. 「색상」면에서 유교건축은 위계가 높은 황색과 적색계열, 불교건축은 청색계열, 궁궐건축은 녹색계열 배색 이미지가 두드러진다. 또한「입면에서 공포부의 채색 면적비」면에서 중층(中層)형 다포계 공포인 궁궐건축이 가장 높고, 불교건축, 유교건축의 순으로 채색면적비가 낮아진다. 즉, 한국 전통건축의 배색은 용도마다 갖고 있는 목적 내지는 성격을 표현코자하는 조형언어로서 각각의 배색이미지 특성을 갖는다. 한국 전통건축으로부터 지각되는 용도별.지각위치별 다양한 배색 팔레트는 부록에 첨부하였다. 이 배색 팔레트는 잘 조화되며, 한국적 조형의식이 내재되어있으므로 한국적 조형미가 요구되는 색채계획에 응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특허정보를 활용한 부산지역 산업의 기술중심 지역혁신역량 분석 연구

        박효철 부경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특허정보는 객관적인 기술정보로서, 현재의 기술수준과 향후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기술혁신이나 변화를 조망하는데 매우 유용하고 가치 있는 자료이다. 특허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의 기술혁신역량 수준을 분석하는 것은 국가 및 지역에서의 지역혁신체제 확립을 위한 기획과 실행의 각 단계에서 매우 객관적이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국내·외에 걸쳐 종래 노동과 자본 중심의 요소투입형에서 첨단과학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혁신형지식기반사회의 급속한 진행으로 산업 및 사회 환경 전반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증가되면서, 그간 중앙정부 주도의 국가혁신체제가 지역 중심의 지역혁신체제로 전환이 시도되고 있다. 이는 특정 지역 내에서의 지식, 정보교류의 효율성에 기반한 각 지역별 혁신 성과 창출을 통해 국가혁신체제의 성과를 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도 국가혁신체제의 실현을 위해서 지역혁신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혁신체제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하려면 지역 내 기술혁신역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지식정보사회가 고도화될수록 새로운 지식, 신기술의 대두 속도가 급속하게 빨라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자면, 종래의 접근방법인 종합적 시각으로 매번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성적 분석을 배제하고 정량적 분석에 입각하여 지역 내 기술혁신역량의 동태를 적시에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상업화를 전제로 등록된, 객관적 기술 정보인 특허정보를 혁신역량의 대리지표로 간주하여 특허공동분류, 연관규칙 마이닝, 특허-산업연계표, ANP분석(Analytic Network Process, 네트워크분석과정) 등의 분석도구를 활용함으로써, 특허정보로부터 추출된 기술클래스 간 영향력을 산업 군에서의 상호 영향력으로 변환하여 산업 전반에 영향력이 큰 순으로 지역 내 주력 산업 군을 탐색한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ANP분석기법이 당초에는 의사결정 대안 간의 영향력에 기초한 의사결정방법론으로 제시되었으나, 점점 다양한 분야에서 요소 간의 영향력 분석으로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산업 전반에 영향력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중요한 산업이며, 정책지원 대상을 결정할 때, 당연히 이러한 산업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혁신체제의 지원 대상이 될 산업 군의 전략적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체계적이고 자동화된 분석방법의 토대로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역혁신역량 계량화방법론은, 정성적 분석을 포함한 종합적이고 다원적 접근을 보완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atent information is objective technology information, and it is very useful and valuable data for grasping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and future technology trends and forecas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or changes. In other words, patent information can be helpful not only for R&D parties but also for government or institutions to develop support strategies for industries. As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is advanced, the government is shifting emphasis away from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NIS)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to a regional innovation system(RIS) centered on the region. Globally, interest in the regional approach is increasing for the concrete realization of N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planners of the RIS with information that will help in the better choice of policy support targets. For the RIS to work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accurate diagnosi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the region is essential. This study implements to figure out region-specific industries by analyzing patent data using quantitative rather than qualitative methods. We will use patent information statistics as proxy data of innovation capabilities. The technology class extracted from patent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mutual influences in the industry group, and the dominant industry group is to b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tools such as patent co-classification, ARM(Association Rule Mining) and ANP(Analytic Network Proces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fact that ANP was used as a method of analysis of decision making at first, but gradually it i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lements in various areas. We consider that the industry group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all industries is the most important. Finally, these industry groups with high spillover to the entire industry are those with high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y. These industry group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selecting target groups for policy suppor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acilitating the regional institutions to identify region-specific industries from a technology-oriented perspective and to develop support strategies for these industries.

      •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of human papillomavirus genotypes in Gyeonggi northern a general hospital

        박효철 Namseoul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가 별 등록된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에 대한 기초연구는 일반적으로 IARC 데이터베이스에 보고 된 것보다 높다. HPV 검사 (Anyplex ™ II HPV 28 Detection Kit, Seegene, Korea)를 이용하여 자궁경부 표본과 HPV 유전자형의 검출률을 조사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 내원한 환자에서 HPV 감염의 유병률, 유전자형 및 동향을 후향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단일 및 다중 감염 모두에서 HPV 52, 16의 검출률이 높은 것은 자궁경부암이 고위험 HPV 유형에서 중요하다. HPV 52, 16, 58 및 68은 병원의 지역성을 보이는 높은 분포를 보였다. 지난 3년간 고위험 HPV(n=1,048, 66.7%)와 저위험 HPV(n=187, 11.8%)이었다. 고위험 HPV의 단일 및 양성 유전자형은 HPV-16 (13.9%), 58(11.0%), 52(14.6%)이었다. 혼합 유전자형은 18.7% (n=38)에서 2가지 유전자형 (16/58, 39/52)이 높게 나타났다. 향후에는 젊은 여성과 사춘기 여성을 대상으로 구분하여 조사가 필요하고 이 같은 종합적인 실태정보는 자궁경부암 예방 정책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유전자형, 인유두종바이러스, 고위험인유두종바이러스, 혼합감염 Country specific registry based studies generally found a higher incidence rate of cervical cancer than that reported by the IARC global database. We have assessed the HPV detection rates among cervical samples and pellet fraction of urine samples using HPV test (Anyplex™ II HPV 28 Detection kit, Seegene,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to evaluate the prevalence, genotypes and trend of HPV infection in clinical samples collected from hospitalized. The high prevalence of HPV 52 in both single and multiple infection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HPV 16, the second most common high-risk HPV types in cervical cancer. HPV 52, 16, 58 and 68 were observed to have a high prevalence among the women analysed in regional hospital. Over the last 3 years, high risk HPV and low risk HPV were found 1,048 (66.7%), 187 (11.8%) of positive samples (n=1573). The most frequently found genotypes in all HR-HPV-single positive samples (n=785) were HPV-16(13.9%), 58(11.0%), 52(14.6%). Mixed genotypes were highly detected 2 genotypes (16/58, 39/52) with 18.7% (n=38).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creen younger women and adolescents female, This information would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cervical cancer prevention policies. Key words: Genotype, High risk HPV, Human papillomavirus. Mixed infection.

      • 민영화에 따른 인사급여 시스템의 이행전략에 관한 연구 : 철도청 직급 및 승진제도, 보수제도를 중심으로

        박효철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도청의 민영화를 전제조건으로 현재의 공무원 조직으로부터 민영화조직에서의 인사급여 시스템의 모형을 구축해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철도청조직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하여 여기서 도출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인사급여시스템을 설계하여 보기 위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기 위해 현 철도청 조직의 조직현황과 조직·인력분석 및 직급·승진·보수제도를 중심으로한 인사급여 시스템의 현황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다음으로 민영화 이후의 효과적 조직의 운영방법, 인사 급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상위직급에서 승진하기 위해서는 승진소요 최저연수를 훨씬 지나서야 승진을 할 수 있었으며 그로 인한 인사적체도 심함을 알 수 있었고 근무성적 평정항목만으로는 능력주의 실현에 큰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 승진은 근속연수에 비중을 더 높게 두기 때문에 장기근속자가 유리한 편이다. 이로 인하여 평정자는 근무성적평정이 승진에 영향을 주는 항목인 근속연수에 따라 근무성적평정을 하여 결과적으로는 연공중심의 승진운영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석과 공기업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재 직급 제도의 역할계층을 4단계로 줄이고 9개 직급에서 7개 직급으로 하고 직책승진과 직급승진의 분리를 통하여 인사적체의 해소, 승진욕구의 충족, 직무수행능력 및 조직역할을 고려할 수 있는 방향으로 승진제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승진기준은 근무성적 포인트제를 새로이 도입하고 역할계층·직급에 따른 승진기준을 차별화 하는 방법, 다면평가제도의 적극적인 도입을 통하여 직무수행능력, 역할에 따른 승진 기준, 연공을 고려하되 능력중심의 승진제도 개선을 통해 현재보다는 보다 효과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기업운영에 있어서 인사의 핵심은 '일'과 '사람'을 Matching하는 것이라 본다. 둘 중 어느 것을 중요 시 하느냐에 따라 그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일보다는 사람위주의 인사가 이루어져 왔고, 따라서 일의 가치에 관계없이 보상이 이루어졌으며, 동일 일을 하면서도 사람들이 진급에 신경을 쓰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사례로 든 한국담배인삼공사와 한국통신에서 보듯이 새로운 인사 체계는 시장성 확보와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성과주의를 바탕으로 한 조직공헌 및 시장가치에 따른 처우와 보상의 차별화를 중심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일을 먼저 정의하고 그러한 일의 수행에 적합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발 활용하며, 거기에 상응하는 대우를 해주는 것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인사제도는 조직과 직원 개개인의 수용과 운용능력이 매우 중요하므로 급격한 전환보다는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One of the fundamental policies promoted during last two decades by Korean Government is the privatization, since inefficiency and ineffectiveness shown by the public sector has always been a hot debate in Korean society. In this respect, many publicly owned organizations were, have been, or expected to be incessantly privatized by the initiative of Korean government. KNR, as the case of this thesis, has also been experiencing a basic organizational change and has been a subject of hot debate lately in terms of privatiz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pict the critical aspects of personnel and wage system needed to consider in case of privatization of KNR. The details of thesis are as follows: 1) the background of privatization in KNR 2) some critical points expected to be confronted in case of privatization 3) two cases in public sector who have experienced the debate of privatization before KNR. 4) some suggestions and conclusion. As results, this thesis is suggesting that strategic changes need some systemic preparation in advance such as organizational, structural as well as institutional dimension in order to meet the logic of private sector.

      • 자전거도로 건설에 따른 편익분석 방법론 정립

        박효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조사된 바에 따르면 많은 자전거를 이용하여 출퇴근하는 사람(이하 자출족)들은 일반적으로 자전거를 레저 목적으로 이용한 후 자출족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전거를 레저 목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자출족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본 연구는 레저 목적으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자출족이 되기까지의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가 하는 의문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레저 목적의 자전거 이용자들이 자출족이 되기까지의 시간의 경과에 초점을 맞췄다. 특정 기간에 레저 목적의 자전거 이용자들이 자출족이 될 확률은 그 기간까지 레저 목적의 자전거 이용 시점부터 경과한 기간에 조건부로 결정된다. 이는 "눈덩이 효과"또는 "관성 효과"의 역학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과 기간의 분석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알려진 위험 모형(hazard model)이 사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별 특정 특성, 이전의 출퇴근 교통수단, 자전거 시설의 공급 수준, 개인의 잠재 성향과 관련된 다양한 외부변수를 모형에 포함하였다. 결과적으로 자전거 사용을 촉진하는 정책을 만들기 위한 많은 유용한 결과를 얻어냈다. 정부는 자출족을 위한 자전거 도로뿐만 아니라 레저 목적의 자전거 이용자들을 위한 자전거 도로를 위해 투자해야 한다. 또한 직장까지의 거리가 출퇴근 목적을 위한 자전거 이용의 중요한 방해요인으로 밝혀졌다. 흥미로운 점으로는 사무직에 종사하고 교육수준이 높은 중산층의 남성일수록 자출족으로 전환의 민감도가 높다. 그러나 자가용을 이용하여 출퇴근하는 사람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출퇴근하는 사람들에 비해 자출족으로 전환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A recent survey reported that many commuter-cyclists had enjoyed leisure bicycling on a regular basis prior to becoming a commuter-cyclist. While bicycling for leisure, it is assumed that they considered various factors that led them to consider becoming commuter-cyclists.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how long it would take for a leisure-cyclist to become a commuter-cyclist. This study focused on the time that elapsed between leisure-cyclists transitioning to commuter-cycling. In order to analyze the time frame,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probability that a leisure-cyclist would become a commuter-cyclist at a certain time would be conditional on the duration that elapsed from the onset of leisure cycling till that time, which represents the “snowballing” or “inertial” dynamics of duration. A robust methodology, which is known as the “hazard model,” was adopted to accommodate such characteristics of a time period. In addition, various external covariates such as individual-specific characteristics,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or previous commuting mode, supply variables regarding bicycle facilities, and individual latent propensities were adopted to account for the duration of changes that would be generally applicable. As a result, many useful results were derived that could be used in fomenting policies to promote cycling to work. It was found that government should invest in establishing segregated lanes for leisure- and commuter-cyclists. It also turned out that a long distance to work hinders a leisure-cyclist from progressing to commuter-cyc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young white-collar workers who live in high-rise apartments and enjoy intensive leisure-cycling in groups, are a good target toward whom promotions for commuter-cycling should be focused. However, an unfortunate development was that, when compared with car-commuters, it was found that transit-commuters are more likely to become commuter-cyclists.

      • 주거복지동사업을 활용한 장기공공임대주택단지의 재생방안 연구

        박효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0년대 후반 저소득층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급한 영구임대주택이 입주 이후 평균 24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여, 노후화된 시설과 열악한 복지서비스로 인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저속득층과 사회적 약자를 입주대상자로 하는 장기공공임대주택의 특성상 이들의 주거안정에는 기여하고 있으나 외부로부터 사회적 낙인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주거안정을 위한 복지서비스가 함께 공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적절하지 못한 공급으로 주거의 질 하락과 함께, 주거환경이 악화되고 사회적 약자들의 밀집주거지라는 현실과 합쳐져 사회적 배제가 유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물리적 환경개선 사업과 함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시도들이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도들에 대한 현황 파악과 함께 장기공공임대주택단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주거복지동사업을 통하여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한 장기공공임대주택 관련 정책 및 관련법령 등을 조사하였으며, 기 시행한 주거복지동사업의 현황과 장애요인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주거복지동사업이 완료된 단지의 입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거만족도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사업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수, 연구원, 시민단체, 설계사무소 등 장기공공임대주택과 관련한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와 사업의 직접적인 이해당사자가 되는 사회복지관, 아파트관리사무소 등을 대상으로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주거복지동사업을 활용한 단지재생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사업 시행 시 갈등해소방안 입주민, 지자체, 인근주민 등의 이해관계자별로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 방안을 각각 제시하였는데, 공사 중 발생하는 불편함,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의 부담 가중, 기초생활 수급자의 지역 집중 우려 등에 대한 대처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업에 대한 이해도 증진 및 참여를 통한 원활한 사업추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2) 사업추진 실천전략 사업추진 실천전략은 단·장기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단기적으로는 사업추진 프로세스 변경을 통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도모하는 것으로, 각 이해관계자별 역할을 제시하였다. 장기전략으로 영구임대주택단지 내 입주자유형 혼합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관계법령 개정사항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장기적으로 노후한 공공임대주택단지의 순환리모델링에 대한 사업을 통한 주거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