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불안과 자기효능감 및 수학성취도의 관계

        박환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mathematics anxiety,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Three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anxiety and self-efficacy would have moderat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econd,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would have moderate relationships.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would have an effect on mathematics anxiety. This study sampled 234 high school senior students(80 art and science students and 154 general science students) from two high schools in Jeonju city.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ath Anxiety Questionnaire(MAQ), developed by Hwang Jeong Moon(2004), and the self efficacy tes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PC. Correlational 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test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anxiety and self-efficacy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as the students' cognitive and emotional math anxiety had lower self-efficacy. Second,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other words, the more cognitive math anxiety students have, the lower math achievement they hav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can not be seen. Third,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has an effect on emotional math anxiety.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math achievement on the emotional math anxiety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lf-efficacy. Finally, cognitive math anxiety on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math acievement is not seen. To sum up, this study, which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 anxiety, self-efficacy, and math achievement, can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students' guidance and counseling to improve their math achievement and effective self-efficacy.

      • 동영상을 이용한 농구공격패턴 지도가 대학남자농구선수들의 전술습득정도에 미치는 영향

        박환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남자농구선수들이 농구공격패턴을 학습함에 있어 동영상(animation)방식의 농구공격패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패턴학습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존방식인 정적이미지(static image)방식으로 제시한 집단과 새롭게 개발된 동영상방식으로 제시한 집단 간에 농구공격패턴의 난이도(하, 중)에 따라 전술습득정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前)프로농구 감독 출신 농구전문가의 면접을 통해 농구공격패턴이 많이 사용되고 유용한 난이도 하, 중의 공격패턴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경기도 소재 M대학의 농구선수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영상집단과 정적이미지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6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동일한 농구공격패턴을 동영상집단은 동영상으로 교육하고 정적이미지집단은 정적이미지로 교육하였다. 교육 종료 후 빈 패턴양식지에 각각 익힌 농구공격패턴을 직접 그림으로 그리게 하고 설명을 작성하게 하여 농구공격패턴의 습득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농구전문가 평가를 통해 수량화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도출하였다. 첫째, 농구공격패턴의 난이도가 하(下)인 경우, 동영상으로 농구공격패턴을 익힌 것(94.17±5.85)과 정적이미지로 익힌 것(95.00±6.32)간의 농구공격 전술습득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농구공격패턴의 난이도가 중(中)인 경우, 정적이미지로 익힌 것(73.33±6.83)보다 동영상으로 농구공격패턴을 익힌 것(90.83±5.85)이 유의하게 높은 농구공격 전술습득정도를 나타냈다(p<.01). 난이도가 하(下)인 즉, 단순한 농구공격패턴은 움직임에 대한 많은 정보처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정적이미지로 익히는 것과 동영상으로 농구공격패턴을 익히는 것 간의 농구공격 전술습득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난이도가 중(中)인 즉, 복잡한 농구공격패턴은 움직임에 대한 방향과 궤도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동영상방식이 보다 전체적이고 연속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적이미지방식보다 높은 전술습득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종합해 본 결과, 시·공간적인 움직임에 대한 정보처리가 필요한 농구공격패턴은 정적이미지로 익히는 것보다 동영상으로 농구공격패턴을 익히는 것이 농구공격전술을 습득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an influence in learning basketball offence pattern for the male university basketball players by developing animated educational program, applied in real.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low, intermediate) in offence pattern, the study shows what kind of difference in tactics acquisition have between a group suggested with a existing, static image method, and a group suggested with a new developed animated meth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well used, useful offence pattern in low and intermediate level through an interview with a basketball expert who used to be a professional basketball coach. The samples were 12 basketball players of an M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They randomly were divided into a group of static image(n: 6) and a group of animation(n: 6). The groups learned the same offence pattern but in each way. The static image group was educated in still image and the animation group was educated in a new developed animated method. After the education, the players were asked to draw the offence pattern they had learned on the blank pattern sheet and to write down the explanation to it. Acquirement tactics acquisition level of the players's basketball offence pattern was measured with this data. The result of the analyzed data from basketball experts evaluation reach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in the low level, learning offence pattern with animation(94.17±5.85) and with static image(95.00±6.32) were no considerable statistical difference in an amount of basketball offence's tactics acquisition. Second, in the intermediate level, learning offence pattern with animation(90.83±5.85) showed considerable statistical improvement in an amount of basketball offence's tactics acquisition than learning it with static image(73.33±6.83). When the level of difficulty is low, because simple basketball offence pattern does not require much data processing to the movements, it didn'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offence pattern with animation and static image. When the level of difficulty is intermediate, since animation provides far wide and continual information, complex basketball offence pattern which shows the movements of direction and orbit directly consists to have much higher amount of basketball offence's tactics acquisition. Overall, in learning basketball offence pattern that requires time and space movements, animated educational program i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way to acquire basketball offence tactics than static image program.

      • 의료기관의 품질경영혁신활동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성과측정시스템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환석 단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의료기관의 품질경영혁신활동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성과측정시스템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ol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Quali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Hospitals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관리회계전공 박 환 석 지도교수: 손 성 진 본 연구는 의료기관이 종합적 품질경영(Total quality management, 이하 TQM)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TQM과 성과측정시스템(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이하 PMS)의 이용수준 및 PMS의 공정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많은 연구들이 TQM과 조직성과 또는 TQM과 경영성과에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고 있지만, 의료기관에서 TQM, PMS 이용수준, PMS 공정성, 조직성과 등의 모든 변수를 고려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의료기관에서 TQM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PMS의 이용수준, 특히 PMS를 상호작용적으로 활용할 경우, PMS의 공정성이 확보된 상황에서 구성원의 태도(조직몰입, 직무만족)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병원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의료기관의 품질경영혁신활동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PMS 이용방식과 공정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투입 변수는 품질경영활동의 수준으로, 전환 변수는 성과측정시스템과 공정성의 수준으로, 산출 변수는 조직성과(구성원태도,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로 정의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Nunnally가 분석 제시한 4가지 단계의 측정타당화 절차를 통하여 연구표본이 적절한지를 검토하였으며, 가설 검정을 위해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가설은 네가지이다. 연구가설 1은 의료기관 품질경영혁신활동의 수준과 조직성과의 관계, 가설 2와 3은 그 관계에서 PMS 이용방식, PMS 공정성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가설 4는 의료기관 품질경영혁신활동수준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PMS 이용방식, PMS 공정성, 구성원태도의 총체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품질경영혁신활동은 구성원태도와 비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품질경영혁신활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품질경영혁신활동과 조직성과(구성원태도)의 관계에서 PMS 진단적 이용은 매개역할을 하였으나, PMS 상호작용적 이용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셋째, 품질경영활동수준의 세부요인인 의료서비스질과 정보활용이 구성원태도의 관계에서 PMS 공정성의 매개효과도 존재하였다. 넷째, 품질경영혁신활동이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PMS 상호작용적 이용이 PMS 공정성을 통해, 구성원태도, 비재무성과,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병원이 품질경영혁신활동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인적자원관리차원에서의 구성원태도와 경영통제차원에서의 PMS를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한 차원 더 수준 높은 병원성과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혁신활동의 노력을 지향하는 병원에 전략적 방향제시를 일조하는 결과를 얻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하겠다 (Abstract)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ol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Qualit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Hospitals Park, Hwanseok Department of Accounti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stration Dankook University Advisor:Professor Son, Sungjin This thesis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total qualit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with special attention given to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Total Quality Management(TQM). The major underlying novel research idea is to us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PMS) to study the management of the PMS in terms of the employee attitude. To get a sense of the state of the art in performance analysis, we first investigate PMS use and PMS justice in the analysis. The use of TQM, PMS use, and PMS justice are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Q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whether the PMS use and PMS justice were mediated in relation to the TQ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of Hospitals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The variables of the study design were the TQM as in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performances(employee attitude, financial, non-financial) As a dependen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diagnostic use, interaction use), PMS justice as parameters. The Hypothesis 1 refers to the level of TQM of Hospitals and their relationship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nd the hypothesis 2 and 3 refer to PMS use and PMS justic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hypothesis 4 identifies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PMS use, PMS justice, and employee attitude in relation to the TQM leve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of the Hospit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Q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members and non-financial performances. However, the effect of TQM on the financial performances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PMS diagnostic use wa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Q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but the PMS interactive use did not be directively meditated. Third, there was also the effect of PMS justice in relation to Hospital TQM service quality & information and organizational attitude, which are the detailed factors of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PMS interactive use in relation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attitude, non-financial performances and financial performances through PMS justi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ospital expects to improve the hospital's performances by properly managing its membership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management control. Key words: TQM, PMS justice, employee attitud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 國民年金 基金運用의 效率化 方案에 관한 硏究

        朴桓奭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國民年金基金의 運用收益率을 제고하기 위한 基金運用의 效率化 方案을 모색하는데 있다. 사회구성원들의 최소한의 인간적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각국 정부의 정책은 기본적으로 절대적 빈곤을 해소하기 위한 국민기초생활 보장제도이다. 더 나아가 국민들의 노령 및 장애, 질병, 실업, 작업장 상해 등의 사고에 따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안전망 장치로서 공적연금, 건강보험, 실업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 등 4대 사회보험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 중 공적연금은 특히 국민들의 노후 생활보장을 위한 장치이다. 국민연금은 노령, 장애, 사망 등의 사회적 위험에 대비하여 근로 가능한 경제활동 기간 동안에 획득한 소득의 일부를 저축(기여)하였다가 실제 위험이 발생했을 때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을 지급받는 소득보장제도의 하나로서 안정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안전망의 필수적 장치로서 공적연금제도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적연금제도로서 국민연금제도는 1988년부터 시행되었다. 또한 근로기간 중의 소득을 일정 비율 이하로만 보장하는 국민연금의 소득보장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사적연금제도인 개인연금제도가 1994년 도입되었으며 이는 2001년 세제 혜택 확대와 함께 신개념 연금제도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국민연금제도는 국민연금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와 국민연금제도의 재정적 건전성 문제로서 국민연금의 기금 수입이 기금 지출에 미달하여 국민연금기금이 고갈될 위험이라는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해 있다.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것은 국민연금의 제도적, 정책적 측면에서 해결이 가능하지만 국민연금기금의 고갈문제는 기금제도의 존속을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민연금기금의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두어 연금기금의 운용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의 효율화다. 즉, 현재까지 국민연금기금은 주로 안정적인 채권에 투자되어 왔는데, 투자의 효율성 측면에서는 전체 기금 적립금의 20% 이상으로 주식투자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금운용을 직접투자 또는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 방법이외에도 사모펀드에 투자하거나 재정적 투자파트너로 참여하는 방안도 장기투자전략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국내 자본시장 규모에 비해 국민연금기금의 적립 누적액의 규모가 너무 커기 때문에 국내 자본시장에 대한 투자가 자본시장을 교란시킬 가능성을 염두에 둔다면 보다 수익성이 높은 해외에 투자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현재 기금운용을 보건복지부 장관이 위원장으로 있는 기금운용본부에서 운용하고 있는데, 이는 자금운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독립적인 조직을 설립하여 우수한 운용인력을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금의 국내 자본시장 투자가 시장을 왜곡시키지 않는 시장중립적 이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외국 자본시장에 대한 투자와 아울러 가입자의 연금보험료 중 일부를 가입자 본인이 원하는 개인저축계좌로 운용하여 개인이 연금기금 운용본부에서 운용하는 우수한 상품이나 펀드를 선택하게 할 경우 여러 자산 운영사에 기금이 분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민연금기금의 效率的인 投資方案과 國民年金 基金運用 System의 效率化가 중요하다. 즉, 국민연금기금의 효율적 운용은 국민연금제도의 재정적 건전성을 제고시키면서 추가적인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국민연금 수혜자의 부담을 발생시키지 않는 국민연금제도의 개혁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 물리 수업에 인터넷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

        박환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터넷에 있는 물리 Simulation 자료를 실제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인터넷에 있는 다양한 물리 Simulation 교육자료와 해당 사이트 정보를 소개하였고, 이중 특히 물리 실험부분과 관계가 있다고 판단되는 Simulation 자료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인터넷이라는 환경에 생소한 이들을 위해 해당 가상실험 사이트에서 교육 자료를 손쉽게 얻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렇게 구한 자료 파일을 수업 형태와 학습 형태, 그리고 교사의 의도에 맞게 수정하고 실제 실험 수업과 같은 실험 보고서 양식 작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특히 인터넷 상에 있는 교육자료를 실제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Simulation이 물리현상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 오류나 Bug가 없는 지를 사전에 분석하고 검토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인터넷 시대에 더욱 효율적인 학습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넷 교육 패러다임의 조성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교사들의 인터넷 사용 현황과 개선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n applying an internet simulation in practical physics class. This study introduce various physics education simulations and appropriate internet site informations. In speciality, this study put to practical use simulations related with physics experiment and explain how to get and how to use those physics simulations for an unaccustomed person in education environment with internet. And this study deals with problems, bugs and insufficient physics concept explanation of free internet simulations and stress the need of adoption or rejection of teacher through analysis. Finally, this study stress internet education paradigm creation through study and training of teachers.

      • 벌금 등의 부과가 공시수준과 정보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

        박환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시의 수준 및 공시의 질의 증가가 정보비대칭 정도를 낮춘다는 공시이론에 근거하여 벌금 등의 추징 공시가 공시 이전기간과 이후기간의 공시수준과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벌금 등의 부과 사유를 세무조사 및 세무조사이외(공정거래법위반, 회계감리조치 등)의 사유에 따라 공시수준과 정보비대칭, 주식시장 반응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벌금 등이 발생한 기업의 경우 공시수준은 벌금부과 이전보다 벌금부과 이후에 향상 될 것이라는 가설과 벌금 등이 발생한 기업의 경우 벌금부과 이후 정보의 비대칭성은 감소하게 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전자공시시스템 상에서 ‘벌금 등의 부과’ 항목을 공시한 상장기업 269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표본과 세무조사 이후 추징세액이 발생한 표본을 대상으로 한 검증에서는 공시수준의 대용치인 자발적공시성향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세무조사 이외의 사유로 과징금이 부과된 경우에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전체표본과 세무조사 이후 추징세액이 발생한 표본을 대상으로 정보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부과 이후연도에 정보비대칭성의 대용치인 일별절대수익률의 표준편차, 일별상대수익률의 표준편차, 일별초과수익률의 표준편차의 경우 모두 음(-)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정보비대칭성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시수준과 마찬가지로 세무조사 이외의 사유로 과징금이 부과된 표본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주식시장의 반응을 추가분석한 결과 전체표본과 세무조사 이후 추징세액이 부과된 표본에서는 부과일 이후 주식시장에서 부정적인 주가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세무조사 이외의 사유로 과징금이 부과된 표본에서는 유의한 시장반응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연구결과 세무조사 이후 추징세액이 부과된 기업은 공시수준을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의 비대칭성은 감소하고, 주식시장 반응은 부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세무조사 이외의 사유로 과징금이 부과된 기업은 부과이후 공시수준과 정보의 비대칭성에서 유의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주식시장의 반응 역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공정거래법상 과징금의 기준금액과 감경률을 현실화하고, 자본시장법상 과징금의 상한 역시 현실화 하는 방향으로 관련된 규정의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테스트 시나리오 모델을 이용한 GUI 단위테스트 자동화 도구 개발

        박환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 폰이나 자동차 네비게이터와 같은 모바일 장비들은 GUI 환경을 가진다. 문자기반 프로그램과 달리 GUI를 이용한 프로그램은 특정한 좌표에 대해 키보드, 마우스 입력이벤트를 받고 그 결과를 화면상의 아이콘, 다이얼로그 박스나 메시지 박스로 나타낸다. 하지만 간단한 마우스 이벤트조차 수동적으로 반복적인 테스팅 해야 하기에 GUI 테스팅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키보드와 마우스 이벤트를 기록하고 재현하는 Record-Playback 기법이 있다. Record-Playback 기법은 현재 GUI 자동화 테스트 도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법이다 하지만 사람이 직접 결과를 검증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기록하고 재현하며 예상 이미지와 실제 이미지를 비교하여 결과 검증을 하는 유닛 테스트 관점을 가진 GUI 테스팅 기법을 제안한다. 시나리오 모델로부터 테스트 시나리오를 만든 후 각 시나리오를 수행한다. 시나리오 모델의 테스트 케이스는 수정가능하고 재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테스팅을 할 수 있다.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car navigators have user friendly GUI environment. Unlike text based programs, GUI program receives specific location with keyboard input or mouse input events and produces a result as on-screen icon, dialog box and message box. Although a single GUI testing using mouse event is a simple task, it is difficult to repeatedly perform GUI testing manually. To solve this problem, keyboard and mouse events are recorded to reproduce them using Record-Playback technique. Record-Playback technique is currently used in many GUI automated testing tools. However, the main disadvantage is which the results cannot be reproduced and should be verified by human.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approach of GUI testing that records the user input events and automatically compares them with the expected image for verification in the perspective of unit testing. After generating test case scenarios from the scenario model. testing is performed for each scenario. A tool is also proposed to validate and verify test scenarios. The results are used to verify the correctness of GUI testing during unit testing. Also test cases of the scenario model can be early modified and reused for efficient testing.

      • 연구개발비 정보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환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제적 경제 환경의 급작스런 변화로 인해 내적·외적으로 기업들은 도전과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무한 경쟁 속에서 난관을 극복하고 계속적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 많은 기업들은 진보된 과학적 기술력의 축적과 수익적 사업에의 꾸준한 투자를 발판으로 창조적인 활동을 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쟁적 우의를 확보하는 것은 끊임없는 연구개발비 투자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R&D지출을 자산으로 인식한 개발비 정보와 비용으로 인식한 경상연구개발비 정보가 유사한 수준의 기업가치 설명력을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R&D 투자가 많은 기업군과 적은 기업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실증분석 대상 표본으로는 1995년부터 2002년까지 계속 상장된 12월 결산 제조기업을 선정하였으며 가설검증 모형으로는 최근 회계학 실증연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Ohlson의 모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위의 방법으로 경상연구개발비의 자산화 가정에 의하여 수정된 이익 및 장부가치의 정보 유용성을 주가수준분석을 이용하여 실증 검증한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비 및 경상연구개발비 모두가 기업가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둘째, 경상연구개발비의 자산화 가정에 의하여 수정된 이익 및 장부가치의 기업가치 설명력(미 수정된 이익 및 장부가치에 비하여)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연구개발비 집약도에 따라 두 부분으로 나누었을때, 연구개발비 집약도가 높은 기업군에서 현행 기업회계기준방법에서 자본화방법으로 변경하였을 때 기업가치 설명력의 증가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산화된 개발비 정보는 물론 비용으로 처리된 경상연구개발비 역시 자산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구개발비 지출액에 대한 회계처리방법의 변경가능성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하겠다. The recent drapid change of the international economic environment has led contemporary enterprises to be in limitless competition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to be faced with challenges and difficulti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develop themselves as going concern, Many companies should carry out a series of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advanced scientific knowledge and continue engaging in profitable business activities. The competitive advantage also dictates that companies make serious efforts and make substantial investments in R&D accordingly. I empirically examine whether accounting information of R&D expense has similar level of association with firm value, relative to that R&D assets. To provide evidence on this issue, I compare the association in the sample of firms from the companies of R&D-intensive group with that of non-R&D-intensive group. Samples are chosen among manufacturing companies listed in the period from 1995 to 2002, of which fiscal year end in December and the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 Ohlson model which is broadly used in the current empirical study. Through the price level analysis, I examine that adjusted numbers of book value and earnings based on assumed capitalization of R&D expenses turn to be value relevant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The main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R&D assets and expenses have been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rm value(proxied by share prices). Second, adjusted numbers of book value and earnings based on assumed capitalization of R&D expenses have shown greater power(relative to unadjusted numbers) in explaining firm value. Third, When some of sample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R&D-intensive group and non-R&D-intensive group)by the level of their R&D intensity(R&D outlay to sales), the R&D-intensive group has the more convincing effect of switching from the current accounting rule to the rule of capitalization of R&D expense. These results provide that both R&D assets and expenses also have been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rm value. Therefore, Above results have implication on the possibility of changing accounting rule for R&D outlay.

      • 문화예술교육사의 활동영역 및 배치에 관한 연구

        박환석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전의 많은 연구와 발표에 의해서 문화예술이 얼마나 우리들의 삶과 가까이 있고 밀접하며 문화예술 없이는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힘들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문화예술은 단지 즐기고 향유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각종 분야와 융합되고 접목되어 다양하게 활용되고 그 역할이 확장되어 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와 문화예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많은 문화예술관련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는 2003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을 계기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분야에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하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의 필요성을 느끼고 2013년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를 시행하였으며 자격증 발급을 위한 교육을 전국 13개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미국의 T.A.제도나 영국의 C.P. 그리고 프랑스 DRAC의 문화예술전문인력 양성과정 등과 같은 해외의 사례를 연구하여 국내 사정에 맞는 국가공인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제도를 추진하였다. 그 추진배경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첫째 문화예술교육 인력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모색, 둘째 문화예술 전공 대학졸업생들의 진출영역 확대이다. 문화예술교육사는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인력인 예술강사, 교육사(에듀케이터), 창의예술교육가, 또는 전문 예술교육단체 등과의 차별성을 위하여 예술영역, 교육영역, 경영영역을 보다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사의 활동영역이나 배치에 관해서는 아직 정확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예술교육사와 관련된 인력군의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사가 진출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영역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사의 효과적인 배치를 위한 해외 사례를 알아보고 이들을 배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의 당위성,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에서 오는 트렌드적 관점의 당위성, 그리고 사회적기업, 1인기업과 같은 분야로 까지 확대되어 문화예술관련 인력군의 사회진출 및 기회확장의 당위성을 제시하여 문화예술교육사의 진출 방향을 모색해볼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제도가 단지 자격을 갖추기 위한 도구로 끝나지 않고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을 배양해 내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studies, we know well that culture and arts are how much important and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lso these make our lives more abundant and pleasant. These days, Arts and culture are applied to not only entertainment things, but also various different fields, so the role of arts and culture is extended. For the these social demands, Government is planing and carrying forward many businesses related arts and culture. Government has spent many cares and supports on arts education in school and society especially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arts and culture activation plan in 2003. As an extension of the concern about arts and culture education, government feels the needs of professionals and carries out the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Throughout national, thirteen universities have curriculums to produce professionals with national certification. By researching T.A(Teaching Artiest) system in America, C.P(Creative Partnership) system in England, and the system of DRAC(Direction Reginale des Affaires Culturelles) in Franc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made a suitable system that is suited well on the environment of korea education, and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operates the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from 2013. The reason why the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is made has two important purposes, the first is the paradigm shift in arts education policy seeks personnel and the second is Graduates to enter the area of cultural arts expansion.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has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and roles compare to existing teaching artist, educator, creative art teacher, and other professional instructor,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is demanded more strong abilities on management and producing. In this thesis, I will propose the various working fields that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an advance and also study the disposal of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By my research and study, I wish the system of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an sustain well and the system can produce excellent education professio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